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3

        87.
        201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assia obtusifolia L. is commonly used as medicinal foods to treat gastrointestinal disease in many countries. This study evaluated the anti-constipation effects of ethanolic extract of Cassia obtusifolia L. in rats with loperamide-induced constipation. Diffferent concentrations of ethanolic extract of Cassia obtusifolia L. (0, 10, 250, and 500 mg/kg) was administered to rat orally once daily for 3 weeks following loperamide treatment. Six-week-old Sprague-Dawley rats (N=25) were randomly divided into five groups: normal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and injected loperamide intraperitoneally to induce constipation in the latter four experimental groups. Following the induction of loperamide-induced constipation, a marked decrease was observed in the fecal weight and water content discharged for over 1 week and intestinal transit time while an increase was observed in the number of fecal pellets remaining in the colonic lumen as compared with the normal control group. These conditions were significantly alleviated following the administration of the two doses (250 and 500 mg/kg) of ethanolic extract of Cassia obtusifolia L. when compared to the loperamide-treated (constipation control) group. More specifically, the number of fecal pellets in the colon was 3, 5, 4, 2.8, and 1.2 in the five groups, respectively and the corresponding GIT ratio was 70.77, 56.59, 58.67, 66.81, and 72.10%, respectively. The fecal water content, transit distance, and GIT ratio in the high-dose treatment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medium-dose treatment group, but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number of fecal pellets in the colon. In conclusion, the Cassia obtusifolia L. extract is suggested to have beneficial effects as a therapeutic and preventive strategy to alleviate constipation and to relieve the symptoms of constipation such as pain, flatulence, distention, bloating, and unpleasant taste.
        4,000원
        89.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는 육상 및 해양 생태계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농업생태계 역시 이들 생태계에 의존하고 있는 생물 및 인간에게 생물학적, 경제학적, 사회학적으로 다양한 영향을 주고 있다. 기후변화를 쉽게 감지할 수 있는 지표종은 기후변화에 비교적 민감하게 반응을 나타내기 때문에 농업생태계와 같은 경제 사회적 영향을 많이 받는 곳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2017년 농업과학원에서는 농업생태계에서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을 잘 나타낼 수 있는 식물과 무척처동물 30종을 지표종으로 선정하였다. 30종 중 나비목에 속하는 종으로는 배추흰나비(Pieris rapae), 남방노랑나비(Eurema mandarina), 노랑나비(Colias erate), 호랑나비(Papilio xuthus) 4종이다. 이 연구는 나비 지표종 중 농업생태계에서 가장 풍부하고 확인이 쉬운 배추흰나비를 대상으로 전남, 충북, 경기, 강원지역에서 4월부터 월 1-2회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생물계절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조사는 각 지역에서 논과 밭, 산림 등을 포함하는 경로를 선정하여 30분간 이동하면서 좌우 5m내외 출현하는 나비를 조사하는 선 조사법을 실시하였다. 4월 이후부터 조사한 결과 전남에서는 4월초인 14째 주에 이미 많은 수가 관찰된 반면 충북, 경기 등지에선 15째 주 이후 관찰되기 시작하였다. 강원도에서는 6월 중순인 24째부터 관찰되어 위도별 출현 양상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9월말까지 관찰된 생활사 수는 전남에서는 5회, 경기도에서는 4-5회, 충북에서는 4회, 강원에서는 2회로 지역별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농업생태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배추흰나비가 위도별로 출현시기와 출현횟수를 달리하면서 나타나는 것을 통해 기후변화를 나타낼 수 있는 지표종으로 적절하다고 여겨지며 앞으로도 전국적으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정밀한 출현양상과 미래 분포 변화 모델링 작업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90.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섬은 비록 물에 둘러싸여 고립되어 있지만 서식지 유형이 바닷가부터 산림까지 다양하고 각 서식지마다 다양한 동ㆍ식물이 분포한다. 섬 생물지리학에서 동적평형설(dynamic equilibrium theory)은 섬에 서식하는 생물 종 수가 섬 면적과 육지와의 거리에 따라 결정된다는 이론이다. 대한민국은 3,358개의 섬을 가지고 있는데 이 수는 세계에서 4번째로 많다. 초식성 곤충은 전체 생물종의 1/4을 이루며, 식물을 먹이원으로 하기 때문에 식물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다양한 초식성 곤충의 활동을 알 수 있는 잎의 식흔을 이용하여 섬 생물지리학 이론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2017년 6월, 2018년 6~7월에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 속해 있는 15개 섬에서 식흔을 알아보았으며 대상 식물은 4개 과(대극과, 자작나무과, 장미과, 참나무과)에 속하는 낙엽활엽수이었다. 조사결과 Chewer와 Miner에 의한 식흔은 섬 면적이 클수록 Chewer에 의한 식흔량의 평균값과 Miner에 의한 mine의 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육지와의 거리가 멀수록 Chewer에 의한 식흔량의 평균값과 mine의 수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Galler에 의한 식흔은 섬 면적이 클수록 gall의 수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육지와의 거리가 멀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 결과를 통해, Chewer와 Miner에 의한 식흔은 섬 생물지리학 이론에 일치하는 양상을 보였지만, galler에 의한 초식활동은 이론에서 예측한 결과와는 맞지 않았다. 이 연구를 통하여 일부 초식곤충의 활동이 섬 면적이나 육지와의 거리에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었으나 galler와 같은 초식곤충은 일반적인 경향을 따르지 않았으며 이러한 원인에 대한 정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94.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a saltiness enhancement at the same salt content through multiple emulsion. We compared the samples with different conditions to determine the optimum stability conditions of water-in-oil through layer separation rate, microscopic observation and size analysis. Four electrolytes such as NaCl, KCl, MgCl2, and CaCl2 were used and agar contents ranged from 0 to 1% were experimented at different volume ratios including 5:5, 4:6, 3:7, 2:8, and 1:9 of water and oil.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droplet size according to the electrolyte type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Therefore, KCl was used to facilitate in-body excretion of NaCl in the outer water phase, and corn oil containing 8%(w/w) polyglycerol polyricinoleate was used as oil phase. When the volume ratio of water and oil was 3:7, 2:8, and 1:9, the layer separation rate was relatively slow and droplet size was also small. It reveals that the particle size becomes smaller as the water volume ratio decreases. However, considering the amount of water to be stored and eluted on the inner water, appropriate volume ratio of water and oil should be adopted to 3: 7. At Microscopic observation depending on agar concentrations, small particle size appeared at 0.2% and 0.4% agars. When the water and oil ratio was fixed at 3:7, the particle size was measured at 0.2% and 0.4% agar using a zeta sizer. In conclusion, the droplet size of 0.2% agar was smaller than 0.4%. Therefore, the most stable water-in-oil emulsion was obtained with 0.2% agar, when water to oil ratio was 3:7.
        95.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robiotics are defined as advantageous microorganisms to human when they are ingested. However, without any protection, the viability of microbes and their adhesive ability to surface of colon decreases through acidic condition such as stomach and intestines. Therefore,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figure out to enhance not only the viability of probiotics, but also its adhesion for increasing effect of probiotics. In this study, extrusion method was conducted to encapsulate Enterococcus faecium. E. faecium-alginate solution was injected to CaCl2 solution with regular side air injection. To prevent coagulation of beads, stirring was conducted in CaCl2 solution and encapsulated alginate-Ca2+ microspheres were produced. For optimal encapsulation condition, air pressure was 100 mbar, flow rate of E. faecium solution was 0.02 ml/h and stirring rate was 200 rpm. For mucoadhesive ability, Monolayer of HT-29 cells used as a colon cell and encapsulated cells were inoculated and incubated in 37℃, 5% CO2/95% air atmosphere for 1 h. Encapsulation efficiency of the encapsulation method used in this study was 98.2%. For mucoadhesive test, the concentration of inoculated E. faecium was 9.9×108 CFU/ml and the concentration of adhered E. faecium was 1.6×106 CFU/ml. In conclusion, encapsulation efficiency of extrusion method was high enough to be accepted for this study, however, alginate-Ca2+ microspheres revealed lower adhesive ability compared to expectation. Therefore, it needs further studies to increase adhesive ability with other polymers.
        96.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참나무와 서어나무는 온대지역에 걸쳐 넓게 분포하고 있으며, 다양한 초식곤충의 먹이원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에서는 지리산국립공원 온대림에서 참나무림(반선)과 서어나무림(상선암)에서 초식곤충 활동량을 알고자 하였다. 각 조사지역에 0.1ha의 방형구를 설치하여 참나무와 서어나무의 분포를 확인 한 뒤 개체별로 초식곤충의 활동량인 잎 손상 지수를 측정하였다. 잎 손상 지수는 손상 퍼센트로 환산하여 분석하였다. 측정결과 전체 4,413장의 잎을 관찰하였으며, 참나무림에서는 2,683장, 서어나무림에서는 1,730장의 잎이 조사되었다. 초식곤충의 활동량은 참나무림과 서어나무림에서 각각 차이를 보였으며 서어나무림인 상선암에서 참나무의 식흔량과 서어나무의 식흔량 이 참나무림인 반선보다 모두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온대림 우점 수종인 참나무와 서어나무에서 초식곤충의 활동량을 정량적으로 추정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97.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우리나라는 약 4,000여개의 크고 작은 섬들로 이루어져 있고, 그 속에는 다양한 생물종들이 주변 환경과 상호작용하 며 서식하고 있다. 그 중 초식성 곤충은 생물 구성의 1/4로 많은 비율을 차지하며, 생산자인 식물을 먹고 2차 소비자의 먹이원이 됨으로써 생태계의 중간 고리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 속해 있는 크기가 다른 6개의 섬에서 초식성 곤충의 영향을 알 수 있는 식흔과 여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환경요인(섬 면적, 육지와의 거리, 해안선 길이, 최고고도)과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식흔을 알아보기 위해 낙엽활엽수인 4개의 수종(참나무속, 벚나무속, 예덕나무속, 오리나무속)을 선정하여 2017년 6월과 9월에 관찰하였다. 이와 함께 초식성 곤충 중 종 다양성이 풍부한 나방을 채집하여 식흔자료와 비교하였다. 조사결과 섬 면적이 커질수록, 해안선의 길이가 길수록, 최고고도가 높을수록 식흔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나방의 종수도 증가하였다. 반면 육지와의 거리가 멀수록 식흔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나방 종수도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초식성 곤충의 다양성과 환경요인이 관련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98.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Limacodidae, also known as slug moths, comprise about 1,000 species worldwide (Epstein et al., 1998). This moth group is characterized by two adult characteristics: the presence of the female legs with the recessed pad of sensilla trichodea underneath and the entire, disk-shaped papillae anales, and four characteristics in immature stages: the absence of the crochets in all instars of larvae; the presence of the extended pupal maxilla, contiguous with the labial palpus; the hard, ovoid cocoons, lid invisible when uneclosed; and the flat, thin eggs (Epstein, 1996). Since Fixsen (1887), a total of 19 genera and 26 species of Limacodidae have been recorded from Korea. In the present paper, we reported three species of Limacodidae new to the Korean fauna: Ceratonema butleri Kawada, 1930, Microleon decolatus Sasaki, 2016, and Isopenthocrates japona Yoshimoto, 2004.
        99.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Recently the distribution of two tortricid moths, Hendecaneura impar (Walsingham, 1900) and Rhopobota orbiculata (Zhang, Li, et Wang, 2005) was reported from Korea (Kim et al. 2014; Kim et al 2015). Here, we discuss the external morphology including the male and female genitalia, life history including host plants and mitochondrial DNA data (CO1) of these two species.
        100.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커피와 다류에 대한 소비는 전 세계적으로 해마다 증가 하는 추세이며, 한국을 포함하여 아시아권에도 물 다음으로 가장 많은 소비가 이루어지는 음료는 커피와 차(녹차, 케모마일차, 페퍼민트차, 둥글레차, 보이차, 홍차, 대추차) 이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시판되는 커피전문점의 브랜드 커피 5종과 침출차 20종(녹차 4종, 홍차 3종, 보이차 3종, 케모마일차 3종, 페퍼민트차 3종, 둥글레차 3종, 대추차 1 종), 고형차 2종(대추차 2종)에 대하여 각 음료 1잔에 함유되어 있는 비타민C, 카페인, 총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를 분석하였고, 이들의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여 서로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추가적으로 항산화활성이 높은 커 피와 다류 총 4종을 대상으로 과산화수소(H2O2)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세포 보호효과를 평가하여 시판 커피와 다류의 항산화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녹차와 홍차 각각 1잔당 비타민 C 함량은 0.04~ 1.58 mg 이었고 커피와 나머지 차는 비타민 C가 검출되지 않았다. 카페인 함량은 브랜드 커피가 1잔당 150.17~ 202.75 mg으로 다른 종류의 음료보다 높았다. 음료에 함 유된 총 폴리페놀 함량은 gallic acid의 등량값(GAE)으로 표시할 때 브랜드 커피 A(BCA)가 265.54 mg / serving size 으로 가장 높았고,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quercetin 등량값 (QE)으로 브랜드 커피 B(BCB)가 12.14 mg / serving size 으로 가장 높았다. 음료 4종(브랜드 커피 A, C 그리고 녹 차 D, 홍차 A) 시료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HeLa 세포 내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 생성 억제효과 및 H2O2의 소거활성이 증가하였다. 본 연구결과 브랜드 커피 및 홍차, 녹차는 각각 1잔당 비타민 C의 등량값으로 590, 330, 300 mg의 항산화능을 가지며, HeLa 세포 내에 서도 활성산소 감소효과가 확인되는 우수한 항산화 음료로 평가되었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