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2

        101.
        1999.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개량식 정치망내에 방류한 체장 30 cm의 부시리, Seriola aureovittata의 유영행동 및 탈출행동을 텔레메트리기법으로 추적하고, 그 결과를 기술한 것이다. 압력센서를 내장한 초음파 핑거를 부착시켜 방류한 시험어의 행동은 장기선 방식의 어군행동 원격감시 시스템을 사용하여 추적하였다. 수신점의 수는 3개였고, 초음파 핑거의 3차원 위치는 쌍곡선위치결정법으로 구한 평면좌표 x, y와 압력센서로 관측한 심도 z를 사용하여 구하였다. 실험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시험어는, 방류직후,15 m 깊이까지 급잠하였다가 수면가까이 부상하는 행동을 보였고, 방류직후부터 5분간 측정한 평균 유영속도는 0.87 m/sec를 나타내었다. 2.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시험어의 유영속도는 점차 느려지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방류후 1시간정도 경과한 때부터는 주로 헛통쪽 비탈그물 부근에서 섬도 1~7 m 에 머물면서 탈출을 시도하는 행동을 보였다. 이 시간대의 평균 유영속도는 0.52 m/sec로 나타났다. 3. 양망을 시작하여 25분정도가 경과하기까지는 시험어가 1단계 비탈그물에서 벗어나 2단계 원통쪽으로 도피하면서 1단계 원통그물의 구석까지 빠른 속도로 왕복하는 수평 유영행동을 보였고, 수직적으로는 심도 20 m 까지 하강하였다가 다시 표층으로 부상하는 행동을 나타내었다. 그 이후 시간에는 양망 중임에도 불구하고 다시 1 단계 비탈그물 부근에 머물면서 헛통쪽으로 탈출하고자하는 행동을 나타내었고, 양망 중에 헛통으로 탈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양망 초기의 평균 유영속도는 양망직전의 유영속도에 비하여 38.5 % 증가한 0.72 m/sec (체장의 2.4 배)였으며, 방류 후 1단계 원통을 탈출할 때까지 측정한 평균 유영속도는 0.67 m/sec로 체장대비 2.2배의 빠르기였다.
        4,000원
        102.
        1999.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국립수산진흥원 소속 부산 851호에 의해 1987~1990년 (4개년)과 1992~1993년 (2개년)의 하계 (7~9월)에 북태평양 (34˚~47˚N, 150˚ E~170˚W)에서 오징어채낚기 (오징어손줄낚시)에 의해 시험조업하여 어획된 6종의 오징어를 대상으로 하여 분석한 오징어종류별 어획수충, 해양환경(수온, 염분) 및 어획률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문어오징어는 아한대영역의 위도 41˚~43˚N 인 71~80m 수층의 수온 6~11℃, 염분 33.2~33.6‰인 해역에서 높은 어획률을 보였다. 2. 갈구리오징어는 아한대영역의 위도 41˚~42˚N인11~20m 수층의 수온 10~12℃, 염분 32.9~33.6‰인 해역에서 높은 어획률을 보였다. 3. 살오징어는 아한대영역 및 이행영역의 위도 40˚ 및 42˚N인 11~20m 수층의 수온 15~18℃,염분 33.6~34.0‰인 해역에서 높은 어획률을 보였다. 4. 빨강오징어는 아한대수렴선 및 이행영역의 위도 39˚~41˚N인 표층~10m 수층의 수온 16~17℃, 염분 33.7~34.4‰인 해역에서 높은 어획률을 보였다. 5. 두줄무늬빨강오징어는 아열대영역의 위도 37˚~39˚N인 11~20m 수층의 수온 18~20℃, 염분 33.8~34.6‰인 해역에서 높은 어획률을 보였다. 6. 노랑점빨강오징어는 아열대영역의 위도 36˚~37˚N인 표층~10m 수층의 수온 24~25℃, 염분 34.2~34.4‰‰ 인 해역에서 높은 어획률을 보였다.
        4,900원
        103.
        1999.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104.
        1998.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accumulate fundamental. data for control of fishes’ behavior at the real fishing ground, the fitness of the numerical model for describing the behavior of fishes was examined by the marine fish. Mullet, Mugil cephalus were used as experimental fishes. The numerical model of fishes’ behavior presented in our earlier paper was modified on the vertical movement of fish school. For the comparision of parameters of the modified numerical model between mullet and rainbow trout, the estimated values of parameters were identified with dimension. The fitness of the modified numerical model was examined by the comparision between experiment and simulation on the several indexes represented by fishes’ swimming characteristics. The obtained result are summarized a follows : 1. The non-dimensional parameter a’ of propulsive force and kb’ of interactive force by the experiment without model net showed a similarity, but the non-dimensional parameter k sub(c’) of schooling force for rainbow trout was lager than one for mullet and the non-dimensional parameter k sub(w’) of repulsive force for mullet was lager than one for rainbow trout. 2. The non-dimensional parameter a’ and k sub(b’) for rainbow trout by the experiment with model net were a little lager than ones for mullet, but non-dimensional parameter k sub(c’) and k sub(w’) for mullet were lager than ones for rainbow trout. 3. The non-dimensional parameter k sub(c’) and k sub(b’) showed the largest and the smallest value among the non-dimensional parameters for rainbow trout and mullet, respectively. 4. The fitness of the modified numerical model was confirmed by means of the compulsion between experiment and simulation on the swimming trajectory of fishes, the mean distance of individual from wall, the mean swimming speed, the mean swimming depth and the mean distance between the nearest individuals. Especially, the similarity of mean swimming depth was improved by using the modified numerical model.
        4,200원
        105.
        1998.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water temperatures and fishing conditions of common squid by the squid angling fishery from June to September in 1993-1995. The condition of the common squid fishing largely depended on the fluctuation of water temperature in the coastal area of Gampo. Monthly mean water temperatures during June m September in 1993 and 1994 were relatively higher than those in 1995 in Gampo area. But the values between July and August in 1995 were about 5℃ lower than those in 1993 and 1995. Coefficients of variation (CV) of water temperature showed the lowest value during July ~ September in 1993, however, the highest value was observed in July and August in 1994. Catch per unit effort (CPUE ; kg/angling) showed a peak with 73.7kg in 1993 when the CV was low. On the other hand, the lowest CPUE of 39.6kg was observed in 1994 when the CV was high. It was concluded that the high stability of water temperatures and the weak strength of cold water have caused the good fishing conditions of common squid.
        4,300원
        106.
        1997.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 나라 남해안 연안에 부설된 소형정치망을 실험 수조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그 의 1/50의 크기로 Tauti의 어구 비교법칙에 따라 모형어구를 제작하여 유향 R(원통에서 헛통방향으로).L(헛통에서 원통방향으로)방향과 각각의 유속에 따라 그물 형상의 변화, 각 뜸의 침하량, 멍줄 장력의 변화 들을 측정, 관찰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그물형상의 변화는 유향 R의 경우 유속 0.2m/sec에서 헛통 끝그물이 조하쪽으로 20mm, 상방으로 10mm 이동어구 전체가 바닥으로부터 부상하였고, 유속 0.6m/sec에서는 원통에서 헛통 까지 거의 일직선을 이루었다. 유향 L의 경우는, 상방으로 18mm 이동하여 어구 전체가 바닥으로부터 부상하였고, 유속 0.5m/sec이상에서는 헛통에서 원통까지 거의 일직선을 이루었다. 2. 긱 뜸의 침하량은 유향 R의 경우 머리뜸은 유속 0.2m/sec부터 서서히 침하하시 시작하여, 유속 0.3m/sec에서는 20mm 정도 침하하고, 유속 0.6m/sec에서는 99mm 정도 침하하였다. 그러나, 끝뜸은 유속 0m/sec부터 0.6m/sce까지 침하하지 않고 약간의 요동만 일으켰다. 유향 L의 경우 끝뜸은 유속 0.1m/sec에서부터 서서히 침하하기 시작하여, 0.2m/sec에서는 5mm정도 침하하였고, 0.6m/sec에서는 108mm 정도 침하하였으며, 0.5m/sec에서 머리뜸만 남기고 어구전체가 수몰되기 시작하였다. 3. 멍줄 장력의 변화는 유향 R의 경우 머리뜸 멍줄에 작용한 장력은 유속 0.1m/sec에서 273.51g이며, 0.6m/sec에서는 1298.40g 정도로 증가하였다. 유향 L의 경우 한쪽 끝뜸줄에 걸리는 장력은 유속 0.1m/sec에서 137.08g이며, 0.6m/sec에서 646.00g 정도로 증가하였다. 멍중 장력의 분포는 유속의 증대와 함게 유향 RL 향 모두 조상측 멍줄에 집중하여 나타났으며, 다른 멍줄에는 현저한 장력의 증가는 관측되지 않았다.되지 않았다.
        4,000원
        107.
        1997.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권현망의 축소, 개량을 전제로 현행 어구를 2/1로 축소하여 해상실험을 행하였다. 실험에서는 양선간격을 100m, 200m, 300m의 3단계로, 예망속도를 0.6k't. 0.9k't, 1.2k't의 3단계로, 변화시켜가며 오비기, 수비, 자루그물, 깔대기 등의 망고를 계측하여 어구의 전개성능을 파악하였으며, 끌줄의 예망장력도 계측하여 어구어법의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예망중 권현망의 날개에서의 망고는 수비에서 순조시 12.0~8.7m, 역조시 10.0~7.0m로 오비기에서 순조시 19.8~8.4m, 역조시 16.3~4.9m로 나타났다. 이들 망고는 예망속도와 양선간격의 증가에 따라 점차 낮아지며, 오비기와 수비에서 각각 정상적인 전개의 16%~66%, 18%~32% 정도를 나타내었다. 2. 자루에서의 망고는 입구에서 순조시 12.8~7.9m, 역조시 9.7~7.4m로, 깔대기에서 순조시 5.1~3.4m, 역조시 5.1~4.4m로 나타났으며, 입구에서의 망고는 정상적인 전개의 57%~98% 정도로 전개되었다. 이때 깔대기 망형상은 원형에 가까우나 예망속도가 저속일 때에 위쪽으로 떠오르는 경향을 보였다. 3. 자루의 형상은 자루뒤끝의 망고가 순조시 9.3~7.1m, 역조시 8.8~7.4m로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 자루뒤끝이 크게 끌어 올려지는 현상이 나타났으나, 이 현상은 예망속도가 느릴수록 양선간격이 좁을수록 더 두드러졌다. 4. 예망장력은 순조시 648~2,716kg, 역조시 1,050~6,010kg으로 나타났으며, 예망속도가 예망장력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어구의 예망수층은 예망속도 및 양선간격이 증가할수록 안정되며, 예망속도가 느리고 양선간격이 좁을수록 불안정하여 자루뒤끝이 들리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4,600원
        108.
        1997.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 남해안의 거제도 도장포와 남해군 미조면에 설치되어 있는 수심 20m해역의 중형 정치망어구를 대상으로 길그물 및 통그물의 어군수도기능과 원통그물의 어군체유효과 등을 현장 실험을 통해 검토, 분석하였다. 어류에 Tag를 부착하고 통그물의 각부와 길그물의 주변에 방류 시켜 다음 양망과정에서 재포하였으며, 본 실험을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정치망의 헛통에서 방류하여 양쪽 원통 안으로 들어가 재포된 입망률은 소형 고등어가 20.3%, 소형 전갱이는 16.2%, 감성돔은 10.3%, 꼬치고기는 19.1%, 학공치는 16.3%, 전어는 20.0%였으며, 전체 방류미수 667마리 중에서 115마리로 17.2%였다. 2. 양쪽 원통에서 방류하여 다시 그 원통그물내에서 재포된 잔류율은 소형 고등어가 21.7%, 소형 전갱이는 21.5% 감성돔은 6.7%, 꼬치고기는 17.8% 학공치는 16.8% 전어는 19.1%를 나타냈으며, 전체 방류이수 1,513마리 중에서 284마리로 18.8%였다. 그리고 81.2%는 원통그물로부터 빠져나갔다. 3. 창문으로부터 25m거리의 길그물 양측 지점에서 방류하여 헛통으로 들어간 비율, 즉 길그물의 수도율은 소형 고등어가 58.9%, 소형 전갱이는 74.6%, 감성돔은 38.0%, 꼬치고기는 54.7% 학꽁치는 58.6%, 전어는 54.5%였으며, 총방류미수 1,086마리 중에서 627.4마리로 평균 57.8%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소형 고등어, 소형 전갱이, 꼬치고기, 학공치 및 전어는 길그물의 차단수도교과가 크게 작용하는 어종으로 나타났다. 4. 꼬치고기, 학공치, 전어는 조상측의 원통그물에 많이 입망되었고, 소형 전갱이와 감성돔은 조하측 원통그물에서 많이 입망되었다. 5. 소형 고등어와 소형 전갱이는 조하측 원통그물에서 잔류율이 높았고, 감성돔, 꼬치고기 및 학공치는 조상측 원통그물에서 잔류율이 높았다.
        4,000원
        109.
        1996.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원양 다랭이 연승 어업의 어획량을 데이터 베이스 처리하여 합리적인 조업 계획의 수립과 어장 선정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 하고자 하였다. 어획량 자료는 국립수산진흥원에서 발행한 '75~'92년의 18년 간의 12종의 다랭이 및 새치류의 통계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데이터 베이스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은 Quick basic으로 작성하였다. 데이터 베이스 프로그램은 구획별 조획율을 어장도에 나타내는 프로그램, 어획 마리수를 이용한 그래프 및 도표의 작성 프로그램, 그리고 어장평가 지수를 나타내는 프로그램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1)연도구간별 어장도에서 보면, 조획율은 연도가 경과함에 따라 전반적으로 점차 낮아지는 경향이 나타났고 인도양은 그러한 현상이 두드러졌다. 또한 황다랭이의 조획율은 적도 부근의 서부 태평양에서 눈다랭이의 조획율은 동부 태평양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조획율이 높게 나타난 해역은 과거의 인도양, 대서양에서 태평양으로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2)전 해역에서 황다랭이와 눈다랭이의 어획량 변동 패턴은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12개 어장구역별 어획량은 태평양 북서 해역이 가장 부진하고, 인도양 서부, 태평양 서부 저위도 해역이 가장 좋았다. 3)어장 가치를 평가하는 시뮬레이션에서 12개 어장구역 중 경제성이 높은 어장은 태평양 저위도 해역의 서부, 중부, 동부, 인도양의 서부, 동부, 그리고 대서양 순으로 나타났으며, 북미대륙 서부역이 중간정도, 나머지 해역은 경제성이 낮은 어장으로 나타났다. 4)본 데이터 베이스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방대한 어획량 자료를 분석하여 시기별, 위치별의 어종 및 어획량을 검토하고 어장 평가 시뮬레이션을 실시함으로써 경제성 있는 어장 선정 및 탐색을 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4,900원
        110.
        199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 800 ps급 쌍끌이 저인망어선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덴마크에서 이미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사용하고 있는 쌍끌이 중층 트롤 어구를 Tauti의 어구비교법칙과 예인수조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1/30의 크기로 축소 제작하여, 이 모형어구에 대한 기본 성능을 알아보기 위해 예인속도 0.46~1.15m/sec(실물환산 2~5k't), weight 142g(실물환산 640kg)에 Front weight 15.5~62.0g(실물환산 70~280kg) 및 양선간격 5~8m(실물환산 150~240m)의 변화에 따른 모형어구의 망고, 망폭, 예인장력, 예망수축 등을 측정 분석하여 실물로 환산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망고는 예인속도 2k't, Front weight 280kg, 양선간격 150m 일 때 32m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예인속도 5k't, Front weight 70kg, 양선간격 240m 일 때 6m로 낮게 나타났다. 2. 망폭은 예인속도 5k't, Front weight 70kg, 양선간격 240m 일 때 45m로 가장 넓게 나타났으며, 예인속도 2k't, Front weight 280kg, 양선간격 150m 일 때 33m로 가장 좁게 나타났다. 3. 예인장력은 예인속도 5k't, Front weight 280kg, 양선간격 240m일 때 10,000kg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예인속도 2k't, Front weight 70kg, 양선간격 150m 일 때 1,600kg로 가장 작게 나타났다. 4. 어구의 예망수층은 예인속도 2k't, Front weight 280kg, 양선간격 150m 일 때 38m로 가장 깊게 나타났으며, 예인속도 5k't, Front weight 70kg, 양선간격 240m 일 때 6m로 가장 얕게 나타났다. 5. 어구의 망구면적은 예인속도 2k't, Front weight 280kg, 양선간격 180m 일 때 1,100m 상(2)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예인속도 5k't, Front weight 70kg, 양선간격 240m 일 때 250m 상(2)로 가장 작게 나타났다
        4,300원
        111.
        199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북 연안 정치망어업의 어획량 변동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 1985~1989 연간 총 11통의 표본어장의 어획자료로부터 연도별, 월별, 지역별, 어종별, CPUE(1양망당 어획량), 어종조성 및 각 어장별 주요어종의 출현시기 및 해황 특징 등에 관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CPUE 변동은 연도별로 보면, 변동폭이 매우 크고 대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고, 지역별로는 죽변 지역이 높고 나머지 지역은 낮았다. 월별로 보면, 전체적으로는 8~11월이 높게 나타났고, 지역별로는 주변, 강구는 8~11월, 축산, 감포는 9~11월, 후포는 8~12월이 높게 나타났다. 연도별 CPUE 변동은 연도별로는 쥐치, 고등어, 참다랭이, 조피볼락, 방어는 감소 추세에 있고, 정어리, 전갱이, 청어는 증가 추세에 있으며, 오징어는 안정을 유지하면서 증가하는 경향에 있고, 갑오징어는 1987년 이후 낮은 수준에서 안정된 경향을 보였다. 월별로는 고등어, 전갱이, 참다랭이, 방어, 조피볼락은 9~10월, 쥐치와 오징어는 11~1월, 정어리는 4~5월, 청어는 3월, 갑오징어는 4월이 높게 나타났다. 연도별로 출현하는 주요어종의 어군크기는 1985년~1989년 전체적으로 볼 때 쥐치, 정어리, 전갱이, 고등어, 오징어, 참다랭이, 방어의 순 이였고, 연도별로는 1985년 쥐치, 1986년 정어리, 1987년에는 전갱이, 1988년에는 쥐치, 1989년에는 정어리가, 월별로는 1~7월까지는 정어리가, 8~10월에는 정어리, 고등어가, 그리고 11~12월에는 쥐치가 수위를 차지하고 있었다. 어종별 출현시기를 감포와 죽변 지역을 비교해 볼 때, 쥐치, 고등어, 오징어, 참다랭이, 갑오징어는 죽변 지역이 다소 빠르게 나타나고, 고등어와 방어는 감포 지역이 빠르게 나타났다. 특히 정어리의 경우는 출현시기가 약 3개월 차이를 보인 반면, 전갱이와 삼치는 동일한 시기에 출현하였다. 또한 경북 연안 정치망어업에서는 평년에 비해 난류세력이 강하고 수온전선이 연안을 따라 남북으로 길게 형성되는 해에 해황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4,500원
        112.
        199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esh selectivity of diamond and suare mesh cod-ends at the Southern Korean Sea and the East China Sea were compared for Pampus argenteus, Trachurus japonicus, Trichiurus lepturus. Selection trials were carried out using diamond and square mesh cod-end by trouser type cod-end with cover net. of which the mesh cod-end has four types : A(51.2mm), B(70.2mm), C(77.6mm), D(88.0mm). Selection curves and selection parameters were calculated using a logistic model. The results ob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Harvest fish : In B. C and D type selection range and fifty percent selection length of the square mesh were about 21mm, 11mm : 12mm, 18mm and 34mm, 5mm higher than those of the diamond mesh, respectively. Selection factor of master curve for the diamond mesh was 1.54 and for the square mesh was 1.68. The optimum mesh size for the diamond mesh was 97.4mm and for the square mesh was 89.3mm, the difference was 8.1mm. 2. Horse mackerel : In A type, selection range was nearly the same for the diamond and the square mesh, but fifty percent selection length of the square mesh was 43mm higher than the diamond mesh. In B. C and D type, selection range and fifty percent selection length of the square mesh were about 6mm, 3mm : 24mm, 21mm and 11mm, 42mm higher than those of the diamond mesh, respectively. Selection factor of master curve for the diamond mesh was 2.37, for the square mesh was 2.77. The optimum mesh size for the diamond mesh was 78.1mm and for the square mesh was 66.8mm, the difference was 11.3mm. 3. Hair tail : In A, B and C type, selection range of the square mesh was about 34mm, 8mm, 60mm higher than those of the diamond mesh. Fifty percent selection length for the diamond mesh was about 5mm, 7mm, 8mm higher than that of the square mesh. Selection factor of master curve for the diamond mesh was 3.11, for the square mesh was 3.48. The optimum mesh size for the diamond mesh was 64.3mm and for the square mesh was 57.5mm, the difference was 6.8mm.
        4,000원
        113.
        199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esh selection analysis for the trawl net were carried out at the Southern Korean Sea and the East China Sea during the 1992-1994 years by the training ship Seabada of the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using A type (51.2mm), B type (70.2mm), C type (77.6mm), D type (88.0mm) square mesh cod-ends. The fishing trials were made using bottom trawl of the trouser type cod-end with cover net. Selection curves and selection parameters were calculated by a logistic model for Sphyraena pinguis, Pampus argenteus, Trachurus japonicus, Pagrus major, Callanthias japonicus, Trichiurus lepturus.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Red barracuda : Selection range and fifty percent selection length in the A type was 115.8mm, 292.8mm, respectively. 2. Harvest fish : Each selection range and fifty percent selection length in the B. C. and D type was 37.7mm, 113.8mm : 40.1mm, 131.7mm and 64.8mm, 148.6mm, respectively. Selection parameters of master curve were : slope, 3.81 : intercept, -6.4. Optimum mesh size was 89.3mm. 3. Horse mackerel : Each selection range and fifty percent selection length in the A, B, C and D type was 43.0mm, 148.3mm : 60.7mm, 183.2mm, 214.5mm and 91.4mm, 254.9mm, respectively. Selection parameters of master curve were : slope 2.30 : intercept, -6.4. Optimum mesh size was 66.8mm. 4. Red seabrem : Selection range and fifty percent selection length in the D type was 42.7mm, 203.4mm, respectively. 5. Yellowsail red bass : Selection range and fifty percent selection length in the A type was 84.0mm, 110.6mm, respectively. 6. Hair tail : Each selection range and fifty percent selection length in the A, B and C type was 59.7mm, 176.0mm : 100.9mm, 250.7mm and 178.6mm, 307.0mm, respectively. Selection parameters of master curve were : slope, 1.54 : intercept, -5.4. Optimum mesh size was 57.5mm
        4,200원
        114.
        199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estimate the optimum harvesting mesh size of multispecies, the 24 species of catching data which were taken by fishing trial of trawl gear in Korean Southern Coast and East China Sea during 1991-1993 year were grouped and divided by the Cluster analysis method, considering first maturity length and body width, body height, body girth based on the first maturity length. With the same method, the above groups were subdivided by the potential escape such as possible escape index, range factor and selection factor. In case of the species devoid of selection parameters, these species were first subdivided by the use of possible escape index and length range factor. Next, the optimum harvesting mesh size of multispecies was properly classified according to the optimal mesh size of a fish estimated by first maturity length against selection factor.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Each optimum harvesting mesh size of Psenopsis anomala, Priacanthus macra-canthus, Trachurus japonicus, Argyrosomus argentatus was 71.1-79.5mm, and Saurida undosquamis was 65.5mm. 2. Each optimum harvesting mesh size of Scomber japonicus, Pseudosciaena crosea, Pseudosciaena Polyactis, Sebastes thompsoni, Doderleinia berycoides was 78.5-85.6mm, and Bembras japonicus, Sphyraena pinguis was 48.4-51.3mm. 3. Each optimum harvesting mesh size of Zeus faber, Pampus argenteus, Zenopsis nebulosan was 118.4-124.1mm, and Caranx equula was 91.4mm, and Thamnaconus modestus was 131.2mm, and Pagrus major was 149.4mm. 4. Each optimum harvesting mesh size of Upeneus bensasi, Callanthias japonicus, Sardinops melanosticata, Konosirus punctatus was 36.8-42.8mm, and Acropoma japonicum was 21.2mm, and Apogon lineatus was 26.3mm.
        4,200원
        115.
        199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fishing experiment was carried out by the training ship Saebada in order to analyse the mesh selectivity for trawl cod-end, in the Southern Korea Sea and the East China Sea from June. 1991 through August, 1992. The trawl cod-end used in this experiment has the trouser type of cod-end with cover net. and the mesh selectivity was examined for the five kinds of the opening of mesh in its cod-end part. A total of 163 hauls, of which having mesh size 51.2mm ; A 89, 70.2mm ; B 54, 77.6mm ; C 55, 88.0mm ; D 52 and 111.3mm ; E 20 were used respectively. Selection curves and selection parameters were calculated by using a logistic function, S=1/(1+exp super(-(aL+b)) ). The mesh election master curves were estimated by S=1/(1+exp super(-[a(L/M)+β]) ). and the optimum mesh size were calculated with (L/M) sub(50) of master curve. In these cases 'a' and 'α' are slope, 'b' and 'β' are intercept. 'L' is body length of the target species of fishes, 'M' is the mesh size, and 'S' denotes mesh selectivity. In this report, the four species of compressed form fishes were taken analized according to fish shape, and 'S' denotes mesh selectivity. In this report, the four species of compressed form fishes were taken analized according to fish shape, and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Red seabream Pagrus major(Temminct et Schlegel) and yellow porgy Dentex tumifrons(Temminct et Schlegel) ; Selection rate in each mesh size of A, B, C, D and E were 99.7%, 97.5%, 91.4%, 76.7% and 57.8% respectively. Selection parameters 'a' and 'b' of mesh sizes C, D and E were 2.65 and -28.62, 4.40 and -77.73, 2.31 and -46.99, and their selection factors were 1.39, 2.10, 1.83 respectively. Selection parameters of master curve 'α' and 'β' were 3.05 and -5.65 respectively, and (L/M) sub(50) was 1.85. The optimum mesh size of Red seabream was 141mm. 2. Filefish Thamnaconus modestus (Gunther) ; Selection rate in each mesh size of A, B, C, D and E were 99.6%, 98.3%, 91.2%, 80.0% and 48.6% respectively. Selection parameters 'a' and 'b' of mesh sizes C, D and E were 5.82 and -55.10, 2.92 and -36.90, 3.91 and -63.09, and their selection factors were 1.35, 1.44, 1.45 respectively. Selection parameters of master curve 'α' and 'β' were 3.02 and -4.32 respectively, and (L/M) sub(50) was 1.43. The optimum mesh size was 129mm. 3. Target dory Zeus faber Valenciennes ; Selection rate in each mesh size of A, B, C, D and E were 99.7%, 100%, 83.2%, 91.6% and 65.0% respectively. Selection parameters 'a' and 'b' of mesh sizes C, D and E were 3.85 and -32.46, 4.19 and -57.38, 2.45 and -40.03, and their selection factors were 1.09, 1.56, 1.47 respectively. Selection parameters of master curve 'α' and 'β' were 2.64 and -3.53 respectively, and (L/M) sub(50) was 1.34. The optimum mesh size was 127mm. 4. Butterfish Psenopsis anomala (Temminct et Schlegel) ; Selection rate in each mesh size of A, B, C, D and E were 99.2%, 34.1%, 46.5%, 14.3% and 2.4% respectively. Selection parameters 'a' and 'b' of mesh sizes B, C and D were 5.35 and -71.70, 5.07 and -69.25, 3.31 and -62.06 and their selection factors were 1.91, 1.75, 2.13 respectively. Selection parameters of master curve 'α' and 'β' were 3.16 and -6.24 respectively, and (L/M) sub(50) was 1.98. The optimum mesh size was 71mm.
        4,500원
        116.
        199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estimate the mesh selectivity master curves and the optimum mesh size, experiments were made by the cover net method with the cod-ends of the five different the opening mesh sizes(51.2mm, 70.2mm, 77.6mm, 88.0mm and 111.3mm). After that 163 hauling were performed and there by investigated, on the training vessel Saebada in the Southern Korean Sea and East China Sea from June 1991 to August 1992. In this report, the mesh selectivity master curves were fitted by using logistic function(S=1/(1+exp super(-(aR+b))), R=(L-L sub(0))/(M-M sub(0)) and the optimum mesh sizes were estimated from each master curve. In this case, a and b are the selection parameters, M is the mesh size of each experimental cod-end. L is body length, L sub(0) and M sub(0) is the distance from the coordinate origine to intersection of linear regression between 25% and 50% selection length.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rachurus japonicus: Mesh selectivity master curve parameters: a and b were 2. 25, -4.73 respectively and optimum mesh size was estimated to be 79.3mm. 2. Trichiurus lepturus: Mesh selectivity master curve parameters: a and b were 0.81, -3.17 respectively and optimum mesh size was estimated to be 64.5mm. 3. Photololigo edulis: Mesh selectivity master curve parameters: a and b were 1.30m, -4.10 respectively and optimum mesh size was estimated to be 89.9mm. 4. Todarodes pacificus: Mesh selectivity master curve parameters: a and b were 1. 35, -3.45 respectively and optimum mesh size was estimated to be 89.4mm.
        4,000원
        118.
        199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analyse the mesh selectivity for the trawl net, the fishing experiment was carried out by the training ship Saebada in the southern Korea Sea and the East China Sea from June 1991 to August 1992. The trawl net used in experiment has the trouser type of cod-end with cover net, and the mesh selectivity was examined for the five kinds of the opening mesh size in its cod-end part. The selection curves and the selection parameters were calculated by using a logistic function, S=1/(1+exp super(-(aL+b))), and in this case, a and b are the selection parameters and L is the body length of the target species of fishes. In this report, the four species of aquatic animals were analysed because the catch data were enough to calculate normally the selection curves and the selection parameters, and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rachurus japonicus; Selection parameters a and b in each cases of the opening mesh size of 51.2mm, 70.2mm, 77.6mm, 88.0mm and 111.3mm were respectively 0.5050 and -5.4283, 0.3018 and -4.9590, 0.3816 and -7.3659, 0.2695 and -5.7958, 0.2170 and -5.1226. 2. Photololigo edulis ; Selection Parameters a and b in each cases of the former mesh sizes were respectively 0.7394 and -6.1433, 0.3389 and -4.2366, 0.3286 and -5.1002, 0.2543 and -5.0049, 0.1795 and -4.8040. 3. Trichirus lepturus; Selection curves in the opening mesh size of 111.3mm was calculated unnormally. The selection parameters in the other opening mesh sizes were respectively 0.3790 and -5.2891, 0.2071 and -4.9164, 0.1292 and -3.1733, 0.1153 and -3.8497 in the order of former mesh sizes except 111.3mm. 4. Todarodes pacificus ; Selection curve in case of the opening mesh sizes, 70.2mm and 111.3mm were calculated unnormally. In the order cases of the opening mesh sizes, the selection parameters were respectively were 0.5766 and -6.0169, 0.3735 and -5.4633, 0.2771 and -5.7718 in the order of former mesh sizes except 70.2mm and 111.3mm.
        4,000원
        119.
        199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analyse the mesh selectivity for the trawl net, the fishing experiment was carried out by the training ship Saebada belonging to the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in the Southern Korea Sea and the East China Sea from June 1991 to August 1992. The trawl net used in the experiment has the trouser type of cod-end with cover net and the mesh selectivity in the cod-end part. In this report, the species of fishes caught and the catch rate for them in accordance with different mesh sizes were analysed, and the result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145 species of aquatic animals were caught in totally 138 times of trawl operations. 2) The number of species mostly not to escape are 28, 22, 19, 16 and 11 respectively, in each opening mesh size, 51.2mm, 70.2mm, 77.6mm, 88.0mm and 111.3mm of cod-end. 3) In view that the use of the opening mesh size above 54mm in cod-end of trawl net in Korea, it is necessary to device a counterplan against the overfishing, for the 22 species of aquatic animals mostly not to escape in the cod-end of the large mesh sizes more than 70.2mm.
        4,200원
        120.
        199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establish one of the forecasting model for the fishing conditions of squid angling fisheries in the Eastern Korea Sea, the catch data for the years of 1955~1991 and the water temperature data for the years of 1979~1990 were analysed, and then some parameters, that is, the water temperature normal year anomaly in the spawning and the rapidly growing season, the adult resource amount and etc were examined statistically correlation with the catch fluctuation of the main fishing seasons. From the result, authors suggested a formula as a forecasting model, Y=25785+1099X sub(1)+1074X sub(2)+6.033X sub(3)+3.95X sub(4)+1.330X sub(5)(M/T)(R super(2)=0.867, P<0.01) in the case that Y is the yearly catch, X sub(1) and X sub(2) are the water temperature normal year anomalies in October and December of the previous year and that in February and April, and X sub(3), X sub(4) and X sub(5) are the catches in October, in September, in November of previous year respectively. Because these parameters could be checked in earlier time of a half year before the main fishing season, this model was assumed to be very useful for the prediction of fishing conditions of squid angling fisheries.
        4,000원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