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9

        81.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conducted a year-long survey in 2000 to examine seasonal fluctuations in the abundance of the demersal copepod Pseudodiaptomus sp., the dominant copepod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where the spring tide strongly affects changes in salinity gradients.
        4,000원
        83.
        202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자기 조절적 요약(self-regulatory summarizing) 교육과 연습이 초급 수준의 L2 성인 학습 자들의 동기신념(motivation beliefs) 및 쓰기 수행 (writing performance)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연구하였다. 자기 조절 학습 (self-regulation learning), 학습 동기(motivation), 및 쓰기 수행의 상호 연관성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먼저, 학습자들의 동기신념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사전과 사후 MSLQ 설문지의 응답 결과를 분석한 결과, 참가한 학습자들의 동기신념이 전체적으로 보다 긍정적으로 변화하였음을 보여주고 있었다. 특히 내적성취목표성향 (intrinsic goal orientation)과 과업가치(Task value)에 대한 신념이 가장 의미 있게 변화하였고, 뒤를 이어, 학습조절신념(control of learning belief)과 학습과 수행에 대한 자기 효능감(self-efficacy for learning and performance)이 보다 긍정적으로 변화하였으며, 외적성취목표성향(extrinsic goal orientation)이 가장 작은 변화를 보인 한편, 시험불안(test anxiety)의 정도가 의미 있게 감소하였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자기 조절적 요약 연습 이후 쓰기 수행에 있어서는, 문장, T-unit, 및 절의 평균 길이가 가장 의미 있게 변화하였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러한 문장들은 보다 많은 중문 및 복문을 포함하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초급 수준의 L2 학습자들이 교수자의 안내, 도움 및 피드백과 함께 자기조절학습을 촉진하는 네 가지 단계인 목표설정(goal setting), 자기 모니터링 (self-monitoring), 일반화(generalization), 그리고 자기강화(self-reinforcement)를 인지하고 기억함과 동시에 체계적이고 명시적인 요약 연습을 함으로써 얻어진 결과로 보여 진다. 이는 자기조절학습 (self-regulated learning)은 학습 동기요소를 독려하여 긍정적 자기 효능감 및 내적 목표성향을 높여 주게 되어 결국 학습자의 인지적 활동 및 수행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게 됨을 증명하는 결과로 보여 진다.
        84.
        202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요약 교육(Summarizing instruction) 및 연습(Practices)이 초급 수준의 L2 성인 학습자들의 읽기 이해와 쓰기에서의 어휘 사용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L2 학습에서 요약하기의 중요성 및 쓰기에서의 어휘 사용에 관한 이론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연구에 참가한 학습자들은 요약 교육과 연습 이후 읽기이해 점수에서 의미 있는 향상을 보여주었고, 어휘쓰기에 있어서도 전체적으로 같은 단어의 반복이나 기초적인 단어(the 1st 1000) 보다는 다양하고 수준 높은, 즉, the 2nd 1000 list, 아카데믹한 단어(AWL), 및 그 이상 수준의 단어(NLW) 사용을 보여주고 있었다. 이러한 요약 교육 및 연습이 읽기 이해에 주는 긍정적 효과는 주제가 다른 읽기자료(reading source texts with different topics)를 바탕으로 한 상향식(bottom-up) 읽기 및 쓰기 유발(writing output-promoting)의 통합적인 요약단계에 있다고 보여 진다. 즉, 주어진 읽기자료를 요약하기 위해서 학습자들은 주요 단어, 구, 혹은 문장 수준의 이해를 하고, 이를 다시 본래의 텍스트보다 짧게 요약하기 위해 문장통합(sentence combination), 바꾸어 쓰기(paraphrasing), 통사적 변형(syntactic transformation), 그리고 만들어 내기(invention) 등의 요약 과정들(summarizing processes)에서 사전 사용 및 교사의 모델링과 피드백을 통하여 다양한 단어표현에 노출되고 경험하여 어휘 지식을 늘릴 수 있었고, 이후 쓰기에서의 어휘 사용에 도움을 준 것으로 보여 진다.
        85.
        201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영어 능력 초급 수준의 EFL 성인 학습자들의 글쓰기 불안이 과정 중심 쓰기 접근(process writing approach) 교수에 의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조사하였다. Daly and Miller(1975a)의 DM-WAT를 근거로 본 연구의 영어 글쓰기 학습자들을 위해 약간의 수정을 가미한 WAT (글쓰기 불안감 테스트)를 사용하여 과정중심 쓰기 접근 교수를 실시하기 전과 후의 학습자들의 심리적 변화를 조사하여 글쓰기 불안의 네 가지 요인으로 분석하였다: (1) 영어 글쓰기를 좋아하는 정도(Enjoyment of writing in English, EOW); (2) 영어 글쓰기에 대한 부정적 인식(Negative perception about writing in English, NPW); (3) 평가에 대한 두려움(Fear of evaluation, FOE); 그리고 (4) 영어 글쓰기에 대한 자신감(Self-confidence of writing in English, SCW). 결과에 의하면 전체적으로 학습자들의 부정적인 영어 글쓰기에 대한 두려움이 과정 중심 글쓰기 교수 이후 네 가지 요인에 있어서 현저히 감소하였다. 특히 여성 학습자들의 사전 사후 부정적 글쓰기에 대한 두려움의 차이가 남성 학습자들보다 더 의미 있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학습자 모두가 두 가지 글쓰기 요인, 즉 NPW 와 FOE 요인에 있어서 과정 중심 글쓰기의 효과를 더욱 나타내었다. 이는 흔히 제 2 언어 학습자들의 글쓰기 불안은 언어적 지식 및 자신감의 부족에서 비롯되기에, 본 연구의 학습자들은 5단계의 과정 중심 글쓰기 활동들이 언어적 자신감을 높이는 스캐폴딩 글쓰기(scaffolded writing)와 같은 역할을 하여 그 결과 부정적 글쓰기 불안감이 현저히 낮아짐을 보여주고 있다. 즉 사전 쓰기(pre-writing) 활동에서의 브레인스토밍, 모델텍스트를 통한 구조, 어휘, 문법, 주제문 찾기 등의 언어적 요인 살펴보기 및 개인별 쓰기 완성(drafting), 그리고 수정단계(revising)에서의 교사의 피드백 및 친구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피드백 등을 통해 그들의 영어사용에 대한 지식의 부족을 향상시키고 협력하는 학습 분위기의 영향으로 영어 글쓰기에 대한 부정적 태도 및 감정적인 면에서 훨씬 완화되고 편안해짐을 보여준 결과로 여겨진다.
        86.
        201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EFL 학습자들이 강화 입력 문맥(enhanced input context) 과업 활동을 통해 분해적 (decomposable) 및 비분해적(non-decomposable) 숙어들을 어떻게 다르게 즉각적 회상(immediate recall) 하고 기억유지(retention) 하는지를 조사하였다. 이는 선행연구 등에서 주장하는 분해적 숙어가 비분해적 숙어보다 이해 처리과정에 유리하다는 주장과 이와 관련된 숙어이해 처리과정에 관한 의미적 분해성(semantic compositionality) 의 역할에 대한 견해와 이에 반하는 견해를 논의의 바탕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동사 구절 (동사+관사+명사) 형태를 갖는 12개의 목표숙어 (6 decomposable idioms & 6 non-decomposable idioms)가 선정되었고 학습자들은 강화입력 문맥, 즉 볼드체(bolding) 와 우리말 주석(L1 glossing) 이 있는 목표 숙어들을 보면서 하나의 목표 숙어 당 3개의 문장에 목표 숙어들을 빈 칸에 채워 넣기(cloze production) 를 하며 그 문맥의 의미를 이해하는 과업 활동을 하였다. 결과 분석에 의하면 비록 학습자들은 두 유형의 숙어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높은 비율의 수용적 (receptive) 및 생산적(productive) 단기회상(immediate recall) 과 수용적 장기기억 유지(delayed retention) 를 나타냈지만, 비분해적 숙어가 분해적 숙어보다 수용적, 생산적 단기 회상 및 수용적 장기기억 유지에 있어 현저하게 의미 있는 결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숙어를 구성하는 단어들의 의미를 추측하여 더 빨리 이해 처리한다는 분해성의 효과에 반하는 결과로써, L2 학습자들이 강화된 입력 문맥의 이해와 함께 목표어를 쓰는 연습(cloze production)을 이용한 과업 활동을 통해 숙어를 연습할 경우 오히려 비분해적 숙어가 하나의 긴 단어처럼 문맥 안에서 그 의미를 더 잘 이해하고 기 억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87.
        201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epatic ischemia-reperfusion injury (HIRI) is linked with high mortality rate. Several agents have been developed so far to reduce the risk of HIRI.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ombined treatment of Ginko biloba leaves extract and vitamin C (GLEVC) on hepatic ischemia-reperfusion injury. To explore the protective effects of GLEVC on HIRI rats model were tested. After the development of HIRI by using clamping method rats were then randomly divided into four groups. Different doses of GLEVC were administered in HIRI rat model. The level of ALT, AST, SOD and MDA content in serum were detected in HIRI groups. Moreover, the activity of SOD, content of MDA, and GSH in hepatic tissue were also examined. Bcl-2 and Bax protein expression were detected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method. Compared with sham group, GLEVC has the protective effect on the HIRI-induced model. Level of ALT, AST, and MDA in blood were significantly lower in GLEVC group compared with HIRI-induced group. Moreover, SOD activity and GSH were increased in GLEVC group whereas MDA content was reduced by GLEVC treatment. Furthermore, HIRI-induced Bax protein was reduced upon GLEVC treatment, whereas Bcl-2 protein expression was enhanced.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GLEVC treatment may provide potential ameliorative therapy by reducing damaged signaling mechanism in hepatic ischemia/reperfusion injury model.
        88.
        2018.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somaltooligosaccharides were prepared from puffed rice flour by a One-step processing method under different conditions, and their 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evaluated. Sample was prepared by allowing puffed rice flour to pass through a 50 mesh standard sieve and segregated into experimental groups (PR15-60, PR20-60, PR15-65, and PR20-65) according to the substrate concentrations (15%, 20% w/v) and reaction temperatures (60 , 65 ). Enzyme reaction of puffed rice flour and water mixture was performed for 0, 1, 6, 24, and 48 h using commercial enzymes (Maltogenic amylase, Promozyme D2 and Transglucosidase; amount: 0.5% (w/v) to obtain the corresponding isomaltooligosaccharides. The reducing sugar content, dextrose equivalent, and total soluble solids of the reactants increased with increasing reaction time. The carbohydrate composition and amount of isomaltooligosaccharides with degree of polymerization (DP) 2 to DP 7 in the rice flour were examined by HPLC with an evaporative light scattering detector. Because of the high carbohydrate composition, the PR20-65 group showed the highest isomaltooligosaccharide content after 6 h of reation (138.47 mg/mL). After 24 h of reaction, the amount of isomaltooligosaccharides (DP2-DP7) and the isomaltooligosaccharides/total carbohydrate ratio in this group were 135.00 mg/mL and 68.04%, respectively.
        89.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epatic ischemia-reperfusion injury (HIRI) is linked with high mortality rate. Several agents have been developed so far to reduce the risk of HIRI.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canthopanax senticosus extract (AS) on hepatic ischemia-reperfusion. To explore the protective effects of A. senticosus extract injection (ASI) on hepatic ischemia-reperfusion injury rats animal model were used. After the development of HIRI by using clamping method rats were then randomly divided into five groups. Different doses of AS were administered in HIRI rat model. The level of ALT, AST, and MDA content in serum were detected in sham and HIRI groups. The activity of SOD, MPO and Ca2+-ATPase, content of MDA, and cAMP in hepatic tissue were also measured. Expression of Bcl-2 and Bax protein were detected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method. Compared with sham group, ASI has the protective effect on the HIRI model in rats. Blood levels of ALT, AST, SOD, MPO, and MDA were significantly lower in ASI group compared with HIRI. Indeed SOD and Ca2+-ATPase activities, MDA content, and cAMP level were improved in ASI group. Furthermore, Bcl-2 and Bax protein were improved in ASI group compared with only HIRI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AS may provide potential ameliorative therapy by inhibiting the damage signaling mechanism in hepatic ischemia/reperfusion injury model.
        90.
        2017.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uring the last glacial–interglacial transition, there were multiple intense climatic events such as the Bølling–Allerød warming and Younger Dryas cooling. These events show abrupt and rapid climatic changes. In this study, the climate events and cycles during this interval are examined through wavelet analysis of Arctic and Antarctic ice-core 18O and tropical marine 14C records. The results show that periods of ~1383–1402, ~1029–1043, ~726–736, ~441–497 and ~202–247 years are dominant in the Arctic region, whereas periods of ~1480, ~765, ~518, ~311, and ~207 years are detected in the Antarctic TALDICE. In addition, cycles of ~1019, ~515, and ~209 years are distinct in the tropical region. Among these variations, the de Vries cycle of ~202–209 years, correlated with variations in solar activity, was detected globally. In particularly, this cycle shows a strong signal in the Antarctic between about 13,000 and 10,500 yr before present (BP). In contrast, the Eddy cycle of ~1019–1043 years was prominent in Greenland and the tropical region, but was not detected in the Antarctic TALDICE records. Instead, these records showed that the Heinrich cycle of ~1480 year was very strong and significant throughout the last glacial–interglacial interval.
        91.
        201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사전 준비활동이 EFL 학습자의 교실 공개 구두 발표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하 였다. 이는 언어적 지식 (language knowledge)의 준비는 제 2 언어 학습자의 자신감을 높여 정서 적 불안을 완화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선행 연구들의 결과에 근거한다. 연구를 위해 학습자들은 4 주 간 (1) 스피치 모델 읽기 (reading a model text), (2) 스피치 초안 쓰기 (writing a draft), 그리 고 (3) 구두 연습 리허설하기 (rehearsing for oral practice) 등 세 가지 사전 준비활동을 수행하였 다. 사전 준비활동 전 후의 교실 공개 발표 불안 정도의 차이는 PSCAS (Public Speaking Class Anxiety Scale)를 사용하여 네 가지의 불안 구성요소에 대해 비교하였다: ‘test anxiety’(TA: 시험 불안), ‘communicative apprehension’(CA: 전달 불안), ‘fear of negative evaluation’(FNE: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그리고 ‘comfort of using English’(CUE: 영어 사용에 대한 편안함). 결과 분 석에 의하면 사전 준비활동은 네 가지 구성요소의 구두 불안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는데, 특히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영어 사용에 대한 편안함’에 있어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결 과를 가져왔다. 이는 ‘reading a model text’ 및 ‘writing a draft’ 등의 사전 준비활동 중에 이루 어지는 교사 및 동료와의 상호 피드백을 통한 언어적 지식 스캐폴딩으로 인한 학습자의 자신감 이 상승하고, ‘rehearsing for oral practice’활동으로 인한 발표연습 기회,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 서 이루어지는 친밀함의 관계형성이 동료 및 교사에 의한 평가 불안을 완화하고 이전 보다 편안 하게 영어를 사용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92.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report describes the sex differentiation of the Korean rose bitterling, Rhodeus uyekii, from hatching to 170 days post-hatch (DPH) in relation to total length (TL), body weight (BW), and integral water temperature (IWT). The growth curve of TL from just hatching to 83 DPH was 5.144e0.045t (R² = 0.961; t, time), and that of BW was 2.398e0.086t (R² = 0.725). Primordial germ cells (PGCs) were observed at 17 DPH (7.9 mm TL, 3.74 mg BW, 374°C IWT), and thereafter began to protrude into the peritoneal cavity. At 21 DPH (9.2±0.14 mm TL, 4.8±0.07 mg BW, 462°C IWT), some PGCs contained condensed chromatin and oocyte were observed in meiotic prophase. In contrast to the ovaries, which grew gradually after sexual differentiation, testes began multiplying at 25 DPH (10.1 mm TL, 5.42 mg BW, 550°C IWT), when testicular differentiation was first identified, and multiplied continuously thereafter. At 33 DPH (11.2 mm TL, 10.5 mg BW, 726°C IWT), the developing testes contained spermatogonia that exhibited mitotic activity. No spermatocyte or sperm cell was observed until 83 DPH (18.9 TL, 48.2 mg BW, 1,826°C IWT). At 170 DPH (32.5 mm TL, 270.1 mg BW, 3,740°C IWT), which was the end point of this study, the mature ovaries showed germinal vesicle breakdown, while the mature testes contained observable spermatocytes and sperm cells. These results allow us to identify the sex differentiation type of the Korean rose bitterling as differentiated gonochoristic.
        93.
        201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hole abdomen CT촬영에서 표재성 장기에 해당하는 생식선 부위의 선량을 줄이고 화질에 영향을 적게주기 위한 차폐재를 제작하여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기존의 bismuth 재질과 비슷한 효과를 가지는 silicone 22 mm, aluminum 7.3 mm를 제작하였다. non shield, bismuth, silicone 22 mm, aluminum 7.3 mm 차폐재를 이용하여 생식선의 피폭 선량 감쇠, 영상의 CT number와 noise 변화, AAPM 팬텀에서 CT number, noise, unifo rmity를 측정하여 비교 실험하였다. 결과에서 bismuth 29.96%, silicone 22 mm 13.10%, aluminum 7.3 mm 18.27%로 피폭 선량이 감소되었다. 그러나 bismuth 재질의 경우 영상의 CT number 변화가 크고, AAPM 팬텀 영상검사 uniformity 항목에서 부적합으로 측정되어 생식선과 같은 표재성 장기에서 화질 변화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생식선과 같은 표재성 장기의 경우 silicone 22 mm, aluminum 7.3 mm의 차폐재를 사용한다면 화질 변화를 줄이면서 방사선 피폭을 줄이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판단된다.
        94.
        201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토익중심의 영어 듣기 수업에서 세 가지 유형의 듣기 전 활동 (listening support) 이 학습자의 상위인지 전략에 대한 자각과 듣기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를 위해 각각의 그룹에 현재 토익 듣기 수업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세 가지 유형의 듣기 전 활동이 이용되었다: 1) 질문 미리보기 (question preview); 2) 어휘 미리보기 (vocabulary preview); 3) 반복 듣기(repeat listening). EFL 학습자의 상위인지 전략에 인지자각에 대한 변화의 정도를 알기위해 입증된 ‘듣기 전략에 대한 상위 인지 자각에 대한 질문(MALQ)’이 듣기 전 활동 전 후로 실시되었고, 또한 듣기 성과의 변화 정도는 듣기 전 활동 전 후의 학습자의 듣기 점수를 비교하였다. 초급을 조금 벗어난 (토익듣기 200-250) 97명의 학습자들에게서 얻은 데이터 분석 결과, 연구에 사용된 세 가지 유형의 듣기 전 활동 모두 학습자의 상위 인지 자각과 듣기 결과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끼쳤다. 특히, 세 유형의 듣기 전 활동 중‘질문 미리보기 (QP)’가 듣기 전략에 대한 5가지 상위 인지 자각 요인 중 ‘planning-evaluation’ 요인과 ‘problem-solving’ 요인에 가장 의미 있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95.
        2014.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re have been many suggestions and much debate about climate variability during the Holocene. However, their complex forcing factors and mechanisms have not yet been clearly identified. In this paper, we have examined the Holocene climate cycles and features based on the wavelet analyses of 14C, 10Be, and 18O records. The wavelet results of the 14C and 10Be data show that the cycles of ~2180-2310, ~970, ~500-520, ~350-360, and ~210-220 years are dominant, and the ~1720 and ~1500 year cycles are relatively weak and subdominant. In particular, the ~2180-2310 year periodicity corresponding to the Hallstatt cycle is constantly significant throughout the Holocene, while the ~970 year cycle corresponding to the Eddy cycle is mainly prominent in the early half of the Holocene. In addition, distinctive signals of the ~210-220 year period corresponding to the de Vries cycle appear recurrently in the wavelet distribution of 14C and 10Be, which coincide with the grand solar minima periods. These de Vries cycle events occurred every ~2270 years on average, implying a connection with the Hallstatt cycle. In contrast, the wavelet results of 18O data show that the cycles of ~1900-2000, ~900-1000, and ~550-560 years are dominant, while the ~2750 and ~2500 year cycles are subdominant. The periods of ~2750, ~2500, and ~1900 years being derived from the 18O records of NGRIP, GRIP and GISP2 ice cores, respectively, are rather longer or shorter than the Hallstatt cycle derived from the 14C and 10Be records. The records of these three sites all show the ~900-1000 year periodicity corresponding to the Eddy cycle in the early half of the Holocene.
        96.
        2014.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의미 정교화 과업 (semantic elaboration task)을 연습한 후 학습자의 즉각적 어휘 회상(immediate word recall) 과 1주 후 어휘 기억유지 (word retention) 에 주는 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를 위해 16개의 목표어를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유형의 탈 맥락화된 (decontextualized) 어휘지향의 의미적 정교화 과업으로 연습하였다: (1) 목표어의 L1 주석을 보고 알맞은 L2 정의 찾기 (DG); (2) 목표어가 포함된 구 (phrase) 단위의 적절한 용례 (UE) 찾기; 그리고 (3) 목표어를 괄호에 넣어 하나의 문장 완성하기 (CZ). 한 번의 즉각적인 사후 테스트와 1주 후의 지연된 테스트 결과 분석에 의하면 괄호 채우기 과업 (CZ) 이 즉각적인 수용적 단어 회상 및 수용적, 생산적 장기 어휘 기억 유지에 가장 의미 있는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긍정적인 영향은 어휘 기억 유지의 비율에 있어서도 나타났다. 즉, 생산적 단기 어휘 회상과 장기 기억 유지에 있어 다른 두 유형의 과업보다 더욱 도움이 많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CZ’ 과업의 어휘 형태와 의미 형성에 필요한 인지적 과정에 도움이 되는 문맥적 요인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1주 후의 수용적 어휘 기억 유지에 있어서는 ‘DG’ 과업이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L1 주석을 본 학습자의 어휘 인지과정에서 L2 의 의미를 L1 으로 기억하게 하는데 더욱 주의를 기울이게 하는 요인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97.
        201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혼합주석 (combined glossing)이 읽기 자료에 적용되었을 때 즉각적 어휘 회상(immediate word recall) 과 2주 후 어휘 기억유지 (word retention) 에 주는 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를 위해 읽기 자료의 내용 이해에 중요한 단어들을 학습 목표의 어휘로 삼고 이들이 4번 반복적으로 나오도록 약간의 수정이 이루어 졌고, 세 가지 혼합주석이 다음과 같이 적용되었다: (1)네 번의 L1 주석 (4G); (2) L1 주석 한번과 의미 써보기 (GR); (3) L1 주석 한번과 3번 볼드체 (GB3).초급을 조금 벗어난 (공인토익 450-470점) 30 명의 학습자들에게서 얻은 데이터 분석 결과, GR 주석이 즉각적인 수용적, 생산적 어휘 회상에 있어 가장 의미 있는 결과를 얻었고, 다음으로 4G 와 GB3순서로 나타났다. 장기 어휘 기억 유지에 있어서는, 수용적 그리고 생산적 어휘 기억 유지에 있어 GB3 주석이 가장 효과적이었고 다음으로 4G 와 GR 순서로 의미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읽기 자료에 L1 주석과 의미적 강화인 단어 회상하여 써보기 (written retrieval), 또는 시각적 강화인 볼드체의반복 (frequent boldface) 과 혼합될 때 EFL 학습자의 어휘 학습에 많은 도움이 된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98.
        2013.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THO/TREX complex mediates the transport of nascent mRNAs from the nucleus towards the cytoplasm in animals, and it has a role in small RNA-dependent processes in plants. Here we describe five mutant alleles of Arabidopsis thaliana THO2, whichencodes a core subunit of the plant THO/TREX complex. tho2 mutants present strong developmental defects resembling those in plants compromised in microRNA (miRNA) activity. In agreement, not only the levels of siRNAs, but also of mature miRNAs were reduced in tho2 mutants. As a consequence miRNA target mRNAs accumulated to higher levels than in wild type. Yeast two hybrid experiments showed that THO2 does not seem to interact with any of the known miRNA biogenesis components, implying a more indirect role of THOs in small RNA biogenesis. We also detected alterations in the splicing pattern of genes encoding Serine/Arginine-rich proteins in tho2 mutants, suggesting a previously unappreciated role of the THO/TREX complex in alternative splicing.
        99.
        2013.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examines the nature of teacher’s corrective feedback as mediation in a Korean EFL beginner writing context. The theories of Vygotsky's socio-cultural learning in the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ZPD) take into account the background of the stu
        100.
        2012.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iscovery, identification, and informatics of low molecular weight peptide are extensively rising in the field of proteomics research. In this study, we analyzed protein profiles to discover peptide based biomarker for twelve different soybean seeds with three different agronomic types using surface-enhanced laser desorption/ionization 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 (SELDI-TOF MS). For optimization of SELDI-TOF MS in soybean seed proteome analysis, four different extraction buffers were tested with urea solubilization buffer, thiourea/urea solubilization buffer, phenol extraction buffer, and modified trichloroacetic acid (TCA)/acetone precipitation/urea solubilization extraction buffer. Two different type of ProteinChip arrays, cation exchange (CM10) and anion exchange (Q10), applied to profile peptides. Among the four different extraction buffers, phenol extraction was selected to protein extraction methodology. Numbers of detected peak cluster in twelve soybean seeds were 125 at CM10 and 90 at Q10 array in the mass range from 2 to 40 kDa. Among them, 82 peak clusters at CM10 and 33 peak clusters at Q10 array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peak clusters at p<0.00004 (CM10) and p<0.00005 (Q10) among twelve different soybean cultivars. Moreover, 29 peak clusters at CM10 and 17 peak clusters at Q10 array were detected in all cultivars as an ‘universally existed peptide’. In comparison with three different agronomic types, total of 55 peak clusters (CM10) and 23 peak clusters (Q10)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eak clusters at p<0.00004 and p<0.0001, respectively. In these probability levels, soybean seeds were well discriminated into different cultivar and different type with each other. Also we could find several specific peptide biomarkers for agronomic type.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