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2

        61.
        200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at providing fundamental data to take health care plan in the aspect of Oriental medicine by evaluating the lifestyle and yangseng(養生) levels by job-type of industrial workers. General characteristics, lifestyle, and yangseng levels were investigated through self-administration questionnaire in the course of Oriental health examination for 1,190 male workers at a manufacturing company located in the Chungcheongnam-do region,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e total mean of yangseng levels was 96.73 and the evaluation mark was 3.12. The highest mark was shown in the morality yasngseng, while the lowest mark in the activity and rest yangseng. In general, the higher were age and income level, the higher were yangseng levels, and yangseng levels were found to be high in non-smokers and those who have regularly exercised. For yangseng levels by job-type, total yangseng levels were found to be high in office workers, engineer workers, and manufacturing workers in order. For detailed categories of job-type including diet yangseng, activity and rest yangseng, sleeping yangseng, seasonal yangseng, and sexual life yasngseng, yangseng levels were generally found to be high in office workers but low in manufacturing workers. In this study, difference in yangseng levels could be found by job-type of industrial workers, and lifestyle and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found to influence yangseng levels. Therefore it is deemed that close studies on health care by job-type are required for health promotion and care of industrial workers in the future.
        5,800원
        62.
        200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any possible changes in the heart rate variability(HRV) of white-collar workers of a manufacturing firm based in Chollabuk-do Province when they are stressed due to their daily job performance and thereby to help them seek a more effective method of the management of their health and help them form more desirable habits of living by finding out how seriously his or her stresses from his or her job performance affect their quality of life(QOL). As a process of the above-mentioned manufacturer's plan to do an Oriental health examination on its white-collar workers, each of the workers of the firm was given a copy of questionaires. The questionaires carried questions regarding each of the workers' general characteristics, clinical history, health-related lifestyle and the QOL and each of the workers was asked to provide his answers to the questions listed on the questionaire. The examination progressed to measure any possible changes in the HRV of an individual worker. Among all of the questionaires filled out and collected from the workers, a total of 423 data were used as the data of the research except those that had answers which were not appropriate for the purpose of the research. The analysis of each of the workers'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HRQOL) showed that the younger, the lower the standard of education is, each of the subjects was found to tend to show a relatively higher QOL if only he is healthy. With regard to the worker's habits of living, those who exercise on a regular basis and who get a good sleep were also found to have a comparatively higher QOL With reference to the HRV, young workers, those who have spouses, those with a high level of academic background, those with a short work experience were found to tend to have a relatively higher HRV. As regards each worker's habits of living, those who do exercise on a regular basis were found to have a comparatively higher index of HRV. RMSSD was found to have an impact on workers' general health, on the other hand TP was found to have an impact on workers' role of emotion. This result was based on findings through analyzing interrelation between HRV and QOL that stresses have an impact on the QOL. Taking a look at the above results, it was learned that individual worker's efforts to promote his or her health, along with establish desirable habits of living, these two qualities are important method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addition, control of stresses is necessary to improve the QOL, which is possible through emotional stabilization.
        5,800원
        63.
        2008.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the effect of slope length and angle at the entrance to fishing pots on the size of captured shrimp was examined to determine the optimal design of pots for use in Hokkaido, Japan.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optimize the design of shrimp pots to allow greater control over the size of captured individuals for the purposes of shrimp resource management. Tank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optimal slope length and slope angle by analyzing the sizes of shrimp entering 10 model pots with combinations of five different slope lengths on slope angle of current shrimp pot, and five different angles on slope length of current shrimp pot. The results showed that, as the slope length of the pot increased, the size of individuals which entered the pot increased. In addition, as the slope angle was elevated in each of the five different slope angle treatments, the size of individuals entering was also increased.
        4,000원
        64.
        2007.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ound net fishery is very important one in Korean coastal fishery and it need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t affected by many factors. It is considered that the structure and the shape of the pound net can be changed by the direction and speed of current, wave height, depth and conditions of sea bed. However, most of all, the speed of current and wave height influence more upon the pound net than any other factors to deform and flutter. In this study, author carried out the experiments with a model of double one-side pound net made by the similarity law as 1:100 scales at a real experimental area, and additionally the model net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the circulating water channel in Pukyong National University. The author analyzed the data of transformation of shape and tension of the model pound net to recogni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and wave acting on it. Regardless of the direction of flow affecting on the fish court net or bag net, the deformed angle and depth to the side panel and bottom of box nets becomes bigger as the wave gets higher and the period of wave is faster. The tension in both upward or downward tends to be changed by the speed of wave. Those value of changes occurred similarly in either fish court net or bag net. Generally, when bag net is located at upward of flow, the value of tension was bigger 10% than any other location or nets. Regardless of the setting direction, the tension of the pound net is increased in proportion to flow speed, wave height and period of wave, and it becomes bigger about 15-30% at upward to flow than downward. Where the flow is upward in the court net, the tension in the wave increased to 37% compared to the one in the flow only in the condition of flow of 0.1-0.3m/s. Where the flow is upward in the bag net, the tension in the wave increased to 52% in the flow of 0.1m/s, and the tension increased to 48% in the flow of 0.2-0.3m/s.
        4,800원
        65.
        2007.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ffer fundamental data for improving the fishing efficiency of the Danish seine. The net height and the shape in the water was measured to analyze the efficiency of the existing Danish seine. And then, an improved fishing gear was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s and was tested in the field. Measuring devices were attached on center of a ground rope and a head rope. The net height is the spread distance between the ground rope and the head rope, which was measured on the different ratio of buoyancy. The results are obtained as follows. The net height estimated from the design plan of horizontal hanging ratio 0.40 in the existing Danish seine A and B estimated both 4.94m. The net height of the existing Danish seine A and B was respectively 1.8m and 2.3m, which form 36.4% and 46.2% of the net height estimated from the design plan. Buoyancy was changed as 79.5% and 96.2% relative to the sinking force in the existing Danish seine. The net height of 79.5% was 3.95m which increased to 80% of the estimated net height. The other shows the same result with the first case. It is not necessarily that the high buoyancy/sinking force ratio make the high net height, 80% is adequate as the buoyancy/sinking force ratio. In case of the improved Danish seine, the mean net height was about 5.0m, means 58.3% of estimated net height 8.58m.
        4,600원
        66.
        2006.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aims at establishing the application of canvas kite to the fishing gear through the analysis of the lift/drag tests of the kites have been performed in our previous finding. Now that several methodologies were designed to find the most effective triangular model as a buoyancy device applied to the fishing gear. Comparisons of drag/lift were made by installing the model in an installation frame instead of the prototype. Also, we have considered the application of canvas kite to the prototypic fishing gear by calculation using the result of this test.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above approaches are summarized as follows, where attack angle, lift coefficient, maximum lift coefficient and drag coefficient are denoted as B, CL, CLmax and CD respectively. The camber showed a gradual increase with an increase of fluid velocity. There was a big discrepancy in B=20 unlike B=30. Even if the kite retreats along the fluid flow, there is little relationship with the velocity variation. Lifts calculated with the kites were bigger and drags were smaller than those of the calculations with the float only. The kite as the buoyancy device will be very useful when the appropriate applications and the stability are met.
        4,200원
        67.
        200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model experiment using circulation water channel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bottom trawl net which can be used in sea mount of North Pacific. Hydrodynamic resistance and shape variation according to the flow velocity and angle of hand rope transformation for net were measured, and experimental value was analyzed as the value of full-scale bottom trawl net. The results summarized are as follows; At the 30˚ of angle of hand rope to net, hydrodynamic resistance varied from 0.5kgf to 2.68kgf as the flow velocity increased between 0.31m/s and 0.92m/s, and formula of hydrodynamic resistance for the model net was Fm=3.04 · r1.53. At the fixed angle of hand rope, Net height was low and Net width was high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flow velocity, and in addition, vertical opening was low and Net width was high by the increase of angle of hand rope at the fixed flow velocity. At the 30˚ of angle of hand rope to net, net opening area was 0.214m2 as flow velocity was 0.61m/s, and formula of net opening area for the model net was Sm=-0.22r+0.35. At the 30˚ of angle of hand rope to net, catch efficiency seemed to be highest as 0.319m3/s of filtering volume at the 0.76m/s(51kt's) of flow velocity. Shape variation of net showed the gradual laminar transform for the variation of flow velocity but there needed some improvements due to the occurrence of shortening at the ahead of wing net.
        4,600원
        68.
        2006.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e a fishing technology for fisheries management for improving the survival rate of young fishes escaped from trawl net. Sea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urvival rate of the fishes in off Geomun island and Korean southern sea. Cover-net fish cage was designed and manufactured to collect fishes escaped from COD(codend) and TED(trawl escapement device). Fish cage was installed in a shallow site where scuba diver can observe the surviving fishes after separating the cage from trawl net. Most of fishes except horse mackerel(Trachurus japonicus) and mackerel(Scomber japonicus) could escaped through TED(bar space 35mm) easier than COD(mesh size 54mm). Especially, escapement rate of redlip croaker(Pseudosciaena polyactis) escaped from TED was the highest as 73.9%. Survival rate of horse mackerel(Trachurus japonicus) escaped from TED was 85.5% at the point of 96 hours over, while the survival rate for COD showed a rapid decrease according to the time elapse as 85.0% at the point of 24 hours, 76.4% for 48 hours, 62.7% for 72 hours and 56.1% for 96 hours. Over 90% of red seabream(Pagrus major) and rock bream(Oplegnathus fasciatus) escaped from TED were survived 96 hours over and the survival rate of those fishes were excellent compared with the other fish species. All korean pomfret(Pampus echinogaster) escaped from both COD and TED were died within 48 hours. Most of redlip croaker(Pseudosciaena polyactis) were also died within 12 hours because of the weak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by water pressure change. Survival rate of fishes like as horse mackerel(Trachurus japonicus) having hard skin was high while it was low for the fishes like as squid(Todarodes pacificus) and hair-tail(Trichiurus lepturus) having soft skin. We could know that there were big differences in the survival rate offish species escaped from trawl net.
        4,000원
        69.
        200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spring frame net trap for conger eel, Conger myriaster which prevents by-catch and protects immature fish. A series of comparative fishing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water off the south-east coast of Korea from Nov. 2004 to Jul. 2005. And analyzed the amount of catch, by-catch rate, and CPUE, etc. of experimental traps which were the spring frame net traps, sorted four types of flappers. And the compared gear was a plastic conger eel pot.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By-catch rates of spring frame net trap with the compressed flapper bound by nylon mono-filament was about 0-3%. CPUE of spring frame net trap with the compressed flapper was about 50-60% lower than that of traditional and plastic pot. And in case of conger eel that the total length is over 350mm, CPUE was little different on each type of flapper of every mesh size.
        4,000원
        70.
        200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investigate influence of moon light to the fishing of Pacific saury stick-held dip net fishery in the northwestern Pacific Ocean, casting number, catch and CPUE were analyzed between the full moon and the new moon phases. Based on analyses of data taken from 8 vessels during 1992~2002, casting numbers at the full moon phase and the new moon phase were 110.3 and 121.0 times, respectively, and the first was lower than the latter by 8.8%. Catches of the full moon phase were higher than the new moon phase by 12.5% and CPUE expressed in ton/day and ton/haul were also higher by 31.5%, 26.1% respectively.
        4,000원
        71.
        200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붕장어에 대한 스프링형 그물통발의 망목선택성 및 적정망목을 추정하기 위한 시험조업은 경남 거제시 능포 인근해역에서 2002년 9월25일~9월27일에 실시되었다. 시험어구는 현용어구인 15mm, 20mm 및 시험을 위해 제작한 25mm, 30mm 그리고 수산자원보호령에서 규정하고 있는 35mm와 대조어구로써 통수공 6.7mm의 플라스틱 통발을 각각 50개씩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망목선택성은 Kitahara(1968)와 Fujimori(1996)의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적정망목은 어체 동주와 체장과의 관계 그리고 망목선택성 Master Curve를 사용하여 추정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시험조업 결과 총어획미수는 835미로, 붕장어 537미(64.4%), 게류 225미(26.9%), 기타 73미(8.7%)였다. 2. 망목선택성 곡선의 Master Curve에서 최대 전장/망목(max. 1/m)의 값은 23.9로 추정되었다. 3. 붕장어 스프링 통발의 적정망목은 34.0mm로 추정되었다.
        4,000원
        72.
        200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현용 정치망에서 나타나는 급조시의 심한 망형상과, 그물의 파망 및 유실에 의한 조업부진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본의 근해어장용 양식 가두리시설에서 사용한 부가중량추의 이용방법을 도입하여 국내 정치망으로의 적용할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운동장이 흐름의 조상측인 경우, 부가중량추의 무게가 1.3~5.2gf으로 증가할 때 장력은 기준형보다 약 10~25% 증가하였다. 부착위치에 따라서는 A-type과 B-type은 기준형과 비슷하였고, C-type과 D-type은 기준형보다 약 10~15% 증가하였다. 2. 부가중량추의 무게가 1.3~5.2gf으로 증가할 때 운동장 섶장의 기울기 변화량은 약 0~70˚, 비탈그물의 섶장은 약 0~64˚, 조하측인 제 2원통의 섶장은 약 0~46˚까지였고, 유속이 0.0~0.6m/s로 증가할 때 제1원통고 제2원통 까래의 깊이는 정조시 보다 약 50% 감소하였다. 3. 부가중량추의 부착위치에 따른 운동장 섶장의 깊이는 A-type은 기준형보다 약 25%, B-type은 약 10% 감소하였고, C-type은 기준형과 비슷하고, D-type은 약 15% 증가하였다. 비탈그물의 까래의 깊이는 A-type이 가장 깊었고, 다음으로 B-type, C-type, D-type 순이었다. 제2원통 까래의 깊이는 4종류의 실험망이 기준형 보다 약 10~15% 증가하였다. 유속이 0.0~0.6m/s로 증가할 때 비탈그물의 섶장의 기울기 변화량은 약 0~63˚, 제2원통 섶장의 기울기 변화량은 약 0~44˚이었다. 4. 부가중량추의 적정 무게는 약 2.6~3.6gf이었고, 적정 부착위치는 부가중량추와 연결부분인 그물자락사이 연결줄의 길이가 약 300mm인 C-type과 연결줄 없이 직접 부착한 D-type이었다.
        4,000원
        73.
        200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실제 정치망 어장에서의 조류에 따른 어구 형상 변형을 추정하고, 그 변형을 최소화시키며 어구의 기본 기능을 유지시키는데 필요한 수중 현상과 어구 내부용적을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는 설계의 기본 자료를 얻기 위한 목적으로 회류 수조에서 모형실험을 실시하였으며, 흐름에 따른 대뜸의 멍줄에 작용하는 장력, 정치망 내의 유속변화와 그물형상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1. 유속이 0.0m/s에서 0.6m/s로 증가 할 때에 유속 (v)에 따른 장력(R)의 실험식은 운동장 조상의 경우 R=19.58v1.98(r2=0.98) 원통 조상인 경우, R=26.90v1.72(r2=0.95)이었다. 2. 유속변화는 흐름이 망내부를 통과함에 따라 감소하여 운동장이 조상인 경우, 제1원통내부에서 0.1m/s일 때 약 70%, 0.2m/s일 때 60%, 0.3m/s일 때 약 50%, 0.4~0.6m/s에서는 약 40%정도로 초기유속에 비해 감소하였다. 원통이 조상측일 경우, 제2원통을 통과한 흐름은 초기 유속의 약 30~60%로 급격히 감소하였고, 제1원통에서는 약 20~30% 비탈그물에서는 약 10~20%정도 감소하였고, 운동장내에서 다시 유속이 증가하였다. 3. 운동장이 흐름의 조상측인 경우, 운동장그물의 기울기 변화량은 0~70˚까지, 비탈그물은 0~63˚까지 변화하였고, 조하측인 제2원통은 0~47˚까지 변화하였다. 유속이 증가함에 따른 까래그물의 깊이 변화는 초기 깊이에 보다 제1원통과 제2원통이 약 0~45%정도, 비탈그물이 약 0~37% 정도로 감소하였다. 4. 원통이 흐름의 조상측인 경우, 제2원통의 기울기 변화량은 약 0~70˚까지, 비탈그물은 약 0~55˚까지, 조하측인 운동장은 0~50˚까지 였다. 까래그물의 깊이 변화는 초기 깊이와 비교해서 제1원통은 약 0~35%, 제2원통은 약 0~20%, 비탈그물은 약 0~35%까지 감소하였으며, 유속이 0.5m/s이상에서 비탈그물이 원통 입구까지 부상하여, 원통 입구를 90%이상 막았다. 5. 어구의 변형을 최소화하고 전개용적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입구 및 운동장 부분에서는 힘출의 저조시 수심 위치에 중량추를 부착하고, 운동장 바깥쪽과 제1원통의 섶장과 까래그물 제2원통의 바깥쪽, 비탈그물의 까래에 부가 중량추를 부착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4,600원
        74.
        200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선권현망어업의 어구 개량과 조업시스템 개선을 목적으로 자루그물을 A, B 2가지로 달리한 축소형 개량어구를 설계, 제작하여 현장조업선에 의한 해상실험을 실시하여 어구의 형상을 관찰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축소형 개량어구의 실제 전개율은 오비기에서 20% 정도로 가장 작았고, 뒤쪽으로 갈수로 커지며, 자루그물에서는 110% 정도로 가장 컸으며, B형이 A형에 비하여 5~10%정도 크게 나타났다. 자루그물 입구와 뒤끝의 망고 변화폭은 A형이 9.0~13.6, 9.3·10.4m이고, B형이 10.9~14.8, 5.8~8.0m로 나타나서 B형이 A형에 비하여 자루그물 입구는 1~2m 크고, 뒤끝은 2~3m 작았다. 2. 축소형 개량어구는 오비기의 수직방향 전개성능이 개선되어 수비에 이르기까지의 예망수층이 완만하게 형성되었으며, 예망수층의 변화폭이 기존어구에 비해 적게 나타났다. 나발 그물이 포켓형상을 개선시켜 그물코의 날림현상 감소와 수비에서 자루그물까지의 어구형상이 완만하게 이루어졌으며, 예망속도가 느린 경우에도 어구의 형상이 안정되었다. 3. 축소형 개량어구 B형은 자루그물의 변화폭이 적었고, 이중깔대기의 부착으로 인해 입망된 어군의 도피율이 감소하였다.
        4,500원
        75.
        200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종횡비, 다각형 모양에 따른 평판과 범포의 유체역학적 특성을 규명하고자 직사각형, 사다리꼴 모양으로 모형 평판과 범포를 제작하고 회류수조에서 양 · 항력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삼각형 평판의 경우, 종횡비가 1 이하인 모형에서는 38~42˚에서 최대 CL이 1.23~1.32, 1.5 이상인 모형에서는 20~50˚에서 CL이 약 0.85 전후였다. 역삼각형 평판의 경우, 종횡비가 1 이하인 모형에서는 영가가 36~38˚에서 최대 CL이 1.46~1.56, 1.5 이상인 모형에서는 22~26˚에서 1.05~1.21 정도였다. 같은 삼각형 평판 모형에서는 전자의 모형이 후자보다 CL이 작게, 양항비도 작게 나타났다. 2. 삼각형 범포의 경우, 종횡비가 1 이하인 모형에서는 영각 46~48˚에서 최대 CL이 1.67~1.77, 1.5 이상인 모형에서는 20~50˚에서 CL이 약 1.1 전후였다. 역삼각형 범포의 경우, 종횡비가 1 이하인 모형에서는 영각 28~32˚에서 최대 CL이 1.44~1.68, 1.5 이상인 모형에서는 18~24˚에서 10.3~1.18 정도였다. 같은 삼각형 범포 모형에서는 전자의 모형이 후자보다 CL은 크게, 양항비는 작게 나타났다. 3. 모형에서 물의 유체력을 많이 받을 수 있는 곳에서 만곡꼭지점이 만들어지며, 삼각형 모형에서는 종횡비가 클수록, 역삼각형 모형에서는 작을수록 만곡꼭지점의 위치도 컸다. 4. 만곡도는 전 모형에서 종횡비가 클수록 컸으며, 삼각형 모형에서는 영각이 클수록 컸고 역삼각형 모형에서는 작을수록 컸다.
        4,000원
        76.
        200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종횡비, 다각형 모양에 따른 평판과 범포의 유체역학적 특성을 규명하고자 직사각형, 사다리꼴 모양으로 모형 평판과 범포를 제작하고 회류수조에서 양 · 항력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직사각형 평판의 경우, 종횡비가 1 이하인 모형에서는 영각 40~42˚에서 최대 CL이 1.46~1.54, 1.5 이상인 모형에서는 20~22˚에서 10.7~1.11 정도였다. 직사각형 범포의 경우, 종횡비가 1 이하인 모형에서는 영각 32~40˚에서 최대 CL이 1.75~1.91, 1.5 이상인 모형에서는 18~22˚에서 1.248~1.40 정도였다. 같은 직사각형 모형에서는 범포가 평판보다 CL은 크게, 양항비는 작게 나타났다. 2. 사다리꼴 범포의 경우, 종횡비가 1.5 이하인 모형에서는 영각 34~44˚에서 최대 CL이 1.65~1.89, 2인 모형에서는 14~48˚에서 CL이 약 1.00 전후였다. 역사다리꼴 범포의 경우, 종횡비가 1.5 이하인 모형에서는 영각 24~36˚에서 최대 CL이 1.57~1.74, 2인 모형에서는 18˚에서 1.21이었다. 같은 사다리꼴 범포 모형에서는 전자의 모형이 후자보다 CL은 조금 크게, 양항비는 작게 나타났다. 3. 모형에서 물의 유체력을 많이 받을 수 있는 곳에서 만곡꼭지점이 만들어지며, 직사각형, 사다리꼴 모형에서는 종횡비가 클수록, 역사다리꼴 모형에서는 종횡비가 클수록, 역사다리꼴 모형에서는 작을수록 만곡꼭지점의 위치도 컸다. 4. 만곡도는 전 모형에서 종횡비가 클수록 컸으며, 직사각형, 사다리꼴 모형에서 영각의 클수록 컸고 직사각형 모형이 사다리꼴 모형보다 컸다.
        4,000원
        77.
        200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실제 정치망 어장에서의 조류변화에 따른 어구 변형을 추정하고, 그 변형을 최소화시키며 어구의 기본 기능을 유지시키는 데 필요한 수중형상과 어구 용적을 확보할 수 있는 설계의 기본 자료를 얻기 위해 회류 수조에서 모형실험을 실시하였으며, 흐름에 따른 사개줄의 장력과 그물형상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실험에서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속이 0.0m/s에서 0.6m/s로 변화할 때에 유속(x)에 따른 장력(y)의 실험식은 y=1814.1x+115.12 이었다. 2. 수중형상에 있어서 운동장이 흐름의 조상측인 경우에 운동장그물의 기울기는 0~79˚까지, 비탈 그물의 기울기는 0~56˚까지 변화하였고, 원통 까레 깊이 비는 제1원통 까래가 1.0~0.42까지, 제2원통 까래가 1.0~0.41까지 감소하였으며, 조하측인 원통그물의 기울기는 0~87˚까지 변화하였다. 3. 원통이 흐름의 조상측인 경우에 원통그물의 기울기는 0~60˚까지, 비탈그물의 기울기는 0~13˚까지 변화하였고, 원통 까래 깊이 비는 제1원통 까래가 1.0~0.27까지, 제2원통 까레가 1.0~0.15까지 감소하였으며, 유속이 0.3m/s일 때 비탈그물이 원통 입구까지 부상하고 0.5m/s일 때 원통 입구를 90% 이상 막았으며, 조하측인 운동장그물의 기울기는 0~58˚까지 변화하였다. 4. 각 부분의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입구 및 운동장 부분에서는 힘줄의 저조시 수심 위치에 중량추를 부착하고, 운동장 바깥쪽에 이동식 부가 중량추를 부착하며, 원통에서는 제1원통의 섶장과 까래그물의 연결부에 중량추 및 이동식 부가 중량추를 부착하고, 비탈그물에 중량추를 부착하며, 제2원통에 이동식 부가 중량추를 부착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4,200원
        78.
        200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북태평양에서 조업하는 우리나라 꽁치봉수망어업의 어획량과 시기별 어장 중심 및 어획적수온 등을 검토하고 조업시 소나 사용에 따른 어획 효과를 분석하였다. 조업 시기는 5~12월이었고 어획 비율과 CPUE 측면에서 볼 때, 한·일 어업협정 발효 이전인 1985~1998년의 주어기는 9~11월로, 발효 이후인 1999~2002년의 주어기는 8~10월로 추정되었다. 한·일 어업협정 이후 어장 중심은 일본 동쪽 연안 측으로부터 러시아 남쿠릴열도 동쪽인 43˚N 와 151˚E 부근으로 이동하였다. 꽁치의 어획적수온은 5월에는 12.5~14.4℃, 6월은 12.0~14.2℃, 7월은 11.4~13.9℃, 8월은 11.4~15.9℃, 9월은 12.9~16.9℃, 10월은 12.7~l7.3℃, 11월은 13.1~17.6℃ 그리고 12월에는 15.0~19.1℃이었다. 어획종은 총 13종으로서 목표종인 꽁치가 99.9% 어획되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조업일수는 소나를 보유한 조업선과 소나를 보유 하지 않은 조업선 사이에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투망횟수, 어획량 및 CPUE는 소나를 보유한 조업선이 각각 13%, 26%, 12% 높게 나타났다.
        4,000원
        79.
        200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새우조망 끝자루의 망목선택성을 조사하기 위한 시험조업은 여수 거문도 주변해역에서 2002년 10월 중에 끝자루의 망목을 28, 38, 51 그리고 61mm로 구성하여 덮그물 방식으로 각각 5 회씩, 총 20회 거문도 주변해역에서 실시하였다. 주 어획대상 어종인 수염대롱새우의 끝자루 망목별 어획률과 망목선택성 곡선 S=1/(1+exp-αCL+β))의 기울기 (a)와 절편 (b) 및 선택계수 그리고 표본망목선택성곡선 S=1/(1+exp(-α(CL/M)+β)))의 기울기(a)와 절편 (b) 및 적정망목을 추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시험조업 결과 어획미수는 끝자루 11,504마리, 덮그물 12,879마리로 총 24,374마리, 313.1kg이 어획되었고 종별구성은 새우류, 어류, 게류, 연체동물 순이었으며, 부수 어획물은 어류의 자치어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2. 끝자루 망목 28.0, 38.0, 51.0, 61.0 mm에 어획되는 대롱수염새우의 어획률은 각각 0.72, 0.63, 0.46, 0.29로 나타났다. 3. 끝자루 망목 28.0, 38.0, 51.0, 61.0 mm에 대한 선택성곡선의 a와 b 값은 0.53 -12.65, 0.35 -9.40, 0.28 -8.97과 0.24 -8.27이었고, 선택계수는 0.85, 0.71, 0.62, 0.55이었다. 4. 표본망목선택성곡선의 기울기(α)와 절편(β) 값 은 8.44, -5.49이었고, 대롱수염새우의 최소성숙갑각장 20.6 mm에 대한 적정망목은 30.7 mm, 상품(上品) 최소갑각장 25 mm에 대한 적장망목은 38.5 mm로 나타났다.
        4,000원
        80.
        200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꽁치봉수망 조업시 어선의 집어등에 의한 수중환경의 변화를 밝혀 광 환경이 꽁치의 어획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기초 단계로 수중 조도를 측정하여 꽁치가 분포하는 어획 수층의 광 환경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공기중에서 홍색 백열등과 할로겐등의 방사조도는 둘 다 1,052nm의 파장에서 최대치를 보인 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600nm이하의 파장에서는 할로겐등이 홍색 백열등에 비해 방사조도가 약간 높게 나타났다. 공기중 조도는 좌현 선미에서 가장 높았고 선수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조사해역에서의 집어등 불빛의 수중투과 특성은 50m 수층에서 각각 0.31x, 0.61x 이하로 나타났으며 일반적인 꽁치어장의 특성을 가진 어장에서 볼 때 , 꽁치가 집어되는 수층의 조도는 0.51x 이상인 것으로 보인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