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우수한 꿀벌 신품종 육성을 위해 국립농업과학원에서 육성된 재래꿀벌 RX계통을 분양받아 ’23~’24 년까지 부안군 변산면에 위치한 전북농업기술원 잠사곤충시험장 양봉사에서 꿀벌세력, 수밀력, 질병저항성, 온순성, 질병발생, 월동능력을 한라벌 품종과 비교하여 조사하였다. 8~11월 RX계통의 꿀벌세력 감소는 3.9%로 한라벌 39.8% 대비 상대적으로 낮았고, 수밀력, 청소능력, 온순성은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낭충봉아부패병 등 질병은 전북동물위생시험소에서 병성검정한 결과, 두 시험군 모두 항원이 검출되었으나 임상증상은 없었다. 그리고 월동 중 한라벌 품종은 폐사한 반면, RX계통은 모든 시험군이 월동에 성공하였고, 또한 월동전·후 먹이감 소량이 적어 월동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본 연구는 국립농업과학원 공동연구사업(PJ01504205)의 지원을 받아 수행하였다.
오염된 식품으로부터 바이러스를 효과적으로 검출하기 위해서는 식품에 부착된 바이러스를 효과적으로 elute시키는 것이 결정적으로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채소류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elution용액을 찾기 위해 폴리오 바이러스를 인위적으로 오염시킨 1가지 엽채류 (깻잎) 와 3가지 근채류 (당근, 양파, 무) 로부터 바이러스 회수율을 조사한 후, 최적의 바이러스 회수조건을 찾기 위해 기보고된 상추와 양배추의 회수율을 함께 분석하였다. 바이러스의 회수율은 식품의 matrix와 사용된 elution용액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컸으나 0.25M threonine / 0.3M NaCl (pH 9.5) 또는 0.25M glycine / 0.14M NaCl (pH 9.5)을 사용하였을 때 6가지 채소 중 5가지로부터 폴리오바이러스를 효과적으로 elute 할 수 있었다. 0.25M threonine / 0.3M NaCl (pH 9.5)를 노로바이러스 검출에 적용해 본 결과 근채류인 당근보다 엽채류인 깻잎으로부터 노로바이러스 GII를 더 잘 검출할 수 있었다. 이 같은 공통 elution용액을 사용할 경우 다양한 종류의 채소류에 오염된 노로바이러스를 포함한 소화기바이러스의 검출을 용이하게 해 줄 것이다.
본 연구는 반추동물의 조사료 자원으로서 거대억새를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우리나라에서 새롭게 개발된 품종인 거대억새 1호를 완숙기 이후에 채취하여 in vitro 반추위 발효를 이용해반추위내 pH, 암모니아태 질소, 가스발생량, 휘발성 지방산 생성량 및 건물소화율을 조사하였으며,볏짚과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거대억새는 볏짚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반추위내 pH를 나타내었다(p<0.01). 암모니아태 질소의 경우 배양 12시간 이후에는 두 처리구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p>0.05). 배양 6시간 이후 부터는 거대억새의 가스발생량이 볏짚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p<0.05). 휘발성 지방산 생성량에 있어 acetate, propionate, butyrate, valerate 및 총생상량에서 볏짚이 거대억새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iso-butyrate와 iso-valerate에서는 두 조사료원별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건물소화율에 있어 배양 12~24시간 사이의 거대억새 소화율이 볏짚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거대억새의 이용성은 볏짚의 약 80%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time-zone of pollinating activity relative to numbers released of Apis mellifera in the strawberry(Janghui var.) houses was together from 9A.M. to 4P. M., and the peak time of pollinating activity was 1P.M.. The effects on pollinating activity relative to the comb numbers in the honeybee hive released in the strawberry houses were ordered 5bee combs(11,000heads), 3bee combs(6,600heads) and 4bee combs(8,800heads). The rate of workers lost in A. mellifera hives with 5bee combs during the strawberry cultivating period were lower than those of 3bee combs and 4bee combs. The rates of fruit set by pollinating activity relative to the comb numbers in the honeybee hive released in the strawberry houses were same level with over 98%. The fruit qualities; number of seeds, sugar content and rate of normal fruit set were same level, but fruit weights was recorded 5bee combs with 40.8g, and 4bee combs and 3bee combs were showed with 37.8g. The marketing income of 5bee combs was 8% higher than that of 4bee combs and of 3bee combs, respectively.
The the peach pyralid moth, Dichocrocis punctiferalis causes the most serious damage to chestnut in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efficiency of control with aerial spraying(AS350-B2 Helicopter, 15m/flight altitude, Nozzleorifice D6, Fenitrothion EC 50% 1ℓ/ha), sex pheromone trap(25 Wing traps/ha, 75:25 mixture of (E)-10-hexadecenyl aldehyde (E10-16:Al) and (Z)-10-hexadecenyl aldehyde, 1㎎/trap), and crown spraying(BF530, Fenitrothion EC 50% 1ℓ/ha) against D. punctiferalis at chestnut orchards. After chestnut harvest in Autumn, the damaged rate(%) by D. punctiferalis showed 29.6±1.7 in aerial spraying, 27.8±8.4 in sex pheromone trap, and 8.9±3.8 in crown spraying, respectively. The crown spraying showed the highest control effect among the 3 control methods. The other methods were similarly effective.
The time-zone of pollinating activity relative to numbers released of Apis mellifera in the strawberry(Seolhyang var.) houses was together from 9A.M. to 4P. M., and the peak time of pollinating activity was 11A.M.. The effects on pollinating activity relative to the comb number in the honeybee hive released at the strawberry houses were ordered 5bee combs(11,000heads), 4bee combs (8,800heads) and 3bee combs (6,600heads). The rate of workers lost in A. mellifera hives with 5bee combs and 4bee combs during the strawberry cultivating period were lower than that of 3bee combs. The rates of fruit set by pollinating activity relative to the comb number in the honeybee hive released at the strawberry houses were same level with over 98%. The fruit qualities; No. of seeds, sugar content and rate of normal fruit set were same level, but fruit weights were ordered 5bee combs in 37.2g, 4bee combs in 35.6g and 3bee combs in 32.6g. The marketing incomes of 4bee combs and 5bee combs were 9% to 13% higher than that of 3bee combs, respectively.
Taxonomic resolution of the Nosema/Vairimorpah clade has been augmented with DNA sequences of the small subunit (SSU) and large subunit (LSU) ribosomal RNA (rRNA) and the arrangement of SSU and LSU. Based on the two characteristics, the clade is largely divided into two, i.e. 'true' Nosema sub-group and 'non-true' Nosema sub-group within the clade. Our study shows that a novel Nosema species isolated from Pieris rapae has mixed characteristics of the 'true' and non 'true' Nosema sub-group based on the topology of SSU and LSU sequences, and rRNA of the isolate is normally organized. Additionally, the length of ITS can be a diagnostic tool to distinguish 'true' Nosema from non 'true' Nosema in the Nosema/Vairimorpha clade based on its nucleotide length as reported before.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recombination event in the Nosema/Vairimorpha clade.
이트리아 안정화 지르코니아(yttria stabilized zirconia, YSZ)를 전해질로 선정하여 소결조건에 따른 열적 안정성과 전기적인 특성을 분석하였다. SEM사진으로 소결온도가 증가할수록 입자가 커지므로 상대적으로 기공은 줄어드는 것을 보였고 입자크기에 따른 영향을 확인하였다. 전기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2단자법(2-probe method)으로 800~1000℃의 오도에서 교류 임피던스 측정을 통하여 전해질 내의 저항과 전기전도도 측정으로 입자 내부 저항 및 전기적 성능을 평가하였다. 소결온도가 1400℃일 때 건식법과 습식법에서 밀도는 각각 6.13, 6.25 g/cm3이며, 상대밀도는 각각 98, 99%였다. 소결온도가 올라갈수록 저항은 낮아지고, 전도도는 커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건식 및 습식법으로 제작한 전해질의 전기전도도는 10000℃에서 각각 8.8×10-2,;11×10-2 S/cm이었다.
열화학적 IS 공정에서 요오드화수소의 분해에 적용하기 위하여 화학증착법(CVD)으로 제조된 silica 막의 안정성을 HI-H_2O 기상 혼합물에서 평가하였다. Si 원천으로 tetraethoxysilane을 사용하여 서로 다른 CVD 온도로 기공크기가 100 nm인 α-alumina를 처리하였다. CVD온도는 700^℃, 650^℃, 600^℃이었다. 600^℃에서 수행한 단일 성분의 투과 실험에서 측정한 막의 H_2/N_2 선택도는 CVD 온도 700^℃의 M1 막은 43.2, 650^℃의 M2 막은 12.6, 600^℃의 M3 막은 8.7을 나타내었다. HI-H_2O 기상 혼합물에서 안정성 실험은 450^℃에서 수행하였는데, CVD 온도 650^℃에서 처리된 막이 다른 온도에서 처리된 막보다 더 안정성이 더 좋은 결과를 얻었다.
원자력 발전의 고온 가스로(high temperature gas-cooled reactor, HTGR)의 냉각제로 사용되는 He가스의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물을 분해해서 수소를 생산하는 "열화학적 수소제조 IS프로세스"에 대해 설명하였다. 특히, 분리막 기술의 이용에 관한 연구를 중점으로 정리하였다. 고온 원자력 열에너지를 이용한 열화학적 수소 제조법은 실현 가능한 단계까지 왔다고 생각되며, 아직 연구 개발 과제가 많이 남아 있지만, 미래의 청정에너지 중의 하나인 수소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갖고 있다.
암의 3대 표준요법중의 하나인 방사선치료는 전통적으로 악성 종양인 암의 근치적 혹은 고식적 치료외에도 일부 증식성이거나 염증성을 보이는 양성 질환에서도 그동안 꾸준하게 시행되어왔다. 양성질환의 경우 악성 종양과는 달리 약물요법이나 보존요법 또는 수술로 만족할 만한 치료성적을 낼 수 있으나 이런 치료들이 실패하거나 불가능한 경우 저선량의 방사선치료를 추가하거나 병용하여 시행하는 경우 인체에 큰 문제없이 안전하고 용이하게 통증완화나 재발율을 의미있게 낮출 수 있다. 최근 방사선치료기법의 발달로 정상조직을 최대한 보존하면서 원하는 부위로의 집중적 치료가 가능해지면서 특히 노인에게서 유용한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grasp the introduction of Korean wild evergreen broad-leaved tree, Ternstroemia gymnanthera, as a plant of indoor garden, and to figure out the light-adaptability under the four types indoor lighting and to provide the introduction plan. The experimental plants, Ternstroemia gymnanthera was purchased from the farmhouse in Jeju-do as a year plant, and it was experimented after the acclimation in the glass-green house of general farm of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for 40 days.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for 1 year more from September 10, 2014 to September 30, 2015.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are as follows. When Ternstroemia gymnanthera is introduced as a plant of the indoor garden, the optical fiber, fluorescent lamp, and LED light in order are suitable to introduce as the proper lighting. In the case of the three-wave light, the growth and development was the worst among the 4 introduced lighting systems, therefore, the growth of Ternstroemia gymnanthera under the three-wave light was incongruous generally. The withering appearance was existed seriously by 500lux. Some leaves were fallen off, but generally smooth growth and development was done in the range of the 1,000lux to 2,000lux. The best intensity for the growth was under the condition of the 1,000lux. When the fluorescent lamp, and LED light are introduced, the most proper luminous intensity is the 2,000lux. When the optical fiber is introduced, the most efficient intensity is the 1,000lux. Generally the smooth growth and development is done under the more luminous intensity. As the result, the wild Ternstroemia gymnanthera is the species of tree to substitute the Ficus benghalensis, or Ficus retusa which is the foreign species, as a central tree or upper tree as well as pot tree, and it is expected to introduce sufficiently as a plant of the indoor gard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