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

        1.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식품섭취량 데이터를 활용하여, 한국인의 식습관을 분석하고 관리방향을 제안하였다. 국민건강영양 조사의 원시자료를 활용하고, 국내 대표적 식품 분류체계인 식품공전을 반영해서 품목수 839개(세부품목수 1,419개)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일일 총 식품섭취량은 1,585.77 g/day 이고, 그 중 원재료식품은 858.96 g/day(54.2%), 가공식품은 726.81 g/day(45.8%)로 산출되었다. 식품군별 식품섭취량은, 곡류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고, 식품섭취량 상위15위 식품군 중 90% 이상의 대상자가 섭취하는 목록으로는 곡 류(99.06%), 근채류(95.80%)로 나타났다. 품목별 분석에 의하면 주요 다소비(일일식품섭취량 1%이상 섭취, 158.6 g/ day) 및 다빈도(일일평균 국민 25% 이상 섭취, 5,168명) 품목은 쌀, 배추김치, 사과, 무, 달걀, 고추, 양파, 밀, 두부, 감자, 오이, 돼지고기로 산출되었다. 섭취빈도 중심의 상위순위 목록은 주로 한식양념 재료들이 포함되었다. 김치류는 배추김치(64.89 g/day)의 섭취량 비율이 6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주류의 경우 섭취량 및 섭취빈도 모두 상위 5위 안에 포함되어 있으며, 세부적인 섭취량은 맥주 (63.53 g/day), 소주(39.11 g/day), 막걸리(19.70 g/day) 순으로 높았고, 섭취빈도는 소주(11.3%), 맥주(7.2%), 청주(6.6%) 순으로 높게 산출되었다. 2010년부터 2015년도 식품섭취 량 추이에서 곡류는 꾸준하게 감소하고, 음료류는 다소 증가하는 추세였다. 주류의 섭취빈도에서는 일부 종류인 막걸리, 와인, 청주, 복분자주에서 년도별로 감소하는 경향 이었고, 김치류도 감소하는 추세였다. 식품 섭취패턴은 체내노출과 직접적인 영향이 있으며, 식품섭취량이 높은 식품과 섭취빈도가 높은 식품 모두 관리가 중요하지만, 우 리나라 섭취 특성을 고려하여 국내에 적합한 안전관리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식품 섭취로 인한 유해오염물질의 노출량 관리를 위해서 다소비 식품은 섭취용량과 관련이 높으므로 식품의 오염도 관리 중심으로 다빈도 식품은 섭취 기간과 관련이 높으므로 섭취시 장기노출로 인한 체내축적 중심으로 접근하는 것을 권장한다.
        4,300원
        2.
        201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의 해외 곡류 수입량과 수입국가의 다변화를 고려 해 볼 때, 호밀, 밀, 귀리 등 맥류에서 주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맥각알칼로이드의 노출가능성도 배제 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곡류 및 곡류가공품 중 맥 각알칼로이드에 대한 선제적 안전관리를 위해 호밀 및 가공품 (크래커, 맥주) 으로 부터 에르고메트린을 포함한 12 종 맥각알칼로이드의 공인 시험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아세토니트릴이 함유된 2 mM 탄산암모늄용액 추출과 Mycocep catridge를 이용한 정제·농축이 전처리 방법으로 적합함이 확인되었고, 기기분석을 통해 표준물질 첨가 검량선의 직선성이 12개 알칼로이드 모두 R2 >0.99 이상이 었으며, 정량한계는 0.01 ~ 0.05 μg/kg수준이었다. 시험법 검증을 통해 대상 품목간의 차이는 있으나, 12개 맥각 알칼로이드 모두 회수율은 72~113% 수준이었으며, 반복성은 2~10% 수준으로 적합성이 확인되었다.
        4,300원
        3.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tal aflatoxin (B₁+ B₂+ G₁+ G₂) maximum levels of 15 μg/kg (B₁= 10 μg/kg) were set for grain,beans, peanut, nuts & their processed food (grinding, cutting etc.), processed cereal product & processed bean product,confectionaries (peanut or nut-containing food), soybean paste, red pepper paste, dried red pepper, processed corn products for popcorn and steamed rice. The maximum levels for aflatoxin M₁ are 0.5 μg/kg for raw milk and milks before manufacturing processing. The patulin maximum level is 50 μg/kg in apple juice and apple juice concentrate (including concentrate to use as raw material and converted by concentration multiple). The ochratoxin A is managed at the maximum levels of 5 μg/kg in wheat, barley, rye, coffee beans and roasted coffee, 10 μg/kg in instant coffee and raisin,2 μg/kg in Grape juice, concentrated grape juice as reconstituted and wine. The fumonisins (B₁+ B₂) maximum levels are 4000 μg/kg in corn, 2000 μg/kg in corn processed food (grinding, cutting etc.) and corn powder, 1000 μg/kg in processed corn products. Standards for mycotoxins in food have been established and the mycotoxin risk in food is managed reasonably and scientifically, based on risk assessment and exposure analysis.
        4,000원
        4.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육 중 플로르페니콜을 분석하기 위하여 시료를 ethyl acetate로 추출 농축한 후 이 농축액을 acetonitrile과 nhexane을 가하여 분획하고, acetonitrile층을 분리하여 농축하였다. 이를 Oasis HLB cartridge로 정제하고 C18 컬럼을 이용한 HPLC-FLD로 분석하였다. 분석법은 표준물질 0.05~1.0 mg/kg의 농도범위에서 직선성(r2=0.9997)을 나타냈으며, 검출한계는 0.012 mg/kg, 정량한계는 0.039 mg/kg 이었다. 또한 회수율은 쇠고기에서 87.6~92.3 %, 돼지고기에서 85.6~93.3 %, 닭고기에서 92.9~95.6 %이었으며, 상대 표준편차(RSD)는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에서 각각 1.1~4.8 %, 1.1~3.4 %, 1.0~5.3 %이었다. 본 연구에서 확립 된 분석방법으로 유통 중인 식육(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150건을 전국 지역(서울, 부산, 대구, 대전, 광주)별로 수거하여 플로르페니콜의 잔류 실태를 조사한 결과, 돼지고기 1건에서 0.040 mg/kg이 검출되었으며, 돼지고기 2건, 쇠고기 1건, 닭고기 2건에서는 검출되었으나 정량한계 미만의 수준이었다. 이들 결과로부터 우리나라에서 유통 중인 조사한 식육 150건의 플로르페니콜 잔류량은 모두 국제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4,000원
        7.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캠벨과 거봉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압착방법에 따른 착즙액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수율의 경우 캠벨, 거봉이 동일하게 냉압처리보다는 온압처리가, 온압처리에서도 낮은 온도보다는 높은 온도에서 수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또 온압 · 펙틴분해 병행처리가 각각 83.5% , 87.3%로 가장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당도와 아미노테 질소도 열처리온도의 상승 및 압착방법의 병행에 의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정산도는 캠밸과 거봉이 압착방법에 따라 각각 0.86 ~ 1.00%, 0.60 ~ 0.69%로 거봉에 비해 캠벨의 산도가 높았으며, 열처리온도가 산도 증감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압착방법에 따른 착즙액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 열처리 온도의 상승 및 착즙액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 열처리온도의 상승 및 압착방법의 병행에 의해 떫은 맛과 산맛의 강도가 강하여지고 이들 처리구의 기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8.
        200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유통식품에서 verotoxin(VT)을 생성하는 대장균의 오염도를 조사하고 이로 인한 식중독의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하여 1997년부터 1999년 사이 햄버거. 식육 및 채소류에서 VT생성 대장균의 분포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결과 분리된 대장균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식육, 햄버거 및 채소류 총 1,700건의 식품 중에서 VT를 생성하는 대장균이 검출된 것은 3건으로 매우 낮은 검출율을 보였는데, 분리주의 혈청형은 각각 026 : H4, 0157 : H7 및 055 : Hl2였다. 혈청형 026 : H4 분리주는 VT I과 VT II를 생성하였고,055 : Hl2주는 VT I을 각각 생성하였으며, 두 분리주에서 eae유전자와 60 MDa plasmid DNA는 검출되지 않았다. 혈청형 0157 : H7주는 VT II를 생성하였고 60 MDa plasmid DNA는 검출되었으나 eae유전자는 확인되지 않았다. 따라서 분리된 VT생성 대장균들은 eae 유전자가 검출되지 않아 질병유발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항생제 내성능에서 혈청형 0157 : H7 분리주는 ampicillin과 streptomycin에 내성을 나타낸 반면, 혈청형 026 : H4주와 혈청형 055 : Hl2주는 ampicillin, carbenicillin, cephalothin, trimethoprim/sulfamethoxazole과 tetracycline에 내성을 보여 분리주의 다재내성능을 확인하였다 세포배양액으로 실시한 vero cell과 HeLa cell에 대한 세포독성능은 3주의 분리주에서 확인되었다.
        4,000원
        9.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아플라톡신 생성균의 생육을 억제할 수 있는 미생물을 분리동정하고 진공동결 건조한 대사산물로부터 길항물질을 분리하였다. 대두로부터 아플라톡신 생육을 저해하는 길항균을 분리하였으며, 그 균은 Bacillus subtilis로 동정되었다. Bacillus subtilis는 아플라톡신 생성균에 대한 길항물질을 생산하였으며 MeOH추출, 실리카겔 흡착 크로마토그래피법, Sephadex LH-20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길항물질을 분리하였다. 아플라톡신 생성균인 Asp. flavus와 Asp. parasiticus의 생육은 길항미생물인 Bacillus subtilis가 생산하는 길항물질에 의해 강하게 저해되었으며 이는 아플라톡신 오염방지를 위하여 효과적인 생물학적 방법일 것이라 기대된다.
        4,000원
        10.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in vitro effects of trisodium phosphate and cetylpyridinium chloride on E. coli O157:H7 and L. monocytogenes were investigated. The trisodium phosphate and cetylpyridinium chloride was bactericidal toward E. coli O157:H7 and L. monocytogenes. The killing effects of the 1 × 10^(-2) M trisodium phosphate on E. coli O157:H7 and L. monocytogenes were 30-40%, 40-50%, respectively. The killing effects of the 5 × 10^(-7) M cetylpyridinium chloride on E. coli 0157:H7 and L. monocytogenes were 90-95%, 95-99%, respectively. The killing effects of the trisodium phosphate was 105 times that of the cetylpyridinium chloride. Factors effecting the bactericidal action of trisodium phosphate and cetylpyridinium chloride were investigated and the action depended on temperature and pH.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