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57

        121.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recognize that the interest about construction safety and disaster increases, and check the status of current research about construction safety. And we obtain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es and implications for development. For this study, we analyzed the published researches in the last 11 years about construction safety, and addressed annual trends and research topics for a lot of construction safety research. And the future prospects of construction safety research were analyzed with the latest news articles.
        4,000원
        123.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갈색날개매미충(Ricania sp.)은 2010년 전라북도 순창군 인계면에서 처음 발견 되어 보고된 후 2014년 9월까지 전북 13개시군(무주군 제외)으로 확산되었으며, 산림은 물론 감, 복숭아, 블루베리 등 농작물에서도 피해가 확산되고 있다. 전북지 역 확산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2010년부터 2014년까지 갈색날개매미충 발생자료 를 분석한 결과 전북지역은 2010년 2개시군에서 2014년 13개시군으로 확산속도 가 빨랐고, 산림이 적고 평야가 많은 지역은 낮은 밀도로 원거리 확산이 이루어졌으 나, 산림이 많은 지역은 높은 밀도로 빠르게 확산되는 양상을 보였다. 발생밀도가 높은 전주, 완주를 중심으로 2014년에 기주범위를 조사한 결과 감나무, 단풍나무, 두릅나무, 밤나무, 복숭아나무 등 81종에서 발견되었으며, 목본류 55종과 초본류 26종에서 발견되었다. 특히 감나무에서는 난괴와 약충의 발생이 모두 높았으며, 두 릅나무에서는 난괴가 발견되지 않았고, 약충과 성충의 밀도가 모두 높게 나타났다. 또한 복숭아나무는 난괴의 밀도가 높았으나, 약충의 밀도가 낮아 기주별 발생양상 이 다르게 나타났다. 난괴의 길이는 최소 5 mm에서 최대 58 mm였고, 난괴당 난수 는 4~56개로 나타났으며, 산란가지의 두께는 최소 2.4 mm에서 최대 5.9 mm로 6 mm 이상의 두꺼운 가지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가지의 선단부에서부터의 길이 는 3~184 mm로 1년생 가지의 넓은 범위에 산란이 이루어졌다. 난괴의 평균 길이는 19 mm였으며, 난괴당 평균 난수는 20.9개로 난괴의 길이가 증가할수록 난수도 함 께 증가하였다.
        124.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기후가 온난화되어감에 따라 전북지역에서 콜라비 재배면적이 증가하고 있다. 콜라비는 십자화과 작물로 해충의 발생이 많으며 그중에서 배추좀나방의 발 생과 피해가 크다. 해충 발생의 조기예찰은 방제의사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과정이 며, 신속 정확한 예찰법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페로몬트랩과 황색끈끈이트랩 설 치방법에 따른 배추좀나방의 포획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2014년 5월 8일 전북농 업기술원 시험포장에서 콜라비 묘를 정식하고 페로몬 루어를 델타트랩과 판넬트 랩에 장착하여 지제부위 1m높이에 3반복설치하고, 배추좀나방의 유인 포획효과 를 6월 10일부터 23일까지 7일 간격으로 3회 조사하였다. 또한 황색끈끈이트랩 설 치방법에 따른 포획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황색끈끈이트랩을 지제부로부터 1m 높이에 끈끈이 면이 수직이 되는 설치, 끈끈이 면이 45°경사를 이루는 설치, 끈끈이 면이 수평으로 위로 향하게 한 설치, 끈끈이 면이 수평으로 아래로 향하게 한 설치 를 하여 7일 간격으로 유인효과를 3회 조사하였다. 페로몬트랩 유인효과는 판넬트랩에서는 채집이 되지 않은 반면 델타트랩에서 는 트랩당 0.9마리가 포획되었다. 황색끈끈이트랩에서는 끈끈이 면이 45°경사를 이루는 설치가 트랩당 2.2마리로 가장 많이 포획되었고, 끈끈이 면이 수직으로 한 설치가 2.0마리, 끈끈이 면이 수평으로 위로 향하게 한 처리가 1.8마리, 아래로 향하 게 한 수평처리가 0.2마리였다. 따라서 배추좀나방 예찰을 위한 페로몬트랩은 델타 트랩에 설치하고, 황색끈끈이 트랩은 끈끈이 면이 45°경사를 이루는 설치가 좋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125.
        2014.08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s have been caused by the greenhouse effect due to carbon dioxide(CO2) or nitrogen oxides(NOx) generated by the use of fossil fuels, including oil and liquefied natural gas. Many countries, including our own, the United States, those of the European Union and other developed countries around the world; have shown growing interest in clean energy, and have been concentrating on the development of new energy-saving materials and devices. Typical non-fossil-fuel sources include solar cells, wind power, tidal power, nuclear power, and fuel cells. In particular, organic solar cells(OSCs) have relatively low power-conversion efficiency(PCE) in comparison with inorganic(silicon) based solar cells, compound semiconductor solar cells and the CIGS [Cu(In1-xGax)Se2] thin film solar cells. Recently, organic cell efficiencies greater than 10 % have been obtained by means of the development of new 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which feature improvements in crystalline properties, as well as in the quantum-dot nano-structure of the active layers. In this paper, a brief overview of solar cells in general is presented. In particular, the current development status of the next-generation OSCs including their operation principle, device-manufacturing processes, and improvements in the PCE are described.
        4,000원
        126.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ttractant substances of different solvent fractions of mackerel and tuna viscera. Mackerel and tuna viscera were extracted with methanol and the resultant were fractionated with n-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n-butanol and water. The chemical compounds such as free amino acid, fatty acid, nucleotide related compounds contents were estimated for mackerel, tuna viscera and various fractions. These fractions were also subjected to attracting experiments in water tank to estimate attracting effects. The aqueous fractions of mackerel and tuna viscera showed the highest attraction effect on swimming crab. The major chemical compounds of the aqueous fractions were histidine, taurine, cysteine, glutamic acid, inosine monophosphate (IMP) and inosine (HxR) for mackerel and arginine, glutamic acid, aspartic aid, alanine, IMP and hypoxanthin (Hx). Results indicated that higher polarity compounds, such as amino acid and nucleotide related compounds have higher attraction activities than nonpolar substances such as neutral lipid.
        4,000원
        127.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1톤 용량의 배아미를 생산할 수 있는 중형 배아미 생산시스템의 설계, 개발 그리고 평가를 목표로 하였다. 개발된 배아정미기는 연삭과 마찰의 혼합방식으로 제조되었다. 배아미 생산시스템의 형태는 2대의 직렬 입형 배아정미기로 구성하였으며, 배아부착율, 백도, 싸래기율을 조사하였다. 또한, 연삭식, 마찰식, 연삭과 마찰의 혼합방식에 따라서 각각 배아미의 배아부착율, 백도, 싸래기율도 조사하였다. 본 시스템은 1단계 배아정미기에서는 연삭과 마찰의 혼합방식으로 미강을 깍은 후, 2번째 배아 정미기에서는 쌀의 배아가 떨어지지 않도록 미세 미강을 제거하면서 쌀의 백도를 높이도록 개발되었다. 배아정미기 시작기에서는 축 롤러 부분의 금강석 연삭돌을 3개, 스크린부에는 6개의 연삭돌을 설치하였고, 각각의 정미기 롤러축의 회전속도는 960 rpm과 780 rpm으로 하여 배아 부착율과 백도를 높였다. 그 결과, 약 20%의 배아 부착율을 증가시킬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배아부착율은 현미의 함수율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함수율 15.2±0.1%인 시료로 실험한 결과, 투입량 약 600 kg일 때 배아부착률은 약 70%를 나타내었다. 둘째, 배아미의 백도는 정미기 롤러축의 회전속도 960 rpm 과 780 rpm 조건으로 운전하였을 때 각각 35, 37 백도로 향상시킬 수 있었다. 셋째, 싸래기율은 본 시스템에서 1% 미만으로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연식마찰식 배아정미기를 평가해본 결과 배아부착율, 백도, 싸래기율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었고 30%의 에너지 이용을 절감할 수 있었다.
        4,000원
        128.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전북지역의 돌발해충의 발생현황 조사한 결과, 콩과작물에 피해를 주는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는 4월 하순과 9월 하순에 발생피크를 보였고, 평야부보다 산간부에서 발생이 많았으며, 콩꼬투리혹파리는 8월 중순부터 발생되어 8월 하순에 발생피크를 보였고, 다시 9월 중순에 작은 발생피크를 보였다. 멸강나방은 4월 중순부터 비래가 시작되어 4월 하순에 비래가 가장 많았고 5월 하순 이후에는 비래가 되지 않았다. 애멸구 성충은 6월 상순부터 포장에서 발생되기 시작하여 7월 중순에 발생피크를 보였고, 이후로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약충 또한 7월 중순에 20주당 50마리 수준으로 발생피크를 보였다. 수박담배가루이는 5월 하순부터 발생되어 온도가 올가감에 따라 발생이 증가하였으나 농가 포장에 따른 차이가 컷다. 수박 파밤나방은 5월 중순부터 발생이 시작되어 생육이 진행됨에 따라 발생량이 증가하였고, 발생 지역에 따른 차이가 컷다. 수박 점박이응애는 6월 중순부터 발생이 증가하다가 7월 상순에 발생피크를 보였는데 농가포장에서 발생은 적었다. 딸기점박이응애는 연중 지속적 발생을 보였는데 방제를 반복함에 따라 발생 주기가 W자형을 보였다. 꽃매미의 발생은 연차 간 발생이 감소하였고, 2010년 최초 발견된 갈색날개매미충은 2014년 현재 전북 13개 시군에서 발생되었고, 발생지역과 발생밀도는 더욱 확산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129.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농가에서는 개화 촉진 또는 억제를 위하여 광중단효과를 유발하기 위한 전조용으로 조명을 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조명용으로 불을 켜게 될 때 해충이 유인되어 농작물에 피해를 줄 수 있다. 그래서 해충의 유인을 억제하는 자외선 차단램프의 해충 유인 억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반 전구인 삼파장램프, 해충유인용으로 사용되는 블랙라이트와 자외선차단램프의 해충유인효과를 비교 조사하였다. 해충 포살유인용으로 사용되는 블랙라이트는 명나방 등을 비롯하여 15일간 유아등 트랩당 채집된 해충의 수가 154.7마리, 삼파장은 65.7마리일 때 자외선차단램프는 36.0마리로 삼파장 대비 45.2%, 블랙라이트 대비 76.7%의 해충유인 억제효과가 있었다. 향후 포장에서 자외선 차단램프를 이용한 엽채소 추대억제효과 및 해충유인 억제효과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생각된다.
        130.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농가에서 사용하는 기존의 유아등은 성충이 유인되어 유아등에 들어올 때 모두 포획망에 포획되지 않고, 유아등 주변에 떨어져 산란을 하고 후에 유아등 주변에 해충의 피해가 오히려 증가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유아등 외벽에 노란색 끈끈이를 붙여 놓는 외벽을 설치하고, 아랫부분에는 살충성분이 들어있는 약액을 담아 포획망에 포획되지 않고 유아등 주변에 떨어지는 해충을 포획하는 장치를 설치하여 포획정도를 조사하였다. 7일간 채집된 관행유아등에는 담배거세미나방 성충을 비롯하여 10종 33.5마리가 포획될 때 보조끈끈이트랩 설치 유아등에는 포획망에 왕담배나방 등 11종 24마리, 황색끈끈이트랩에 8종 31.5마리, 총 11종 55.5마리가 채집되어 65.6%의 포획증가 효과가 있었다. 또한 황색점착트랩은 밤에 유아등에 유인될 뿐만 아니라 낮에 활동하는 해충도 유인 포획되는 효과가 있다. 유기농 재배시 유아등으로 해충을 유인 포살할 때에는 유아등 외벽에 황색점착트랩을 설치하는 것이 해충발생억제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131.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ydro-acoustic surve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fish distribution near two artificial reefs (AO: large octagonal semi-sphere and AC: combined custom built) having different types in Jeju marine ranching area. The survey system consisted of scientific echo sounder (EK60), DGPS system, and ECDIS (Mecys). Field survey was conducted on August and October 2012 with star survey and line transect survey line method, and species composition was investigated from gill net fishing survey. The acoustic signals from individual fishes and small fish schools were mainly recorded around AO, but large and strong signals from large fish school were mainly detected in the top layer of and the water column near AC. The echogram suggest that the fish aggregation for the two types of AO and AC exist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fish species and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4,000원
        132.
        2013.10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췌십이지장 동맥류는 드물고 진단에 특징적인 신체 진찰소견이 없어 초기 진단이 어렵다. 이전에는 대부분이 파열과 동시에 진단되었으나, 최근 영상 검사의 발달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췌십이지장 동맥류는 대부분이 파열되며, 파열시에는 치사율이 50% 에 달해 정확한 진단에 따른 치료가 중요하다. 파열시에는 혈관 조영술이 진단과 치료를 위한 좋은 검사이나, 검진 상 발견되는 경우에는 췌장종괴와의 감별 위하여 내시경 초음파가 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저자들은 복부통증을 주소로 내원하여 췌십이지장 동맥류를 전산화 단층촬영과 내시경 초음파를 통해 파열 전 진단하고 경피적 동맥색전술로 후유증 없이 치료한 1 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4,000원
        133.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cell site lease is a legal agreement by which the owner of a building or a piece of land allows a wireless carrier to use part of it for a cell tower for a period of time in return for money. Wireless carriers spend significant money for cell site leases. This paper tries to find factors affecting cell site leases and management solutions to save lease costs. In other words, this research identifies any factor influencing cell site leases among age, gender, and geographical area in the first problem and determines management priorities using an importance-satisfaction model in the second problem. This paper can provide wireless carriers with effective decision making tools and a basis for negotiation of cell site leases, as they do not have enough bases for negotiation.
        4,000원
        134.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연구에서는 안경체인점에 근무하고 있는 안경사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감성지능과 고객지향성, 고객만족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감성지능과 고객지향성, 고객만족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기반으로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가설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하여 A안경체인점에 근무하고 있는 안경사 24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40부의 유효한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안경사들의 감성지능을 구체적으로 4가지 요인으로 세분화하고 고객지향성과의 관계성을 검증한 결과, 자기감성이해, 감성조절, 감성활용이 고객지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안경사들의 고객지향성은 고객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감성지능과 고객만족간의 영향관계에 있어 고객지향성의 매개역할을 검증한 결과, 자기감성 이해만이 고객만족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연구결과에 따르면, 안경체인점 점주들은 안경사들의 인지능력뿐만 아니라 감성능력을 보다 개발하고 관리해줌으로써 더 높은 성과를 낼 수 있음을 인지하게 될 것이다.
        4,500원
        136.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리뷰의 목적은 벼 종자 저장단백질 구조분석 및 발현특성분석 결과 종합화를 통하여 종자형질 개선 등의 실용화연구를 위한 기반구축을 모색하는데 있다. 최근 벼 염색체염기서열완전해독 연구 결과를 이용한 유용형질 유전자 분리 및 실용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벼 종자 저장단백질은 인류에게는 주요 영양원으로 사용되어지며 종자 발아시에는 식물체 성장을 위한 질소원으로 사용되어진다. 벼 종자 저장단백질의 분류는 용매에서의 용해도에 따라 약산성 및 알카리 용해성의 glutelin, 알코올 용해성의 prolamin, 염 용해성의 globulin으로 나눈다. 벼 염색체 상에는 11개의 glutelin 유전자와 33개의 prolamin 유전자가 존재하며 prolamin 유전자의 경우 5번 염색체 15 Mb 부위에 15개의 유전자가 위치하였다. 이와 같이 종자저장단백질 유전자들이 동일 염색체 부위에 위치하고 있는 것은 진화학적으로 동일 염색체에서 유래하였거나 유사한 유전자발현 조절영역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Globulin 유전자는 5번 염색체에 단일 유전자로 존재하였다. 마이크로어레이를 이용한 종자저장 단백질 관련 유전자의 조직 특이 발현 양상을 분석한 결과 glutelin과 대다수의 prolamin 합성 유전자는 종자배유에서만 발현을 하였으며 소수의 prolamin과 globulin 합성 유전자는 종자배유와 발아종자에서도 발현을 나타내었다. 종자 저장단백질의 프로모터부위를 분리한 후 종자에서의 발현 양상을 분석한 결과 glutelin type C1 프로모터가 종자의 전체 부위에서 발현을 나타내었으며 glutelin type B5와 α-globulin 프로모터가 많은 양의 발현을 나타내었다. 본 리뷰를 통하여 벼 종자 저장단백질의 구조및 발현특성 연구 진행사항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 동향분석은 종자형질 개선 및 물질생산 등의 실용화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들에게 최근의 연구 현황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200원
        137.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pplicability of the photostimulated luminescence(PSL), thermoluminescence( TL) and electron spin resonance(ESR) methods for various foods which are not allowed to be irradiated in Korea. All 15 foods including sesame, almond, peanut, cocoa powder etc. were analyzed. Samples were irradiated at 1~10 kGy using a 60Co gamma-ray irradiator. In PSL study, the photon counts of all the unirradiated samples showed negative(lower than 700). The photon counts irradiated(1 kGy) dried shrimp, roasted peanut and seasoned peanut showed positive(higher than 5,000) and the other samples were negative or intermediate(> 700 and < 5,000). In TL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it is possible to apply TL method to all foods containing minerals. In ESR measurements, the ESR signal(single-line) intensity of irradiated foods was higher than non-irradiated foods. In particular, the specific ESR signals of irradiation-induced crystalline sugar, cellulose and bone radical were detected in dried plum, raisin, dried cherry, mango(dried, frozen), rambutan, cocoa(powder), cinnamon, parsley, carrot, broccoli, dried arrow squid, dried pollack and dried shrimp. According to the results, PSL, TL and ESR methods were successfully applied to detect the irradiated foods because TL method is not able to detect the irradiated foods rarely composed of minerals. ESR is also a difficult method to detect the changes of ESR signal patterns of food. It is concluded that TL analysis or ESR assay is suitable for detection of irradiated samples and a combined method is recommendable for enhancing the reliability of detection results.
        4,600원
        139.
        201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ll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mato sauce during 60 days of storage. As storage time increased, the pH stays between 4.10-4.22 on all additives. The lowest pH appeared on a 0% dill added sample during the storage period, except at 45 or 60 days of storage. The more dill was added, the less sugar appeared, and this was generally consistent across other samples. As storage times increased, the sugar content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in all additives. Salinity turned out to be between 0.90-1.48 among all of the additives. For the L-value, the more dill was added, the less the L-value decreased, and this was consistent across all the samples. As the storage period increased, the L-value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in all samples. The more dill was added, the more the a-value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The b-value showed a tendency to decline the more dill was added. Also, as storage time increased, the b-value decreased in all samples. Viscosity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in all samples the more dill was added. The reducing sugar content was kept between 44.83-55.38. A sensory evaluation was performed by 15 professional panelists with scoring tests for color, flavor, taste, aftertaste, viscosity, and overall acceptability. The tomato sauce with 2% dill showed the best score in the color, flavor, and overall acceptability. From the above results, the data suggests that an addition of 2% fresh dill to tomato sauce is recommended for commercial use.
        4,000원
        140.
        2011.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the entrapped number is investigated on the UV light with different illuminance to fluorescent bait cage for swimming crab in order to find the appropriate illuminance which has the best attraction effect of fluorescent bait cage for pots. In addition, preference to the light, arrival time and residence time at light area are compared and analyzed to fluorescent bait cage and non-fluorescent bait cage for American lobster at the UV light and ordinary light according to the illuminance condition. Pot with red non-fluorescent bait cage at the no lighting (<0.01lux), pot with blue fluorescent bait cage at the 20W UV lighting (0.16lux) and pot with blue fluorescent bait cage at the 30W UV lighting (0.22lux) were soaked for 6 hours and the entrapped number of swimming crab was examined. The mean entrapped number of swimming crab in pot with red non-fluorescent bait cage at the no lighting (<0.01lux) was 1.0, but the mean entrapped number of swimming crab in pot with blue fluorescent bait cages at the 20W UV lighting (0.16lux) and 30W UV lighting (0.22lux) were 1.4 and 0.4, respectively (P<0.05). The rate of preference to the blue fluorescent bait cage at the UV lighting shows 1.6-4.8 times higher than that of preference to the red non-fluorescent bait cage at the ordinary lighting. In addition, The rate of preference to the blue fluorescent bait cage at the UV lighting is higher when the illuminance of ordinary light is same as or is lower than that of UV light (P<0.05). However, the preference to the light depending on gender shows no significant difference (P>0.05). The arrival time to UV light area of lobster is shown as 1.2-2.4 times faster than that to ordinary light area. Generally, it is shown that arrival time to UV light area is faster than the arrival time to ordinary light area when the illuminance of ordinary light is the same as or lower than that of UV light (P<0.05). However, arrival time to the light area depending on gender shows no significant difference (P>0.05). The residence time at UV light area of lobster is 1.2-1.7 times longer than that at ordinary light area. The residence time depending on different illuminance of ordinary light and gender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P>0.05).
        4,2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