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6

        108.
        200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시중에서 수집한 소포장 보리쌀의 외관과 품위를 평가하여 일반 소비자들을 위한 브랜드 보리쌀의 품질 등급 기준을 설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전국의 중대형 슈퍼마켓에서 2007년 6월~ 7월에 수집한 소포장 보리쌀 61점(쌀보리쌀 28점, 찰보리쌀 23점, 재래시장 보리쌀 10점)을 식물자원학과 유전육종학실험실에서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브랜드 보리쌀의 포장단위는 200~1,000g 이었는데, 1,000 g 포장된 것이 56.8%였으며, 800 g 포장이 25.4%였는데, 찰보리쌀은 800 g 포장이 많았고, 쌀보리쌀은 200~300g 의 작은 단위로 포장된 것도 있었다. 재래시장 보리쌀의 한 되 평균 중량은 1,159 g이었는데, 762~1,732g 의 범위로 차이가 컸다. 2. 보리쌀의 1,000립중은 평균 20.1±2.51g 이었는데, 쌀보리쌀은 18~28g 였고, 찰보리쌀은 14~26g 이었으며, 쌀보리쌀은 20~22g 이 39.2%이고, 찰보리쌀은 18~20g 이 43.47%로 가장 많았다. 3. 보리쌀의 정립율은 쌀보리쌀이 평균 88.0%였고, 찰보리쌀은 평균 94.3%로 찰보리쌀의 정립율이 더 높았는데, 쌀보리쌀의 정립율이 현저히 낮은 것은 싸라기율이 높기 때문이었다. 재래시장 보리쌀의 정립율은 평균 69.7%로 브랜드 보리쌀에 비해 현저히 낮았다. 4. 브랜드 보리쌀의 용적중은 평균 843g~cdotL1였고, 805~917g~cdotL1의 범위였는데, 가장 높은 것은 쌀보리쌀의 917g~cdotL1였고, 가장 낮은 것은 쌀보리쌀의 805g~cdotL1였으며, 변이계수로 보아 찰보리쌀의 용적중 변이가 더 컸다. 5. 브랜드 보리쌀의 수분함량은 평균 14.75%였는데, 찰보리쌀은 평균 16.2%로 수분함량이 높았고, 쌀보리쌀은 평균 13.75%로 찰보리쌀에 비하여 낮았다. 6. 쌀보리쌀의 길이는 평균 4.61 mm였고, 폭은 평균 3.05 mm였으며, 두께는 평균 2.12 mm였고, 찰보리쌀은 길이가 평균 4.44 mm였고, 폭은 평균 2.89 mm, 두께는 평균 2.06 mm로 쌀보리쌀이 찰보리쌀에 비하여 모두 컸다. 7. 보리쌀의 장폭비는 대부분이 1.4~1.9 의 범위였으며, 장폭비는 쌀보리쌀이 1.51±0.10 , 찰보리쌀이 1.74±0.13 으로 찰보리쌀이 약간 길었으나 최대값과 최소값은 각각 1.31~1.70 과 1.33~1.74 로 차이가 없었다. 보리쌀의 입장과 입폭은 유의한 상관이 있었으나 입후와는 상관이 없었다. 8. 백도는 쌀보리쌀이 34.2±7.34 였고, 찰보리쌀은 27.3±10.21 였으며, 재래시장에서 판매되는 보리쌀은 40±6.12 로 찰보리쌀이 가장 낮고 재래시장의 보리쌀이 가장 높았다. 9. 쌀보리쌀의 가열흡수성은 평균 215.41%였으며, 대부분이 200~220% 였고, 퍼짐성은 평균 379.68%였으며, 주로 350~400% 였다. 찰보리쌀의 가열흡수성 평균은 231%였고, 주로 240~260% 였으며, 퍼짐성은 평균 401%였고, 주로 400~450% 가 많았다.
        109.
        200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립식량과학원에서 내재해성이 강한 국수용 밀 품종 육성을 목적으로 1994년도에 수원266호를 모본으로 하고 아사가제를 부본으로 인공교배 하여 SW94134 조합을 육성하였다. 경기도 연천에서 집단재배 후 계통을 전개하여 초형과 수형이 양호하고 내한성이 강한 계통인 SW94134-B-9-6-1-3-4-3을 '04~05년도 2년간 생산력검정을 거쳐 "익산312호"로 계통명을 부여하고,) 2006년부터 3개년 동안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제면 특성이 우
        110.
        200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콩 재래종과 야생종 자원의 엽 형질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콩의 엽형 조사를 계량화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콩의 초형개량과 재배법 개선을 위하여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두류유전자원관리실에서 분양받은 콩 재배종 94개와 야생종 91개의 엽형질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재배종과 야생종의 엽장은 각각 12.3pm1.25 cm(8.7~15.3 cm)과 평균 6.6pm1.35 cm(3.7~11.3 cm), 엽폭은 각
        111.
        200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농촌진흥청 국립농업유전자원센타로부터 국내외에서 수집되어진 피마자 40종을 분양받아 바이오디젤 가능 작물로서 생육 특성을 조사한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피마자 수집종의 출아소요일수는 15~16일에 82.5%가 출현하였으며, 출현에서 개화까지의 소요일수는 63~68일이었다. 경장의 분포는 전체 평균이 211.8 cm로 173~251 cm의 변이폭을 보였으며, 줄기 굵기는 평균 24.2 mm로 20.4~24.9 mm가 52.5%로 가장 많이 분포하였다. 절수는 평균 18.9개 였으며 그 범위는 13~22개로 넓게 분포하였다. 삭수는 주당 7~33개로 폭 넓게 분포하였으며, 종실 1l 무게는 평균 502.9 g으로 최소 432.3 g, 최대 572.5 g로 140.2 g의 큰 차이가 있었다. 100립중은 최소 20.3 g에서 최대 38.3 g으로 소립종과 대립종 간 18.0 g의 많은 차이를 보였다. 주당 종 실수는 최소 72개에서 최대 1,011개로 큰 차이를 보였으며, 평균 465.2개이었다. 주당 종실수량은 평균 128.1 g이었으며, 최저 20 g, 최고 266.2 g으로서 다양하게 분포하였다.
        112.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집종 아주까리 40종의 유전자원을 농촌진흥청 농업생명공학연구원 유전자원과로부터 분양받아 바이오디젤 가능 작물로서 조지방 및 지방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집종 아주까리 종자의 gas chromatogram은 6개의 피크를 보였고, ricinoleic acid의 retention time은 12.7분대이었다. 아주까리 수집종의 평균 기름 함량은 44.6~49.4%이었으며, 최저 41.4%와 최고 52.2%로 10.8%의 차이가 있었다. 지방산 조성은 불포화지방산이 97.6%로 대부분이었으며, 포화지방산은 2.4% 정도로 낮은 함량을 보였다. 지방산 조성은 87.3%가 ricinoleic acid이었으며, oleic acid와 linoleic acid가 각각 4.6%, 5.2%이었다.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의 함량은 1% 내외로 차이가 미미하였고, linolenic acid의 함량은 0.6% 정도로 가장 낮았다.
        113.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생물자원의 유전적 다양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보유하고 있는 유전자원의 분석을 근거로 한 다양성확보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ICARDA에서 분양받은, 시리아등 87개 지역에서 수집한 야생보리(Horedeum spontaneum) 394점을 재료로 농업적형질 및 표현형을 조사하여 구분정리함으로서 정제된 유전자원의 보존과 이용효율성을 높이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질적형질은 총성을 포함한27개의 형질을 조사하였고, 양적형질은 간장을 포함한 12개의 형질을 조사하였다. 과성 및 찰성을 지닌 자원은 없었으나 탈립성이 강한 7점의 자원을 선발할 수 있었다.추후 철분등 종실의 영양성분 분석 및SSR마커를 이용한 유용관계의 분석이 이루어질 예정이며, 이들 결과는 야생보리를 이용한 기능성 보리 품종 육성에 이용될 것이다.
        114.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 육성 콩 10품종의 각 부위별(자엽, 종피 및 배) 지방함량과 지방산 조성의 품종간 차이를 검토하였다. 지방함량은 자엽>배>종피 순서로 많았으며 각 부위별 평균 지방 함량은 자엽이 18.3%, 배가 8.9%, 종피가 1.4%이었다. 각 부위별 지방 함량은 자엽은 대망콩이 가장 높았고 서남콩이 가장 낮았으며, 배는 대망콩이 가장 높았고 호장콩이 가장 낮았다. 종피는 다장콩이 가장 높았고 새별콩이 가장 낮았다. 지방산 조성은 각 부위별로 자엽은 C18:2>C18:1>C16:0>C18:3>C18:0의 순서로, 종피는 C18:2>C16:0>C18:3>C18:1>C18:0의 순서로, 및 배는 C18:2>C16:0>C18:3>C18:0>C18:1의 순서로 높았다. 각 부위별로 linoleic/linolenic acid의 비율은 자엽은 명주나물콩이 가장 높았고 대망콩이 가장 낮았으며, 종피는 진미콩이 가장 높았고 대풍콩이 가장 낮았다. 배는 다장콩이 가장 높았고 대풍콩이 가장 낮았다.
        115.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콩의 주요 Allergy 단백질원은 α-subunit, Gly m bd 28K 및 Gly m bd 30K로 알려지고 있으며, 콩 유전자원에 대한 저 알러지 자원을 발굴하기위하여 α-subunit(Gly m bd 60K)는 SDS-PAGE로, Gly m bd 28K와 Gly m bd 30K는 Antibody를 작성하여 검정하였다. α-subunit는 1500개의 자원을 검정한 결과 한국자원 CS1151와 CS79, 일본자원 CS735, CS737 및 중국자원 CS1733의 5개 결실 자원을 발굴하였다. Gly m bd 28K는 Antibody를 작성하였으며 2D-electrophoresis로 Antibody를 확인한 결과, Gly m bd 28K는 4개의 Spot으로 이루어진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Gly m bd 28K와 Gly m bd 30K의 저하자원을 발굴하기 위하여 Antibody를 1/10000농도로 적정하여 Western-Blot실시하여 800개의 유전자원을 검정한 결과 Gly m bd 28K는 CS899와 CS909가 저 알러지 자원으로, Gly m bd 30K는 PI567476가 저 알러지 자원으로 확인되었다.
        116.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의 야생콩 40종, 육성품종 21품종 및 중국길림성 야생콩 36종의 97종에 대하여 다형성이 높은SSR 9개 마커를 사용하여 유전적 다양성과 유연관계를 분석하였다. 전체 97종에서 대립인자는 총291개로 확인되었고, 그 범위는 21~39개였으며 평균 32.3개였다. 또한 한국 야생콩의 대립인자 평균치는 15.2개, 한국 육성품종은 11.3개, 중국 길림성의 야생콩은 12.7개였다. 전체 97종의 유전적 다양성(PIC) 값의 범위는 0.960(satt185)~0.896(satt141)이었고, 평균 유전적 다양성(PIC) 값은 0.937이었다. 또한 유전적다양성은 한국 야생콩은 0.871, 한국 육성품종은 0.858, 중국 야생콩은 0.821으로서 큰 차이가 없었다. 유전적 거리에 의해 7그룹으로 분류되었으며, 1그룹에는 한국 야생콩, 2그룹에는 중국 야생콩, 5그룹에 한국 육성품종만이 모두 속해 있었다. 3과 4그룹에는 중국 야생콩이 주로 속하였으나 한국 야생콩이 각 그룹에2종씩 속하였고, 6과 7그룹은 한국 야생콩이 주로 속하였으나 중국 야생콩이 각 그룹에1 종씩 속하였다. 한국 야생콩과 육성품종 및 중국 길림성 야생콩 간에는 유전적다양성이 큰 차이가 없었으나 유연관계는 각 집단 간에 큰 차이가 있었으며 일부 한국 야생콩과 중국길림성 야생콩의 몇 종이 유연관계가 가까웠다.
        117.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ami”is a new japonica rice variety developed and registered by the rice breeding “Jeokjoong”, a white winter wheat (Triticum aestivum L.) variety was developed from the cross “Keumkang”/ “Tapdong”. “Jeokjoong” is an awned, semi-dwarf and soft white winter wheat, similar to “Keumkang” (check variety). The heading and maturing date of “Jeokjoong” were similar to “Keumkang”. Culm and spike length of “Jeokjoong” were 78 cm and 7.5 cm, similar to “Keumkang”. “Jeokjoong” had lower test weight (800 g) and lower 1,000-grain weight (40.1 g) than “Keumkang” (811 g and 44.0 g, respectively). It had resistance to winter hardiness, wet-soil tolerance and lodging tolerance. “Jeokjoong” showed moderate to scab in test of specific character although “Keumkang” is susceptible to scab. “Jeokjoong” had lower flour yield (69.2%) and ash content (0.36%) than “Keumkang” (72.0% and 0.41%, respectively) and similar flour color to “Keumkang”. It showed lower protein content (8.9%) and SDS-sedimentation volume (36.8 ml) and shorter mixograph mixing time (3.5 min) than “Keumkang” (11.0%, 59.7 ml and 4.5 min, respectively). Amylose content and pasting properties of “Jeokjoong” were similar to “Keumkang”. “Jeokjoong” had softer and more elastic texture of cooked noodles than “Keumkang”. Average yield of “Jeokjoong” in the regional adaptation yield trial was 6.19 MT ha-1 in upland and 5.33 MT/ha in paddy field, which was 19% and 16% higher than those of “Keumkang” (5.21 MT/ha and 4.58 MT/ha, respectively). “Jeokjoong” would be suitable for the area above the daily minimum temperature of -10℃ in January in Korean peninsula.team of Ho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NICS, RDA in 2006. This variety was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Iksan438 with lodging tolerance and high yield potential, and Iksan426 This variety has about 122 days of growth duration from transplanting to harvesting in Honam and Youngnam plain of Korea. It is about 83 cm in culm length and tolerance to lodging. In reaction to biotic stresses, it shows moderately resistance to blast, and resistance to bacterial blight pathogen races from K1 to K3, but susceptible to other major diseases and insect pests. The milled rice of “ami”has high Quality, midium short grain. The milled rice yield of this variety is about 5.92 MT/ha in local adaptability test for three years. “ami”would be adaptable to Middle plain, Honam plain and Youngnam plain area of Korea.
        118.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egjoong” a white winter wheat (Triticum aestivum L.) cultivar was develop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It was derived from the cross “eumkang”“lgeuru”during 1996. “aegjoong”was evaluated as “ksan307”in Advanced Yield Trial Test in 2004. It was tested in the regional yield trial test between 2005 and 2007. “aegjoong”is an awned, semi-dwarf and soft white winter wheat, similar to “eumkang”(check cultivar). The heading and maturing date of “aegjoong” were similar to “eumkang” Culm and spike length of “aegjoong”were 77 cm and 7.5 cm, similar to “eumkang” “aegjoong”had lower test weight (802 g) and lower 1,000-grain weight (39.8 g) than “eumkang”(811 g and 44.0 g, respectively). It had resistance to winter hardiness, wet-soil tolerance and lodging tolerance. “aegjoong”showed moderate to pre-harvest sprouting (23.9%) although “eumkang”is susceptible to pre-harvest sprouting (38.9%). “aegjoong”had similar flour yield (72.4%) and ash content (0.41%) to “eumkang”(72.0% and 0.41%, respectively) and similar flour color to “eumkang” It showed lower protein content (8.8%) and SDS-sedimentation volume (35.3 ml) and shorter mixograph mixing time (3.8 min) than “eumkang”(11.0%, 59.7 ml and 4.5 min, respectively). Amylose content and pasting properties of “aegjoong”were similar to “eumkang” “aegjoong”had softer and more elastic texture of cooked noodles than “eumkang” Average yield of “aegjoong”in the regional adaptation yield trial was 5.88 MT ha-1 in upland and 5.35 MT ha-1 in paddy field, which was 13% and 17% higher than those of “eumkang”(5.21 MT ha-1 and 4.58 MT ha-1, respectively). “aegjoong” would be suitable for the area above the daily minimum temperature of -10℃ in January in Korean peninsula.
        119.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basic information on mainstem, branch and leaf characteristics related to canopy for development of high yielding cultivar using 70 Korean soybean cultivars developed from 1913 to 2000. Variations of canopy width, branch length, and canopy width/length ratio were higher compared to other characteristics among 12 mainstem and branch characters. Variations of petiole angle, leaflet width/length ratio and compound leaf dry weight were higher than other characteristics among eight leaf characters related to plant canopy. Three classifications of soybean cultivars were used based on usage: I)soy sauce and tofu, II)bean sprout, and III)cooking with rice. Canopy width/length ratio was higher in group III, cooking with rice than group I, soy sauce and tofu, and group II, bean sprout,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 I and group II. The total branch length/main stem height ratio was higher in group II, bean sprout and group III, cooking with rice than group I, soy sauce and tofu. Mainstem and branch characteristics related to plant canopy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by ratio of canopy width/length and total branch length/main stem length, respectively. Soybean cultivars with narrow canopy and high dependence of mainstem were Danweonkong, Keumkangkong, Shelby, and Shinpaldalkong. Soybean cultivars with broad canopy and high dependence of mainstem were Kanglim, Keumkangdaelip, and Jinyulkong, and a cultivar with broad canopy and high dependence of branch were Geomjeongkong 2. Leaflet length/width ratio was lowest in cooking with rice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soy sauce and tofu and bean sprout. Compound leaf area was largest in cooking with rice and smallest in bean sprout. Leaf petiole length was short in bean sprout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soy sauce and tofu and bean sprout. Leaf petiole angle was highest in cooking with rice and lowest in bean sprout. Leaf type was classified into four groups based on leaflet width/length ratio and compound leaf area, respectivly. Buseok and Taekwangkong had an oval leaflet and largest area of compound leaf. Eunhakong and Sohokong had extreme narrow leaflet and smallest area of compound leaf. Leaf petiole type was classified into three and four groups based on leaf petiole length and angle, respectively. A soybean cultivar with the shortest petiole length and smallest petiole angle was Eunhakong and cultivars with short petiole length and large petiole angle were Alchankong, Muhankong, and Pureunkong. A soybean cultivar with long petiole length and small petiole angle was Sinpaldalkong 2. Among a total of 70 Korean soybean cultivars, Eunhakong had an extreme narrow type in leaf, smallest compound leaf area, shortest petiole length, and smallest petiole angle of compound lea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