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8

        1.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병사의 스트레스 정도와 스트레스가 직무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282명이며, 설문조사는 2022년 3월 7일부터 18일까지 실시하였다. 병사들의 스트레스 정도를 파 악하기 위하여 DASS-21스트레스 척도로 분석한 결과, 과다한 신경 항목이 모든 계급에서 가장 높게 평 가되었다. 예민함 항목에서만 계급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계급이 올라갈수록 높아지는 경향 을 보였다. 병사들의 멘탈파워 유형은 내향적 몰두형, 정서적 참여형, 활동적 참여형 및 외향적 몰두형의 비율이 약 3:3:3:1로 분포되었으며, 내향적 몰두형은 모든 항목에서 여타 유형에 비하여 스트레스 정도가 높게 나타나 멘탈파워가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파악되었다. 종합적인 스트레스는 계급 이 높을수록 높았으며, 이병과 나머지 계급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멘탈파워별로는 내향적 몰두 형이 가장 높았고 활동적 참여형이 가장 낮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종합적인 스트레스에는 예민성과 불안함이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병사들의 스트레스 발생주기는 약 6일이며, 이병과 병장집단이 일병과 상병집단에 비하여 발생주기가 더 짧았다. 스트레스 해소 기간은 약 2일이며, 이병과 상병집단이 일병과 병장집단보다 짧은 경향을 보였다. 멘탈파워 유형별로는 활동적 참여형은 스트레스 받는 주기가 길면서 해소 소요 기간은 상대적으로 짧아 스트레스 대처에 가장 강한 멘탈 유형 으로 파악되었다. 스트레스로 인한 병사들의 직무역량에서는 개인 직무역량, 팀원 직무역량, 생활관 공 동체 역량 등의 모든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계급별, 멘탈파워 유형간에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개인 직무역량에서는 질적, 양적측면 모두에서 개인역량의 저하를 초래하였고 팀원 직무역량 에서는 최선을 다함, 팀워크를 위해 노력함, 팀원에게 도움주기 정도 등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생활관 공동체 역량에서는 개인생활보다 단체생활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파악되었다.
        4,000원
        2.
        202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아파트 단지에 식재된 조경수의 시계열 변화를 파악하고 조경수 중 소나무의 수요를 예측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003년부터 2020년까지 수도권의 아파트 단지에 사용된 수목의 종수는 평균 51종이며 2000년대 중후반에 비하여 2010년대 후반에는 다양한 종류의 수목이 사용되었다. 식재 수량은 평균 149,567주/1단지이며 시계열 변화가 두드러지지 않는다. 상록수와 낙엽수의 수종 비율은 2:8 이지만 식재된 수량은 3.5:6.5의 비율이었다. 상록수는 낙엽수에 비하여 한 수종의 식재량이 많은 반면에 낙엽수는 상록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다양한 수종이 식재되고 있다. 교목과 관목의 수종 비율은 6:4이지만 식재량은 관목 97.6%로 식재량에 비해 식재된 수목의 종류는 다양하지 않다. 조경수 중에서도 선호도와 이용가치가 높은 소나무의 식재현황을 분석하면 식재 수량은 증가하는 경향이며 특히, 근원직경이 큰 소나무의 식재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아파트 단지의 소나무 식재수요를 예측하면 식재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며 특히 근원직경 40㎝ 이상의 특수목의 수요가 증가할 것이다. 이러한 조경수의 수요변화에 대응하여 다양한 식물소재를 발굴하고 생산할 수 있는 전략이 요구된다. 특히 지속적으로 소나무의 대형화가 예측되므로 시장에서 요구하는 수형과 규격을 갖춘 소나무가 적기에 공급될 수 있도록 생산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4,200원
        3.
        202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장병의 적극적인 스트레스 대처를 위해서 군부대에 치유정원을 조성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병사 296명과 간부 342명 등 총 638명이며, 설문조사는 2022년 2월 21일부터 25일까지 실시하였다. 병사들의 경우, 대부분은 여가를 생활관 주변, 운동시설과 주변, 충성마트와 주변에서 보내며, 옥외공간에서의 주요 이용행태는 휴대폰 사용, 운동, 휴식 등이었다. 평일 옥외공간에서의 여가는 30분 이내가 대부분이며, 주말에는 평일에 비하여 늘어나는 양상을 보였다. 옥외공간 이용 시 동반자 수는 평일과 주말 모두 2~3명이나 혼자서 이용하는 비율이 대부분이었다. 간부의 경우, 평일 주 이용 옥외공간은 산책로와 주변, 생활관 주변이었고 이용행태는 산책, 운동의 비율이 높아 병사와 큰 차이를 보였으며, 평일 옥외공간 체류 시간은 병사들은 10분 정도가 가장 높았으나 간부들은 30분 정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옥외공간 이용 시 동반자 수는 간부들은 2~3명, 병사들은 혼자서 이용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치유정원을 조성할 경우 기능공간에 대한 중요도는 병사집단의 경우 프라이버시 공간이 가장 높았고 자연감상 공간이 낮았으나 간부집단은 통합기능 공간, 산책 공간, 자연감상 공간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성취도는 병사집단의 경우 대화/소통 공간이 가장 높았고 자연감상 공간이 가장 낮았으며, 간부집단의 경우 산책 공간이 상대적으로 높고 프라이버시 공간이 가장 낮았다. 중요도-성취도 분석결과, 지속유지 영역에는 간부집단의 산책 공간, 대화/소통 공간 및 통합기능 공간이 포함되었고 집중지향영역에는 병사집단의 프라이버시 공간과 간부집단의 자연감상 공간, 프라이버시 공간이 포함되었다. 낮은 우선순위 영역은 병사집단의 자연감상 공간, 통합기능 공간, 산책 공간 등이, 과잉영역은 병사집단의 대화/소통 공간만이 포함되었다.
        4,000원
        4.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관광행태의 종단연구를 통해 광한루원 관리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2005년과 2018년 광한루원에서 설문조사한 내용을 비교분석하였다. 방문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40대 이상의 연령층, 여성, 주부가 상대적으로 많았으며 지역적으로는 충청과 전북 지역의 방문객이 증가하였다. 목표시장의 세분화를 통해 인구통계학적 특성의 변화를 반영하는 관광상품 개발 및 마케팅 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확실한 관광 목적지로서 의 광한루원 위상은 높으므로 다양한 관광요소의 질적 향상을 위한 관리전략의 수립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또한 광한루 주변 관광자원의 개발과 함께 연계이용 교통수단의 운영으로 관광지 간 접근성 증진을 도모해야 한다. 숙박률 향상을 위해 야간 관광지로서의 포지셔닝 전략을 수립하고 숙박 관광객을 유인할 수 있는 숙박시설과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새로운 관광트렌드 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먹거리 상품의 다양화와 함께 지자체의 적극적인 지역음식 개발 및 홍보가 이루어져야 한다. 전체 및 남원 관광일정의 변화, 비숙박 비율의 증가에 대응하여 광한루원의 행태적 장 조절과 남원의 독특한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연계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생태심리학적 해결책이 필요하다. 특히, 남원 소재 관광지간 낮은 연계이용 비율은 광한루원의 상대적으로 높은 관광 중심성과 함께 매력도가 높은 새로운 관광지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테마의 동질성, 용이한 접근성을 바탕으로 춘향테마파크 중심의 남원관광단지와 적극적인 연계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전체 관광경로 분석 결과, 단일목적 관광지로서 남원의 위상은 약화되고 연계관광지로서의 역할은 증대되었다. 따라서 인접 지자체와 광역관광 네트워크 전략을 수립하여 지역적 관광매력도를 제고하는 관광지 관리정책도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4,200원
        5.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농촌경관유형의 분류를 위한 새로운 분석의 틀을 설정하고 각 유형별 대표경관요소를 파악함으로써 농촌경관자원의 효율적 활용과 보존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농촌경관유형 분석의 틀은 3개 대분류, 9개 중분류, 71개 경관요소로 세분류하였으며 이를 기준으로 5년 동안 농촌어메니티 100선에 선정된 500개의 농촌경관사진을 분석하였다. 대분류에서는 자연경관, 생활경관과 생산경관이 유사한 비율로 나타났으며 첫 해에 비하여 마지막 해에는 자연 경관이 감소하였고 생산경관은 약간 증가하였으며 생활경관은 상대적으로 대폭 증가하였다. 중분류에서는 자연경관은 수경관, 생산경관은 경작지경관, 생활경관은 역사문화경관이 대표적인 경관으로 인식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세분류에서 대표경관요소는 산림경관은 숲, 수경관은 하천, 지형경관은 기암괴석과 특이지형, 경작지경관은 논, 생산시설경관은 저수지, 주거경관 은 마을, 가로경관은 담장, 역사문화경관은 노거수였다. 조망거리를 분석하면 근경이 과반수 정도로 가장 많았고 중경, 원경 순이었으며 자연경관에서는 원경, 생산경관에서는 근경, 생활경관에서는 중경이 타 경관유형에 비해 비교적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계절별로는 여름이 가장 많았고 가을, 봄, 겨울 순으로 모든 경관유형에서 여름이 가장 높았다.
        4,000원
        6.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고창군의 소나무 재배 농가를 대상으로 재배관리 실태를 파악하여 산업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소나무 재배는 병해충관리, 수형관리, 시비 등이 중요한 과정으로 건전한 생육 상태와 상품 가치가 높은 수형 관리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1년에 1회 이상 가지치기, 시비, 농약 살포 등의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지속적으로 재배관리를 위한 비용이 투입되고 있으며 특수목 구입과 가지치기 등에 많은 비용이 사용되고 있다. 소나무 재배 농가 는 노동력 부족과 가지치기의 어려움을 지적하였다. 재배관리 현황을 기초로 소나무 생산 활성화 를 위한 방안을 제안하면 첫째, 노동력 부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계화 및 스마트 시스템의 적용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현재의 노지 생산방식보다는 컨테이너재배 방식이 효율적이다. 둘째, 수형 관리를 위한 가지치기 기술의 습득을 위한 지원이 요구된다. 가지치기는 소나무 품질 을 결정하는 중요한 관리기술로 전문가 의존도가 높으므로 지속적인 교육, 정보 제공 등의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수요에 대응한 맞춤형 재배관리가 진행되어야 한다. 규격화된 대량 생산의 재배목과 우수한 상품성을 가진 대형목인 산채목 등으로 구분하여 수요에 적합한 품질을 갖도록 재배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4,000원
        7.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육군 장병들의 스트레스 대처방안을 파악하고 정원조성의 스트레스 대처방안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육군 4개 대대 366명이며, 설문조사는 2020년 8월 7일부터 10일 까지 실시하였다. 17개 스트레스 대처방안에 대한 요인분석을 통해 5개 인자가 추출되었다. 요인별 스트레스 대처의 정도는 취미·위락요인이 가장 높고 다음이 프라이버시요인, 사회적 접촉요인, 구기 운동요인, 자기계발요인 순이었다. 스트레스 대처를 위한 정원의 역할은 스트레스 해소에 어느 정도 도움이 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정원의 기능공간별 선호도는 프라이버시공간, 산책‧운동공간, 대화‧ 소통공간, 자연감상공간 순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따라서 군부대에 정원을 조성한다면 무엇보다도 장병들이 프라이버시가 확보된 공간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공원 조성은 장병의 스트레스 해소 및 직무능력 회복에 도움을 주고 더 나아가 군 전투력 향상에 기여할 것이다.
        4,000원
        8.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남원 관광목적지 네트워크를 분석하여 관광지 관리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수행되 었다. 이를 위해 남원 주요 관광지 4개소에서 조사된 설문지를 가지고 관광행태 분석(n=552)과 사회네트워크 분석(n=311)을 진행하였다. 남원에서 하루 이내로 체류하는 관광객의 비율이 매 우 높으며 방문 관광지수도 2곳 이내로 한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활성화를 위해 관광객의 체류 시간을 증대할 수 있는 관광지관리 전략의 수립이 요구된다. 남원 관광지 중심성 분석 결과, 광 한루원이 절대적 우위를 차지하고 있었다. 광한루원은 명실공히 남원의 대표적 관광지이자 관 광 네트워크의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관광지라 할 수 있다. 광한루원을 중심으로 인접한 남원 관광단지를 비롯하여 시내권 관광지를 연계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매개 중심성이 높은 정령치 를 중심으로 지리산권 관광지를 연계하는 콘텐츠의 확대가 요구되며 나아가 시내권 관광지와 지리산권 관광지를 연계할 수 있는 관광거점으로서의 관광지관리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혼불 문학관은 북부권 대표적 관광지로 거리상 인접한 시내권 관광지와 연계하는 전략이 요구된다. 남원은 시내권, 북부권, 지리산권으로 관광지가 산재되어 있으나 관광객은 특정 장소에 편중되 므로 관광콘텐츠 및 관광지의 적절한 연계와 체류시간 연장을 유도하는 관광 프로그램의 개발 은 남원 관광의 매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9.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계획의 목적은 정유재란 남원성전투의 역사적 현장이자 구 남원역 터인 중앙공원에 대한 기본계획과 운영프로그램을 계획하여 남원시의 다른 관광자원과 연계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대상지의 역사성과 다크투어리즘에 대한 이론적 고찰, 입지여건, 자연환경, 인문환경 등 현황분석, 관련법규 검토, 주민/상인 설문조사 분석을 통해 기본구상안을 도출하고 마스터플랜을 수립하였다. 향후 남원성 북문과 성곽 복원을 고려하여 최소한의 시설을 도입하였다. 성곽 외 지역은 정유재란 당시 4일간 남원성에서 전개되었던 남원성전투를 시계열적으로 상징화하였고 성곽 내 지역은 기존 철도관련 시설을 활용하는 공간을 도입하였으나 남원성 복원 후에는 철거 하고 원형으로 복원하는 것을 전제로 하였다. 부지의 장소성을 기념하고 역사의식 고취를 위한 체험 프로그램을 제안하였고 유사테마와 연계, 인접한 관광자원과의 연계를 통해 관광객 방문을 유도하고자 하였다.
        4,200원
        10.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옥상정원을 회복환경으로서의 치유정원으로 리모델링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도출하기 위해 설계요소에 대한 중요도 분석을 실시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국방대학교 도서관 이용자로 한정하였다. 설문지는 배포 후 회수하는 방법으로 수집하였으며, 설문기간은 2019년 7월 10일부터 9월 18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 중 하자가 없는 77매의 설문지를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도서관 주 이용목적은 자료수집이 많았고, 대부분 주 1회 이상 방문하였으며, 머무는 시간은 2시간 이내였다. 휴식패턴은 거의 쉬지 않는 경우가 절반 이상이었고, 나머지 인원도 대부분 20분 이내로 휴식을 취하였다. 옥내 휴게활동은 주로 단순휴식, 커피/차 마시기였고, 공간선택 이유는 접근성, 쾌적성 및 기능성이었다. 옥외 휴게활동은 주로 단순휴식이며, 공간선택은 접근성, 경관성 및 휴식기능성이 주요 요인이었다. 회복환경으로서 옥상정원은 입지특성상 직접이용자 집단과 실내에서의 시각적 감상자 집단 등 두 집단을 고려한 공간설계가 필요하다. 치유정원의 직접이용 시 원하는 활동은 단순휴식, 정원감상 및 산책이 주를 이루었다. 치유정원의 주요 네가지 기능에 대한 빈도분석결과, 자연감상을 통한 기분전환을 위한 공간과 대화/소통을 위한 공간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공간별 설계요소의 중요도는 대화/소통 공간에는 그늘막이나 퍼골라, 대화하기 편리한 벤치의 중요도가 높았으며, 프라이버시 확보 공간은 개인만을 위한 벤치가, 자연감상 공간은 녹음수, 상록수 및 화목이, 운동/산책공간은 산책로가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평가되었다.
        4,300원
        11.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계획의 목적은 2015년에 조성된 장수누리파크에 대하여 공간의 리노베이션, 운영프로그램의 계획 및 지역 관광자원과의 연계를 통해 관광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활성화 계획을 수행하기 위해 관광환경, 대상지 현황, 유사사례 및 이용행태를 분석하여 기본구상안과 마스터플랜을 도출하였다. 대상지의 기존 시설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다양한 체험, 휴식과 여가 활동을 위한 새로운 공간을 도입하였다. 공간규모, 지역자원, 방문객 요구 및 행태 분석을 통해 도입시설별, 주제별, 이용대상별, 운영시기별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또한 장수누리파크와 인접해 있는 관광자원과 연계하여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유사테마 간 연계를 통해 관광객 방문을 유도하였으며 지역주민의 참여를 이끌어 지역소득 창출 및 고용의 기회 증대 등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4,300원
        12.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군 장병의 스트레스 요인과 대처방안을 새로운 분석의 틀을 통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장병 스트레스와 관련된 선행 연구를 분석하였다. 선행연구 자료는 2000년에서 2018년까지 군 장병들의 스트레스와 관련된 14건의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스트레스 요인 분류는 외적 원인과 내적 원인으로 구분하고 외적 원인은 다시 군 내부요인과 군 외부요인으로 분류하였으며, 내적 원인은 개인적 요인으로 한정하여 분류하였다. 스트레스 대처방안은 스트레스 요인별 대처방안과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적 대처방안으로 분류하였다. 스트레스 요인의 빈도는 군 내부요인, 군 외부요인, 개인적 요인 순으로 높았다. 군 내부요인으로는 직무가 제일 높았고, 다음으로는 관계, 역할, 상급자 태도 등의 어려움이었으며, 다음으로는 부대 환경과 계급, 마지막으로 생활관 분위기와 부대행정이었다. 군 외부요인으로는 이성과 가정문제가 동일하게 높았으며 다음이 진로와 친구문제였다. 개인적 요인으로는 분노/적대감과 자존감/우울이 욕구/가치관과 개성/통제력보다 높았다. 스트레스 대처방안은 45건이 제시되었으며 군 내부요인 관련 대처방안이 27개, 군 내·외부 요인 관련 공통 대처방안이 8개, 개인요인이 6개, 군 외부요인이 4개 순이었다. 소프트웨어적 요소의 대처방안으로는 스트레스 관련 교육의 강화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는 스트레스 관련 새로운 프로그램 개발 및 기존 프로그램 활용, 전문 인력 배치, 자유시간 보장, 직무여건 마련, 선진병영 추진 순이었다. 하드웨어적 요소의 대처방안으로는 환경 및 시설 개선과 다양한 공간구성이 제시되었다.
        4,200원
        13.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ompare the long-term management objectives, policy objectives, implementation plans, and detailed plans of four provincial parks established in 2013 using various analysis frameworks. Through this, the study aim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nagement plan and extract the implementation plan important to each park by analyzing the priorities in the detailed plan. The long-term management objectives of most parks were to maintain recreational functions by utilizing all the resources of the park, rather than merely preserving the ecosystem. From an ecological perspective, information on major plants and legal protection species are included for most parks, and geological and topographic features considered a major resource. For sustainable forests, it is important to induce the dispersion of concentrated use space. Efficient management systems are distinctively differentiated among the parks. For regional revitalization, the management of programs to link provincial parks and their surrounding areas has become most important. From an ecological perspective, priorities differed for the parks according to their ecological characteristics. For sustainable forests, Moaksan Provincial Park prioritized the visitor reservation system related to the overall park, while the other three parks prioritized alleviating the concentrated use of specific areas. From an efficient management perspective, Daedunsan Provincial Park prioritized aspects related to the cableway. Maisan Provincial Park prioritized inducing the linkage between the use of natural and cultural resources, and Seonunsan Provincial Park prioritized establishing an ecological and cultural commentary operating system. For the base-type leisure activity space, Moaksan Provincial Park prioritized the systematic management and operation of the pilgrimage route, Maisan Provincial Park the connection between the Maisan geography and residents’ income, and Seonunsan Provincial Park providing a space for ecological education.
        4,000원
        14.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is to obtain basic data to set the direction for construct and managing auto campsite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users of an auto campsite located in Jangsu Nuri Park in October 2018, and 32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used in the analysis. Auto camping is typically undertaken for a night or two with family or friends/colleagues. The adequacy of fees and location are important factors in choosing the campsite, so it is desirable to build one in the suburbs of the city and offer it at a reasonable price. Proximity to tourist spots and convenience in using facilities are also factors that must be considered. People are generally engaged in activities such as taking walks, relaxing, and looking around campsites, and they want to enjoy various other amenities like attractions, experiences, entertainment, and active leisure options, which is why there must be facilities to support these behaviors. The first-time visitors of the campsite showed high satisfaction with its individual facilities, while repeat visitors showed high overall satisfaction, which indicates that satisfaction with individual elements did not lead to overall satisfaction.
        4,000원
        15.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s the titles of poetry in order to analogize the original landscape of Byeolseo garden in Korea and China. This study analyzed the titles of Soswaewon 48 Poems and Humble Administrator’s Garden 31 Poems, comparing the form of the compositional form and the landscape elements of titles conveyed in them. The titles of the Soswaewon 48 Poems and the Humble Administrator’s Garden 31 Poems are made up of combinations of places, activities, meanings, and landscape elements. Soswaewon 48 Poems are composed of 「Landscape Elements + Landscape Elements」 and 「Place + Activity」, while Humble Administrator’s Garden 31 Poems are composed of 「Place + Meaning」 and 「Landscape Elements + Landscape Elements」. The Soswaewon 48 Poems clearly show the element of activity, whereas the Humble Administrator’s Garden 31 Poems show the element of meaning, which is different. Landscape elements that appear in the titles of both show more physical than symbolic elements. However, symbolic elements appear more in Humble Administrator’s Garden 31 Poems than Soswaewon 48 Poems. This is a characteristic of Chinese culture that valued Yijing, giving meaning to each component of the garden. Among physical elements, natural elements appeared more frequently in the Soswaewon 48 Poems than in the Humble Administrator’s Garden 31 Poems, whereas artificial elements appeared more in the Humble Administrator’s Garden 31 Poems.
        4,000원
        16.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plan was the creation of a series of forests landscape within the forest-damaged areas in Janggye Neighborhood Park (132,000㎡), located in Jangsu-gun, Jeollabuk-do,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rural landscape and promoting leisure activities. Additional objectives included developing forest-related local festivals and energizing the local economy. In establishing these plans, the researcher considered analyses of the following designating the project areas: forests, types of forest landscape damage, views, landscape quality, and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Local residents were given survey questions, and 58 sets of response sheets were incorporated into the construction plans for the forest landscape. The goal of the plan was established as the construction of specialized forests that offer outstanding landscape quality and healing effects. The selected trees were the Acer palmatum Thunb. (beautiful foliage), Chamaecyparis obtusa (outstanding healing effects), and Koelreuteria paniculata Laxm. (related festival applicability). The Acer palmatum Thunb. forest design reflects consideration for the highlighting of seasonal landscape changes and wintertime outdoor ambulation; thus, its location is planned along the trail in linear. Considerations for the Chamaecyparis obtusa forest were visitor accessibility and distribution of phytoncide; hence, placement is mostly in the valley near existing park facilities, with trees placed in rows for user convenience. For visual impact, the Koelreuteria paniculata Laxm. forest must be seen from nearby highways; thus, it was allocated to the higher elevation sites within forest-damaged areas using natural-looking patterns of planting. Local festivals featuring the Chamaecyparis obtusa and Koelreuteria paniculata Laxm. forests as themes were planned. Such programs were envisioned as contributing to revitalization of rural economy.
        4,000원
        17.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nalyzed the use suitability with regard to resource characteristics of provincial parks to provide basic data for park management, and has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Organized by resource, the use suitability is highest for landscape/scenery, weather/climate, smell/sound/colors, and topography/ geology. By season, weather/climate is important in the spring, and landscape/scenery is important in the summer and autumn in determining the use suitability. Aside from the temporary phenomena of the weather/climate, the resource that most influences the use suitability of provincial parks is landscape/scenery for spring, summer, and autumn. Specifically, on a park basis, Mt. Moak’s most important resource for park use suitability is the weather/climate; other parks’ most important resource is landscape/scenery. Mt. Moak and Mt. Seonun Provincial Parks have high use suitabilities in the spring; Mt. Daedun and Mt. Mai Provincial Parks have high use suitabilities in the spring and summer. Organizing parks on a seasonal basis, there ar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resource type; moreover, there are differences in use suitability between parks depending on the season. Through evaluating the use suitability of parks, it is possible to identify resource characteristics of parks and to predict the seasonal use frequency of parks in park management, which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determining the intensity of management. As such, this study can aid visitors in determining which park suits their use purposes, and for managers in determining the priority by which the parks should be managed.
        4,000원
        18.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goal of this master plan is to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and provide local citizens with a place for leisure activities by transforming the magnificent pine forestscape at Geumam neighborhood park into a tourism resource. The present study has analyzed and synthesized the natural and human environments of the target site, which is located in Noam-dong, Namwon-si, in Jeollabuk-do. This master plan has adopted a motto, “engage five senses in pine trees; entertain five senses for fine life”, to express its philosophy of how to utilize the resources of pine trees. To this end, the present study has specified the suggested contents based on literature review of the studies on pines. Beyond an ordinary theme park, this master plan has been designed to create a central space that connects many rural village forests located in Namwon. In this master plan, main facilities have been suggested: the pine exhibition/experience hall, where visitors can appreciate and experience various materials related to pines; and the pinewood cabin, which is built with huge pine trunks, providing multiple functions as a space for rest and recreation ; the healing forest, which utilizes the existing pine forest; the pine sculpture garden; and the pine poem garden. In addition, the present study suggests two representative tourism resources of Namwon as symbolic elements: the herbs and royal azaleas of Mt. Jiri. unique hands-on pine experience activities available at these spaces have been proposed in two categories: festival programs and year-round programs.
        4,000원
        19.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behavior of users of the Seomjin River cycling road, which is surrounded by gorgeous natural landscape. Further, we aim to underst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various factors rated by users to obtain baseline data that can help to increase the usage of the bike path. We conduct a survey by performing one-on-one interviews at three locations, all of which have a certification center that verifies the completion of the bike path. The bike path attracts visitors from all over the country. First-time visitors and travel plans involving stays of at least one night account for a relatively high percentage of users. The primary purpose of the visit was more related to mental health issues rather than physical health issues. The most attractive feature of the Seomjin River is the beautiful landscape. However, the participation rate from clubs is low, and the visit rate to nearby tourist attractions is also low for scheduling reasons. Important factors that are considered using the bike path are accessibility, safety, bike path condition, amenity, and convenience, while the connectivity has a relatively low importance. We confirm that the convenience of the bike path is as important as providing a safe and amenity while surrounded by gorgeous landscape. The amenity and safety are rated highly for performance and while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have low rating. The analysis of the detail evaluation items showed that the performance was high for surrounding gorgeous landscape, and non-crowded setting and performance was lowest for inadequate bike repair facilities. A comparison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showed that the performance lower than the importance, and had statistical significance. Accessibility, which is an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 had the largest difference. On the other hand, for the detail evaluation items, the degree of crowding, surrounding landscape, and experience opportunities did not have statistical significance, but had a higher performance. This confirmed that they were factors that had the highest satisfaction for the Seomjin River cycling roa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results indicated that the items requiring consistent maintenance were surrounding landscape, bike path signs, safety from pedestrians and vehicles, and convenient accessibility. Items that required specific improvement were convenient transportation for returning home, pavement material, and the degree of damage. On the other hand, items that were more effective in terms of their ability to maintain the current conditions were experiences of nearby rural villages, accessibility to nearby tourist attractions, local tourist attractions, and bike repair facilities. The bike repair facilities option had a considerably low performance compared to the importance. For items that were rated with low importance but high performance, it was more effective to allocate the effort for corresponding sections to other items. However, for the degree of crowding, which belonged to this particular category, it was actually more efficient to place on attracting users in order to increase the usage of the bike path.
        4,000원
        20.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elements and landscape management plan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ose plans within the preservation management plan of the 4 provincial parks in Jeollabuk-do Province. A landscape management plan includes both natural and cultural landscape plans, in similar proportions. While a forest’s vegetation landscape is presented as the main focus of natural landscape management, temple landscape and landscape control points (LCPs) are the main focus of cultural landscape management. Analysis of the specific plans by the landscape management strategies, shows that an enhancement approach was incorporated into most of them, while reduction, avoidance, compensation and remediation approaches were also included in part. Management of natural landscape elements such as vegetation and forests is included in the plans, which aim to improve the negative factors and conditions that impair the landscape, by means of reduction, remediation, and compensation. Cultural landscape management such as LCP management, and management of temple landscape and other scenic elements, can usually be categorized as either enhancement or avoidance strategies. The objective of such plans appears to be the improvement of negative landscapes, through management strategies of reduction, remediation, avoidance, and compensation, while also managing the positive landscape elements with enhancement strategies. Historic-cultural landscape elements were revealed to be highly prioritized in provincial parks, as these landscape types were managed in every park in this study. Vegetation landscape management was concentrated at Mt. Moaksan, and this indicates that the importance of vegetation landscape is relatively low within the natural landscapes of the Jeollabuk-do provincial parks. Overall, management in each park appears to be focused on a unique landscape type characteristic of that park, such as vegetation, topographical, or facilities landscape.
        4,0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