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3

        143.
        2004.1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wenty three samples of man-made mineral fibers (MMMF)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their mineral contents using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equipped with energy dispersive X-ray analyzer (TEM-EDX). Five glass fibers showed a straight fiber type without branches with average diameter ranged from 2.6㎛ to 5.6㎛ and average length 12.2∼29.6㎛. The major atomic compositions of the glass fibers were Na, Mg, Si, Ca, and Fe with a little variance among them and contained trace amounts of Al and Si. Eleven rock wool fibers also showed a straight fiber type without branches. The rock wool fibers used in 3 insulation panel and 1 insulation tube had average diameter 13.6∼26.4㎛ and average length 13.6∼26.4㎛. The major atomic compositions of the rock wool fibers were Na, Mg, Al, Si, S, Ca, Fe, and Cu with a little variance among them. Two of rock wool sealant fibers and one of coating material fibers had average 0.8∼ 2.2㎛ diameter and 9.9∼16.2㎛ average length. The major atomic compositions of the fibers were Mg, Al, Si, Ca, and Fe with a little variance among them and contained trace amount of S. The fibers in the rock wool coating materials contaminated partially with another type of fibers. Four of rock wool ceiling board showed 0.9∼2.04㎛ average diameter and 4.3∼15.2㎛ average length. The major atomic compositions of the fibers were Mg, Al, Si, S, Ca, and Fe with a little variance among them and contained trace amounts of Na, K, and Ti. Three of long glass fibers showed a mass appearance with finely splitted fibers, and the major atomic compositions of the fibers were Na, Mg, Al, Si, S, Ca, and Fe with no variance among them. One type of ceramic fiber showed 2.9±1.59㎛ average diameter and 20.3±9.38㎛ average length. The major compositions of the fibers were Al, Si, and S. A gypsum board and a perlite and a calcium silicate insulation material all showed aspect ratio less than 3:1, indicating non-fibrous materials. The major compositions of the gypsum board particles were Al, Si, S, K, Ca, and Fe, The perlite particles were consisted of Na, Al, Si, S, K, Ca, and Fe, and the calcium silicate insulation materials were mainly consisted of Al, Si, Ca, and Fe.
        4,900원
        144.
        2004.1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40 buildings of Korean major cities were investigated for the presence of asbestos and man made mineral fibers (MMMF) in their construction materials. 73 (52%) and 84 (60%) buildings contained asbestos and MMMF in their construction materials, respectively, and 17 (12%) buildings contained both asbestos and MMMF. 75% of the asbestos containing buildings were mostly constructed during 1970's. 100% of underground shopping arcades, 90% of manufacturing workplaces, 84% of train and bus terminals had the asbestos containing construction materials. The manufacturing workplaces of Daejeon (89%) and Daegu (89%), which mostly had been built in the past, used asbestos containing building materials, while the building in Seoul, Busan and Jinju, which were constructed recently, used relatively lower asbestos containing building materials with 46%, 28%, and 33%, respectively. 9 building materials that have been widely used in Korea were analyzed using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equipped with energy dispersive X-ray analyzer (TEM-EDX) for their mineral contents. All asbestos fibers showed typical characteristics of chrysotile fibers with hollow tube structure. The average diameter ranged from 0.03㎛ to 0.05㎛, and the average length were ranged from 7.5㎛ to 12.0㎛. Atomic percentages of asbestos fibers were 51.9∼55.9% of Mg, 41.3∼44.3% for Si, and 2.7∼4.8% for Fe.
        4,000원
        145.
        200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nalyzes the factors involving clinical practice which have an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of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therapy at colleges or universities located in the Pusan and Kyungnam area. We investigated using a self-reporting method 305 students receiving a grade point average between 2.0 and 4.0 and who had finished their clinical practice. We also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clinical settings which make up the clinical practic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involv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a clinical teaching method performed by physical therapists versus a teaching method by a professor of a university. The number of students divided according to educational background are as follows: 149 people (48.9% of the total group) were 4 year students, 156 people were 3 year students (51.1% of the total group). Sixty-nine students' or 22.6% of the group were men while women consisted of 236 persons or 77.4% of the group. Four year students had a longer clinical practice period than that of the 3 year students (p<.05). An average satisfaction score of students with their clinical practice was 3.84. The satisfaction scor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ders, educational backgrounds, and grades. (p>.0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atisfaction score of students with their clinical practice was 3.84. The satisfaction scor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ders, educational backgrounds, and grades. (p>.0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atisfaction scores regarding the student management system among varying gender or educational backgrounds between the 3 year and 4 year programs. The average satisfaction score with the environment of the physical therapy room was 3.35.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hysical therapy room satisfaction score based on sex or educational system (p>.05).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f determining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was a student management system of the clinical practice (p<.01). The next most influential factors were the clinical practice period (p<.05), size of facilities (p<.01) and relationship with physical therapists (p<.01) (=.554).
        4,600원
        147.
        2001.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150.
        201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nake robots are slower than wheeled robots or legged robots, while they have an excellent terrainability in a disastrous area. Considering their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a legged robot whose legs are snake robots, ‘Quadnake’ was proposed in this research. Five motions of the snake were analyzed. Applying these motions, Quadnake could implement eight kinds of motions which snake robots and quadruped walking robots can implement. As a result of it, Quadnake can have the advantages of both a snake robot and a walking robot. It is expected to move stably in a harsh terrain with snake’s motion and move fast with walking.
        151.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illus genus are found abundantly in various sites and their secondary metabolites were used as potential agents in agriculture, notably plant growth promoting and bio-control.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culture conditions of GH1-13 strain including higher cell growth, stable endospore-forming and enhancement of potential agents which are related with plant growth promoting and phytopathogen suppression. The optimal carbon and nitrogen sources were determined by glucose and soy bean flour, respectively, then resulted in 7.5×109 cells/mL, 6.8×109 endospore cells/mL and sporulation yield of 90% after 30 h cultivation in 500 L submerged fermenter at 37℃, pH 7.0. Cells and cell-free supernatant of GH1-13 strains showed the potent antifungal activity against phytopathogenic fungi of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It was also confirmed that indole-3-acetic acid (IAA) production of GH1-13 strain was greatly increased by addition of 0.3% tryptophan.
        152.
        201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하수오를 이용하여 50% 에탄올 추출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제조하고,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산화, 세포 보호 및 항균 효능을 평가하여 기능성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하수오에 주요하게 존재하는 성분의 활성도 검증하였다. HPLC-DAD, LC-EIS-MS를 통해 분석한 결과, 하수오의 주성분은 2, 3, 5, 4'-tetrahydroxystilbene 2-O-β-D-glucoside (THSG)이었다. 페놀류 및 THSG 함량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에탄올 추출물 보다 각각 11.1 및 3.0배 높게 나타났다. DPPH 자유 라디칼 및 Fe3+-EDTA/H2O2 시스템에서 생성된 ROS에 대한 소거 활성 평가에서,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은 에탄올 추출물 보다 뛰어난 소거 활성을 나타냈다. 특히 ROS 소거 활성 평가에서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과 THSG은 L-ascorbic acid와 동등한 소거 활성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수행된 광증감 반응으로 유도된 적혈구의 산화적 손상에 대한 세포 보호 활성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에탄올 추출물, THSG 순서로 나타났으며, 모든 실험군이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α-tocopherol보다 우수한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항균 활성 평가는 S. aureus, E. coli, P. aeruginosa, C. albicans 균주를 대상으로, disc diffusion assay와 broth microdilution assay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그 결과 추출물, 분획물 및 THSG 모두 모든 균주에 대해 항균 활성을 나타냈으며, 특히 그람 양성균인 S. aureus에 대해 methyl paraben보다 우수한 항균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하수오가 항산화, 세포 보호 및 항균력에 관한 천연 소재로의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153.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련초는 열대 및 아열대 지방에 서식하는 국화과 한련초속에 속하는 한해살이풀로 간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 살무사 독에 대한 해독효과, 항산화효과, 발모효과, 상처치유효과 등의 효능들이 확인된 바 있다. 더 나아가 본 연구에서는 한련초의 항산화 및 항노화효과를 확인하여 피부보호 소재로써의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련초를 50% 에탄올로 추출한 추출물과 이를 다시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하여 얻은 분획물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항산화 지표인 FSC50과 OSC50을 측정한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OSC50은 항산화제로 잘 알려진 L-ascorbic acid 보다 2.7배 이상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시료의 세포 내 활성산소 종 소거능과 H2O2로 유도된 세포손상에 대한 보호효과가 확인되었으며, 특히 1O2으로 유도된 사람 적혈구 광용혈에 대한 지연효과의 평가에서 64 μ g/mL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적혈구 광용혈의 소요시간을 6배 이상 지연시켜 한련초의 우수한 항산화능을 반영해주었다. 한련초의 항노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Hs68에서 추출한 엘라스타제에 대한 저해활성을 평가한 결과, 16 μ g/mL의 두 시료 모두 엘라스타제의 활성을 각각 6.8%와 14.0% 억제한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한련초가 식품 또는 화장품 등의 소재로 사용됨에 있어 화학적 방부제의 역할을 대체할 수 있을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항균실험의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그람 양성 균주 인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해 mehyl paraben과 동등하거나 더 뛰어난 항균활성을 가진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실험결과들을 통해 한련초는 피부보호 소재 또는 천연방부제로서의 가능성을 가진 천연소재라 생각되며, 식품 또는 화장품 소재로서의 이용이 기대된다.
        154.
        2017.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범지구적인 산업활동으로 인하여 발생된 지구온난화에 대처하기 위하여,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에서는 신 기후변화체제 합의문인 파리 협정을 채택하였다. 이를 위해 대부분 국가가 다양한 에너지 정책을 펼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2035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보급률 11 % 달성을 위하여 제4차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을 수립, 발표하였다. 이러한 신재생에너지는 다양한 에너지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폐기물 에너지화 기술로부터 생산된 폐기물에너지는 신재생에너지 보급량 중 63.5 %로 가장 높은 보급량을 차지하고 있다. 현재 폐기물의 효율적인 자원화 기술 중 하나인 고형연료(SRF, solid refuse fuel)를 이용한 발전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국내에서 생산되는 SRF의 경우, 생활폐기물 속 재활용 자원을 최대한 회수함으로써 가연분 함량이 높아 대체 에너지로서의 가능성이 높게 평가받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해 성형 SRF가 아닌 비성형 SRF를 사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열 회수 및 합성가스(H2+CO) 생산을 위해 가스화 공정을 적용해보았으며, 고정층 반응기인 down draft fixed bed와 유동층 반응기인 bubbling fluidized bed의 가스화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뿐만 아니라 가스화 공정의 주요 운전 요인 중 하나인 ER(Equivalent Ratio)에 따른 합성가스 조성, 가스 수율, 고 탄화수소 물질인 C2-C6의 함량, 합성가스의 저위발열량 그리고 가스화 효율의 가장 중요한 지표라 할 수 있는 냉가스 효율과 탄소 전환율을 통해 최적 조건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155.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s an interpretation of existing jamming effects, the main variables affecting the increase in stiffness due to jamming are known as system density, jamming density, pressure, and particulate temperature. The main variable, jamming density, is closely related to the distribution of particle size and contact properties such as particle shape and friction. However, the complexity of these variables makes it difficult to fully understand the mechanism of the jamming effect. In this paper, we focus on the jamming effects of particles that have more elastic properties than particles such as sand and coffee powder, which are commonly used as constituent particles of existing jamming, in order to reduce complicated factors such as temperature and concentrate on jamming effects based on elastic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t was experimentally explored the possibility of increasing stiffness by mixing particles of different sizes rather than simply increasing the bending stiffness by controlling the particle size. Through simulations and experiments, we found a case where the stiffness of each particle size distribution is larger than the stiffness of each particle size.
        157.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풍선덩굴 잎 추출물 및 그 분획물에 대하여 항산화 활성 평가와 성분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실험에는 풍선덩굴 건조 잎의 50% 에탄올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및 아글리콘 분획을 사용하였으며, 각각의 수율은 16.4, 0.9 및 0.3%로 나타났다. 자유라디칼 소거활성(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FSC50)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92.5 μ g/mL)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때 대조군인 (+)-α -tocopherol의 FSC5은 8.9 μ g/mL이었다. Fe3+-EDTA/H2O2계를 이용한 활성산소 소거활성(총항산화능, OSC50)은 아글리콘 분획(4.2 μ g/mL)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대조군인 L-ascorbic acid (1.5 μ g/mL)와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1O2로 유도된 사람 세포 손상에 대한 보호효과 측정에서 풍선덩굴 잎 추출물 및 분획 은 모두 농도 의존적(5.0-25.0 μ g/mL)으로 세포보호효과를 나타냈다. 추출물/분획물 중에서 아글리콘 분획 (τ50, 76.4 min)이 가장 큰 세포보호효과를 나타내었다. TLC, HPLC, LC/ESI-MS를 이용하여 풍선덩굴 잎 추출물 중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대하여 성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apigenin-7-O-glucuronide, apigenin-7-glucosdie 및 quercitrin hydrate 등의 플라보노이드가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 들은 풍선덩굴 잎 추출물 또는 분획이 항산화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서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158.
        2017.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proposes an integrated positioning system to localize a moving object in the shadow-area that exists in the water tank. The new water tank for underwater robots is constructed to evaluate the navigation performance of underwater vehicles. Several sensors are integrated in the water tank to provide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underwater vehicles. However there are some areas where the vehicle localization becomes very poor since the very limited sensors such as sonar and depth sensors are effective in underwater environment. Also there are many disturbances at sonar data. To reduce these disturbances, an extended Kalman filter has been adopted in this research. To localize the underwater vehicles under the hostile situations, a SVR (Support Vector Regression) has been systematically applied for estimating the position stochastically. To demonstr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lgorithm (an extended Kalman filter + SVR analysis), a new UI (User Interface) has been developed.
        159.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폐기물로부터 에너지를 회수하고자 하는 노력은 전세계적인 추세이며, 국내에서도 가연성 폐자원의 효율적인 친환경적 처리, 에너지 회수를 위한 다양한 정책과 법규가 만들어져 진행되고 있다. 가연성 폐기물로부터 에너지를 회수하는 전통적인 방법인 소각과 비교하여 가스화 기술은 생산된 합성가스를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보유하고 있다. 합성가스가 가지고 있는 화학적 에너지를 활용하여 직접 엔진을 가동할 수 있으며, 가스화 방식에 따라 합성가스 내에 포함된 수소, 일산화탄소 등의 성분을 화학반응의 원료로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국내에서도 폐기물로부터 얻어진 합성가스를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하기 위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지자체에서 발생되는 생활폐기물의 비성형고형연료화 및 가스화 발전 기술을 적용하여 폐기물이 갖는 에너지를 회수하고자 비성형고형연료 8톤/일 규모의 하향식 고정층 가스화로와 세정설비, 가스엔진 발전을 통해 약 250kW이상의 전력을 생산하는 시스템을 설치 및 운영하였으며, 실증설비의 설계를 위한 다양한 인자에서의 결과를 알아보았다. 가스화 특성에 따른 발전 효율을 토대로 가스화 기술의 경제성을 평가함에 따라 상용공정으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160.
        2016.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후변화가 가속되는 현 상황에서 신재생에너지의 적극적 활용은 전세계적인 추세이며, 국내에서도 가연성 폐자원의 효율적인 친환경적 처리, 에너지 회수를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관련정책과 법규가 만들어져 있다. 가연성 폐기물로부터 에너지를 회수할 수 있는 가스화 기술은 생산된 합성가스를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 합성가스가 가지고 있는 화학적 에너지를 활용하여 직접 엔진을 가동할 수 있으며, 가스화 방식에 따라 합성가스 내에 포함된 수소, 일산화탄소 등의 성분을 화학반응의 원료로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국내에서도 폐기물로부터 얻어진 합성가스를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하기 위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폐기물 고형연료 가스화 플랜트 기술의 개발을 위해 생활폐기물을 대상으로 비성형 고형연료를 제조하고, 제조된 고형연료를 파일럿 규모의 고정층 가스화를 통해 합성가스를 생산하여 이를 직접 가스엔진 발전기에 도입함에 있어서, 고정층 반응기에서 발생되는 합성가스의 생산특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