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3

        1.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장내 미생물 군집은 소화 과정, 면역 시스템, 질병 발생 등 숙주의 다양한 면에 광범위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주요 장내 미생물 종은 숙주의 생리 기능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고 발표된 바 있다. 곤충의 장내 미생물 군집에 관한 연구가 최근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들 연구는 주로 장내 미생물 군집과 기생충, 병원체 간의 상호작용, 종간의 신호 전달 네트워크, 먹이의 소화 과정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대부분 Illumina MiSeq을 활용하여 16S rRNA 유전자의 V1부터 V9 영역 중 선택된 특정 부분을 대상으로 짧은 서열 정보를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PacBio HiFi 기술이 상용화되면서 16S rRNA의 전장 분석이 가능할 수 있게 되었다. 이번 연구는 장수말벌(Vespa mandarinia)의 해부를 통해 gut과 carcass 부분을 분리한 뒤, 각 샘플을 Illumina MiSeq과 PacBio HiFi 기술을 활용하여 미생물 군집 간의 차이점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Haemaphysalis longicornis는 사람과 동물에게 여러 심각한 병원체를 전달하는 주요 매개체로, 한반도에 널리 분포하고 있다. H. longicornis는 Rickettsia spp., Borrelia spp., Francisella spp., Coxiella spp., 그리고 중증열성혈소판 감소증후군 바이러스 (SFTS virus) 등을 매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에 서식하는 H. longicornis의 미생물 군집과 관련된 연구는 많이 진행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한반도 내 다양한 지역에서 채집된 H. longicornis의 미생물군집 다양성을 지역별, 성장 단계 및 성별에 따라 분석하였다. 2019년 6월부터 7월까지 질병관리청 권역별기후변화매개체감시거점센터 16개 지역에서 채집한 H. longicornis의 16S rRNA 유전자 V3-V4 영역을 PCR로 증폭 후 Illumina MiSeq 플랫폼으로 시퀀싱하였다. Qiime2를 활용한 미생물 다양성 분석을 통해 총 46개의 샘플에서 1,754,418개의 non-chimeric reads를 얻었으며, 평균 126개 의 operating taxonmic unit (OTU) 을 식별하여 총 1,398개의 OTU를 확인하였다. 대부분의 지역에서 Coxiella spp.가 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Coxiella endosymbiont는 가장 높은 우점도를 보이며, Coxiella burnetii와 계통 발생 학적으로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분석된 결과는 각 지역의 H. longicornis 미생물군집 데이터 베이스 구축에 활용되었으며, 이를 통해 지역별 미생물군집의 특이성을 식별할 수 있게 하였다. 이는 한반도의 H. longicornis에 의한 질병 전파 연구와 이를 통한 공중보건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3.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alonecrinae represent a unique but small subfamily of Nitidulidae that is endemic to South Asia. Their habitats, the South Asian lowland forests, are under the imminent threat of degradation, posing a risk of rapid extinction for these species in their specific locales. Despite the looming threat to their existence, our understanding of this enigmatic group remains limited. We conducted an examination of museum and newly collected specimens, alongside a review of the literature, leading to the discovery of a new species, Calonecrus mindanaoensis, from Mindanao, Philippines. For the first time, the morphology of all immature stages of the Calonecrinae was described, with detailed photographs including SEM images. Additionally, their natural history was uncovered for the first time, revealing that all life stages are uniquely adapted to spending their entire life cycle within sticky resin. We re-evaluated the phylogenetic placement of the Calonecrinae by constructing a phylogenetic tree based on the mitochondrial genome. Calonecrinae are positioned within the Epuraeinae clade and show significant affinity with the genus Trimenus. Consequently, this study proposes reclassifying Calonecrinae as Calonecrini stat nov, an extremely modified tribe within the Epuraeinae.
        4.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정원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자생 식물을 활용 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참식나무(Neolitsea sericea (Blume) Koidz).는 관상용뿐만 아니라 목재로도 이용할 수 있 다. 따라서 이 연구는 참식나무를 정원 식물 소재로 활용하기 위한 대량 증식 기술 개발을 위하여 종자의 발아 특성과 저장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진행하였다. 2022년 11월 2일 제주 지역에서 채집한 종자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종자의 내·외부 형태 관찰을 한 결과, 종자가 탈리되는 시점에 배가 완전히 발 달한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형태적휴면(morphological dormancy, MD)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분흡수 실험 을 통하여 참식나무 종자는 72시간 이후 40% 정도의 수분흡수 율을 보여 내과피의 불투성에 의한 물리적휴면(PY, physical dormancy)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채종 후 곧바로 무가 온 온실에 파종하면 이듬해 5월에 약 60%가 발아하였다. 저 온습윤처리 0, 2, 4, 8, 12주 후 25/15°C에 배양한 결과 최 종 발아율은 각각 0%, 0%, 21.1%, 32.6%, 34.7%였다. GA3 를 0, 10, 100, 1000mg·L-1 농도로 처리한 후 25/15°C에서 배양한 결과, 최종 발아율은 각각 0, 14.5, 22.7, 42.2%였다. 따라서 본 실험의 결과 8주 이상의 저온 처리 또는 GA3 처리 를 통하여 어느 정도 휴면을 타파시킬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 를 통하여 종자는 intermediate PD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 된다. 일부 발아하지 않은 종자는 deep PD를 가지고 있는 것 으로 판단하였다. 후숙 처리 실험의 결과 4주 만에 수분 함량 이 2% 이하로 감소하였고 종자는 전혀 발아하지 않았다. 따라 서 종자의 저장 특성 중 recalcittrant 특성을 지닌 난저장성 종자로 보인다.
        4,000원
        5.
        2023.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olten Salt Reactor, which employs molten salt mixture as fuel, has many advantages in reactor size and operation compared to conventional nuclear reactor. In developing Molten Salt Reactor, the behavior of fission product in operation should be preliminary evaluated for the correct design of reactor and its associated system including off-gas treatment. In this study, for 100 Mw 46 KCl- 54 UCl3 based Molten Salt Reactor with operating life time of 20 year, the fission product behavior was estimated by thermodynamic modeling employing FactSage 8.2. Total inventory of all fission product were firstly calculated using OpenMC code allowing depletion during neutronic calculation. Then, among all inventory, 46 element species from Uranium to Holmium were chosen and given to the input for equilibrium module of Factsage with its mass. In phase equilibrium calculation, for the correct description of solution phase, KCl-UCl3 solution database based on modified quasichemical model in the quadruplet approximation (ANL/CFCT-21/04) was employed and the coexisting solid phase was assumed to pure state. With the assumption of no oxygen and moisture ingress into reactor system, equilibrium calculation showed that 1% of solid phase and of gas phase were newly formed and, in gas phase, major species were identified : ZrCl4 (47%), Xe (33%), UCl4 (14%), Kr (5%), Ar (1%) and others. This result reveals that off-gas treatment of system should account for the appropriate treatment of ZrCl4 and UCl4 besides treatment of noble gas such as Xe and Kr.
        10.
        202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ccording to the Nuclear Safety and Security Commission (NSSC) Notice No. 2021-26 “Delivery Regulations for the Low- and Intermediate Level Radioactive Waste (LILW)”, the activity of 3H, 14C, 55Fe, 58Co, 60Co, 59Ni, 63Ni, 90Sr, 94Nb, 99Tc, 129I, 137Cs, 144Ce, and gross alpha must be identified. Currently, the scaling factor of the dry active waste (DAW) for LILW is applied as an indirect evaluation method in Korea. The analyses are used the destructive methods and 55Fe, 60Co, 59Ni, 63Ni, 90Sr, 94Nb, 99Tc, and 137Cs, which are classified as nonvolatile nuclides, are separated through sequential separation and then measured by gamma detector, liquid scintillation counter (LSC), alpha/beta total counter (Gas Proportional Counter, GPC), and ICP-MS. We will introduce how to apply the existing nuclide separation method and improve the measurement method to supplement it.
        15.
        2020.1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lobally, colon cancer is increased gradually and known as one of the major causes of cancer death. Stevia, a substitute of sugar, is known to have many components including alpha-tocopherol and anthocyanin etc, as antioxidants. This study's purpose is to investigate whether stevia plant extract can have a protective effect against colon carcinogenesis induced by azoxymethane (AOM) and dextran sodium sulfate (DSS) in mice. Total 30 male ICR mice were divided into 2 groups; AOM/DSS treatment (control group), AOM/DSS + stevia extract (0.5%, in drinking water). After acclimation for 1 week, five weeks old mice received three intraperitoneal AOM (10 mg/kg b.w.) injections weekly for 3 weeks (0–2nd weeks of the experiment) and 2% DSS as drinking water for the next one week. AIN-76A purified rodent diet and 0.5% stevia extract water were supplied to the animals for 6 weeks. The colons of mice were collected and the number of aberrant crypt foci (ACF) and aberrant crypts (ACs) in colonic mucosa were counted after staining with methylene blue. Malondialdehyde (MDA) concentration in feces were determined. The numbers of ACF and ACs were significantly (p<0.01) decreased in stevia-treated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MDA concentration in feces was also significantly (p<0.01) decreased in stevia-treated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In histopathology of colonic epithelium, hyperplasia of colonic epithelium was less observed in steviatreated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tevia has a protective effect against colon carcinogenesis induced by AOM/DSS in mice and further study needs to illustrate the protective mechanisms.
        4,000원
        18.
        201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enhance the thermal properties of epoxy composites, expanded graphite (EG) was oxyfluorinated and embedded into epoxy resin as a reinforcement. The maximum thermal conductivity was obtained for epoxy composites with oxyfluorinated EG, representing a 62% increase compared to that of neat epoxy. Additionally,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and integral procedural decomposition temperature of epoxy composites with oxyfluorinated EG show the increase of 6% (4.4 °C) and 106% (264 °C), respectively, which indicated the improvement in thermal stability. These results can be attributed to the interfacial interaction between epoxy and oxyfluorinated EG, which formed strong interfacial interactions between the epoxy resin and EG due to the presence of oxygen- and fluorine-containing functional groups in oxyfluorinated EG.
        4,000원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