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article aims to delineate the definitions of missionary member care and its needs to the Korean churches, suggest its biblical and theological foundations, factors of missionary member care and the Heartstream model, and a cooperative system of missionary member care. Member care can be defined as consistent and systematic supports of sending agencies, sending churches, local ministers to the all mission personnels who are missionary, MK, mission administrators and other participators for their wellbeing, development, and nurturing. Member care deals with the lifelong issues of mission personnels such as selection, training, ministry, reentry, retirement. It's ultimate goal is for the glory of God. The best practice of member care is possibly achieved when self care and mutual care of the member are well balanced to the accountable, systematic and strategic care of the mission organizations and sending churches. Though member care is sustained by well organized care system and programs, the biblical and theological foundations of member care is God's care and mutual love and care of the member. The urgent need for member care has been suggested by a serious issue of missionary attrition. Researches on missionary attrition(ReMap I and II) show the corelation between high rate of missionary attrition and poor member care.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Korean churches and mission agencies have emphasized on sending and visible outcome of mission work without an appropriate care of the mission personnels they sent. In this article the Heartstream’s communitycentered intensive care model(SPARE Yourself) is suggested for Korean mission personnels. It consists of 5 dimensions or streams of member care from an holistic perspective: spiritual care, physical care, actualization, relational care, and emotional care. In order to integrate these five dimensions, sustainable and wellfunctioned member care system building must be needed for an effective member care practice. The member care system can be built on the participation of sending churches, mission agencies, and professional member care centers. These factors of member care are applicable to different contexts or stages that missionaries would face in mission fields. First of all member care must be carried at its best for the purpose of prevention. The preventative care can be performed at best in prefield missionary training. Secondly member care through various methods of intervention focuses on solving the problems finding out those roots and causes. Thirdly crisis management or care is carried in very urgent cases such as kidnapping, death, life threatening physical illness or psychosomatic crisis. These three dimensions of member care can be applied in prefield, onfield, reentry, retirement setting to all mission personnels. The urgent need for member care needs to be keenly recognized by the Korean church and mission agencies. The mission of God begins from the God's heart and He cares for His people and church. This is core of member care.
본 연구는 사과 홍로 품종의 고품질 과실 생산을 위한 최적 토양환경 요인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토양환경조건들은 전국의 사과 주산지 충주, 문경, 영주, 안동, 예산, 영천 지역에서 각각 농가당 10농가를 대상으로 총 60농가에서 토양 및 과실특성을 조사하였다. 과중에 영향을 미치는 토양환경요인은 포화수리전도도가 33.3%로 가장 기여도가 높았고, 양이온이 24.6% 기여하였다. 용적밀도, 토성 및 고상역시 비교적 높았다. 토양물리성요인이 화학성 요인보다는 과중에 영향을 주었다. 과실의 당도에 미치는 토양환경요인들에서는 토성이 21.9%로 가장 높은 기여도를 나타냈다. 양이온치환용량(CEC)와 용적밀도의 기여도가 매우 낮았다. 과실의 착색은 인산함량이 20.4%로 매우 높은 기여도를 나타냈다. 반면에 포화수리전도도와 유기물함량은 낮았다. 토양물리성 보다는 화학성이 크게 기여하였다. 최종적으로 과중, 당도, 과실착색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과실품질에 대한 상대적 기여도에서는 작토층깊이 25.8%, 토성 22.2%, 토양산도 21.0%로 높았다. 고상 및 용적밀도는 낮았다. 사과 홍로 품종은 토양화학성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따라서 고품질의 과실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과원의 배수관리 및 시비관리가 중요하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과원의 토양관리 요인들을 계량화 하여 과학적 토양관리 기초 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고속도로 휴게시설 이용자측면에서 평가할 수 있는 서비스 평가모형을 개발하여 고속도로 노선별 휴게소를 평가하고 향후 모니터링 시 활용하고자 하였다. 평가지표 개발방향은 휴게소 이용자들의 필요성, 시대여건 반영, 종합 평가지표 구축, 관련연구 검토와 같이 크게 4가지 관점으로 정립한 후 기존문헌 검토 및 전문가 심층면접 토론(FGI)을 통해 1차 평가항목을 선정하고, 평가지표의 적합성 검증을 통해 최종평가지표를 도출하였다. 이용자 설문인 AHP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평가항목 중요도 분석결과는 시설물 측면(0.31), 서비스 측면(0.29), 운영적 측면(0.21), 환경적 측면(0.19)순으로 가중치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정량적, 정성적인 인자가 함께 고려되어 실질적인 고속도로 휴게소 평가가 가능하고, 휴게소별 맞춤형 휴게소 향상 방향 제시 및 향후 모니터링을 위한 기초연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concrete mixer truck which is in charge of raw materials in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of the concrete loading, transport, placement, is used 6m3, 7m3 class in domestic(Korea). But in the case of the international construction fields are utilized 9m3 or above class because of the large-scale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circumstances. In this paper, to develop a large 9m3 class mixer drum and the mixer drum in order to complement the technical and discharge that is responsible for stirring the blades by applying optimal design through implementation of the optimal shape of the concrete in the drum maintenance and placement of high-quality effects on increasing discharge such as advanced conventional drum mixer is to secure and differentiated technology. Large, heavy weight in development and uphold the drum mixer vehicle sub-frame is required to settle the design of the existing class mixer drum frames per 6m3 changed to account for changes in slope and length using CATIA V5 3D modeling work was performed.
지진하중으로 인해 교량상부구조 간에 발생하는 충돌은 교량상부구조의 낙교, 교각의 파괴와 같은 국부적인 손상뿐만 아니라 교량전체시스템의 붕괴를 유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충돌의 영향은 신축이음부의 재질, 형태 및 교대부의 여유간격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교량상부구조 간에 발생하는 충돌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충돌해석 이론 중 가장 널리 활용되고 있는 접합요소 접근법(Linear Spring Model, Kelvin-Voigt Model, Hertz Model)에 대해서 고찰 하고 이를 실험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탄성받침이 설치된 교량상부구조를 모형화한 콘크리트 교량모델에 대한 진동대 실험을 실시하였다. 기존의 충돌모델을 적용한 이론 해는 실험결과와 잘 부합되지 못하였으며, 이에 본 논문에서는 충돌강성에 적절한 적용계수 ?? 를 이용하여 충돌 후 거동을 잘 모사할 수 있는 충돌강성 수준을 산출하였다. 충돌발생시 적절한 강성 및 재료의 동적특성, 충돌면의 형상 등에 따라 발생하는 충돌력의 크기가 달라지므로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by using oleic acid and polypropylene glycol, good natured antifoaming agent for suitable electronics process under the alkaline conditions were synthesized. For the synthesized mono and diesters, acid value, hydroxyl value was measured, and identified by FT-IR and 1H-NMR spectroscopy. Surface properties such as surface tension,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cmc) for diluted aqueous solution was measured, and tested the antifoaming propertie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alkyl chain length, various concentration, temperature and pH. The surface tension of synthesized antifoaming agent, PPMO(Polypropylene glycol monooleate) was 24.3 dyne/cm, PPDO(Polypropylene glycol dioleate) was 23.7 dyne/cm. By increasing of the alkyl chain length, surface tension was decreased slightly, and showed good antifoaming properties at 0.06 wt% concentration and 50℃, pH 11. These synthesized compounds are expected to apply as a suitable antifoaming agents in the semiconductor and the PCB(Printed Circuit Board) manufacturing process.
We carried out basic study on the major odor substances from livestock waste treatment plant to design high efficiency offensive odor treatment facility. We choose Y and G-treatment plants and measured each samples from pre-treatment facility, water treatment facility, sludge treatment facility and offensive odor treatment facility. The odor was mainly produced from pre-treatment facility from above measurements. The concentration of hydrogen sulfide was very high as 1,200 ppm from impurity treatment facility. The concentration of hydrogen sulfide was detected as 100 ppm in waste water treatment facility(aeration facility and head) and 160∼252 ppm in sludgy treatment facility (retaining facility and scum tank). The offensive odor treatment facility was composed of washing tower using NaOCl as washing material and bio-filter. Efficiency of the offensive odor treatment facility on the hydrogen sulfide was 5∼33% and the efficiency on the ammonia was low except Y-treatment facility’s vortex mixer washing tower which is 98%. Reduction efficiency of hydrogen sulfide was increased from 14.7% to 96.3% by changing washing material, NaOH, at Y-treatment facility’s vortex mixer washing tower.
최근 구조물의 사용성이 설계시 중요한 항목으로 대두되면서 구조물의 안전성 뿐만 아니라, 구조물 내 거주자 및 고가의 장비에도 영향을 주는 기계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기계진동은 기초의 질량과 가진 질량의 비로 나타낼 수 있는 질량비에 의존하게 되는데, 이러한 질량비는 사용성 기준에서 제시한 구조물의 가속도 허용치 내에서 결정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진동 사용성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치적인 접근과 실제 구조물의 적용성을 검증하고, 대형 진동대 장비가 설치된 시설에 적용하여 실험한 해석적 연구를 바탕으로 인체진동특성에 대한 사용성을 평가함과 동시에 최적의 질량비를 확인하였다. 단자유도로 수치해석한 결과값은 실제 구조물을 유한요소 해석한 결과와 잘 부합하여 Spring-Damper Model로 이상화하는 것이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ISO 2631 기준에서 제시한 사용성 한계인 0.8 m/sec^2과 비교한 결과, 실제 구조물의 자중을 고려한 진동대와 콘크리트 기초의 최적 질량비는 0.013이하여야 함을 확인하였고, 예제 실험 시설은 진동실험에 대해 적정질량비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aims to deal with the background of emergence of the missional church, to analyse changing cultural context in Korea, to suggest indicators of the missional church, and to delineate the essence, leadership and ministry, and structure of the missional church. In conclusion, it simply evaluates the Korean church based on the practical discourse of the missional church and suggest a future outlook of the Korean church. The emergence of the missional church(or the missional ecclesiology) orginated from Lesslie Newbigin's mission work and his mission theology. It has been expanded to the movement, so-called “the Gospel and Our Culture conversation” in the early 1980s in England. The missional challenge Lesslie Newbigin faced was the missional response in between the gospel and western worldview. Influences of the movement has spread by American missiologists as it formed a “network” in the mid 1980s in north America. In the early 1990s north American churches had been loosing social credibility due to the influences of materialism and secularism. In this situation “Gospel and Our Culture Network” became spreading its influences on the church and society by producing books and articles which contained missional insights and analyses of the north American church and American culture. The church's reaction to changing cultural context can be shown in three modes: (1) relevancy; (2) resistance; and (3) adaptation. But these approaches distort the essence of the gospel and cannot properly cope with the rapidly changing context. So we need a new approach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s of these approaches. This must be a missional church that is grounded on the Bible and sensitively responds rapid culture change, and is created and led by the Holy Spirit. The missional church that firmly responds to a changing cultural context is a forming and reforming church as being called by the triune God and sent to the world. That is, the church must be both confessional and missional. The missional church reveals the triune God in the encounter between the gospel and culture. The very reason that the missional church exists in the world is not because of human purpose or hope, but the result of creating and redeeming work of God in the world. Therefore to participate in the mission of triune God(Missio Dei ) who calls the church, sends it to the world, and renews it in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is a long journey that A key of the formation of a missional community is missional leadership. The essence of the church, being the church, determines the ministry and structure of the church. The missional leadership is incarnational(servant leadership) and apostolic leadership. The holistic leadership that mobilizes believers to various ministries is closely related to the doctrine of priesthood of all believers and is a leadership form which equips believers to be ministers. The five leadership roles, apostle, prophet, evangelist, pastor, and teacher, which are shown in the book of Ephesian, are decisive factors determinating on the church's ministry. These concepts of Christian ministry claims a paradigm shift from clergy-centered hierarchical leadership to divine gift-centered lay leadership. In order to verify the fact that the church is missionary in essence, the church must rediscover the gospel. A church trying to restoring the gospel can find crucified and risen Jesus Christ, and firmly realizes the meaning of Christian discipleship in carrying out the great commission, and is empowered to live out the gospel in every sphere of its life.
본 논문은 벡터오차수정모형(VECM)을 사용하여 8개 나라의 각 산업별 지수의 수익률 사이에 정보전달 과정을 분석하였다. 공적분검정 결과 각 산업별 지수 간에 정상적인(stationary) 장기 균형관계가 존재함을 발견하였다. 분산분해(variance decomposition) 분석과 충격반응(impulse response) 분석 결과 국제주식시장은 산업단위에서 강한 상호작용을 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국제 시장가치비율(global market value ratio)이 높을수록 다른 나라의 주식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큼을 알 수 있다.
전라남도 보성의 북부산지를 대표하는 천봉산(608m)일대에 자생하는 관속식물들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을 파악하였다. 2005년 3월부터 2005년 10월까지 총 4차례 현지조사를 통해 밝혀진 소산식물은 104과 307속 446종 3아종 56변종 6품종의 511종류로 조사되었다. 이 중 한반도 특산식물은 총 12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산림청 지정 한국 희귀식물은 8종류가 조사되었다. 환경부 지정 특정 식물종은 V등급 2종류, IV등급 1종류, III등급 8종류, II등급 7종류, I등급에는 28종류 등 총 46종류가 분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귀화식물은 총 38분류군, 귀화율은 7.4%로 전남지역의 평균 귀화식물분포보다 높게 나타났다.
기업은 경쟁우위를 확보하고 지속적인 성장을 이끌기 위해 기술개발을 위한 R&D 투자 및 혁신활동에 집중해야 한다. 그러나, 기업의 이러한 활동은 언제나 성공하는 것이 아니며, 기술개발의 위험도가 높고 이익의 전용가능성이 낮거나 기업내부의 역량이나 자원이 부족할 경우, 기업의 혁신활동은 저해되기 쉽다. 이러한 상황에서 외부파트너와의 연구협력은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좋은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각 기업이 기술혁신을 위해 연구협력을 선택할 때 어떤 요인들이 연구 협력결정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에서 수행한 기술혁신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분석결과 기업의 규모가 클수록, 과거의 연구협력경험이 많을수록, 하이테크 기업에 속한 기업일수록 연구협력을 통해 제품혁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혁신실패의 위험성, 자금조달의 어려움, 조직내부의 역량부족, 외부환경요인 등과 같은 혁신활동저해요소들은 제품혁신활동 수행시 외부와의 연구협력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에 의한 맛의 연상과 관련된 선행 연구에 의하면 사람은 제한된 특정 색만을 맛과 연관지어 생각한다고 한다. 그리고 그 연관성은 음식물의 색에 대한 개인적인 경험의 종류와 정도에 의해 결정된다고 한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특정 맛을 연상시키는 특정 색이 있을 것이라 가정하고, 색과 맛의 연상에 관한 특성을 파악하기로 하였다. 보다 객관적이고 일반적인 연구를 위해 "우리말 색 이름 사전"과 "표준 국어 대사전"을 활용하여 일반인들이 흔히 접하고 사용하는 24개의 색과 24개의 미각 형용사를 추출하였다. 그리고 색과 맛에 민감하면서도 그 어휘를 모두 구사할 수 있는 2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각각의 24개의 색 샘플을 보여준 후, 각각의 24가지의 미각형용사가 얼마나 느껴지는지 7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그렇게 수집된 정보는 다차원 척도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색과 미각의 5가지 분명한 관계가 발견되었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해 미각을 연상시키는 색은 한정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또 한정된 색들도 한정된 미각만을 연상시킨다는 것뿐만 아니라 그것은 성별에 따라 다를 수 있음을 도출해낼 수 있다. 본 연구는 특정 색과 특정 미각의 연관성뿐 아니라 다른 특정 색들과의 관계도 나타내므로 효과적인 식품 패키지 디자인, 광고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내장산국립공원 백양사지구와 남창지구의 탐방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산쓰레기 관련 행태와 의식을 비교하였다. 미리 설정한 3개 연구가설에 의해 행락위주의 이용자와 등반위주의 이용자 그룹 간에 이용목적 등 행태의 차이와 ‘자연공원내 쓰레기통 철거’에 대한 호응도 그리고 ‘산쓰레기 처리 등 산행윤리 의식의 차이’를 검증하였다.백양사지구의 이용자특성상 연령과 거주지 및 재탐방율 등의 차별성이 드러났으며 탐방 주목적 역시 ‘자연경관감상’(백양사지구)과 ‘등산’(남창지구)으로 차별화된 결과를 보였다. 남창지구에서는 백양사지구와 달리 요구 탐방정보는 ‘쓰레기 처리정보’의필요성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으며 등반 위주의 탐방이 이루어지는 남창지구는 도시락 지참율이 높고, 행락 위주의 백양사지구탐방객 보다 긍정적 측면에서 산쓰레기 처리에 능동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공원 내 쓰레기통 철거’에 대한 인식도 분석결과 백양사지구 탐방객은 남창지구탐방객에 비해 부정적이었으나 인지도나 만족도 그리고 불만족 이유에 대해서는 2개지구 탐방객의 의식 차이는 발견되지 않아 산쓰레기 관련 쓰레기통 철거에 대한 인식은 산행목적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보인다. 이와 함께 ‘자연공원내 쓰레기통 철거 시책’ 관련 인지도는 50% 수준을 밑돌아 “쓰레기통 철거에 따른 지속적인홍보”가 요구된다.한편 백양사지구 탐방객에 비해 남창지구 탐방객의 산행윤리는 상대적으로 강한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는 행락위주의탐방객과 등반위주의 탐방객 차이에 따른 의식의 차이로 확인되었으며 남창지구의 등반위주 탐방객은 산행 중 발생한 ‘쓰레기처리’를 중요한 산행윤리(에티켓)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에서 행락위주의 탐방객과는 다른 차원의 산행 윤리의식을 보였다.
邵雍의 觀物 사상은 그가 우주만물과 인류역사를 연구하는 인식방식 이고, 또한 그의 시에서 중요한 창작 사유이다. 본고는 그가 철학과 시에서 언급한 관물 내용에 근거해서, 그의 관물사상을 以物觀物, 因靜照 物과 因閑觀時, 通物, 以物喜物과 以物悲物 네 가지 범주로 분류하였다. 이 네 가지 관물 방식을 통해 그의 산수자연시의 내용 특징 및 그의 시가에 나타나는 시적화자와 자연의 관계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물관물'은 인간의 주관의식으로 자연의 현상을 관찰하는 것이 아니라, 자연의 본성으로 자연현상을 관찰하는 인식방식이고, 산수자연현상을 관찰하는 기본인식태도로 그의 시가에 나타난다. '인정조물'과 '인한관시'는 만물 의 근원이 현현되는 조건으로서 그의 시가에 나타난다. '통물'은 인간의 본성과 만물의 본성이 서로 융합되는 인식태도로 그의 시가에 나타난 다. 소옹은 상술한 세 가지 관물방식으로 산수자연현상을 관찰하여 존재의 근원을 체득하고 心性의 근원을 발견하고, 人生自樂의 흥취를 발 견한다. 본고는 그의 관물사상이 현대사회에서 자주 보이는 인간과 자연의 모순 관계를 해결할 수 있고, 또한 자연에 대한 그의 관물사상의 인식방식이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상호 소통과 융합의 관계로 변화시킬 수 있다고 제기하고자 한다.
전라남도 해남군에 위치한 달마산 및 인근지역에 자생하는 관속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의 분포를 파악하였다. 2005년 3월부터 10월까지 총 4회 조사를 실시한 결과 달마산 일대의 관속식물은 112과 322속 473속 3아종 60변종 9품종의 총 545 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그 중 한반도 특산식물은 12분류군이었며,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이 4분류군이 분포하였다. 또한 환경부 지정 특정식물종으로는 IV등급 5분류군, III등급 17분류군 등 총 85분류군이 조사되었다. 한반도 미기록 식물로 '초록별꽃(신칭)'이 관찰되었고, 차꼬리고사리, 수수고사리, 금억새, 처진물봉선, 서울민바랭이 5분류군은 이번 연구를 통해 한반도 내 자생지가 새롭게 확인되었다. 본 조사지역의 귀화식물은 29분류군으로 전체분류군의 5.3%를 차지하여 전남지역의 평균 귀화식물분포 수와 비슷한 수치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