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44

        141.
        200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test the hypothesis the hypothesis that treatment with hCG (5,000 IU) at the time of embryo transfer would enhance pregnancy rates in recipients, and the concentration of plasma urea nitrogen(PUN) in recipients was related to the effect of hCG on the reproductive performance. Blood samples were taken according to experimental condition for the assessment of the endogenous plasma progesterone concentration and plasma urea nitrogen. Concentrations of progesterone in plasma were higher in cows treated with hCG on day 7(estrus=day 0) than in those untreated during 7∼43 days after insemination. The pregnancy rates were 65.5 and 54.6% for the hCG treated and untreated groups, respectively. In recipient group categorized with PUN concentration of <12 mg/이, the pregnancy rates were 68.8 and 46.7% for the hCG treated and untreated groups, respectively. The results suggest that hCG treatment at 7 days after insemination could be used to increase the pregnancy rate of embryo transfer, and transfer, and only the recipients with PUN concentration of <12 mg/dl were influenced by treatment with hCG.
        4,000원
        144.
        199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중력식 댐의 임계균열길이가 계산되었으며 또한 복합균열의 균열선단에서 유효응력 확대계수의 변화량이 조사되었다. 작용하중으로는 댐 상부면에 작용하는 정수압과 댐의 균열면에 작용하는 수압 및 자중으로 구성된 정하중, 그리고 댐 주위에서 발파작업이 수행되는 경우에 고려될 수 있는 발파진동 및 동수압으로 구성된 동하중이 사용되었다. 균열이 발생한 위치와 방향 및 발파진동의 크기에 따라 임계균열길이가 계산되었으며, 또한 복합균열의 형태 및 균열선단 간의 이격거리에 따른 유효응력확대계수의 변화량이 검토되었다.
        4,000원
        146.
        199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smolarity of thawing diluents, seminal plasma added in thawing diluents on the sperm viability and the effects of thawing temperature, the temparature of the thawing diluents on the sperm viability and acrosomal morphology of boar spermatozoa by the straw method. The result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perm viablilty after thawing of the frozen semen was shown greater in the high osmolarity(392~492mOsm) than low osmolarity(300mOsm) in thawing diluent. The added levels of seminal plasma in thawing diluent did not affect the viability of frozen-thawed boar semen. 2. In terms of thawing temperature, the sperm viability was shown higher in the frozen semen thawed at 5 for one min. (p<0.01) than those thawed at 2 or 37 for one min. The sperm viability was not significant at the diluent temparature of 2or 37 after thawing: but the sperm viability was higher in thawing diluent at 2 than in that at 37. However, the effects of thawing temperature and diluent solution on normal acrosomal rate were not significant. 3. Cleavage rates of oocytes fertilized with frozen semen were 46.4% and 43.3%, respectively, which were thawed at 5 for one min. and then diluted in mBTS medium at 2or 37. To sum up, the sperm viability was shown greater at the high of thawing diluents of frozen boar semen. In terms of thawing conditions, the sperm viability was shown greater, when semen was thawed at a high temperature for a short time and then diluted at the same temperature as that in the straw.
        4,000원
        149.
        199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돼지 정액의 동결과정동안 flow cytometric 분석에 의한 정액내 생존정자의 비율을 조사하여 주관적으로 평가되는 활력 및 정상첨체율(normal apical ridge ; NAR)과 비교하여 정자의 손상과 생존성에 대한 적절한 평가법을 찾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동결과정 중 정액채취, 냉각, 예비동결 및 동결융해 후에 flow cytometric 분석에 의한 정자 생존율은 각각 93.03.6, 85.13.9, 28.96.8 및 26.15
        4,000원
        153.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undertaken in an effort to develop a cryopreservation system of immature and mature porcine oocytes. For this aim, the experiments were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 of cryoprotectants and equdibration time on the viability of frozen-thawed oocytes by using trypan blue(TB) and fluorescene diacetate(FDA) test. The viability of frozen immature oocytes evaluated by TB test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frozen mature oocytes. The viability(25.O%) after IVM of frozen-thawed immature oocytes greatly decreased that(42.9%) of oocytes just after thawing, but it was higher than frozen-thawed mature oocytes(15.8%). When immature oocytes were equilibrated for 10, 20 and 30 minutes before freezing the oocyte viability was 20.0, 31.3 and 42.9%, respectively. There was a tendency for long equilibration before oocyte freezing to be more effective for the immature oocytes and a short equilibration time for mature oocytes. Although there was no difference in viability index of frozen oocytes hetween the viability test methods, the index of TB test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FDA test. The viability(FDA test) of frozen-immature oocytes with 3 different crtoprotectants was 22.2% for propylene glycol(PG), 9.3% for polyehtylene glycol(PEG) and 65.6% for PG+PEG, in which PG+PEG was more protective against freezing effect.
        4,000원
        155.
        199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콘크리트 중력댐 상부면의 균열에 작용하는 수압의 영향을 주로 고려하여 댐의 파괴거동을 조사하였다. 첫째, 표면적분법에 의하여 응력확대계수를 구하는 경우에 작용하는 수압의 형태를 등분포형태 외에, 삼각형 분포 및 포물선분포도 고려하여 보았다. 둘째, FRANC(FRacture Analysis Code)를 이용하여 균열면에 작용하는 수압의 형태에 따른 기존균열의 전파방향을 추적하였다. 셋째, 월류수위 아래에서 균열이 전파되지 않을 수 있는 한계균열길이를 수압의 분포형태에 따라 구분하여 구하여 보았다. 표면적분법으로 수압의 형태에 따라 응력확대계수를 구한 결과는 FRANC를 이용하여 얻어진 결과와 비교 되었으며 비교적 잘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균열면에 작용하는 수압의 형태가 삼각형분포의 경우에 균열의 전파방향은 등분포의 경우에 비하여 댐의 기초쪽으로 기우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월류수위 아래에서 한계균열길이는 댐높이의 대략 2/5-1/2되는 곳에서 최대가 됨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156.
        199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저식염 멸치젓을 속성으로 제조하기 위하여 Asp. oryzae와 Bacillus sp.로 제조한 코오지를 첨가하고 숙석중 이화학적 성분 변화률 비교 검토하였다. 멸치젓의 수분, 조단백질, 화분 및 식염 함량은 각각 62.5∼63.8%, 12.0∼14.1%, 12.8∼13.5%, 12.8∼13.8%로 숙성중의 변화는 미미하였고, 조지방은 담금 직후 15.5∼15.8%에서 60일 숙성후 13.1∼13.9%로 감소하였다. 젓갈 숙성중 pH는 숙성 50일까지 완만히 저하하다 증가하였으나 산도는 숙성 10일경에 급격히 증가하고 이후 완만한 증감을 보였고, Asp. oryzae koji 첨가구에서 초기 증가가 심하였다. 아미노태질소는 숙성 20일경까지 686.0∼756.0mg%로 급격히 증가하다 완만한 증가를 보였고 암모니아태 질소는 코오지 첨가구는 40∼50일경까지 증가하다 감소하였으나 대조구는 숙성 60일까지 증가하였다. TBA값은 숙성 20∼30일 경에 가장 높은 값을 보이다가 감소하였고, Bacillus sp. 코오지 첨가구가 Asp. oryzae 코오지 첨가구보다 암모니아태질소와 TBA값이 높았다. 멸치젓의 알코올은 숙성 10일경에 약간 감소하다 서서히 증가하다가 60일경에는 감소하였으며 코오지첨가구에서 높았다.
        4,000원
        158.
        199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통식혜는 엿기름과 쌀만으로 만들며, 가정에서 널리 사용하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1740년 이래 많은 기록이 있다. 식혜에 설탕을 가한 기록은 근래인 1924년에 나타나므로 설탕을 가한 것은 전통식혜라 할 수 없다. 전통식혜는 재료인 고두밥과 쌀을 평균 30% 정도 사용하며, 주성분은 말토오스이다. 그러나 시판 식혜는 고두밥을 3% 밖에 사용하지 않고 설탕을 10% 가하고 있으므로 성분상으로도 전통식혜라 할 수 없다. 기존의 설탕타는 식혜는 설탕을 재료의 1/3밖에 가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시판식혜는 기존의 설탕첨가 식혜와도 전혀 다른다.
        4,000원
        159.
        199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유의 allergenicity를 감소시켜 우유에 대하여 allergy성 질환을 일으키는 사람들에게 이들 식품의 섭취 및 이용을 증대시킬 수 있게 하는 방안을 강구하고자 allergy 조제분유의 개발을 위하여 열처리, 자외선 및 microwave의 조사, 축합 인산염 처리, 효소처리 등을 한 후 guinea pig를 이용한 Passive Cutaneous Anaphylaxis(PCA) inhibition 실험과 Non Proteic Nitrogen(NPN) 정량을 통한 가수분해율의 측정 실험을 시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우유의 allergenicity는 가열에 의해 감소하였으며 가열시간이 길수록 단백질 가수분해율 및 PCA inhibition을 증가시켰다. Ultraviolet조사와 microwave조사는 단백 가수분해율과 PCA inhibition을 증가시켜서 allergenecity를 저하시켰으며 ultraviolet이 저해초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효소처리는 단백질의 가수분해율 및 PCA inhibition를 증가시키며 allergenecity를 현저히 감소시켰으며 neutrase가 alcalase보다 저해효과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Polyphosphate의 첨가는 단백질의 가수분해는 유도하지 않았으나 PCA inhibition을 증가시키며 allergenicity를 감소시켰다.
        4,000원
        160.
        199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ffective in vitro production system capable of obtaining more porcine embryos from immature oocytes Thes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sperm factor on the IVF and IVD, and the effect of coculture with somatic cells on the IVD of embryos. Although the concentration of epididymal sperm for IVF did not affect on cleavage rate, but 5 x 105 sperm/mi showed the highest cleavage rate(48.7%) and the developmental potential of IVF oocytes from this concentration was also greatly higher (P-stored sperm for l2hrs and the cleavage rate from fresh sperm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that from frozen sperm, but the developmental potential after IVF was slightly high from the frozen sperm. The cleavage rate of IVF oocytes cocultured with oviductal epithelial cells and cumulus cells was 76.3% and 72.9%, respectively.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wo coculture systems but this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P<0.05) than that of medium alone(42.0%).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