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8

        64.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or effective human-robot interaction, robots ne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context well, but also the robots need to transfer its understanding to the human participant in efficient way. The most convenient way to deliver robot’s understanding to the human participant is that the robot expresses its understanding using voice and natural language. Recently, the artificial intelligence for video understanding and natural language process has been developed very rapidly especially based on deep learning. Thus, this paper proposes robot vision to audio description method using deep learning. The applied deep learning model is a pipeline of two deep learning models for generating natural language sentence from robot vision and generating voice from the generated natural language sentence. Also, we conduct the real robot experiment to show the effectiveness of our method in human-robot interaction.
        65.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investigates regime shifts in the wintertime Siberian High central intensity for the period from 1950 to 2017. One regime shift was found from a test for multiple regime shifts. A Markov switching model analysis identified the period of 1950-1987 as a strong intensity regime, 1988-2017 as a weak intensity regime, and 1987-1988 as the changepoint. We also found a regime shift in the wintertime temperature in Asia, which is consistent with that in the intensity of the anticyclone. The periods of 1950- 1986 and 1988-2017 are a low and high temperature regime, respectively, and the changepoint is 1986-1988.
        66.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식민시대 또는 전쟁점령 등에 의해 영토를 침탈(점령)한 국가들이 영유권 주장을 포기함으로써 침탈당한 국가에게 원래의 영토주권을 되돌려 준 사례들을 발굴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독도 관련하여 억지 주장을 해 온 일본의 영유권 주장 포기를 유도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담론을 주도하는 한편 일본의 억지 영유권 주장 포기를 유도할 수 있는 요인들을 도출해 보고자 하였다. 침탈한 국가들이 침탈한 영토를 되돌려 주거나 아니면 억지 영유권 주장을 포기할 경우 어떤 계기로 어떤 요인이 작용되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독도의 경우처럼 억지 영유권 주장을 해 온 일본과 같은 침탈국의 억지 영유권 주장 포기를 유도해 낼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해 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아시아, 중남미, 유럽, 구미 등 전 세계 거의 모든 지역의 유사 사례들의 조사를 통해 20개의 영토갈등 사례들을 추출하였으며, 영유권 주장의 포기 및 침탈한 영토를 되돌려 준 요인 내지 배경을 경제적 요인, 정치적 요인 및 외교안보적 요인 등으로 구분하여 분석해 보았다. 분석결과 많은 사례들이 외교안보적 요인들이 적지 않게 작용한 것으로 보이며, 특별히 미국-쿠바 간 후벤투드 도서영유권 사례 등 침탈한 국가의 국가적 결단에 의해 침탈한 영토를 되돌려 준 사례들도 일부 도출됨으로써 일본 등 억지 영유권 주장을 하는 침탈국가들을 대상으로 국제사회에 주는 시사점도 제시되었다.
        67.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examined the regime shifts i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Daegu and Jeju for the month of August using a Markov regime switching model. Using the long-term time series of averaged monthly temperature in August for 1923- 2015, we found the two regimes in the temperature difference with the regime shift taking place in 1952. The first regime, which spans the period from 1923 to 1951, is identified as Daegu, on average, being 0.2°C hotter than Jeju. The second regime, which starts in 1952 and persists until 2015, is characterized as the average temperature of Jeju being 0.4°C higher than that of Daegu. Th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a regime shift in the temperature of Jeju itself from a low temperature regime to a high temperature regime.
        68.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한일 간 독도이슈의 시기별 및 이슈별 전개과정을 국제정치·안보적 측면에서 분석을 시도해 봄으로써, 향후 계속되는 일본의 독도영유권 도발에 효율적으로 대처함은 물론 궁극적으로는 한일 간 미래지향적 발전을 위한 양국 간 갈등 해결의 계기가 과연 가능 한지를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한일간 독도 이슈의 연도별 추이를 종합적으로 보면, 1950년대 초반에 독도 이슈 발생 건수가 처음으로 급증했다가 이후 40여 년의 비교적 소강 상태를 거쳐 1990년대 중반부터 한일간 독도 관련 이슈가 다시 급증되면서 그 이후로는 독도 이슈 건수가 계속해서 상승기 류 추세로 나타난다. 특히 2010년 이래로 일본의 독도영유권 도발은 국제 홍보전의 양상으 로 나타나고 있어 이에 대한 대비가 요구되는 상황이다. 1990년 이래 한국 언론매체의 독도 기사를 대상으로 빅데이터(빅카인즈) 트렌드분석 결과에 따르면, 독도 기사가 가장 많이 나타난 세 시기는 2012년 8월의 ‘이명박 대통령 독도 방문’, 2008년 7월의 ‘일본 문부과학성 학습지도요령 해설서의 독도 명기 강행’, 그리고 2005년 3월의 ‘일본 시마네 현의 다케시마의 날 조례 제정’ 등으로 파악되었다. 시기별로는 1950년대의 평화선 선포, 1960년대의 한일협정, 1970년대의 한일대륙붕 협정(제7광구), 1980년대의 유엔해양법협약 체결, 1990년대의 유엔해양법협약 발효와 200해리 배타적경제수역(EEZ)의 독도 기점 여부, 2000년대 일본 시마네현의 다케시마의 날 조례 제정 및 2010년대의 국제홍보전 본격화 등이 한일 간 독도 이슈의 추이에 미치는 역학관계를 분석해 보았다. 한편 본고에서는 이슈별 개관을 통해 연례적으로 반복 되풀이되 는 일본 방위백서, 일본 외교청서, 일본 교과서 등의 독도 기술 추이를 비교해 보면서 도발 의 수위가 계속 증가되어 왔음을 도출하였다. 특히 일본 방위백서의 독도 기술 추이를 국제 정치적 및 안보적 측면에서 미일방위협력지침 개정과의 시기적 연관성 여부를 분석해 보았 다.
        69.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놀이와 웃음활동을 인성교육과 접목하여 프로그램을 구안하고자 초등학교 5, 6학 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놀이(규칙놀이 영역, 전통놀이 영역, 보드게임 영역), 웃음활동, 디지털 게임의 실태와 선호도를 설문조사하였다. 학생들의 선호도는 보드게임 영역에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디지털 게임, 규칙놀이 영역, 전통놀이 영역, 웃음활동 순으로 나타났다. 규칙놀이 영역에서는 그룹놀이를 가장 선호했고, 전통놀이 영역에서는 윷놀이를 가장 선호하였다. 보드게 임 영역에서는 7세 이상 대상 2연령의 보드게임을 가장 선호하였고, 디지털 게임은 모바일 게 임을 가장 선호하였다. 따라서 초등학생들에게 양질의 놀이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에는 학 생들의 놀이 실태를 잘 파악하고 성별에 따라 선호도가 다름을 이해하는 등 놀이의 특성을 고 려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70.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대한제국 칙령 제41호 ‘석도=독도’설의 입증을 시도해 온 기존의 연구 성과들에 추가하여, 한국어는 물론 한국의 방언과 한국말의 한자표기 방식에 관한 지식이 전혀 없거나 익숙치 못한 국제사회의 외국인들에게 ‘석도=독도’임을 보다 쉽게 납득시킬 수 있는 접근방식으로서 이 주제와 관련해서는 국내 처음으로 사회언어학 이론들의 적용을 시도해 보았다. 구체적으로 당시 전라도 또는 경상도, 강원도 출신 울릉도 입도자들의 방언이 오늘 날 독도 명칭에 미친 과정과 관련해서는 사회언어학 분야의 “지역인구 변동과 지역어 변화의 상관성” 이론인 ‘도시 건너뛰기(city-hopping) 이론’을 적용해 보았다. 한편 시기적으로 비슷한 시점에서 ‘석도’ 명칭과 ‘독도’ 명칭이 혼재된 것처럼 보이는 부분에 대해서는 사회 언어학 분야의 “세대교체와 지역어 변화의 상관성” 관련 이론을 적용해 볼 수 있었다. 대한제국 칙령 제41호의 ‘석도(石島)’가 오늘날의 ‘독도(獨島)’임을 사회언어학적 관점에서 규명해 보는 것은 사회언어학 분야의 학술적 기여 뿐만 아니라 한국의 독도영유권 논리강화라는 정책적 기여 측면에서도 매우 의의가 있는 작업일 것이다. 특히 한국의 지역 방언과 음차, 훈차 방식 표기 등에 익숙하지 못한 국제사회의 외국인들을 이해시키고 납득시키는 데 특히 효과적이라는 점에서 독도영유권의 국제적 바른 인식 제고에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
        71.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oybean is one of the important food crop around the world. Especially in East Asia, it is the main ingredient for traditional food like soy sauce and soy paste. The double cropping system including soybean following onion, Chinese cabbage, and potato is widely adopted in Southern region of Korea. In this system, sowing date of second crop (soybean) can be delayed depending on first crops’ growth period and weather condition. When planting date is delayed it is known that soybean yield is declined because of shorter vegetative growth period and earlier flowering induced by warm temperature and changes in photoperio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soybean growth and yield responses as plant populations at late planting date.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at Department of Functional Crop,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located in Miryang, Gyeongsangnam-Do for two years (‘13-’14) in upland field with mid-late maturity cultivar Daewon. A split-plot block design was used with three replications. Main plots were three sowing dates from June 20 to July 20 with 15 days intervals, and subplots were 4 levels of planting densities. Data of maturity (R8) was recorded, yield components and yield were examined after harvesting. Experimental data were analyzed by using PROC GLM, and DMRT were used for mean comparison. Optimum planting population for maximizing soybean yield in late planting which compared with standard population. In mid-June planting, higher planting density causes increased plant height and decreased diameter which lead to higher risk of lodging, however, reduced growth period due to late planting alleviated this problem. Therefore higher seeding rates can provide protection against low seedling emergence caused by late planting in this region.
        72.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강낭콩(Phaseolus vulgaris, PV)의 종피 색에 따른 항산화 활성 차이를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유전자원 에 따른 16가지의 강낭콩을 적색 3종, 황색 1종, 적색얼룩무늬 3종, 흰색 얼룩무늬 1종, 회갈색얼룩무늬 2종, 흰색 2종, 회갈색 2종, 흑색2종으로 총 8가지 색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16가지 강낭콩을 콩 전체, 콩 종피 그리고 종피을 제외한 콩으로 분리하여 각각 80% 메탄올에 48시간 추출하였다. 추출 후 원액을 필터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강낭콩에서 종피가 차지하는 비율은 6.93 ~ 10.20%이었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은 종피에서 7.05~180.33mg GAE/mL, 콩 전체에서 17.96 ~ 61.23mg GAE/mL, 그리고 콩 알맹이 16.58 ~ 22.24mg GAE/mL이었다. 종피 추출물에서 PV-151(적색얼룩무늬)이 180.33mg/mL로 가장 높은 폴리페놀 함량을 보였고, PV-132(회갈색)에 서 164.67mg/mL, PV-78(회갈색얼룩무늬)에서 158.36mg/mL, PV-133(회갈색얼룩무늬)에서 158.19mg/mL, PV-126(적색)에서 147.93mg/mL, PV-343(흑색)에서 121.49mg/mL으로 나타났다. 흰색 강낭콩은 폴리페놀 함량이 미비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종피 추출물 2.5배 희석 하였을 때, PV-151(적색얼룩무늬), PV-343(흑색), PV-78(회갈색얼룩무늬), PV-132(회갈색)에서 90%이상 소거능을 보였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감소하는 것 을 확인하였다. ABTS 라디칼 소거능은 종피 추출물을 10배 희석 하였을 때, PV-78(회갈색얼룩무늬)가 88.16%, PV-132(회갈색)가 81.29%, PV-151(적색얼룩무늬)가 95.26%, PV-343(흑색)이 80.11%의 소거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색이 다른 강낭콩 종피마다 가지고 있는 폴리페놀 함량이 다르며 각각 다른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적색얼룩무늬, 회갈색얼룩무늬, 회갈색 그리고 흑색처럼 강낭콩 종피의 색이 진할수록 총 폴리페놀 함량과 더불 어 항산화 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73.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강낭콩(Phaseolus vulgaris, PV)의 종피색에 따른 항산화 활성 차이를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유전자원 에 따른 16가지의 강낭콩을 적색 3종, 황색 1종, 적색얼룩무늬 3종, 흰색 얼룩무늬 1종, 회갈색얼룩무늬 2종, 흰색 2종, 회갈색 2종, 흑색2종으로 총 8가지 색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16가지 강낭콩을 콩 전체, 콩 종피 그리고 종피을 제외한 콩으로 분리하여 각각 80% 메탄올에 48시간 추출하였다. 추출 후 원액을 필터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강낭콩에서 종피가 차지하는 비율은 6.93~10.20%이었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은 종피에서 7.05~180.33mg GAE/mL, 콩 전체에서 17.96~61.23mg GAE/mL, 그리고 콩 알맹이 16.58~22.24mg GAE/mL이었 다. 종피 추출물에서 PV-151(적색얼룩무늬)이 180.33mg/mL로 가장 높은 폴리페놀 함량을 보였고, PV-132(회갈 색)에서 164.67mg/mL, PV-78(회갈색얼룩무늬)에서 158.36mg/mL, PV-133(회갈색얼룩무늬)에서 158.19mg/mL, PV-126(적색)에서 147.93mg/mL, PV-343(흑색)에서 121.49mg/mL으로 나타났다. 흰색 강낭콩은 폴리페놀 함량이 미비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종피 추출물 2.5배 희석 하였을 때, PV-151(적색얼룩무늬), PV-343(흑색), PV-78(회갈색얼룩무늬), PV-132(회갈색)에서 90%이상 소거능을 보였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감소하는 것 을 확인하였다. ABTS 라디칼 소거능은 종피 추출물을 10배 희석 하였을 때, PV-78(회갈색얼룩무늬)가 88.16%, PV-132(회갈색)가 81.29%, PV-151(적색얼룩무늬)가 95.26%, PV-343(흑색)이 80.11%의 소거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색이 다른 강낭콩 종피마다 가지고 있는 폴리페놀 함량이 다르며 각각 다른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적색얼룩무늬, 회갈색얼룩무늬, 회갈색 그리고 흑색처럼 강낭콩 종피의 색이 진할수록 총 폴리페놀 함량과 더불 어 항산화 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74.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남부지방에서 강낭콩의 2기작 재배를 위한 파종기별 생육과 수량성 및 종실의 외관 품질 등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시험재료로 ‘선강’ 품종, 파종기는 9시기로 4월 2일부터 8월 27일까지 흑색유공비닐 피복하 여 재식거리는 55 x 15cm, 1주 2본으로 파종하였다. 파종기별 개화소요일수는 평균 38일이고 33일(8월 6일 파종)에 서 51일(4월 2일 파종) 범위였다. 성숙일수는 평균 45일이고, 39일(4월 2일 파종)에서 59일(6월 25일 파종) 범위였 다. 생육일수는 평균 83일이고, 71일(6월 4일 파종)에서 93일(6월 25일 파종) 범위였다. 8월 27일 파종시 11월 12일 서리로 인하여 생육이 중단되었다. 파종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경장, 분지수, 마디수, 협수가 함께 감소하다 다시 증가 하였다. 풋콩의 100립중은 평균 85.0g이고 50.5g(6월 4일 파종)에서 99.5g(4월 2일 파종) 범위였다. 춘계파종시 풋협과 종실 수량은 4월 2일 파종에 비하여 6월 4일까지 감소하였다. 추계파종시 8월 16일 파종한 시험구만 수확이 가능하였다. 6월 4일 파종은 8월 초 성숙기의 장마로 인하여 병해립이 많이 발생하여 종실의 외관 품질이 크게 저하 되었다.
        75.
        2014.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 조성물 내에 함유된 야관문 추출물의 자외선 조사에 의한 피부 광노화를 억제 및 개선할 수 있는 효능을 조사하였다. 야관문 추출물 내 총 폴리페놀 함량은 134.98±1.70 mg/g,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6.20±0.05 mg/g 으로 정량되었다. 야관문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전자공여능 및 자유라디칼 소거능에 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동일 농도조건에서 전자공여능 보다 자유라디칼 소거능에 의한 항산화력이 더욱 높았다. 피부 홍반도는 대조군(CO)에 비하여 야관문 추출물이 함유된 시료를 도포한 시험군(AS)에서 28%의 홍반도 감소 효과를 보였으며, 피부 수분함량은 AS군에서 CO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피부주형의 형태학적 관찰을 통해 AS군에서 피부의 주름 면적과 깊이가 현저하게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으며, 조직염색을 통해 AS군에서 자외선 조사에 의해 손상된 피부조직이 정상적인 피부구성 조직과 유사하게 재생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피부조직 내 유해산소 해독계 효소들인 SOD, GST와 CAT 활성은 CO군과 비교해 AS군에서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으며, 유해산소 생성계 효소 XO와 지질과산화물 함량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자외선 노출에 의해 발현이 유도되는 PAK, p38, c-Fos, c-Jun, TNF-α, MMP-3 유전자들은 CO군 대비 AS군에서 그 발현이 유의하게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야관문 추출물은 항산화능을 나타내는 생리활성물질의 작용을 통해 피부 광노화에 의한 피부손상과 주름형성을 개선하는데 분자적 수준에서 형태학적 수준까지 효능을 나타내어 피부 광노화억제 및 개선 제품으로 활용이 가능 할 것으로 기대된다.
        76.
        2013.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topic dermatitis (AD) is a common chronic inflammatory disease associated with a cutaneous hypersensitivity reaction to an allergen. Although the incidence of AD is increasing these days, therapeutics has yet to be developed for its treatment. The aim of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compare and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 between the Castanea crenata inner shell extract (CS) and the Castanea crenata inner shell extract fermented by Lactobacillus bifermentans (FCS) for an anti-atopic medication.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were similar to CS and FCS. In the DPPH and superoxide anion radical scavenging, the CS and FCS had the potential for antioxidant activities. Both of them did not exhibit cytotoxicity to HS68 cells. The evaluation of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in Raw264.7 cells demonstrated that the FCS has inhibited the LPS-induced production of nitric oxide as compared to the CS. The anti-atopic dermatitis test was done through the induction of DNCB in AD hairless mice. The FCS has inhibited the development of the atopic dermatitis-like skin lesion by transdermal water loss, melanin and erythema of the skin as compared to the CS. Moreover, the pro-inflammatory cytokine IL-1β and TNF-α production in hairless mice were inhibited by the FCS treatment. It indicates that the fermentation of the Castanea crenata inner shell has the potential for the treatment of atopic dermatitis.
        77.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숙성된 인삼은 인간의 건강을 회복시키고 향상시키는 강장제로서 알려져 있으며, 백삼보다 더 많은 약리적인 활성을 가진다고 알려져 왔다. 전이 가능한 종양, 림프구 증식과 쥐간의 지질과산화에 대한 숙성된 인삼의 효과도 연구되었다. 본 연구는 3가지 인삼 추출물의 항산화와 항노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실험하게 되었다. 시장에서 이미 만들어진 홍삼엑기스를 사용하였고, 그 외 수삼, 건삼을 구매하여 홍삼제조기로 만들어진 추출물로 실험에 사용하였다. 숙성된 인삼의 3가지 추출물들은 superoxide radical 소거 활성, hydroxyl radical 소거 활성, 리놀산 자동산화 억제, 섬유아세포에서 collagenase 억제와 collagen 합성의 효과를 연구했다. 숙성시켜 만든 수삼은 100 ug/mL의 농도에서 가장 높은 superoxide radical 소거 활성뿐만 아니라 vitamin C보다 더 높은 hydroxyl radical 소거 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리놀산 자동산화 억제, collagen 합성과 collagenase 억제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79.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에서는 천연 항산화소재와 미백소재 개발을 위하여 미강을 Bacillus subtilis에 접종하여 40 ℃에서 36 h 동안 발효한 미강추출(RFB)과 80 % ethanol을 이용한 미강추출물(RB)을 사용하여 연구하였다. 추출물의 free radical 소거활성, superoxide radical 소거활성,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은 농도 100 μL/mL에서 가장 큰 활성을 나타내었고 리놀산을 이용한 지질과산화 억제 활성 또한 농도 100 μL/mL에서 가장 큰 활성을 나타내었고, RB에 비하여 RFB의 더 높은 항산화 능을 확인하였다. Mushroom tyrosinase의 활성 저해효과는 100 μL/mL 농도에서 mushroom tyrosinase의 활성을 80 % 저해하였으며 이는 vitamin C에 비해 더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우리는 미강 발효추출물이 우수한 항산화와 미백 효능을 갖는 화장품 소재로서 개발 가능성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