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8

        23.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eral cats are widely considered to be leading the potential impacts on public health. This study aimed to provide estimates of vital data for feral cats relating Trap-Neuter-Return (TNR) to establish strategies effectively to manage feral cats in Pyeongtaek. Thus, this study focused on estimating feral cat population in Pyeongtaek and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ata for feral cats in Seoul (2013). The number of feral cats was estimated from 23,069 to 26,655 in Pyeongtaek, 2019. In relation to human population, when comparing the number of feral cats of Pyeongtaek and Seoul, it ranged from 4.57% to 5.28%, and from 1.97% to 2.55% respectively. This showed that Pyeongtaek was higher than Seoul. Fewer kittens were found in high-density areas, which the TNR project is believed to be generally effective in controlling the number of feral cats. In conclusion, in urban and rural complexes such as Pyeongtaek City, the number of feral cats compared to the popul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Seoul City, and the TNR program is believed to be somewhat effective in controlling the number of feral cats. When implementing TNR, it is necessary periodically to investigate the population and reflect them in policymaking.
        4,000원
        24.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ickly pear cactus (Opuntia), native to Mexico, has grown in popularity and is locally grown and adapted on Jeju Island. The fruits of this cactus species are in particular widely employed as raw materials, which are then processed into various food and medicinal items, including chocolates and vitamins, for purposes of human consumption. Because this crop has been dubbed one of Jeju’s iconic agricultural crops, research studies elucidating the prickly pear cactus’ medicinal properties, including antioxidant activity, of this particular plant and related cultivated species have demonstrated high value to the scientific community. Currently, consumers do not purchase products f or c onsumption a lone, but in a ddition f or t heir added health benef its. The present study in particular honed in on two species of prickly pear cactus that are cultivated on Jeju Island which include: ‘Baeknyeoncho’ (Opuntia ficus-indica) and ‘Cheonnyeoncho’ (Opuntia humifusa). From these species, s pecif ci p lant p arts i ncluding t he f lower, mature and y oung stems, roots, a nd f ruit w ere subjected to further antioxidant analysis, which included the determination of polyphenol, flavonoid, DPPH radical, ABTS radical, and anthocyanin levels. These particular antioxidants were determined during two seasons, over the course of the summer and winter. Results revealed that the antioxidant activity for both species was more active during the summer season. Antioxidant levels occurred at the highest rates within t he flowers o f the c actus plants. However, of significant note was that the cactus stem, in both mature and young plants, possessed higher antioxidant activity compared to those of the fruit that is currently employed for commercial purposes.
        4,000원
        25.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rucellosis is the most common zoonosis worldwide, which is caused by Brucella spp. In humans, it can be mainly occurred by direct contact with infected animals or consumption of contaminated dairy products. This study focused on human brucellosis caused by B. melitensis discovered from Chinese worker in Korea in 2015. We investigated molecular epidemiological evidence to find the infection source. We first performed several PCR methods including 16S rRNA PCR, multiplex PCR and real-time PCR to identify Brucella species. We also conducted MLVA typing for epidemiological trace-back analysis. The isolate from the patient was confirmed to B. melitensis through Brucella-specific PCR. In clustering analysis with B. melitensis from foreign countries, this human isolate was correlated with B. melitensis isolates from humans and sheep in China by 99.9% similarity. Thus, we assumed the brucellosis patient has been already infected in China followed by migration to Korea according to molecular epidemiological analysis with history evidence. Moreover, we suggest it needs to take measures to reduce the risk for intercountry transmission of brucellosis due to the influx of infected people from abroad.
        4,000원
        29.
        201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콩 가공 부산물인 콩 배아 이소플라본의 생체내 활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LA, LB, LP 등 3가지 유산균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비배당체화 전환 효율을 증가시키고자 균주의 종류와 접종량, 발효시간에 따른 이소플라본 함량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균주를 이용한 모든 발효에서 균주를 사용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높은 이소플라본 비배당체 전환을 보였고, 발효시간에 따른 비배당체 전환율은 24시간에서 급격히 증가하였고 이후에는 큰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비배당체화 발효의 최적 균주는 LP균, 접종량은 5%, 발효시간은 24시간 이었다. 대조군의 이소플라본 배당체의 구성은 글리시틴>다이드진>제니스틴 순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켰을 때 배당체들은 감소하였고, 비배당체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다이드제인>글리시테인>제니스테인 순으로 45% 이상의 비배당체 전환율을 나타내었다. 특히,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산균으로 발효시켰을 때 다이드진의 함량이 가장 크게 감소하였고, 다이드제인 함량이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 소야사포닌의 경우 발효에 의하여 Ab가 급격하게 감소하였고 Ba와 Bb가 증가하였다. 발효액은 pH 3에서 pH 6으로 증가함에 따라 이소플라본 비배당체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다이드제인 함량이 많이 증가하였고, 소야사포닌 함량은 Ab 함량이 급격하게 감소하였고, Ba와 Bb 함량도 소량감소하는 등 발효액의 pH가 발효에 의한 이소플라본과 소야사포닌 함량 변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중의 하나임을 알 수 있었고, LP균을 이용한 발효로 가공부산물인 콩 배아의 생리활성 증가 및 기능성소재화를 꾀할 수 있을 것 으로 생각된다.
        4,000원
        30.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토마토 온실에서 담배가루이 (Bemisia tabaci) 유인을 위한 작물에 따른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피망, 토마토, 오이, 가지의 4 종류의 작물을 아크릴케이지에 같이 넣어두고 담배가루이 성충 30쌍을 방사하여 선호도 및 산란수를 조사하였다. 담배가루이 성충은 오이(약 40%)와 가지(약 40%)에서 가장 선호하였으며, 토마토(10%)와 피망(10%)의 선호도는 낮았다. 기주에 따른 담배가루이의 성충 30쌍의 산란수는 오이에서 485개로 가장 높았으며 가지(250), 토마토(131), 피망(126)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토마토 온실에 가지묘를 정식하였을 경우에는 토마토에서는 주당 약 20마리의 담배가루이가 조사되었으나 가지에서는 주당 400∼500마리의 담배가루이가 조사되어 토마토 온실에서 가지를 이용한 담배가루이 유인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31.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에서는 주요 발생지인 구례 지역의 산수유, 때죽나무를 중심으로 2018년 8월에서 9월 사이에 갈색날개매미충 월동 난괴를 채집하여 날개매미충알벌(phanuromyia spp.)의 온도별(15℃, 20℃, 25℃, 30℃) 발육기간, 수명 및 우화 후 15일간의 총 산란수를 조사하였다. 날개매미충알벌의 발육기간은 25℃에서 알 2.6일, 유충 5.4일, 번데기 15.0일, 30℃에서 알 1.9일, 유충 7.6일, 번데기 13.7일이 소요되었다. 날개매미충알벌 성충의 온도별 수명은 15℃에서 암컷 77.4일, 수컷 66.6일, 20℃에서 암컷 49.0일, 수컷 44.0일, 25℃에서 암컷 27.6일 수컷 28.4일, 30℃에서 암컷 18.0일, 수컷 14.0일로 암수 모두 사육온도가 높아질수록 수명이 짧아졌으며 15℃와 30℃에서만 암수 수명의 차이가 있었다. 또한 온도별 총 산란 수는 15℃를 제외한 나머지 세 가지 사육온도에서 산란 수 차이는 없었으나 25℃에서 평균 23.2개로 가장 높았다.
        32.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t was available to store both nymphs and adults of Geocoris pallidipennis at 5℃ for 3 weeks without negative effects on their survival, fecundity, and Bamisia tabaci nymph predation. Up to 140 days, it was also possible to store Micromus angulatus adults at low temperature, showing approximately 50% cumulative survival rate, but over 2 week cold storage was not suitable for their fecundity. With the increase of cold storage duration, the aphid predation by M. angulatus decreased, but it could be possible to cold store until 5 weeks without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aphid predation. Thus, short term cold storage of G. pallidipennis and M. angulatus could be useful for inundative biological control.
        33.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ree ambrosia beetle species, Xyleborus glabratus, Monarthrum mali, and Euwallacea fornicatus belong to subfamily, Scolytinae, showing similar morphology and body size, but their flight capability and patterns showed species-specific. Body length of Xyleborus glabratus and Monarthrum mali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flight capabilities; shorter beetles performed longer average flights, longer single flights, total flight distance, and total flight time. Elytral length also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flight distance in X. glabratus and M. mali. Conversely, only average flight time of E. fornicatu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body length, pronotal width, and elytral length. Body length had no effect on the flight velocity of any of the three beetle species examined. Therefore, our results indicate that body size characteristics of ambrosia beetles differentially influence on their dispersal by species.
        35.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에서는 2017년 4월부터 12월까지 갈색날개매미충 알기생봉의 주요발생지인 구례, 순천을 포함한 총 5개의 지역에서 월동난괴를 채집하여 산란특성 및 월동률을 조사하였다. 야외에서 2차례(12월,4월) 채집해온 월동난괴를 실내조건(25 ± 1℃, 40~60% RH, 16L:8D)에 두고 월동률 및 치사율을 조사한 결과 순천과 구례가 각각 월동률 19.69%, 18.17%, 치사율 5.89%, 4.88%로 높은 수치를 보였다. 평균수명인 약 20일 동안의 산란 분포는 주로 우화 후 1~5일 사이에 전체산란 수 중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우화 1일 후에 평균 산란 수 9.2개로 가장 높은 산란력을 나타냈다. 실내에서 하루 중(2시간 단위) 알기생봉의 산란은 주로 20:00-24:00에 분포하였으며 소등(24:00) 후 2:00부터 다시 산란하기 시작하였다.
        36.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rails of the convergence ladybird negatively affected the brown citrus aphid population. On 3 days after treatment of ladybird trails, the population growth rate of the brown citrus aphid on treatment and control swingle flushes in the test tube were –0.1848 and –0.0385, respectively. In pot experimen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opulation growth rates between treatment and control swingle plants on 3 and 7 days after treatment of ladybird trails. But, on 10 days after treatment, each population growth rate was -0.0415 and 0.1125, respectively so ther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statistically. Thus, our result support the potential practical application of ladybird trails as an effective control agent for managing of herbivorous insect pests in citrus groves.
        37.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18년 현재까지 농림축산검역본부 호남지역본부로 수입된 식물은 220종 17,030건으로 우드펠렛(18%), 주정박(8%), 페스큐 건초(8%), 알파파건초(8%), 귀리건초(6%), 혼합건초(5%), 티모시건초(5%), 라이그래스건초(5%), 목화씨(사료용)(4%), 소나무원목(3%) 등의 순이다. 이와 같이 호남지역은 비재식 사료류(건초 등) 수입비중이 높으며 이는 전국 수입 건수의 약 67%에 달한다. 검역해충은 795건 검출되었으며 이 중 관리해충 294건, 잠정규제해충 146건, 비검역해충 307건 등이다. 관리해충 중 Carpophilus obsoletus가 210건(72%), 잠정규제해충 중 Cryptoletes ferrugineus가 56건(39%)으로 높은 검출율을 보였다. 또한 호남지역으로 수입 된 재식용 구근류는 생강 및 생강구근, 마늘구근이며 전국 수입 건수의 약 42%를 차지한다. 수입 된 생강 및 생강구근 91건 중 37건에서 해충(선충)을 발견하였고 Meloidogyne sp.(잠정규제해충) 검출로 9건이 폐기·반송되었다. 수입된 마늘구근 34건 중 29건에서 해충을 발견하였고 Carpophilus obsoletus(관리해충) 18건, Cryptoletes ferrugineus(잠정규제해충) 11건이 검출되어 소독하였다.
        38.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objectiv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examin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fractions with different isoelectric points from salmon enzymatic hydrolysates and obtain peptide fractions of sufficient amounts with higher antioxidant peptide fraction, which could be applied to the food and animal model systems. The salmon enzymatic hydrolysates were fractionated on the basis of the amphoteric nature of sample peptides by preparative isoelectric focusing without toxic solvents and reagents, which is termed autofocusing. Acidic and basic fractions showed higher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an the other fractions. The basic fractions showed higher hydroxyl (O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weak acidic and weak basic fractions showed higher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values than the acidic and basic fractions. The acidic fraction showed higher metal chelating activity than other fractions. The acidic fraction suppressed lipid oxidation in the cooked patties to a greater extent than other frac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eptides fractions from salmon enzymatic hydrolysate are effective antioxidant, and that autofocusing could be useful to increase antioxidant activity for application to food and animal model systems.
        39.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에서는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전국 29개의 지역에서 갈색날개매미충(Ricania spp.) 난괴를 채집하여 갈색날개매미충 알기생봉(Telenomus spp.)의 발생 분포 및 생태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강원도를 제외한 내륙의 19 지역에서 갈색날개매미충의 난괴로부터 알기생봉이 출현하였다. 알기생봉에 기생된 구례지역 채집 난괴를 실내조건 (25 ± 1℃, 40~60% RH, 16L:8D)에서 관찰한 결과, 알기생봉의 평균발육기간(day)이 알 2.6, 유충 5.4, 번데기 15.0 였으며 알부터 성충 우화 전까지 20.0였다. 6월부터 8월까지 일주일 단위로 채집된 구례지역의 갈색날개매미충 미부화 월동 난괴에서 알기생봉은 7월부터 난발육을 시작하여 8월중순에 우화하였다. 우화한 알기생봉은 갈색날개매 미충 신성충의 알에 기생하여 20일 후 재발생 하였고 다시 산란하여 알 상태로 월동하였다. 실내조건에서 알기생봉은 점등 후 우화하기 시작하여 2-4시간 후에 가장 높은 우화율을 보였고 점차 감소하여 소등 이후에는 전혀 우화하지 않았다.
        40.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약제 처리에 따른 담배거세미나방(Spodoptera litura) 유충의 섭식 행동 및 반응을 조사하기 위해 1분 간격으로 잎면적을 자동 측정하였다. 담배거세미나방 유충의 섭식 행동은 섭식기와 비섭식기가 뚜렷하게 구분되었으며, 섭식기가 끝나면 비섭식기를 거쳐 탈피를 하고 다시 섭식기에 들어갔다. 1회 섭식 지속 시간은 약 15분으로 조사되었고, 영기 내 평균 섭식 회수는 약 27.5회로 섭식 지속 시간과 마찬가지로 영기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약제 처리는 피망 잎을 Buprofezin methoxyfenozyd과 BT (Bacillus thuringiensis) 500ppm 약액에 10초간 침지 처리하였다. Buprofezin methoxyfenozyd를 처리 하였을 경우 섭식 시간은 평균 8~9분으로 감소하였고, 치사 전까지 섭식량은 각각 176mg으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BT제를 처리 시에는 담배거세미나방 유충은 치사하지 않았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