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3

        61.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A major medicinal plant, Angelica gigas Nakai, have using root parts and mainly cultivated the cool temperature region of high alpine as wild type in the northeast of China, Japan and Korea. The roots of grow it’s rapidly form August, and harvested from October to November. This study performed that the growth characteristics on soil mulching vegetation cultivation field of 300 m altitude of under Larix leptolepis (S. et Z.) Gordon in Bonghwa-gun, Gyeongsangbuk-do. Methods and Results : After one-year seeding of the same size (7 - 8 ㎜) were transplanted in three types soil mulching of cultivation (plastic, straw and non-mulching) overground growth surveyed in three times (May to August), To confirm of soil condition compared the average. Soil condition of plot were observed to pH 5.56, OM 3.22%, T-N 017%, and growth increment were higher observed to that straw and non-mulching then plastic mulching of such as plant length 46.8 ㎝, stem diameter 5.9 ㎜, leaf length 24.4 ㎝ and width 28.9 ㎝, number of radical leaf 3.1. But from August, when the average temperature was high, the growth characteristics such as plant length, petiole Length, leaf length and width were reversed compared to those of plastic and non-mulching. Conclusion : In case of cultivation of A. gigas in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mountainous area, considering the growth from August to October when the roots growth bigger, It suggested that strew mulching is better than plastic and non-mulching, would be done through further research on underground growth characteristics of A. gigas according to harvesting time confirmed the relationship to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A. gigas according to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soil mulching mountainous plantations.
        62.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Wild-simulated ginseng (WSG, panax ginseng C. A. Meyer) is known to be grown in high altitudes with a climate of cool, well ventilated and fertile humid forests.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altitude and soil characteristics on the growth of WSG were investigated. Methods and Results : The seeds were planted on designated line, and the altitude was set at 600 highland and 300 highland. At each highland soil characteristics and forest condition were investigated also Hobo (HOBO U30 Werther station) was set up to measure the microclimate in the site.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each highlan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in the growth of WSG according to the soil condition. Growth characteristics of undergrowth, such as root thickness and length also upper growth such as stem length and thickness were measured. As a result of the soil characteristics survey, the value of available phosphorus was found to be 256.7 ㎎/㎏ at 300 highlands. On the other hand, in 600 highland, available phosphorus was 29.59 ㎎/㎏, which showed big difference. Conclusion : Overall, the cation exchange capacity was higher than the 600 highland at 300 highland. The weight, stem length, root length and leaflet size of the wild-simulated ginseng were higher than those of 600 highland at 300 highland.
        63.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구면 영상에서 영역 분할 정보를 사용하여 바닥 영역을 검출하는 방법을 제시 한다. 평면 영상에서의 Watershed 영역 분할 방법을 수정하여 구면 영상의 영역 분할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영역들을 분할한 뒤 가정된 바닥 영역 픽셀의 색상과 질감을 그 외의 영역 들과 비교하여 바닥 영역을 검출한다. 구면 파노라마 영상에서는 구면 왜곡으로 인하여 평면에 서의 바닥 검출 방법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다. 구면 왜곡을 고려한 바닥 영역 검출을 위하여 바닥 영역의 외곽선을 검출하는 알고리즘을 설계하였다. 실험에서 지상물이 없는 경우와 있는 경우의 모두에서 적절하게 바닥 영역을 검출할 수 있는 결과를 보였다.
        65.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식공간 내 식물활용이 마케팅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었으며 설문지를 활용해 식공간 이용자의 특성을 분석 하였다. 성별에 따른 그룹에서 독립표본 t검정을, 연령과 소득에 따른 그룹은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행하였고 식물 관심도와 식물장식 선 호도에 대해 성별, 연령, 소득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여성이 남성보다 식물 관심도가 높았고 50대 이상의 사람들이 식물 관심도가 높았다. 소득에 따라서는 그룹 내에서 월수입이 가장 높은 400만원 이상의 사람들이 식물 관심도가 높았다. 식물소재는 남 성은 잎 위주의, 여성은 꽃 위주의 소재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30대-50대 이상의 그룹에서 연령이 높을수록 잎 위주의 소재를, 낮을 수록 꽃 위주의 소재를 선호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생화와 조화의 선호도를 분석한 결과, 생화를 선호하는 비율(73.6%)이 가장 높았고 연 령이 높을수록 그 경향이 더욱 분명하게 나타났다. 생화를 선호하는 이유로 가장 높은 평균 점수를 보인 것은 ‘생명을 느낄 수 있다’ 였으며 ‘자연의 향을 맡을 수 있다’에 대한 남녀의 응답에서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생화를 선호하지 않는 이유에서 가장 높은 평균 점 수가 나타난 것은 ‘쉽게 시든다’였으며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것은 ‘비용이 많이 들 것 같다’에 대한 소득별 그룹의 응답이었다. 생 화에 대한 사람들의 긍정적인 반응과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은 차별화된 마케팅을 목적으로 할 때 공간장식의 요소로써 매력적인 소재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되었다.
        66.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인터넷의 등장과 스마트폰의 빠른 보급으로 인하여 SNS 사용 인구가 증가하며 SNS를 통한 마케팅의 중요성이 점점 확대되었고, 다양한 분야에서 SNS 마케팅 활용성이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플라워샵의 SNS 마케팅 특성이 화훼디자인 상품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도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SNS 특성과 구매의도와의 관계에서 화훼디자인 상품의 대한 소비자의 태도를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본 연 구에서는 SNS 특성을 사용자의 관점으로 정보제공성, 상호작용성, 접근편의성, 신뢰성 4개의 요인으로 추출하였고, SNS 특성이 화훼디 자인 상품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설정한 9개의 가설을 토대로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SNS의 이용실태에서는 SNS 의 사용여부를 묻는 질문에 91.2%의 응답자가 사용한다고 하였으며, 42.3%의 응답자가 1시간 미만의 SNS 사용시간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이용목적으로는 정보지식 습득 및 공유(36.1%)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플라워샵의 SNS 활용특성의 하위범주(정보제공성, 상호 작용성, 접근편의성, 신뢰성) 모두 화훼디자인 상품에 대한 태도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화훼디자인 상품에 대한 태도는 구매의도 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화훼디자인 상품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구매의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 볼 때 플라워샵의 SNS 활용특성 중 정보신뢰성과 접근편의성에 의하여 화훼디자인 상품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가 형성 되었을 때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화훼장식품의 구매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플라워샵의 SNS에 서 게시하는 게시물의 정보에 대한 신뢰성과 원하는 이미지와 정보를 보기 좋고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편의성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 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플라워샵의 SNS 활용특성의 하위요인들이 화훼디자인 상품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화훼디자인 상품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플라워샵의 SNS 활용특성의 하위요인을 살펴보면 신뢰 성(β=.354)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접근편의성(β=.319) 또한 브랜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훼디자인 상품의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플라워샵의 SNS 활용특성의 하위요인에도 신뢰성이(β=.456) 가장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플라워샵의 SNS 활용특성이 화훼 디자인 상품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신뢰성과 접근편의성 요인을 강화해야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67.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LOB(floral object)이란 다양한 재료, 화훼 표현기법과 작가의 예술의식이 조합되어 새로운 조형성과 예술성을 추구하며, 식물이 가진 본 래의 형태를 해체하여 전혀 다른 오브제적인 특성을 보여주는 현대 화훼조형의 장르이다. FLOB 작품은 1980년대 이후 국내 화훼조형작품 에서 두드러지게 보여지나 이에 대한 선행연구가 적고 FLOB 디자인의 개념과 특성에 대한 화훼작가들의 인식이 부족한 실정이다. 국내의 FLOB에 대한 인식 및 표현 특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국내 성인 남녀 플로리스트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 분석을 하였으며, 2007-2015년 까지 발표된 화훼조형작품집과 매거진에서 해체적 특성이 명확히 나타난 FLOB 작품 230점을 표집, 분석하여 사용된 소재, 형태, 표현기법 에 따라 분류된 FLOB 디자인의 개념을 구체화하고 다양한 화훼조형의 표현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조사된 표집작품의 조형형태는 ‘기하형태(54.7%)’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소재유형은 ‘절엽’(31.0%), 소재해체방법은 ‘분해’(50.4%), 표현기법은 ‘gluing’(46.8%), 작 품 활용도에서는 ‘공간장식'(50.5%)이 가장 많은 비율을 보였다. FLOB 디자인의 인지도 분석 결과 ‘매우 잘 알고 있다’와 ‘알고 있다’의 비 율이 전체 응답자의 60.5%를 차지하였으며, 40대 이상, 10년 이상 화훼장식 경력의 플로리스트들에게서 인지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FLOB 디자인을 아는 그룹과 모르는 그룹 간 해체적 특성에 대한 이해도를 조사한 결과 ‘표현기법’에 대한 인식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며, 해체적 특성에 적합한 소재의 이해도를 분석한 결과 절화소재는 두 그룹 모두 Gomphrena globosa의 적합성이 가장 높으며 Helianthus annuus는 그룹 간 큰 인식 차이를 보였다. 절엽소재는 FLOB 디자인의 인지유무에 상관없이 Magnolia grandiflora > Aspidistra elatior > Galax urceolata 순으로 FLOB 디자인에 알맞은 소재로 인식되었으며, 절지소재는 인지유무에 따라 선호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열매소재 의 경우 Smilax china가 가장 높은 적합성을 보였다. FLOB 디자인의 해체적 특성을 플로리스트들이 본인의 화훼 작품에 사용하고 있는 비 율은 전체 응답자의 76.2%이며 그 중 자신의 화훼작품에서 FLOB 디자인의 해체적 특성이 실제로 사용되고 있었음을 알고 작품을 완성한 비율은 60.7%로 나타났다. 화훼작품 제작 시 FLOB 디자인의 해체적 특성 사용여부를 조사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83%가 ‘사용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사용 의향이 있는 플로리스트들은 대부분 재료의 물성, 다양함 표현(55.7%)과 시각적 조형효과 극대화(40.2%)를 위해 장식용 디자인작품(43.4%)이나 예술 표현의 전시조형작품(40.2%)에 해체적 특성을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FLOB 디 자인을 제작함에 있어서, 디자인 목적에 맞는 적절한 소재의 선택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이를 위해 소재가 지닌 형태적 특성과 물성, 시간에 따른 변이성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68.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플라워샵에서의 절화의 신선도를 유지하고 상품성을 높이기 위해 절화수명연장제의 사용유무를 파악하고 효과적인 면을 알리면서 사용을 권장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절화수명연장제에 대한 인식과 이용현황을 알아보고자 120명의 플라워 샵에 근무하는 플로리스트들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절화수명연장제의 사용현황과 특성, 실제 사용자들의 선호도 및 만족도, 사용유무에 따른 집단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국내 플로리스트들의 절화수명연장제의 사용 유무 결과 ‘사용함’은 19.8%, ‘가끔 사용함’ 은 34.7%, ‘사용 안 함’은 45.5%으로 나타나, 화훼선진국인 일본이나 네덜란드에 비하여 사용 빈도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절화수 명연장제가 주로 사용되는 시기는 ‘화훼 상품 보관 시’ 및 ‘균 번식 억제’를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며, 사용을 한다고 응답한 플로리스트들 에게서도 사용 빈도는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절화수명연장제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는 51.4%의 플로리스트들이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고 하여 절화수명연장제에 대한 인식이 많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절화수명연장제 사용시 만족도 조사에서는 44.2% 의 플로리스트들이 긍정적인 만족도를 보였다. ‘절화수명연장제를 주변에 추천하고 싶다’ 에는 ‘그렇다’는 응답이 49.5%로 가장 많이 나 타났으며 절화수명연장제를 사용함에 있어 효과적이었던 경험이 많았다고 판단되므로 주변에 추천하고 싶다는 의견 또한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 절화수명연장제 재구매 의사는 50.5%로 나와 전체적으로 긍정적인 응답률이 높았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 플라워샵에서의 절화수 명연장제 이용현황 및 인식에 대해 살펴본 결과 플로리스트들에게서 절화수명연장제에 대한 인식이 선진국에 대비해 다소 부족하였고 정 보습득 및 접근성 또한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현재 국내에 시판 중인 절화수명연장제 브랜드의 종류와 광고의 빈도수도 현저히 낮아 소비 자들이 경험할 수 있는 기회도 부족한 것으로 연구되었다. 그러나 절화수명연장제를 사용하는 플로리스트들에게서는 만족도와 재이용율 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SNS, 소셜 미디어, 사회관계망서비스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절화수명연장제 광고의 노출 빈도를 높여 소비자들 에게 접근성과 사용효과에 대한 인식이 높아진다면 절화수명연장제의 사용이 활성화 될 수 있는 기회가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69.
        201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understand the role of table floral decorations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s that exist between satisfaction level and reuse intention which both result from one’s cognitive reactions and emotional effects from encountering table floral decorations in party catering. The survey was conducted to gather data from respondents about their cognitive reactions, emotional effects, satisfaction level, and reuse intention on table floral decorations being used as a part of party catering. The results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etween the cognitive factor and satisfaction level showed that ‘mood’ (β=0.404, p<0.001) and ‘artistry’ (β=0.288, p<0.001), among cognitive sub-factors of ‘artistry’, ‘mood’, and ‘harmony’, had large portions of positive effect on the satisfaction level, while harmony (p=0.494) did not show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atisfaction level. Examining the sub-factors of the emotional factor, ‘dignified’ (β=0.420, p<0.001) was shown to have a larger effect on the satisfaction level than ‘unique’ (β=0.263, p<0.001). From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r=0.827), high satisfaction level had a causal link to high reuse intention. Party catering will inevitably grow with the growth of Korea’s national income and as the leisure industry further develops, the main contribution of this research is that it provides various approaches to conducting segmented research on table floral decorations in party catering.
        71.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자생국화 15분류군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다변량 분석을 통해 분류학적 유연관계를 구명하여 그 분류 기준을 제시하고 조경용 및 약용 소재로 이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국화속 15분류군의 잎을 대상으로 GC/MS 분석 결과, 총 45종의 휘발성 향기성분이 함유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camphor, borneol, phytol, α-pinene, camphene, 1,8-cineole 및 germacrene-D 는 모든 분류군에 공통적으로 함유된 것으로 나타났다. 국화속 15분류군은 hydrocarbon류(sabinene, cymene, β-selinene), alcohol류(1-octen-3-ol, cischrysanthenol,hinesol), ketone류(chrysanthenone, camphor), 및 ester류(cis-sabiene hydrate, trans-chrysanthenyl acetate)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바탕으로 주성분 분석과 군집 분석 결과 총 3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Group I은 5분류군의 구절초류를 나타내었으며, 주요 성분은 D-limonene와 m-thymol이었다. Group II는 낙동구절초, 남구절초, 넓은잎구절초, 서흥넓은잎구절초 그리고 마키노 국화로 구성되었으며, linalool와 cis-chrysanthenol, eugenol, 및 chrysanthenone이 주요 성분이었다. Group III은 감국, 흰감국, 가는잎감국, 산국, 키큰산국이었다. 특히, Group I과 II에서는 α-terpineol이 공통적으로 함유되었으나, Group III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72.
        2014.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영상 워핑은 입력 영상을 주어진 조건에 적합하게 변형하는 기술로, 최근 영화나 애니메이션 분야에서 캐릭터의 얼굴 형상을 변형하는데 활용되고 있다. 얼굴 특징을 기반으로 형상을 변형하는 워핑 방법 가운데 하나인 메쉬 워핑은 입력 영상에서 눈, 코, 입 주변의 사각형 모양의 메쉬 그룹을 형성하여 1:1정합시킴으로써 워핑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이다. 이는 메쉬 제어점 좌표에 오차가 있거나 작은 면적의 메쉬로 세분화되어 생성된 경우 메쉬들의 경계 선분에서 결과 영상이 일그러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는 얼굴의 자연스러운 워핑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오류 발생을 최소로 하며 정확한 결과를 적은 연산량과 시간에 처리하기 위해 삼각형기반의 영상 보간 기법을 제안한다. 우선 얼굴을 대표하는 특징점들을 찾고 이들을 연결하여 기본 삼각형 메쉬를 구성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기존의 메쉬 워핑과 비교하여 연산 처리량과 시간은 단축되면서 워핑 과정에서의 오류 발생을 줄일 수 있음을 실험으로 보인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