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6

        81.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인의 전형적인 3가지 유형의 눈 모양 (표준 눈, 작고 외겹 눈, 올라간 눈)에 대해 명암을 변화시킨 5가지 스모키 메이크업 일러스트레이션의 이미지를 시각적 감성언어를 사용하여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눈의 형태와 스모키 메이크업의 돈 변화(아이 쉐도우의 명암 조절)에 따라 다양한 이미지들을 표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들 스모키 메이크업 일러스트레이션들의 이미지에 대한 메이크업 전공학생과 전문가 집단의 인식은 대부분 일치하였으나, 메이크업에 대한 테크닉 구사 능력과 식견의 차이뿐만 아니라 세대 차이 등으로 인해 몇몇 일러스트레이션들에 대해서는 뚜렷한 인식의 차이가 있었다. 스모키 메이크업 일러스트레이션 자극물을 통하여 느껴지는 다양한 감성언어를 눈 형태와 스모키 메이크업의 톤 변화에 따라 느끼는 감성반응을 정리한 메이크업 이미지 포지셔닝 맵을 제시하였다. 무 메이 크업, 소프트 스모키, 면적 스모키에 대한 두 집단의 연상이미지는 각각 부드럽고 따뜻한, 부드럽고 정적 도시적, 차갑고 심플한 것으로 동일하게 평가 되었다. 반면에 면적 스모키에 대한 연상이미지는 인공적인 것(전문가 집단)과 선명하고 돋보이는 것(전공학생 집단)으로 다르게 평가되었다. 어두운 톤(dark)의 면적 스모키는 두 집단 모두 대체적으로 역동적이라는 감성평가가 나왔다. 눈 모양에 따른 메이크업 포지셔닝 맵은 스모키 메이크업을 통해 표현하고자 하는 다양한 이미지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였다. 추후 다양한 눈 모양에 따른 이미지 포지셔닝 맵을 통하여 이미지 감성을 정량화 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다.
        4,000원
        82.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인간의 감성에 직접적인 영향과 자극을 주는 색상자극에 대한 생체반응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3가지 색상 자극(Bright Yellow Red (BYR), Deep Green Yellow (DGY), Vivid Blue (VB))에 대한 뇌파 생리선호(Electroencephalography, EEG)와 선호도와의 상관관계를 연구하였다. 뇌파 분석을 통해 얻은 생체신호는 일반적인 색상의 이미지와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색온도가 낮을수록 뇌가 활성화 되었고(BYR ≥ DGY 〉 VB), 좌뇌보다 우뇌가 더 큰 생체반응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주파수 별 뇌파값은 베타파≥세타파, 알파파〉 감마파의 순이었다. 색온도가 낮을수록 Beta파의 뇌파 power 증가(BYR ≥ DGY 〉 VB)하였고, 그러고 나머지 파(세타파, 베타파, 감마파)의 경우에는 색온도가 낮을수록 이들 주파수의 뇌파 power가 증가(BYR ≥ DGY 〉 VB)하였다. 색상별 선호도와 뇌의 활성화의 상관관계는 색상에 대한 선호도가 높을수록 특정 주파수대의 뇌파가 활성화되었다. 선호도에 따른 뇌파반응은 좌 우뇌간에 유사한 생리적 반응을 보였으나, 후두부 보다는, 전두부에서 뚜렷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선호도가 높은 색상자극을 통해 특정 주파수 영역의 뇌파를 활성화가 가능하며, 색을 이용하는 다양한 분야(뷰티산업, 인테리어, 색채치료, 의상 등)에 적용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4,000원
        85.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실천적 주제를 통해 점차 도시화되어가는 건축의 실험적 영역의 가능성을 타진해 본다. 대표적인 랜드스케이프 건축가인 제임스 코너의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실천적 주제와 크리스트퍼 지롯과 세바츠찬 바롯의 랜드스케이프 건축의 개념간의 매스릭스 분석을 통해 시간기반프로세스, 표면의 잠재적 영역성, 실천적 방법론 상상력의 주제들이 이미 어바니즘을 넘어 건축의 영역으로 충분히 들어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 전반적 랜드스케이프 개념의 트레이싱 그리고 건축적 랜드스케이프 개념간의 상호 관계를 드러내는 매트릭스 밀도를 통해 보다 세부적인 주제별 특성들과 전략들을 가늠해 볼 수 있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건축공간내 다양한 사건공간을 만들어 내는 현대건축의 주요한 공간특성을 구성하는 랜드스케이프의 전략은 외부공간으로 확대되어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으로 연속되어 건축도시공간은 거대한 사건의 장소로 강화된다.
        4,000원
        87.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비침습적 분변 샘플을 이용하여 기러기류의 유전분석이 가능한지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분변을 이용한 연구의 실험적 효율성을 높이는 방법이 요구되었다. 따라서 2007년 한국에서 월동하는 겨울 기러기류의 분변을 서로 다른 두 집단에서 채집하였고, 최종적으로 총 32개 분변 샘플이 분자유전학적 기법으로 분석되었다. 그 결과 총 14개의 haplotype이 나타났으며, 이는 쇠기러기 (Anser albifrons)와 큰기러기(An
        4,000원
        90.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oduction of insoluble glucan was affected by the concentration of ions and buffers in a mouth.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ions and buffers on the mRNA expression of gtfB and gtfC gene of Streptococcus mutans which is an important causative agent of dental caries were investigated by Fluorescent in situ hybridization(FISH). The mRNA of gtfB and gtfC gene was normally expressed in the BHI broth containing 1 % sucrose. The gtfB and gtfC mRNA expression was increased at 0.25 mM and 4 mM of CaCl2, respectively. While the mRNA expression of two genes was inhibited at each concentration of KCl and MgCl2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As for buffers, the gtfB and gtfC mRNA expression was lower than the control by the addition of sodium bicarbonate. The addition of sodium phosphate decreased the gtfB mRNA expression except for 100 mM in which the expression was increased, and the gtfC mRNA expression was similar to or lower than the control at each concentraion of sodium phosphate. The mRNA expression of the gtfB and gtfC was decreased at each concentration of potassium phosphate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4,000원
        91.
        200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중등 학교 과학 실험 수업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수업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등학교 과학 실험 수업을 세 범주로 분석하도록 개발된 분석 도구를 활용하였다. 이 분석 도구는 실험의 목적, 상호 작용, 탐구 과정 세 가지 영역에 20가지 평가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4명의 과학 교육 전문가로부터 0.89의 타당도가 확보되었다. 수업 분석을 위하여 21차시의 실험 수업이 녹화되고 전사되었다. 전사된 프로토콜과 동영상을 바탕으로 실험 수업을 분석한 결과, 중등 학교 실험 수업은 실험 목적 측면에서 선언적 지식의 습득과 과학에 대한 태도의 향상에 집중되어 있었다. 상호 작용 측면은 교사의 발문이 학생들의 발산적 사고를 유도하지 못하고 있고 학생들에 의한 주도적인 실험 기회가 주어지는 대신 교사의 직접적 지도에 의해 실험 수업이 진행되고 있으며, 학생들의 토의 과정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 등 상호 작용 I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탐구 과정은 학습 주제에 대한 현상 제시 및 문제 제기가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학생들의 가설 설정 활동이나 예상 활동도 대부분의 수업에서 관찰되지 않았으며, 실험 설계 부분은 활동지나 교사의 지시에 의해 주어지고 있었고, 학생들은 실험 결과 기록에만 집중되어 있어 탐구 과정 수준도 I 수준으로 나타났다.
        4,300원
        92.
        2005.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배양액의 종류에 따른 돼지 난자의 성숙 및 단위발생란의 배반포 형성율을 검토하였으며, 배양액의 삼투압과 발달 시기에 따른 배양액의 삼투압 변화가 돼지 단위발생란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실험 1에서 난포란을 NCSU-23 mWM 및 mKRB에 각각 성숙배양한 결과 성숙률은 62.1~71.3%로 배양액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실험 2에서는 각각의 배양액으로 성숙된 난자를 활성화 처리 후 동일한 배양액으로 6일간 배양하여 발달율을 검토한 결과, 배반포 발육율은 NCSU-23에 배양 시 22.9%로 타 그룹(0~0.6%)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실험 3에서는 단위발생란을 NaCl 안에 의해 256, 280 및 300 mOsmol(mOsm)로 조정한 NCSU-23에 6일간 배양한 결과, 배반포 발육율은 11.0~14.4%로 실험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삼투압이 낮을수록 난자의 fragment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P<0.05). 실험 4에서는 단위발생란을 삼투압이 조정된 세 종류의 NCSU-23에 48시간 배양한 후 삼투압이 높거나 낮은 NCSU-23으로 옮겨 4일간 추가 배양한 결과 배반포 형성율은 배양 48시간 후에 배양액의 삼투압을 낮춰 주었을 때(21.0%)가 높여 주었을 때 (11.8%) 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본 실험의 결과는 돼지 단위발생란의 발육이 배양액의 종류 및 삼투압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배양액의 삼투압은 돼지 단위발생란의 발육 단계별로 영향을 주어, 초기에는 높은 삼투압의 배양액에서 배양하고 일정 시간 후 낮은 삼투압의 배양액으로 배양함으로써 발육이 증진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4,000원
        93.
        199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urrent foodservice management practices at free meal service organization for elderly people and, to evaluate the attitude of recipients about the service and their ecological background. 6 meal service center as well as randomly selected 120 recipients at Sungnam area were surveyed and interviewed and result were summarized as follow. The cost of each meal (lunch) was ranged from 1,300 won to 1,500 won and number of attendant at meal service were ranged from 50 to 200 persons. Meal time for lunch begins from 10:30 am to noon because greater portion of people (elderly) didn't take breakfast frequently. Most of the center adapted self-service system. Standard recipe was not developed and meal preparation was controlled under the experiences of volunteer’s. Recording system of, nutrition management, production control, storage and inventory control was not well adapted by most of the center. In order to measure the level of storage, sanitation etc., scorin system in survey was adapted in this study and result are as follow: The score of sanitation of kitchen was lower than dinning area and that of food storage was lowest score. It was suggested that not only financial but also systematical support on management by local government may be necessary to meet the goal of supply nutritionally balanced food at the center. The score given by the recipient on the satisfaction of meal service was rate as 4.8 at the 5-point maximum scale. Meeting friends and share social relationship was major reason (41.6% of the total) of visiting to the center. It is suggested that in order to meet the changes of the patterns of change of social and family structure, the service of the center should be extended in urban area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systematic management models for the center.
        4,000원
        94.
        199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칼슘이 존재하고 있을 때 분리대두단백질의 유화 안정에 대한 인산(Na_2HPO_4)과 구연산염(sodium citrate)의 효과를 염농도와 첨가순서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인산과 구연산염을 첨가하였을 때 단백질 용액의 pH는 증가하였으나 용해도는 감소하였다. 칼슘(CaCl_2)을 첨가하였을 때 에멀젼의 유화 안정도는 크게 감소하였으며, 3mM 이상의 농도에서 유화 안정도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CaCl_2가 5mM 존재하고 있을 때 Na_2HPO_4를 첨가하면 20mM 농도까지는 유화안정도가 증가하나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유화 안정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Na_2HPO_4를 먼저 첨가한 후 CaCl_2를 가한 경우가 그 반대의 경우보다 전체적으로 더 높은 유화 안정도를 보였다. CaCl_2의 존재하에서 구연산염을 첨가한 경우에도 인산염과 거의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분리대두단백질의 용해도는 유화 안정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95.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종당화산물은 환원당과 단백질, 지질 또는 핵산 사이의 당화반응에 의해서 생성되는 물질로 이 물질은 피부 노화 과정에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 활성, 최종당화산물 생성 저해, 콜라겐과 최종당화산물의 교차결합 저해 및 억제, 엘라스타제 활성 저해 효능 시험을 통해서 비자나무 유박 추출물의 항노화 효과를 평가하였다. 시험 결과, 비자나무 유박 추출물은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고 있으며, DPPH와 ABTS 자유라디칼을 50% 소거할 수 있는 농도는 각각 16.4 μg (Dried materials, DM)/mL과 16.7 μg DM/mL 로 관찰되었다. 또한, 비자나무 유박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최종당화산물 생성과 엘라스타제 활성을 저해하였고, 콜라겐과 최종당화산물의 교차결합을 저해 및 억제하 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비자나무 유박 추출물은 항노화 효능이 있는 화장품 소재로서 활용 가치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96.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Kalopanacis Cortex (海桐皮) is listed in「The Korea Pharmacopoeia (KP)」as the original plant of Kalopanax septemlobus (Thunb.) Koidz. However, the dried cortex of Erythrina eariegata L (刺桐) is an adulterant, one of the most indiscriminately used herbal medicines because of its similar morphologic. Due to the morphological similarities of the dried cortex of this plant to those of K. septemlobus which is used as a substitute herbal for E. eariegata, distinguish these two species is extremely difficult. Meanwhile, K. septemlobus is a polymorphic species, it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showed great diversity due to the different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For this reason, it is conducted to develop molecular markers to distinguishing these K. septemlobus with E. eariegata by using conventional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Methods and Results : In this study, In order to clearly identify origin of K. septemlobus, E. eariegata was analyzed from four barcode regions of chloroplast DNA (psbA-trnH, rbcL, matK, atpH-atpF) and nuclear ribosomal DNA (ITS2) to evaluate the ability of discrimination for each barcode region. The present study aimed to analyze the percent of variable sites were provided the highest ITS2 (2.3%) followed by rbcL (8.2%), in oder to develop a species-specific primer that can distinguish K. septemlobus form E. eariegata. Conclusion : The INDEL marker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divergence of each sequence, and it is possible now to identify the two species of K. septemlobus with just a single performance of PCR. This will not only prevent misused of the plant, but also to maintain the quality of the herbal medicine as well as to verify and guarantee safety for public health.
        97.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In the KHP (the Korea Herbal Pharmacopoeia), the Cuscutae Semen (菟絲子) is defined as the seed of the Cuscuta chinensis Lamark (family: Convolvulaceae). Using authentic raw herbal materials is fundamental to herbal medicine quality and Cuscutae Semen is widely distributed in many asian countries. Due to having tiny bodies of seeds, it is extremely difficult to differentiate them from adulterants and closely related species by morphologic characteristics, leading to serious safety problems. For this reason, there was conducted to develop molecular markers to distinguishing these Cuscuta chinensis with Cuscuta japonica and Cuscuta pentagona by using conventional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Method and Results :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clearly and efficient method to identify Cuscutae Semen on the market. These samples (C. chinensis, C. japonica and C. pentagona) were analyzed from two barcode regions of chloroplast DNA (rbcL, psbA-trnH) and nuclear ribosomal DNA (ITS2). Based on genetic distance, the precent of variable sites were provided the highest psbA-trnH value (38.7%), followed by ITS2 (23.4%), rbcL (9.9%), in order to develop a specific primer that can distinguish C. chinensis, C. japonica and C. pentagona. Conclusion : From the above results, DNA barcoding was proved to be a successful tool for authentication the three species of Cuscutae semen. The adoption of DNA barcoding as an authentication tool by food safety agencies can safeguard the interests of both consumers and traders.
        98.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Curcumae Longae Rhizoma (薑黃) is listed in「The Korea Pharmacopoeia (K P)」as the original plant of Curcuma longa L (Zingiberaceae). Meanwhile, Zeodariae Rhizoma (莪朮) is listed in 「The Korea Pharmacopoeia (KP)」as the original plant of C. phaeocaulis, C. aromatica and C. Kwangsiensi (Zingiberaceae). Due to the morphological similarities of the dried roots of this plant to those of C. phaeocaulis, C. aromatica and C. Kwangsiensis which is used as a substitute herbal for C.longa, distinguish these four species is extremely difficult. Methods and Results : A total of 90 collected samples were used in this study, In order to clearly distinguish of Curcumae Longae Rhizoma and Zeodariae Rhizoma were analysis based on sequence of the chloroplast DNA (trnK, rbcL, trnL-F, atpB-rbcL) and nuclear ribosomal DNA (ITS2). The present study aimed to analyze the percent of variable sites were provided the highest trnK (2.3%), in oder to develop a species-specific primer that can distinguish C.longa form C. phaeocaulis, C. aromatica and C. Kwangsiensis. In addition, the complete chloroplast genome of C. longa were sequenced by a 454 sequencing platform, and the structure of the obtained chloroplast genome was also analyzed. the result used that INDEL (insertion/deletion) marker for distinguish C.longa form C. phaeocaulis, C. aromatica and C. Kwangsiensis. Conclusion : The INDEL marker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divergence of each sequence, and it is possible now to identify the four species of Curcumae Longae Rhizoma with just a single performance of PCR. This will not only prevent misused of the plant, but also to maintain the quality of the herbal medicine as well as to verify and guarantee safety for public health.
        99.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Chrysanthemi Indici Flos (甘菊) is listed in 「The Korea Herbal Pharmacopoeia (KHP)」as the original plant of Chrysanthemum indicum L. C. indicum wa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medicinal plants in Asteraceae, Dried flowers of this plant have been valid chemical composition such as flavonoids, phenylpropanoids, terpenoids, and polysaccharides, possessing broad spectrum antibacterial, antiviral, antihypertensive and anti-oxidation functions. Meanwhile, C. indicum was a polymorphic species, it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showed great diversity due to the different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For this reason, there was conducted to develop molecular markers to distinguishing these C. indicum with C. morifolium, C. zawadskii var. latilobum and Aster spathulifolius by using conventional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Methods and Results : In this study, In order to clearly identify origin of Chrysanthemi Indici Flos, these samples (C. indicum, C. morifolium, C. zawadskii var. latilobum and A. spathulifolius) were analyzed from five barcoding regions of chloroplast DNA (rbcL, matK, rpoB, atpF-atpH) and nuclear ribosomal DNA (ITS2) to evaluate the ability of discrimination for each barcoding region. Based on genetic distance, the percent of variable sites were provided the highest ITS2 value (56.9%), followed by atpF-atpH (48.18%), matK (27.2%), psbK (8.2%), and rbcL (2.9%). Comparative analysis based on the complete genome sequence of the petL-petG region INDEL (insertion/deletion) that the gene annotations were registered to the GenBank (accession number: JN-867592.1, NC-020092.1, MF-034027.1, NF-279514.1). Conclusion : From the above results, we may suggest that the petL-petG region INDEL analysis were conducted for molecular authentication of four plants (C. indicum, C. morifolium, C. zawadskii var. latilobum and A. spathulifolius). The findings of results indicated that petL-petG region might be established INDEL analysis systems and hence were proved to be an effective tools for molecular evaluation and comparison of “Chrysanthemi Indici Flos” with other plants.
        100.
        2018.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Bokbonja the Korean black raspberry (Rubus coreanus Miquel) fruit derived product, which is native to Korea. They contain potential anti-aging, anti-oxidants, depurative activities. Bokbonja refers to an immature berry of Rubus coreanus in the Korean pharmacopeia, Rubus chingii in Chinese pharmacopeia. Recently several Rubus species are available in the Korean drug markets which could easily find their way into drug prescriptions. Methods and Results : Hence we tried to detect the presence of these contaminating species in bokbonja products using SNP marker assisted by multi-plex PCR. We found a SNP region in the 26S region of these species and evaluated their potential to discriminate Rubus species. We designed a set of primer pairs such as, BokR primer has distinguished R.coreanus by producing a band at 852 bp and the primer sanF has differentiated R. crataegifolius by amplifying a band at 129 bp, while chiF has produced a band at 83 bp to distinguish R.chingii. These primer pairs effectively distinguished the bokbonja samples collected from various local markets as well as form drug store in Korea as well. The results were shocking as the bokbonja (R.coreanus) has a limited usage in Korea and either R. crataegifolius or R.chingii has been found in these samples. Taken together the primer pairs bokR, sanF, chiF along with 26S universal primers could effectively distinguish Rubus species in a single multiplex PCR reaction. Conclusion : Our results based on the 26S rDNA derived SNP region have shown that, the usage of R. coreanus is extremely limited and its often mistaken or adulterated with R. crataegifolius and R. chingii. It presses a panic situation in Korean peninsula to preserve bokbonja and the species R.coreanus which is endemic and superior in efficacy.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