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712

        101.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optimum additive ratio of wheat straw pellet as a substitute for beet pulp during oyster mushroom cultivation. The chemical properties across treatments were pH of 4.8–5.5, total carbon content of 45.9–46.5%, total nitrogen content of 1.5–1.7%, and carbon-to-nitrogen ratio of 27.8–31.0. Mycelial growth was the fastest in a medium containing 20% wheat straw pellet (at 88.2 mm in ‘Heuktari’ and 70.3–79.6 mm in ‘Suhan-1Ho’);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ycelial density among the treatments. The characteristics of fruiting bodies by variety were as follows. In ‘Heuktari’, the valid stipe number per bottle (1,100 cc) was 22.5 and yield was 177.1 g/1,100 cc in the mixed medium containing 10% wheat straw pellet, with the values being comparable to those of controls. In ‘Suhan-1Ho’, the valid stipe number per bottle (1,100 cc) was 14.0 and yield was 151.2 g/1,100 cc in the mixed medium containing 10% wheat straw pellet, with the values being comparable to those of controls.
        3,000원
        102.
        2022.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subjective wellbeing, English learning motivation, and English proficiency. Three sub-components of subjective well-being were included in this study: positive efficacy well-being, positive emotional well-being, and positive relationship well-being. In all subcomponents of subjective well-being, the mean value of female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male students. In addition, the students with upper and middle levels of English proficiency showed higher subjective well-being than those with a lower level. Among the subcomponents of subjective well-being, positive relationship well-being was found to have the most significant effect on both the ideal L2 self and the ought-to L2 self. Among English learning motivations, the higher the ideal L2 self, the higher the English proficiency. The subjective well-being and the ideal L2 self positively affected English proficiency. This study suggests that appropriate educational activities are needed to enhance students’ subjective well-being and form a concrete ideal L2 self.
        6,600원
        103.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investigates Korean EFL students’ learning (de)motivation factors according to the level of students’ English learning motivation. A total of 41 undergraduate students reflected on their past ten years of English learning experiences and submitted autobiographic essays with ‘motigraph,’ marking their annual changes of English learning motivation from 0 to 10. The data were analyzed with Grounded Theory.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factors that increased or decreased English learning motivation were different according to students’ level of motivation. Students with low-level motivation were influenced by their teacher or parents, while those with high-level motivation were influenced by their past L2 learning experiences perceived positively by themselves. In both groups, the factors of emotional experiences caused by negative L2 learning experiences were the main reasons for demotivation. This paper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subjective appraisal in maintaining students’ L2 learning motivation and recovering from the state of demotivation.
        7,000원
        105.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미토콘드리아 시토크롬 c 산화효소 1 (COX1) 유전자 염기서열(658 bp)을 사용하여, 콩 포장에서 채집된 어리팥나방(Matsumuraeses falcana)과 팥나방(Matsumuraeses phaseoli)의 종을 실험실 집단의 종들과 비교하여 동정하였다. COX1 염기서열 분석에서, 어리팥나방 47개체 로부터 10개의 하플로타입이 발견되었고, 종내 유전적 거리는 0.15~0.46%이었다. 이중 하프로타입 A형이 약 70%로 우점형이었다. 팥나방의 30개체로부터는 모두 동일한 하나의 서열만이 확인되었고, 어리팥나방과의 종간 유전적 거리는 4.11~4.61%이었다. 두 종의 COX1 염기서열을 번역한 아미노산 서열은 모두 동일하여 동의적 염기서열 변이(동의치환, 同義置換, synonymous substitution)를 확인할 수 있었다. 포장 조사에 서 두 종의 유충이 콩의 잎과 꼬투리를 가해하였고, 한 포장에서 동시에 발생하였다. 전체 포장에서 어리팥나방의 평균 밀도는 팥나방보다 약 1.5 배 높았다. 이 결과는 콩이 두 종의 동일 기주임을 명백하게 제시하였다. 별도로 이 속의 유충 기생파리로서 Elodia flavipalpis (파리목: 기생파리 과)가 발견되었고, COX1 서열로 동정되었다.
        4,000원
        106.
        2022.11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5・18 당시의 상황을 복기하면서 광주민주화운동의 요인, 기독교와 민주화운동의 관계, 5・18 광주민주화운동 전후 대학생의 역할 등에 대하여 새로운 관점에서 고찰하는 데 있다. 5・18 광주민주화 운동에 관한 기존연구들은 사회학적 측면, 정치학적 관점, 역사학적 관 점, 혹은 구술채록이나 증언 등 스토리텔링에 의존하는 경향이 강하다. 본 연구는 당시 생산된 사료를 통해 광주민주화운동 과정에서 대학생의 역할에 관해 주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운동의 요인적 측면에서 1979년 10월 26일 이후 군부 내 ‘12·12 군사쿠데타’가 전국대 학생들의 시위를 촉발시킨 것으로 보인다. 둘째, ‘5·17 비상조치’를 통한 비상계엄령 확대, 정치활동 금지, 민주인사의 체포 및 투옥, 대학 휴교령 이 5·18의 발단을 제공한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5·18 광주민주화운동 과 대학생들의 역할은 시민수습대책위원회, 시민항쟁의 직접 지원 활동 과 적극적인 참여, 광주민주항쟁의 진상 전달 및 국제적 확산 노력 등이 었다. 넷째, 대학생들은 민주화운동 과정에서 결의문 낭독, 반정부집회와 시위, 삐라살포와 전 세계인을 향해 광주의 진상을 확산하기 위해 노력 했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학교수들의 5·18 광주민주화운동 과정에서 사 회적 참여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5,800원
        113.
        202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품 소비에 있어 어류가 주요한 단백질의 공급원으로서 역할이 증대됨에 따라 기존 육류 중심으로 이루어졌던 수요분석 연구가 어류를 포함한 수산물까지 확대되어 다양한 연구결과가 발표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 어류 수요분석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소비량 및 가격데이터 등 데이터 확보의 어려움으로 도매 혹은 소매 단계의 시장수요를 추정하여 소비자 개인의 수요함수를 추정하지 못한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요 어종의 1인당 소비량과 소비자가격 데이터로 DAIDS (Dynamic Almost Ideal Demand System) 모형을 활용하여 개별 소비자의 수요함수를 추정함으로써 기존 연구와 차별성을 두었다. 실증 분석 결과, 소득탄력성의 경우 멸치가 가장 크고 오징어, 고등어, 갈치, 명태 순으로 멸치를 제외하고는 소득변화에 비탄력적이었다. 자체가격탄력성은 품목 간 다소 차이가 있지만 5개 품목 모두 자체가격에 대해 비탄력적이었으며, 어종 간 교차가격탄력성은 고등어와 갈치, 갈치와 멸치를 제외하고는 상호보완 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우리나라에서 주요 소비되는 어종이 서로 대체하기 보다는 상호 보완적인 관계로 수산물 소비가 단일 품목으로 이루어지기 보다는 다양한 수산물과 함께 이루어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14.
        202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해수면온도는 해양-대기의 현상을 이해하고 기후변화를 예측하기 위해 사용되는 중요한 변수이다. 마이크로파 영역의 인공위성 원격탐사는 구름과 강수와 같은 기상현상 위성 관측 측기의 경로에 존재하더라도 해수면온도 획득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마이크로파 해수면온도의 높은 활용도를 고려하면 위성 해수면온도를 정확도를 지속적으로 검증 하고 오차 특성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4년 3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약 8년 동안 Global Precipitation Measurement (GPM)/GPM Microwave Imager (GMI) 마이크로파 해수면온도의 정확도를 표층 뜰개 부이 수온 자료를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GMI 해수면온도는 실측 해수면온도에 비해 0.09 K의 편차와 0.97 K의 평균 제곱근 오차를 보였 고, 이는 기존 연구 결과에 비해 다소 높게 나타났다. 이외에도 GMI 해수면 온도의 오차 특성은 위도, 연안과의 거리, 해상풍 및 수증기량과 같은 환경적 요인과 관련성이 있다. 오차는 육지에서 300 km 이내의 거리에서 해안 지역에 가까 운 지역과 고위도 지역에서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낮에는 약한 풍속(<6 m s−1 ), 밤에는 강한 풍속(>10 m s−1 ) 범위 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오차가 나타났다. 대기 수증기는 30 mm 미만의 매우 낮은 범위 또는 60 mm보다 큰 매우 높은 범위에서 높은 해수면온도 차이에 기여했다. 이러한 오차들은 저수온에서 GMI 자료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기존 연구와 일치하며, 연안으로부터의 거리, 풍속, 수증기량에 의한 오차의 경우 육지와 해양의 방사율 차이 및 바람에 의한 해수 면 거칠기 변화, 수증기의 마이크로파 대기 흡수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한반도 주변해에서 마이크로파 위성 계산 SST를 보다 광범위하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GMI 해수면온도 오차의 특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4,600원
        115.
        202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바이오산업의 발전으로 의약품, 식품 등의 생산 과정의 분리/정제 공정에 사용되어 왔던 기존의 컬럼 크로마토그 래피를 대체하여 더 높은 처리효율을 갖는 막 크로마토그래피가 부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기공 크기의 두 가 지 상용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Cellulose acetate, CA) 분리막을 탈아세틸화 과정을 통해, 리간드의 개질이 용이한 다공성 재 생 셀룰로오스 지지체를(Regenerated cellulose, RC) 제조하였다. 음이온 교환능을 부여하고자 grafting을 수행하였으며, 구체 적으로는 UV 중합법을 통해 4차 암모늄을 포함하는 음이온 교환 리간드(MAPTAC)를 부착하여 음이온 교환용 흡착막을 제 조하였다. 단백질 흡착 용량은 정적 흡착 용량(Static binding capacity, SBC)시험을 통해 총 단백질 흡착 용량을 측정했고, 동 적 흡착 용량(Dynamic binding capacity, DBC)을 측정하여 상용막과 비교 평가하였다. 성능 평가 결과 단백질 흡착량은 넓은 표면적에 의해 리간드 밀도가 높은, 기공 크기가 작은 순서로 높게 측정되었고, 상용 CA분리막을 탈아세틸화하고 리간드를 부착시킨 분리막(RC 0.8 + MAPTAC 43.69 mg/ml, RC 3.0 + MAPTAC 36.33 mg/ml)이 상용 막 크로마토그래피 제품(28.38 mg/ml) 대비 높은 흡착 용량을 보였다.
        4,000원
        116.
        2022.10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췌석은 만성췌장염에서 흔히 동반되는 소견으로 반복되는 복통과 췌장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췌석은 췌관 협착과 자주 동반되고 췌관내 박혀 있는 경우가 많아 바스켓을 이용하여 제거하기 어렵다. 체외충격파쇄석술(ESWL)로 치료하기도 하나 반복 시술이 필요하고 성공률도 높지 않았다. 최근에 개발된 SpyGlass™ DS II (Boston Scientific, Marlborough, MA, USA)는 직경이 3.5 mm로 가늘어 췌관이 확장되어 있을 때 안으로 삽입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리고 직접 췌석을 보면서 전기수압쇄석술(EHL)이나 레이저 유도 쇄석술(laser lithotripsy)를 시행하며 췌석을 제거해 볼 수 있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SpyGlass™ DS II와 EHL을 이용하여 10 mm 이상의 다발성 췌석을 제거하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4,000원
        119.
        202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optimum supplementation ratio when replacing cotton seed meal with rapeseed meal for cultivating oyster mushrooms. The chemical properties among the treatments were pH 4.5~4.7, total carbon content was 46.3~46.5%, total nitrogen content was 1.6~1.7%, and carbon-nitrogen ratio was 27.0~27.8. These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from the control. Mycelial growth was 85.1 mm (Heuktari), and 72.8 mm (Suhan-1Ho) in medium containing 5% rapeseed meal,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ycelial density between cultivars. Fruiting body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In 'Heuktari', the color of the pileus was darker than control with an L value of 32.5, and pileus thickness and diameter were 3.2 mm and 27.6 mm, respectively. Stipe length and diameter were 86.0 mm and 9.1 mm, respectively. Valid stipe number per bottle (1,100 cc) was 25.9, and a yield of 189.7 g/1,100 cc was recorded in mixed medium containing 5% rapeseed meal (higher than control). In mixed medium containing 10% rapeseed meal, the yield was 184.5 g/1,100 cc (comparable to control). In 'Suhan-1Ho', supplemented with 5% rapeseed meal, pileus color was darker than control color, with an L value of 28.8. Pileus thickness was 4.5 mm. Stipe diameter was 12.3 mm (higher than control), and yield was 145.5 g/1,100 cc (comparable to control).
        4,000원
        120.
        202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iversify the cultivation of mushroom items and develop a competitive variety of Hypsizigus marmoreus. We focused on developing Hypsizigus marmoreus with lower bitterness, likable shape, and high yield. We have collected and tested characteristics of genetic resources from domestic and abroad since 2019. Breeding (2019), characterization (2020), productivity test (2021), and farm demonstration test (2021) have been sequentially conducted. We bred the new variety ‘Yunseul’ with unique traits. The optimal temperature for mycelial and fruit body growth were 22–25oC and 15– 18oC, respectively. It was similar to the control variety (Mangadak-2Ho) in the pileus form (hemispherical shape) and the cultivation period. However, it was thinner and longer than the control variety with the pileus diameter, thickness, stipe diameter, and length being 19.9 mm, 7.0 mm, 9.4 mm, and 86.3 mm, respectively. The effective number of fruit bodies was 47.8 in bottle cultivation, which was more than that of the control variety. The yield was 197.4 g/bottle (1,100 cc), which was 30% higher than the yield of the control variety, 151.9 g/bottle (1,100 cc). The parent and control varieties were also incubated alongside the new variety. The somatic incompatibility line was distinct. The band pattern in the mycelial DNA PCR reaction was different from that of the parent and control varieties, confirming the hybrid species.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