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60

        81.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technology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control of Bemisia tabaci by a push-pull strategy in tomato greenhouse. B. tabaci was most attracted to the light source of 520nm, whereas it showed an avoidance response to the complex light treatment of 450+660nm. Two natural enemies, Nesidiocoris tenis and Orius laevigatus were attracted to 520nm. B. tabaci was repellent to volatile organic compounds, ocimene and carvacrol, while methyl isonicotinate showed attractant response. When buckwheat was added into the greenhouse, the density of N. tenis was maintained at about 16 times higher for 15 days. As a result of the combined treatment of push-pull strategy, the density of B. tabaci was 3 times lower and the control effect increased with time and reached up to 68.7%.
        82.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화에서 줄기괴저바이러스와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를 매개하는 것으로 알려진 꽃노랑총채벌레 약충과 성충이 잎, 꽃, 과실의 흡즙을 통해 확산시킨다. 최근 무분별한 농약 사용으로 약제저항성 계통 출현이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총채벌레류는 식물바이러스 매개하는 시간이 짧아 상대적으로 효과가 낮은 약제로는 총채벌레 방제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렵다. 시판되는 국화 총채벌레류 등록 살충제 10종을 꽃노랑총채벌레 발육단계별(약충, 번데기, 성충)로 살포한 결과, 유효성분 피롤계 클로르페나피르, 카바메이트계 벤퓨라카브와 스피노신계 스피네토람이 함유된 약제가 우수한 살충력을 보였다. 총채벌레류 화학적 방제를 위해서는 위 성분이 함유된 살충제를 교호로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보여진다.
        83.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해충방제용 미생물 선발을 위해 2018년도에 공원·산림·유기농 근권 토양 87지점을 수집하여 갈색거저리를 이용한 insect-bait법 및 자연조건에서의 감염사충으로부터 곤충병원성 곰팡이를 132균주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주는 점박이응 애, 복숭아혹진딧물에 대한 살충활성 스크리닝을 통하여 각 해충별 살충활성을 보이는 56균주를 선발하였다. 선발된 균주들은 rDNA의 ITS영역을 이용하여 분류동정 하였다. 추가 적용범위 확대를 위해 무잎벌(종령 유충), 거세미나방류 (3~6령 유충)와 같은 지하부 이동성 해충의 방제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선발 곤층병원성 곰팡이의 포자 현탁액의 관주처리 방법으로 살충활성을 검정 중이다.
        84.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black cutworm, Agrotis ipsilon (Hufnagel, 1766) is a cosmopolitan pest that poses an economic threat to many crops such as pepper, corn, perilla, etc. A. ipsilon can be mass reared by providing Chinese cabbage, Brassica rapa under 60~70%, 16L:8D and 25±1℃ in laboratory. This study presents the mass rearing methods and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immature stages of A. ipsilon including descriptions of the each immature stages.
        85.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알락수염노린재(Dolycoris baccarum L.)는 구북구(Palearctic region)에 널리 분포하는 다식성 곤충으로서 국내에서는 콩, 단감, 유자 등 다양한 작물의 해충이다. 이 종은 다른 노린재과(Pentatomidae) 곤충과 마찬가지로 수컷이 집합페로몬 을 방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는 수컷의 집합페로몬 성분을 동정하기 위하여, 고상미량추출(SPME) 방법을 이용하여 수컷과 암컷 성충에서 방출되는 휘발성 물질을 포집하여 화학구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컷 특이적인 휘발물질로서 α-bisabolol, α-bergamotene, β-bisabolene을 동정하였고, 3가지 성분이 100:15:5 비율로 존재함을 밝혔다. 야외에서 알락수염노린재 수컷과 암컷 성충 모두가 주성분인 α-bisabolol을 처리한 트랩에 유인되었다. 나머지 2가지 성분(α-bergamotene과 β-bisabolene)의 경우, 그 자체로는 유인 효과가 없었으나 주성분인 α-bisabolol에 추가되면 보강효과가 발휘되었다. 곤충에서 α-bisabolol이 동정된 것은 이것이 처음이며, 이번에 밝혀진 알락수염노린재 집합페 로몬은 이 해충의 발생예찰과 친환경 방제에 유용할 것이다.
        87.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e retail environment where online-shopping malls are growing, offline store are find it difficult to survive simply by selling their products. As a result, offline retailers are trying to find unique services that are appealing to their customers. In such a market environment, marketing strategies that stimulate the five senses other than the sight can be an alternative. Therefore, this research is aimed at observing the effect of the senses on emotion and purchase intention in a fashion retail context. A two by two experimental design (existence vs non-existence of scent x existence vs. nonexistence of eating chocolate) between subjects was used. A total of 120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four situations, and they were asked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s about emotion and purchase intention. The survey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23.0, and results are as follows. After a two-way ANOVA, we observ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f the scent service on pleasure and purchase intention the sweet offering service on purchase intention. Moreover, when scents service and sweet offering service were provided at the same time, the highest purchase intention was obtained among other services. In addition, we studied the effects of emotions on purchase intentions, and the pleasant emotions resulting from the services have a positive effect of on purchase intentions.
        4,500원
        90.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citrus flatid planthopper, Metcalfa pruinosa is one of the invasive insect species in South Korea. M. pruinosa is a broad polyphage damaging over 200 plant species including ginseng, although there is a difference in preference. We selected six insecticides that showed high mortality in ginseng field such as emamectin benzoate EC, sulfoxaflor SG, etofenprox EW, cypermethrin EC, thiacloprid SC and pyrifluquinazon SG. In addition, a method to attract and kill M. pruinosa by treating pesticides on attractive plants (e.g., corn, perilla) with high preference was also tested. The control effect varied from 10 to 80% depending on the distance between forest and farmland. These methods can be used for the control of M. pruinosa in the ginseng farm when the PLS (Positive List System) is fully implemented in 2019.
        91.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유기농업의 실천을 위하여 국내 작부체계와 농업환경에 적합한 한국형 현장적용 기법을 구축하고자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기본 개념은 ‘Natural Enemy in First (NE가 먼저)’로 해충발생시기의 예찰 없이 주 작물을 정식함과 동시에 천적과 보조식물을 혼합 적용해서 해충발생 이전에 천적을 포장에 먼저 정착시키는 생물적 방제기법이다. 시설재배 딸기에서 칠레이리응애, 사막이리응애, 콜레마니진디벌과 천적의 서식처 3종을 주 작물의 정식과 동시에 적용한 결과, 관행방제구에 비해 80%이상의 해충 밀도억제효과를, 천적 단독처리구에 비해 3배 이상의 높은 천적의 밀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포장 환경과 천적의 방사방법에 구애받지 않고 천적의 해충 방제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라인을 적용한 결과, 약제와 천적 혼합처리구에서 라인을 적용하지 않은 처리구에 비해 해충의 밀도가 급격히 감소하고, 천적의 밀도는 2배 이상 높게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92.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Apolygus spinolae)는 포도원에서 생장 초기부터 신초를 흡즙 가해하여 잎의 기형화, 화진형상, 열매의 소립화, 기형, 열과 등의 피해를 일으킨다. 2017년과 2018년도에 경기도 화성 포도원의 캠벨얼리 품종을 대상으로 가온 하우스, 무가온 하우스, 비가림 재배, 노지 재배의 재배 양식과 생육단계별 애무늬고리장님 노린재의 발생 양상을 조사하였다. 재배양식별 피해는 1월부터 가온을 시작하여 7월 초순에 수확하는 조기가온 하우스와 3월부터 보온을 시작하여 8월 중순에 수확하는 무가온 하우스에서는 피해가 5% 미만으로 미미하였다. 그러나 비가림 및 노지재배에서는 잎과 열매의 피해가 관찰이 되었고, 특히 무농약 노지재배에서는 2017년도 27.6%, 2018년도 36%의 피해가지율을 나타내었다. 노지재배에서 피해 발생은 캠벨얼리 발아기 (BBCH(생물계절코드) 10)부터 이전 해에 포도나무 눈의 겉 인편 사이에 산란된 월동알이 부화하여 6 ~ 7엽(BBCH 16 ~ 17) 전개기까지 어린잎과 열매를 흡즙하여 피해를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 온도 적산 모델에 따른 노지재배과원의 최적 방제시기는 월동알 부화 시기에는 2017년 4월 26일 (BBCH 11), 2018년 4월 30일(BBCH 11)이였고, 1세대 성충 출현시기에는 2017년 6월 5일 (BBCH 71), 2018년 6월 8일 (BBCH 74)로 예측되었다. 즉, 월동알 부화시기는 캠벨얼리 전엽 초기(BBCH 11), 1세대 성충 출현 시기는 과립 착과 초기(BBCH 71)로 예측되었다.
        93.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turnip sawfly, Athalia rosae is one of the main pests that damage the leaves of cabbage, radish and other cruciferous crops. The developmental biology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immature stages of Athalia rosae were studied in the laboratory using host plant, Chinese cabbage, Brassica rapa var. glabra. A. rosae can be mass reared in laboratory throughout the year under RH 60~70%, 16L:8D and 25±1℃. This species has six larval stages in the female and five larval stages in the male. The developmental period is about 28~29 days. Ovipositional periods and larval developmental periods were 6, 9 days, respectively. The pupal period was about 14 days. Illustrations and descriptions of the various immature stages and their behaviors are provided.
        94.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경기지역에 발생하는 돌발 및 남방계 해충의 발생실태 조사결과, 겨울철 경기지역 평균기온이 전년보다 3.7℃, 평년보다는 1.2℃ 낮게 경과함에 따라 포도 재배지 꽃매미 평균 월동난 부화율은 35.6%로 전년 대비 60% 감소하였음. 블루베리 재배지 갈색날개매미충의 평균 월동난 부화율은 26.9%로 전년 대비 50% 감소하였으며, 겨울철 피해가지 제거로 부화약충의 밀도는 매우 낮았음. 저온 적응성이 강한 미국선녀벌레의 경우 6월 중순 안성지역 평야 블루베리에서 약충이 가지당 최대 6.64마리 발견되었으나, 하절기 고온 등으로 성충의 밀도는 크게 감소되었음. 남방계 해충인 볼록총채벌레는 포도 재배지에서 5월 하순부터 발견되기 시작하여 7월 상순부터 급격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 가운데 지역별로는 남부지역(안성), 지대별로는 중산간지 > 산간지 > 평야지 순으로 높은 경향을 보였음.
        95.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농가 선호도가 높은 분홍색 비모란 선인장 ‘Yeonbit’는 분홍색 품종 ‘Yeonsi’을 모본으로, 분홍색 ‘Yeonsil’ 품종을 부본으로 하여 2011년에 교배하여 육성된 교배종이다. 종자를 70% C2H5OH와 2% NaOCl로 멸균처리한 후, 100mL 삼각플라스크 0.1% 활성탄이 첨가된 Kyoto 배지에 파종하였다. 발아된 유묘는 기저부를 잘라 기배계대 배양된 어린 삼각주에 접목한 후 동일한 배지가 첨가된 시험관에 치상하였다. 6개월 재배 후 온실로 옮겨서 순화과정을 거쳤으며, 기외에서 매년 접목을 하였으며 총 4번을 접목하여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총 3회에 걸쳐 생육특성을 조사하였다. ‘Yeonbit’ 품종은 편원형 모양과 분홍색 구색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7~9개, 평균 8.0개의 능(rip), 갈색의 직립형 짧은 가시, 그리고 혹(tubercle)이 돌출된 형태로, 모구가 구성되어 있다. 정식 10개월 후 ‘Yeonbit’ 품종의 구직경은 34.5mm였으며 자구는 모구와 같은 분홍색으로 평균 15.4개가 생성되었다. 2015년 육성계통 평가회에서 ‘Yeonbit’ 품종은 기호도 점수 3.7을 받았다. 2017년 6월 12일에 이 품종은 국립종자원에 등록되었으며 종자산업법에 의해 품종보호(등록번호 6752)를 받게 되었다.
        4,000원
        96.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esticide application in agriculture provides significant benefits such as protection from disease, prevention of harmful insects, and increased crop yields. However, accurate toxicological tests and risk assessments are necessary because of many related adverse effects associated with pesticide use. In this review, we discuss and analyze residual pesticides contained in livestock feed in Korea. A pesticide residue tolerance standard for livestock feed has not been precisely established; so, risk assessments are required to ensure safety. Standards and approaches for animal criteria and appropriate methods for evaluating residual pesticides are discussed and analyzed based on technology related to animal product safety in Korea. The safety of livestock feed containing pesticides is assessed to establish maximum residue limits relative to pesticides. Analysis of residual pesticides in milk, muscle, brain, and fat was performed with a livestock residue test and safety evaluation of the detected pesticide was performed. Efficacy of organic solvent extraction and clean-up of feed was verified, and suitability of the instrument was examined to establish if they are effective, rapid, and safe. This review discussed extensively how pesticide residue tolerance in livestock feed and hazard evaluation may be applied in future studies.
        4,000원
        97.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citrus flatid planthopper Metcalfa pruinosa, a invasive species causes serious damages to field crops, including sweet persimmon, soybean, maize, especially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We selected six chemical pesticides and one environmental friendly pesticide made from the mixture of derris extracts, citronella oils, and cinnamon extracts in laboratory. These pesticides showed over 90% of control effect in open ginseng field.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the support of the cooperative research program for RDA (project No. PJ0124992018), Republic of Korea.
        98.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세계적으로 관상작물의 중요한 나방류 해충의 하나인 Duponchelia fovealis Zeller가 2015년과 2016년에 경기도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었다. 유충이 꽃기린(Euphorbia milii)의 줄기 속을 파고 들어가거나 게발선인장(Schlumbergera truncata)의 잎을 가해하는 피해가 확인되었다. 유충과 피 해 확인 직후 합성농약을 살포하였고, 현재까지 추가적인 발견은 없었다.
        99.
        201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reeze dried placenta supplementation on reproductive performance, colostrum and plasma biochemical composition in pregnant sows. Eleven Landrace × Large white sows were fed with corn-soybean meal diets supplemented with or without 1% freeze dried placenta powder from 10 days before their expected farrowing dates until 10 days postpartum. The colostrum protein content was significantly higher(P=0.043) in the treatment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immunoglobulin G(IgG) concentration in the colostrum was significantly higher(P=0.004) in the treatment. In day 25 piglets plasma, the IgG concentration was higher(P=0.184) in the treatment than the control. The mortality rate was lower(P=0.102), and the piglet weight gain was higher(P=0.35) in the treated group. Overall, the treatment group showed greater levels of protein and IgG concentration in the colostrum, when compared to control group. Therefore, the freeze dried placenta supplementation on pregnant sows can enhance its colostrum composition, hence decrease the mortality and increase the growth rate of piglets.
        4,000원
        100.
        2017.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Germinated brown rice flour has received much attention due to its health-functional ingredients such as dietary fibers. However, the food industry has faced challenges of using germinated brown rice flour in processed foods because it causes undesirable quality attributes such as high cooking loss and sticky texture. In this study, three different types of food additives (starches, hydrocolloids, emulsifiers) were incorporated into the formulation of extruded rice cakes and their combined effects on the cooking loss and textural properties of the germinated brown rice cakes were investigated. The addition of emulsifiers had a tendency to increase cooking loss and soften the noodle texture. Most of the starches except gelatinized and high-amylose rice flours showed similar effects to the emulsifiers. Xanthan gum, gelatin, and HPMC were positively effective in reducing the cooking loss of the rice cakes and increasing their hardness. When the ingredients were combined, the mixture of saemimyeon rice flour, HPMC, and xanthan/agar reduced the cooking loss by 66.7%. Most of all, this study provided an ingredient map that was plotted on the axis of hardness and cooking loss, depending on single and combined treatments of various ingredients.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