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1

        62.
        201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euconostoc spp. are generally utilized as kimchi starters, because these strains are expected to have beneficial effects on kimchi fermentation, including improvement of sensory characteristics. Here, we developed a detection method for verifying the presence of the kimchi starter Leuconostoc mesenteroides WiKim33, which is used for control of kimchi fermentation. A primer set for 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was designed based on the nucleotide sequence of the plasmids in strain WiKim33, and their specificity was validated against 45 different strains of Leuconostoc spp. and 30 other strains. Furthermore, the starter strain consistently tested positive, regardless of the presence of other bacterial species in starter kimchi during the fermentation period. Our findings showed that application of a strain-specific primer set for strain WiKim33 presented a rapid, sensitive, and specific method for detection of this kimchi starter strain during natural kimchi fermentation.
        4,000원
        64.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조사지인 돌리네 습지보호지역은 경북 문경시 산북면 굴봉산 정상부에 위치하였으며, 물이 고이기 힘든 돌리네(doline) 지형에 형성된 희귀 습지이다. 뿐만 아니라 멸종위기종과 법적보호종이 분포하는 등 생물다양성 또한 매우 풍부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습지보호지역 주변으로 과수원 등 경작지가 형성되어 있어, 관리 및 보전을 위한 조사 및 대책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조사에서는 습지보호지역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하여 돌리네 습지의 곤충상을 조사하였다. 조사 방법에는 곤충의 다양한 습성과 서식환경을 고려하여, Searching, Sweeping, Pitfall trap, Bucket trap으로 총 4가지의 채집방법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총 11목 82과 188속 237종이 확인되었으며, 이중 딱정벌레목이 가장 많이 출현하였다. 특이사항으로 환경부지정종 51종(중복포함)이 조사되었으며, 그중 멸종위 기종 1종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돌리네 습지보호지역의 곤충상을 파악하고 관리 및 보전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65.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알락수염노린재(Dolycoris baccarum L.)는 구북구(Palearctic region)에 널리 분포하는 다식성 곤충으로서 국내에서는 콩, 단감, 유자 등 다양한 작물의 해충이다. 이 종은 다른 노린재과(Pentatomidae) 곤충과 마찬가지로 수컷이 집합페로몬 을 방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는 수컷의 집합페로몬 성분을 동정하기 위하여, 고상미량추출(SPME) 방법을 이용하여 수컷과 암컷 성충에서 방출되는 휘발성 물질을 포집하여 화학구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컷 특이적인 휘발물질로서 α-bisabolol, α-bergamotene, β-bisabolene을 동정하였고, 3가지 성분이 100:15:5 비율로 존재함을 밝혔다. 야외에서 알락수염노린재 수컷과 암컷 성충 모두가 주성분인 α-bisabolol을 처리한 트랩에 유인되었다. 나머지 2가지 성분(α-bergamotene과 β-bisabolene)의 경우, 그 자체로는 유인 효과가 없었으나 주성분인 α-bisabolol에 추가되면 보강효과가 발휘되었다. 곤충에서 α-bisabolol이 동정된 것은 이것이 처음이며, 이번에 밝혀진 알락수염노린재 집합페 로몬은 이 해충의 발생예찰과 친환경 방제에 유용할 것이다.
        66.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empathy in physical therapy students using a self-report measure of empathy. One hundred seventy students from three different major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physical therapy group consisted of 49 people, 24 men and 25 women. The psychotherapy group has 59 people, 17 males and 42 females. 62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ngineering group, with 18 males and 44 females. It was hypothesized that empathy would be higher in physical therapy students compared to those in engineering. Empathy Quotient (EQ) supported the research hypothesis, with students in physical theapy higher than students in engineering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Q between physical therapy and psychotherapy. There were also differences in empathy according to major and gender. Our research suggests that empathy needs to be promoted through education and training.
        4,000원
        67.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가기관과 기업은 정비사를 양성을 위한 고등학교부터 대학교, 기업 훈련센터 같은 교육기관을 만들어 숙련된 정비사로 훈련시키려고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하지만 교재를 이용한 이론교육과 현장에서 사용하지 않는 장비를 이용한 실습교육으로는 제대로 된 정비교육을 진행하지 못하며 특수 장비를 활용한 교육이나 위험한 상황을 가정한 정비의 교육은 매우 위험하여 영상이나 사진으로 교육을 진행하고 있었다. 최근에는 VR과 AR을 접목하여 단순정비에서 특수정비까지 시뮬레이션으로 안전하게 상황을 체험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적인 교육 시뮬레이션이 연구되고 개발되는 사례가 많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누리 VR과 DisTi Engine, Remote AR을 비교분석하고, 유니티 엔진 기반으로 외부에서 전달된 정보를 기반으로 콘텐츠를 디바이스 화면에 최적화하여 출력하는 AR API 를 소개하고, VR 디바이스인 HTC Vive의 컨트롤러와 HMD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파일에 저장하는 VR API를 구현한 사례를 소개했다. 본 연구에서 구현한 API를 사용하면 콘텐츠를 제작할 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68.
        2018.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erformance-based seismic evaluation is usually done by considering simplified models for the liquid storage tank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validate those simplified models before conducting such evalu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seismic response results of the FSI (fluid-structure interaction) model and the simplified models for the cylindrical liquid storage tanks and to verify the applicability of the simplified models for estimating failure probability. Seismic analyses were carried out for two types of storage tanks with different aspect ratios (H/D) of 0.45 and 0.86. FSI model represents detailed 3D fluid-structure interaction model and simplified models are modeled as cantilever mass-spring model, frame type mass-spring model and shell type mass-spring model, considering impulsive and convective components. Seismic analyses were performed with modal analysis followed by time history analysis. Analysis results from all the models were verified by comparing with the results calculated by the code and literature. The results from simplified models show good agreement with the ones from detailed FSI model and calculated results from code and literature, confirming that all three types of simplified models are very valid for conducting failure probability analysis of the cylindrical liquid storage tanks.
        4,000원
        73.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블루베리혹파리(Dasineura oxycoccana)는 우리나라에서 2010년에 처음 발견된 이래로 지금은 전국의 블루베리 재배지에서 발견되고 있는 외래해충이다. 이 해충의 생태 조사와 방제 연구를 위해 효과적인 유인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비록 캐나다 개체군으로부터 이 해충의 암컷 성페로몬이 이미 보고되었을지라도, 캐나다 연구자들은 이 물질의 질량 스펙트럼이 아닌 기체크로마토그래피의 머무름 시간 비교를 통해 성페로몬을 동정하고 야외 유인시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우리는 블루베리혹파리 유인제 개발의 첫 단계로서 이 종의 성페로몬을 암컷으로부터 분리하여 천연 물질의 질량 스펙트럼을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암컷 성충 21마리의 복부 추출물을 농축한 시료 속에서 이 종의 성페로몬으로 알려진 ‘2,14-diacetoxy heptadecane’을 성공적으로 분리하였다. 한편, 암컷 성페로몬의 부성분으로 추정할 수 있는 추가적인 유사물질은 발견되지 않았다
        74.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과수의 주요 해충인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을 친환경적으로 방제하기 위하여 성페로몬을 함유한 방출기를 이용한 교미교란 기술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방출소재가 다른 교미교란제 간 유효성분의 방출량과 방제효과에 대한 정보가 없어 효과적인 이용이 곤란한 실정이다. 우리는 튜브형과 파우치형 교미교란제의 야외 노출시기별 유효 성분(Z8-12:Ac)의 방출율을 조사하였고, 각 교미교란제의 방제효과를 트랩 유인저해율과 과실 방제효과의 비교를 통해 평가하였다. 튜브형의 연간 총 방출량은 파우치형 보다 5.7배 높았다. 튜브형은 약 4개월 후에 방출율이 급격히 감소하였던 반면, 파우치형은 처리 직후부터 방출율이 낮았고 그 비율이 6개월 동안 지속되었다. 튜브형을 처리한 과수원에서 트랩 유인저해율은 99.8%에 달하였고, 과실 방제효과는 85.3%였다. 파우치형의 경우, 트랩 유인저해율은 98.7%로 높았으나 방제효과는 64.7%에 불과하였다. 따라서 튜브형의 유효기간이 약 4개월이므로 과수 품종에 따라 교미교란제 설치시기를 조정해야 활용가치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75.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노린재류는 복숭아, 매실, 자두, 살구 등 핵과류 과실을 가해하는 해충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아직 핵과류 과원에서 과실을 가해하는 노린재 종에 대한 자세한 정보가 없어 효과적인 방제대책을 수립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우리는 2017년과 2018년에 핵과류 과실을 가해하는 노린재의 종류와 발생 밀도를 다양한 계절에 여러 지역에서 육안으로 조사하였다. 핵과류 6종(매실, 자두, 복숭아, 양앵두, 플럼코트, 살구)을 가해하는 노린재류는 총 4종으로써 썩덩나무노린재, 갈색날개노린재, 가시노린재, 알락수염노린재였다. 매실, 복숭아, 양앵두, 살구를 가해하는 우점 노린재는 썩덩나무노린재였던 반면, 자두에서는 갈색노린재의 밀도가 가장 높았다. 핵과류를 가해하는 노린재 중에서 썩덩나무노린재가 차지하는 비율은 64.2%였고, 갈색날개노린재는 23.7%를 차지하여 이 2종이 약 88%를 점유하였다. 따라서 핵과류에서 피해가 가장 큰 썩덩나무노린재의 체계적인 관리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77.
        2018.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media multitasking, impulse buy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wo competing perspectives exist to explain the relationship. The breadth-biased cognitive control perspective suggests that media multitasking influences impulse buying, which in turn influences affective well-being (i.e., depression or anxiety) and cognitive well-being (i.e., life satisfaction)(van der Schuur, Baumgartner, Sumter, & Valkenburg, 2015). The mood regulation perspective, instead, suggests that cognitive well-being (i.e., life satisfaction) influences media multitasking, which in turn influences impulse buying, and consequently affective well-being (i.e., depression or anxiety)(Seinauskiene, Mascinskiene, Petrike, & Rutelione, 2016). This study employed an online survey across three universities located in northern, central and southern Taiwan. A total of 662 valid responses were obtained. The results supported the breadth-biased cognitive control model.
        78.
        2018.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onthermal atmospheric plasma has been studied for its many biomedical effects, such as tooth bleaching, wound healing, and coagulation.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dentinal tubules occlusion were investigated using fluoride-carboxymethyl cellulose (F-CMC) gel, nano-sized hydroxyapatite (n-HA), and nonthermal atmospheric plasma. Human dentin specimens were divided to 5 groups (group C, HA, HAF, HAP, and HAFP). Group HA was treated with n-HA, group HAF was treated with n-HA after a F-CMC gel application, group HAP was treated with n-HA after a plasma treatment and group HAFP was treated with n-HA after a plasma and F-CMC gel treatment. The occlusion of dentinal tubules was investigated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and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EDS), which shows Ca/P ratio. In the EDS results, a higher Ca/P ratio was shown in the groups including n-HA than in the control group. The specimens of group HAP and HAFP had a higher Ca/P ratio in retentivity. In the SEM results,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mount of times applied.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F-CMC gel and n-HA treatment using nonthermal atmospheric plasma will be a new treatment method for decreasing hypersensitivity.
        4,000원
        79.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egradability and digestibility of crude protein (CP), rumen undegradable protein (RUP), and individual amino acids (AA) on six by-product feedstuffs (BPF) (rice bran, RB; wheat bran, WB; corn gluten feed, CGF; tofu residue, TR; spent mushroom substrate from Pleurotus ostreatus, SMSP; brewers grain, BG) as ruminants feed. Three Hanwoo steers (40 months old, 520 ± 20.20 kg of body weight) fitted with a permanent rumen cannula and T-shaped duodenal cannula were used to examine of the BPF using in situ nylon bag and mobile bag technique. The bran CGF (19.2%) and food-processing residue BG (19.7%) had the highest CP contents than other feeds. The RUP value of bran RB (39.7%) and food-processing residues SMSP (81.1%) were higher than other feeds. The intestinal digestion of CP was higher in bran RB (44.2%) and food-processing residues BG (40.5%) than other feeds. In addition, intestinal digestion of Met was higher in bran RB (55.7%) and food-processing residues BG (44.0%) than other feeds. Overall, these results suggest that RB and BG might be useful as main raw ingredients in feed for ruminants. Our results can be used as baseline data for ruminant ration formulation.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