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9

        101.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s based on a survey conducted to understand the current problems of water leakages in underground structures. According to the overall results, 55.7% of the respondents replied that water leakage problems is serious and all replied that a preventative measure is absolutely necessary.
        105.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quality of injection sealer for water leakage maintenance be being managed by KS. However, the test result of response to the substrate movement performance have some errors by an experimenter. Therefore, this revision standard of test method is proposed by that the new tester is manufactured for solving this errors in this study.
        106.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report is contained to the repair guidelines of water-leakage crack and the standardization of performance evaluation testing method studied and reviewed to register to the domestic construction technique as the international standard, and to the introduction to the it’s research contents lasted three years between 2010 and 2013.
        107.
        2014.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 learning method of non-dominant hand for the sequential timing performance. Methods: Twenty right-handed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non-dominant hand practice group that practiced with only non-dominant hand or the bimanual practice group that practiced with both hands simultaneously. The participant was asked to alternatively press two buttons six times with the index finger of the non-dominant hand or both hands in order to reproduce accurately the goal rhythm pattern (3,600ms in total duration). The goal rhythm pattern had three rhythm types and two perceptual structures, which the (in)congruent structure was that the structure of auditory signal was (or not) in accordance with that of visual signal. Results: Bimanual practice group was more effective for absolute-timing learning than non-dominant hand practice group. Although absolute timing performance improved in congruent structure during acquisition phase, the learning effect on absolute timing was occurred in incongruent structure. Relative timing performance of two groups improved in congruent structure during acquisition phase, but the learning effect on relative timing was occurred in both perceptual structures. Conclusion: We suggest that practice methods should be applied differently for absolute timing or relative timing, and the possibility of improving the learning effect of a non-dominant hand by utilizing an incongruent structure of visual-auditory information.
        108.
        2014.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정원의 환경과 문화를 융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중 고등 학생들의 창의적 체험활동에 활용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의 지침을 제안하는 연구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 연구를 통해 융복합 프로그램의 목적과 요소를 분석하고 정원의 환경적 요소와 문화적 요소를 통합한 시범적 프로그램을 도출하였다. 또한 도출된 정원 환경과 문화 융합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이때 참여한 체험교사 30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요소별 만족의 정도를 조사하였다. 프로그램요소는 환경적 요소, 효과적 요소, 프로그램 내용적 요소로 분류하여 17개의 변수를 도출하고 이들 변수가 프로그램 전체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여 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독립변수17개와 종속변수로 1개를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는, 정원환경과 문화 융합 프로그램에서는 창의성 향상과 사회성증진 효과가 가장 중요한 효과로 나타나고 자연관찰 및 표현프로그램이 가장 만족이 높은 프로그램을 나타났다. 따라서 창의성과 사회성을 위한 대화와 의사소통 방법을 프로그램 지침서에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자연과 동화되는 관찰과 표현기법 프로그램을 체험교사가 적용이 용이한 매뉴얼방식으로 제시할 것을 제안한다.
        109.
        2014.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원예재활 실습만족이 화훼원예전공생들의 직업준비의사에 영향을 미칠까?라는 연구의문을 가지고 원예재활 실습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여 이들이 직업준비의사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통계적으로 분석했다. 연구절차는 선행연구를 통해 원예재활실습 구성요소를 심리적, 물리적, 교육적 범주로 14개의 변수를 도출하고 이를 현장에 맞게 조작적 정의를 내려 변수를 가공한 후 설문을 통해 실습에 참여한 화훼원예전공생 60명 전수를 대상으로 실증적 조사를 하였다. 조사의 내적 타당도와 측정도구의 신뢰성을 검증하고 회귀분석을 통해 직업준비의사에 미치는 만족 요인을 분석했을 때 자격증제도와 체계화 된 교구재가 가장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화훼 원예 전공생이 원예재활을 직업으로 연계하려면 체계적인 시청각 교구재의 개발과 자격증 제도의 시스템과 같은 전문적인 지원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연구결과는 원예재활프로그램의 정착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111.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quality of injection sealer for water leakage maintenance be being managed by KS and ISO. However, the test result of percolation resistance performance have some errors by an experimenter. Therefore, this revision standard of test method is proposed by that the new tester is manufactured for solving this errors in this study.
        113.
        2013.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대조군이 없고 실험기간이 짧아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 제한점이 있으나 원예치료가 요양시설 노인의 우울증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유의함을 나타냈다. 이는 원예치료 활동을 통해 자신이 심은 식물의 변화되는 모습을 관찰하고, 또 다른 생명을 직접 돌보는 역할을 통해 자긍심과 자신감을 가지고, 정서적으로 안정을 찾게 되어 우울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도 요양시설 노인들에게 다양한 원예치료 활동을 제공하여, 우울감소를 통한 심리적 안정뿐만 아니라 신체적, 사회적으로도 건강하고 풍요로운 노후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116.
        201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자주 다루지 못한 대학에 재학중인 지적장애 재활전공 학생그룹을 대상으로 한 것에 의미가 있으며 원예재활 프로그램을 도입하기 위해 대상자의 만족 성향이 원예재활 관련 전문 직업 프로그램의 참여의지와 직업 관심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 향후 직업재활로서 원예재활이 융복합적 프로그램으로 활용되는 데 기초자료를 구축한 것에 또 하나의 의미를 둘 수 있다. 또한 원예재활사와 원에재활 보조사로 활동할 수 있는 지적장애 학생그룹과 원예 관련 대학생 그룹간의 차이도 비교분석 하였다. 이것은 일반 프로그램과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재활보조 프로그램의 단계별 차별화가 필요한가에 대한 의문을 가지고 비교 분석한 것으로 식물심기 프로그램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두 그룹간의 유의성이 나타남으로 프로그램은 지적장애 그룹과 일반학생을 나누어 난이도를 차별화한 프로그램으로 개발해야 함을 파악 할 수 있었다. 또 지적장애이면서 대학에 진학한 본 연구대상자 그룹은 심리적인 특성과 지적 성취 정도가 일반 장애그룹과는 달리 원예를 비롯한 각종 사무직과 사서직, 돌봄 등의 직업에 관심을 다양하게 나타내고 있으나 개인별로 선호와 관심 정도는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그러나 원예활동에서의 공통된 특성은 지적장애 학생의 경우 이론과 노작을 통한 원예 접근 보다는 호기심과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만들기, 꾸미기형 원예 프로그램이 가장 많은 집중과 관심도가 나타나므로 이러한 흥미가 직업관련 교육프로그램 접근요소에 중요한 인자라는 것을 본 연구로 분석할 수 있었다. 즉, 지적장애 대학생으로 원예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로 진로모색을 하는 대상자들에게 맞는 원예재활 프로그램은 장식적인 원예 프로그램이 직업에 대한 관심과 접근성을 높이는데 가장 영향을 줌으로 이 점이 프로그램 구성 지침에 반영 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후 실제 원예재활 직업프로그램 실행을 위하여는 개인별 적응도와 작업수행 평가 등을 실시하여 원예 재활관련 직업 적합도를 대상자 특성과 연관하여 단계별로 매뉴얼화하고 교육의 전과 후의 적응도의 차이 등을 연구함으로 직업재활분야에 원예재활 프로그램이 체계적으로 정착되어 나가야 할 것이다.
        117.
        2012.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다양한 음높이 구조에서 감각정보 형태에 따른 타이밍 동작 제어 특성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오른손이 우세손인 16명의 연구 대상자가 실험에 참여하였다. 실험 과제는 리듬 지각 및 타이밍 협응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목표 과제의 타이밍 구조를 지각한 후 동일한 타이밍으로 키보드 자판을 누르는 것이었다. 각 연구 수행자는 세 가지 음높이 조건(단음, 상승음, 하강음)의 네 가지 리듬 구조를 감각정보 조건(단일(청각)감각, 다중(시청각)감각)에 따라 각각 12회씩 총 24회를 무선적으로 수행하였다. 타이밍 동작 제어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절대적 타이밍 오차와 상대적 타이밍 오차를 분석하였으며, 개인차를 고려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음높이 구조별 타이밍 능력을 절대적 및 상대적 타이밍 오차 기준에서 각각 상대 비교하여 상승음이 우수한 집단(AG)과 하강음이 우수한 집단(DG)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16명의 전체 연구 대상자의 결과를 살펴보면, 절대적 타이밍 오차의 분석에서는 다중감각 조건보다 단일감각 조건에서 타이밍 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대적 타이밍 오차 분석에서는 단일감각 조건보다 다중감각 조건에서 타이밍 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타이밍 능력별로 AG와 DG 집단의 비교 분석 결과, 단일감각 조건에서 타이밍 능력이 우수한 집단은 다중감각 조건에서 수행력이 떨어진 것으로 나타난 반면, 단일감각 조건에서 타이밍 능력이 떨어진 집단은 다중감각 조건에서 수행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과제제한 요소와 개인제한 요소의 성격에 따라 타이밍 동작 제어 특성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리듬 및 타이밍 과제의 현장 적용에 있어서 과제와 개인의 특성을 고려하여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118.
        2012.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기호를 활용한 인지학습기반 표현움직임 프로그램의 현장 적용성을 탐색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먼저 인지학습 기반의 표현움직임 프로그램 구성에 활용된 Motif Writing 기호를 소개하여 전반적인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그리고 남 여 구분 없이 4-5세 유아 실험집단(9명)에게 이 연구를 위해 개발된 움직임교육 프로그램을 8주 동안 적용하는 현장 실험을 실시하고, 인지수업(영어), 신체활동수업 (발레), 스포츠 활동수업(수영) 각 9명씩 총 36명으로 이루어진 집단과 비교하여 다중지능에 있어서의 상대적인 변화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대인관계, 신체지능을 제외한 언어, 논리-수학, 공간, 음악, 개인 이해지능에서 비교집단보다 상대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호를 활용한 인지학습기반 표현움직임 프로그램이 기호를 읽고 해석하고 자신의 생각을 움직임으로 표현하는 과정을 통해 다중지능의 전반적인 향상에 긍정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본 프로그램이 단순히 신체적 발달뿐만 아니라 인지적, 정서적 발달에 이르는 전인적 교육 프로그램의 발전적 대안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Motif Writing 기호를 활용한 표현 움직임 프로그램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시사해 주는 것이다.
        120.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일회성이 아닌 지속적인 어메니티 창출을 위해 문헌조사와 현장조사를 통해 어메니티 평가 요소와 시험 프로그램(pilot program)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식물축제와 테마식물원 방문자를 대상으로 방문동기별 어메니티 요소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비교분석 함으로 식물관련 축제와 체험행사의 공간구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 또 시범용 체험프로그램 참여자의 참여목적별 만족도를 비교하여 프로그램 활용 방안을 유형별로 분류하는 지침을 도출하였다. 즉, 어메니티 요소에 대하여 방문목적별 분석은 유의한 차이가 시설물과 식물의 다양성에 대하여만 나타났다. 나머지 항목은 나타나지 않은 것을 통해 시설물은 공간 방문목적에 맞게 종류와 배치를 재구성 해야 하고 식물의 다양성을 고려한 테마선정과 계절별 배치와 이용자의 목적에 따른 체류시간을 고려한 동선 배치가 필요하다고 분석된다. 어메니티 체험 프로그램은 대상자의 체험활동 목적에 따라 그리기와 토피어리조형정원, 미니정원 프로그램에서 만족도 차이가 나타나므로 단순체험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산책과 채집 식물활용, 먹거리 관련 프로그램과 교육이 요구되는 그리기와 만들기형 프로그램으로 대분류하고 교육이 요구되는 프로그램은 이해를 도울 수 있는 교구재와 모형을 만들어 지속적인 교육기능을 보완 한다면 효과적으로 체험프로그램이 운영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지역의 어메니티 향상을 위한 식물축제나 수목원, 식물원, 대안학교 등에서 식물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할 때는 방문자의 경험과 방문목적을 고려한 후 일시적 체험활동과 교육적 체험을 분류한 단계별 매뉴얼 중심의 체계적 체험 활동으로 질적인 운영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 식물관련 축제와 식물원에서 어메니티 효과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공간 구성과 체험프로그램을 도입할 때, 본 연구에서 도출된 이용자의 목적별 데이터는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