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8

        21.
        201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댐 위험도 해석시 수문학적 변량(강수, 유출 및 수위)들의 상호관계를 고려한 체계적인 분석과정이 요구된다. 그러나 기존 댐 위험도 해석 연구에서는 변량간의 체계적인 관계 평가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한계점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수리·수문학적 변량간의 관계를 효과적으로 평가하고자 Bayesian Network 기반의 댐 위험도 해석 기법을 개발하였다. 실제 댐에 대해서 제안된 모형을 적용한 결과 파괴인자간의 상호관계 규명 및 불확실성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기존 연구보다 쉽게 가장 큰 파괴인자를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이와 더불어 다양한 시나리오에 따른 댐의 안정성을 파괴확률 및 예상피해의 함수인 위험도로 평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기존 댐 위험도 기법으로 수행한 결과에서는 월류 확률이 도출 되지 않았지만, Copula 함수를 도입하여 댐 초기수위를 고려한 결과 댐 월류 확률이 발생하였 으며, 피해결과 역시 크게 증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댐의 보수보강 등의 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도구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22.
        201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prrsents results of Probabilistic Seismic Risk Assessment(PSRA) of an Saemangeum Dike considering uncertainties of earthquake occurrences. First the seismic vulnerability of a structure and the seismic hazard of the site are evalusted using earthquake sets and seismic risk map, and then seismic risk of the structure is assessed.
        23.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소규모 대댐과 저수지 시설물은 일상점검, 정기점검 등을 실시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나 시설물이 안정성을 파악하기 위한 점검 항목, 항목별 평가 방법이 정립되어 있지 못한 상태이다. 또한 관리 전문 인력의 부족, 점검 시 제도적 평가 기준의 미비 등으로 체계적인 유지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한 실정으로 규모가 큰 댐에 비해 저수지의 파괴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실제 소규모 댐과 저수지는 규모가 큰 댐과 정밀안전진단 세부지침이 상이하여 기존의 평가기준을 적용하기엔 무리가 있으며, 소규모 댐과 저수지에 최적화된 안정성 평가 기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저수지 위험도 해석방안 조사 및 평가, 소규모 저수지 위험도 평가 및 DB 구축방안 수립, 수리수문학적/지반공학적/구조적 위험도 평가방안 마련, 저수지 붕괴로 인한 피해액 산정방법 검토에 대한 연구 방안을 수립하고자 한다. 최종적으로 저수지 위험도 평가 방안이 종합적으로 검토된 위험도 기반 저수지의 안전성 평가방안 수립하고 이를 활용한 저수지 재개발 우선순위 결정 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24.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사회간접시설의 위험도 증가는 대규모 인적/물적 피해로 귀결될 수 있으며 특히 방조제와 같은 해안구조물의 경우 기후변화로 인한 태풍강도 증가 및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과거보다 다양한 위험도에 노출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외적으로 이러한 외부 환경변화 요인을 포함하여 구조물의 지반공학적, 해안수리학적 위험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정량적으로 위험도를 평가하는 연구는 매우 미진한 실정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방조제 안정성 평가방법은 설계기준에 근거하여 현재의 상태를 평가하는 수준으로 미래에 발생 가능한 위험도에 대한 인지 및 대처에는 상대적으로 불리한 면이 존재한다. 최근 미국 및 유럽을 중심으로 기후변동성의 증가로 인한 방조제 안정성 확보가 주요 이슈로 부각되고 있으며 위험도 해석기반의 확률론적 평가방법과 대응기술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새만금 방조제에 대한 위험도 평가를 수행하기에 앞서 위험도 평가를 위한 체계 확립과 더불어 다양한 위험도 평가 시나리오를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국내외 방조제의 주요 위험요소 및 파괴모드별 위험도 평가방안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였으며, 위험도 해석 결과의 신뢰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Network Theory 기반의 새만금 방조제 위험도 평가 모형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25.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저수지를 대상으로 노후화 및 기후변화에 따른 대규모 복합재난으로부터 저수지를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보호하기 위하여 위험도 기반 제도적 위험관리기술의 선진화 방안을 연구하였다. 저수지 재해위험성의 감소를 위하여 농어촌정비법에 따라 안전관리(안전점검, 정밀안전진단, 보수·보강)을 실시된다. 그러나 2종 저수지(총저수량 30만m3 미만)은 정밀안전진단에 대한 강제규정이 없어 재해위험성이 발견된 경우에만 시행을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비구조적(제도적) 위험관리가 구조적 위험도의 감소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사고유형에 따른 위험요소별(재해발생가능성 및 피해규모) 위험도를 판정하고, 높은 위험요소를 제도적인 개선을 통하여 해소하는 제도적 위험관리가 필요하다. 저수지의 재난 및 위험관리 현황과 실태조사를 통한 분석결과 ‘2종 저수지 비상대처계획(EAP)의 미수립’과 ‘보수·보강 필요성 우선순위 선정’이 가장 높은 위험도 판정을 받았다. 1종 저수지의 EAP 수립은 법률적 규정이므로 2종 저수지를 포함하는 규제의 확장은 필수 적이나, 1종 저수지에 비해 재해영향(인적·재산적 피해)가 낮은 2종 저수지에 수리수문해석을 포함하는 고비용의 EAP 수립은 적정하지 않다. 그러므로 저비용의 2종 저수지 EAP 표준안을 제작 및 배포가 필요하다. 보수·보강 필요성 우선순위 선정 시 현행 안정성 위주의 상태평가에 재해영향평가를 포함하여 안전등급을 선정하는 안전관리의 제도적 개선 또한 필요하다. 이러한 제도적 개선을 통하여 저수지 붕괴에 따른 재난대응과 보수보강에 따른 붕괴위험 방지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6.
        201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review the current economic measures to be used to assess the economic effects of agricultural infrastructure projects, to find some effects not included into the current measures, and to suggest new additional economic measures. So thus, economic assessment for agricultural infrastructure projects has been criticized to be overestimated. For example, some research reported that the projects enhanced rice productivity by 20% or 30%. We suggest four new measures to evaluate economic effects of agricultural infrastructure projects: (1) enhancement in productivity, (2) switchover from low-income crops to high-income crops, (3) rises in land price, and (4) lower fluctuation in production.
        27.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presents the application of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s specialized in dam and reservoir structures in Korea. Related criteria and evaluation methods are reviewed, and then, the indicators needed to perform the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and how to take advantage of these are suggested in this study.
        28.
        2012.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t has been changed from conservative method that require partial destruction of concrete structure to new method that is nondestructive method or require just tissue of concrete structure for the stability evalution of concrete structures. The estimation technique that is the purpose of this project are very forehanded at the time of state-of-the-art equipments that give diagnosis work efficiency and accuracy is presented in this study. This study included that the discovering a equipment for collection of concrete powder, the suggestion of thermal analysis at the estimation of neutralization of concrete, the estimation technique for suggestion of appropriate repair time, the estimation methods that are to presume carbonation processing amount and to assume damage degree caused by freezing and thawing action.
        32.
        199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Korea, buckwheat has historically held a very important position because it has been used as a food and traditional medicine. The objectives of this report were to mainly review the up to present papers includings 75 references about buckwheat's rutin, functional ingredients and their variations. Buckwheat provides an abundance of such nutrition as protein, amino acids, vitamin(B1,~;B2 , E, P), minerals(Fe, Zn, Mn, Mg, P, Cu, Ca, Se) and dietary fiber. Buckwheat's essential amino acid, lysine, is notably higher amount than cereals. Rutin(vitamin P), one of a group of flavonoids, is abundant in buckwheat and noted for its beneficial function of reducing every kinds of radiation and vascular diseases, diabetes mellitis and retinal hemorrhage, etc. Rutin also acts as a pigment stabilizer and acetone extracts of buckwheat have a potent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33.
        199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report is to review the up to present papers including 79 references about functional ingredients in maize and their variations. Maize is a good source of such antioxidants as α-,~;~gamma-tocopherols,~;α-,~;β-carotene,~;β-cryptoxanthin , zeaxanthin, quercetin and chlorogenic acid. Unsaponifiable standard extracts of Zea mays L. (ZML) have a beneficial effect on various dental diseases. Flavonoids, flavonoid biosynthetic pathway and their controling genes were also reviewed in this report. Flavonoids are required for successful fertilization in maize pollen, and maysin has a potent antibiotic activities to earworm and fall armyworm in maize silks. Maize silks have been used in traditional medicine for diuretic, vascular diseases and diabetes, etc. and boiling water extracts of maize silk have hemodynamic effects, but their ingredients still remain obscure.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