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54

        124.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ip external rotation angle on pelvis and lower limb muscle activity during prone hip extension. Sixteen healthy men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Each subject performed an abdominal drawing-in maneuver (ADIM) in a prone position, and extended the dominant hip at three different hip external rotation angles (0°, 20°, 40°) with a 30° hip joint abduction. Activity of the gluteus maximus (G Max), gluteus medius (G Med), and hamstring (HAM) and the G Max/HAM and G Med/HAM ratios were determined with surface electromyography (EMG). The EMG signal was normalized to 100% maximum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s (MVICs) and expressed as %MVIC. Data were analyzed by one-way repeated analysis of variance (alpha level=.05) and the Bonferroni post hoc test. Significant differences in G Max and G Med muscle activity were noted among the three different hip external rotation angles. G Max muscle activity increased significantly at both 40° (p=.006) and 20° (p=.010) compared to a 0° hip external rotation angle. G Med muscle activity increased significantly at 20° (p=.013) compared to a 40° hip external rotation angle. The G Max/HAM activity ratio increased significantly at both 40° (p=.004) and 20° (p=.014) compared to a 0° hip external rotation angle. The G Med/HAM activity ratio increased significantly at 20° (p=.013) compared to a 40° hip external rotation angle. In conclusion, 40° and 20° hip external rotation angles are recommended to increase G Max activity, and 20° hip external rotation is advocated to enhance G Med muscle activity during prone hip extension with ADIM and 30° hip abduction in healthy subjects.
        4,000원
        125.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mall yellow croaker is one of the important stocks in Korean waters. In this study, we conducted sea trials to estimate optimum height of a drift gill net for effective fishing of small yellow croaker. In the trial using existing net which has 9.2m in height, there was 22 species (1,180 fishes, 99.9kg) caught. The catch (in individuals) of small yellow croaker, especially larger fishes (over 22cm in FL), was higher as part of net height is higher, while the number of species bycaught and the catch of those species were higher as part of net height is lower. In the trial using extension net which has 18.4m in height, there was 27 species (2,030 fishes, 151.7kg). It showed same pattern with existing net in the section I to III, however, in the section IV which is over 13.8m of net height, the catch sharply decreased. The number of species bycaught and the catch of those species using extension net were also same as results using existing net. It showed that section III (9.2-13.8m) where is upper-middle part of the net has caught most of catch and large fishes having over 22cm in length. Through these results, it is judged that the setting depth of the net where is 4.6-13.8m above the sea bottom is the best to reduce bycatch and catch much more large size fishes, and the catch per net is proportional to filtering area of net. Therefore the Fisheries Resource Management Act (the clause 1, article 10) on the amount of usage for offshore drift gill net need to be considered not only length of a net but also net height.
        4,000원
        126.
        2014.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금강 하구역의 부유사 변동과 퇴적물의 상호연관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그 기작을 규명하기 위하여 현장조사 및 수치실험을 수행하고 최종적으로 금강하구의 퇴적물 분포 및 이동 패턴 특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1) 대조기 평균 부유사농도는 PC4를 제외한 모든 정점에서 하구둑 방류에 의한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동계에는 PC3과 PC5에서 다른 정점에 비해 높게 나타나며, 이는 파랑과 방류량에 의해 발생된 부유사가 장항항 진입항로에서..
        3,000원
        131.
        201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carotid artery calcification (CAC) on panoramic radiograph and intima-media thickeness (IMT) measured on ultrasound. Panoramic radiographs which were taken from dental patients aged 50 years and older who visited for dental treatment were screened for the presence of CAC. The study group was composed of seven patients (four males and three females, average age 74.4±4.2 yrs) with CAC detected on panoramic radiographs, and the control group eleven patients (seven males and four females, average age 64.5±10.1 yrs) without CAC. All the patients underwent carotid ultrasonography to measure carotid IMT. The IMT was compared between the groups by nonparametric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The range of IMT of the study group was 1.10~2.0 mm, while that of the control group 0.60~1.10 mm. The mean of IMT was 1.50±0.34 mm in the study group and 0.85±0.14 mm in the control group, a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p<.01). In conclusion, CAC detected on panoramic radiograph might have an association with atherosclerosis
        4,000원
        132.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경상남도 밀양시 3개 면 10개 리 71동의 고추 시설재배지에서 토양을 채집, 선충을 분리하여 토양 내 선충의 밀도 분석 및 종 분류를 실시하여 비교하였다. 밀양 지역의 고추 시설재배지는 연작 기간이 짧게는 2년에서 길게는 20년 고추 재배만을 실시한 지역으로 평균 토양 300cm3당 뿌리혹 선충이 48마리로 경제적 피해 수준이 낮은 선충의 경우 심각한 수준이었으며, 검출율은 56%로 기 보고된 타 작물재배지의 검출율보다 높게 나타났다. 지역별 식물기생선충의 밀도는 무안면 중산리, 부북면 덕곡리, 무안면 모로리, 무안면 무안리, 무안면 사포리, 무안면 고라리, 상남면 오산리, 무안면 연상리, 무안면 내진리, 무안면 정곡리 순으로 나타났다. 이 중 1개의 시설재배지 토양에서 토양 300cm3 당 426마리가 검출되었다. 무안면 고라리 시설재배지에서는 참선충의 밀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무안면 모로리에서는 위축선충류가 발견되었다. 토양의 채취는 1-3월 중 채취한 것으로 생육발달도와 토양온도가 높아지는 6월 중 밀도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보이며, 식물기생선충에 대한 고추 저항성 품종 개발 및 방제가 시급하다.
        133.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내 콩 재배 품종에 대한 선충 저항성 분석 및 국내외 유전자원 수집과 분석을 통하여 콩 씨스트 선충 피해 경감과 씨스트 선충 저항성 품종 육성 자료로 활용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국내 콩 재배품종인 75개의 자원에 대한 저항성 분석 결과 번식이 가장 적었던 품종은 장엽콩이며, 장엽콩, 새알콩, 밀양콩, 만수콩 등 4품종은 중간저항성을 나타냈으며, 알찬콩 등 33품종은 중간감수성을, 38품종은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기 보고된 콩 씨스트 선충 유전자(rhg1, rhg2, rhg3, Rhg4)를 이용한 분자생물학적 분석을 통하여 국내 품종 10품종과 HG-type에 이용되는 Lee74를 포함한 8가지 품종을 이용한 분석 결과 유전자의 유무차이가 아닌 것으로 나타났으며, sequence분석 결과 SNP차이를 확인하였고 단백질 분석 결과 rhg1 gene의 Leucine Rich Region(LRR) domain 부근에서 감수성과 저항성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콩 씨스트 선충 저항성 유전자인 rhg1의 경우 감수성에서 나타나는 차이가 3가지(H474R, R475K, K476N)가 있으며, rhg2의 경우 감수성에서 나타나는 3가지(I114F, I266N, P277L) 및 저항성에서 다르게 나타나는 2개의 G281S와 S292C 단백질 발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콩 씨스트 선충 저항성 품종과 감수성품종 구분을 위한 marker로 활용 가능한 primer를 작성하였고 콩 씨스트 선충 저항성 품종 육성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134.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시설하우스에서 비점오염원으로 인해 배출되는 오염된 농업배수를 인공습지에서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인공습지에서 여재종류, 조합방법 및 부하량에 따른 오염물질 정화효율을 평가하였다. 인공습지의 조합방법은 수직-수평흐름조, 수평-수직흐름조, 수평-수직-수평흐름조 및 수직-수평-수평흐름조로 구분하여 설계 및 시공하였으며, 여재는 왕사, 쇄석, 방해석 및 혼합여재로 구분하여 각 조에 충진하였다. 또한 농업배수 부하량을 150, 300, 600 L m-2 day-1으로 달리하여 오염물질의 처리효율을 조사하였다. 조합방법별 수처리효율은 HF-VF-HF 조합방법이 다른 조합방법에 비해 높은 처리효율을 보였으며, 최적여재는 COD 처리효율은 왕사가 가장 높았고, T-N은 쇄석, T-P는 방해석이 가장 높았다. 하지만 모든 처리효율과 경제성 부분을 고려하였을 때 최적여재는 혼합여재가 가장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농업배수의 부하량에 따른 처리효율 결과 COD는 농업배수 부하량 600 L m-2 day-1까지 안정적인 처리효율을 보였으나, T-N 및 T-P는 150 L m-2 day-1≒300 L m-2 day-1¤600 L m-2 day-1의 순으로 농업배수의 부하량이 증가함에 따라 약간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따라서 시설하우스 농업배수 처리를 위한 인공습지 농업배수처리장의 최적조건은 HF-VH-HF 조합형 인공습지에 왕사, 쇄석 및 방해석이 혼합된 혼합여재로 충진하고 부하량 300 L m-2 day-1 이하의 농업배수를 주입하는 것이 최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4,200원
        135.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남조류는 겨울철에 휴면포자의 형태로 퇴적층에서 존재하다가 적합한 환경조건이 되었을 때 다시 영양세포로 전환된다. 이렇게 전환된 영양세포는 성장에 적합한 환경이 되었을 때 대량증식 하게 되어 수체 내에서 우점한다. 이전까지의 국내 대부분의 연구는 수체 내 영양세포의 변동과 환경인자와의 관계 또는 영양세포에 대한 생리생태적 연구부분에 국한되었다. 하지만, 휴면포자에서 영양세포로 진행되는 부분에 대한 연구가 조류대량증식의 궁극적인 기작이 되므로 휴면포자에 대한 연구는 조류의 생활사를 이해하는 데에도 매우 중요하다. 또한 다른 조류들간의 변동 및 천이의 연구를 위해서도 필수적이다.
        4,300원
        136.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노사관계에서 중요한 현상으로 제기되는 이중몰입에 관해서는 크게 영향, 원인, 방법론적 이슈 등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다. 이중몰입의 영향이 다양하다는 것은 기존연구에서 알려졌으나, 조절효과에 대해서는 별로 연구되지 않았다. 또한 이중몰입에 대한 설명력을 제고하는데 필요한 것으로서, 개인의 특성을 고려한 연구가 거의 없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조합원의 중요한 성격과 태도인 권위주의성격과 그들과우리태도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중몰입관련 조절효과에 관한 기존연구의 결과가 별로 없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탐색적 연구(exploratory study)이다. 이중몰입이 노조관련행동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권위주의성격과 그들과우리태도가 조절하는가를 보기 위하여 관련 문헌들을 검토하여 개념과 연구동향을 정리하는 개념적 연구를 바탕으로 경험적 연구로서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실증연구로서, 부산지역의 민주노총 조합원 425부를 대상으로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실증연구의 결과로서, 이중몰입이 높을수록 노조관련행동지향성이 높게 나타난 가운데, 이중몰입이 노조관련행동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권위주의성격은 부(-)적으로 조절하고 그들과우리태도는 정(+)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의 시사점을 들자면, 첫째, 개인특성의 조절효과를 본 연구가 탐색적으로 실증하였다는 점에서 향후 이에 대한 이론적 설명작업이 수행되어야 하며, 더 많은 개인특성의 조절효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권위주의성격과 관련하여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높은 조합원이 바람직하고 노조의 입장에서는 그 반대임을 시사하므로, 채용과 민주관련 운영ㆍ교육ㆍ기회제공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그들과우리태도와 관련하여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낮은 조합원이 바람직함을 시사하며 노조의 입장에서는 그 반대임을 시사하므로 회사나 노조에서의 초기사회화, 교육 및 경험에 의한 지각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5,500원
        137.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연승 수하식 양식시설의 파랑 중 해조류의 꼬임 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연승줄의 간격, 계류 블록의 이동에 따른 양식장 형상변화 등을 수리모형실험을 통해 검토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로부터 해조류의 꼬임현상은 연승간격이 감소함에 따라 낮은 파고에서도 발생하였으며, 연승줄 간격이 클수록 보다 큰 파랑조건에서도 해조류 꼬임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였다. 이는 해조류의 꼬임 현상은 연승간격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음을 나타낸다. 또한 블록 중량 및 주기가 길어짐에 따라 전체적으로 계류블록이 이동하기 시작한 임계파고가 커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입사파랑 조건과 계류 블록 중량을 달리한 실험결과로부터 전면 블록 중량이 3.0 ton에서 8.0 ton으로 증가함에 따라 안정성이 크게 확보되는 결과를, 반대로 후면에서는 블록의 거동이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이때 전면 계류삭의 최대 장력은 약 3.0 ton/m을 나타내었다.
        4,000원
        138.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리만족권역은 2012년 농림축산식품부의 권역단위 종합정비사업계획 수립의 시범지역이며 즐거운 교육을 품은 건강한 마을 만들기의 목표를 가지고 기능별 공간구상을 중심으로 계획되었다. 권역은 대리와 호암리이며 쌀, 고구마, 고추, 율무 등이 산업의 중심을 형성하고 있다. 기본적인 공간개발의 방향은 도농교류, 교육과 문화체험을 위한 시설을 배치하여 교육을 품은 건강한 마을만들기를 주축으로 하고 있다. 주요 내용으로 기초생활기반은 도농교류센터와 독거노인 공동홈조성, 지역소득증대는 농산물 저장고와 농촌유학센터, 지역경관개선은 진입로 개선, 안내판 설치, 쉼터조성, 둘레길 조성 등이 계획되어 있다. 이러한 기능별 공간구상은 지역주민들에게 삶의 질을 높여줌과 동시에 지역자원을 활용할 경우 지역경제가 활성화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39.
        2013.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일반적인 수산자원조성사업은 인위적인 환경수용력 및 수산자원의 증대를 통해 어장생산성 향상, 수산물의 안정적 공급, 다양한 바다 이용 수요에의 대응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중 대표적인 자원조성사업중의 하나가 인공어초어장 조성이다. 인공어초를 이용한 어장의 자원량 생산성은 어초의 구조형태, 시설높이, 시설량, 배치형태, 어초 간의 거리 등 많은 요인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관점에서 최근 인공어초어장 조성을 위해 일반어초로 선정된 인공어초를 대상으로 시설기준 및 현실태를 살펴보고 그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해석방법을 고찰하였다.
        4,000원
        140.
        2013.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oastal environment of Thailand provided an important for distribution, production and many other aspects of coastal ecosystem s. The climate change, rapid economic development, human activity such as agriculture, aquaculture and industrial along coas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