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ground: Aflatoxin B1 (AFB1) is a toxic metabolite generated by Aspergillus species and is commonly detected during the processing and storage of food; it is considered a group I carcinogen. The hepatotoxic effects, diseases, and mechanisms induced by AFB1 owing to chronic or acute exposure are well documented;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its effects on the intestine, which is a crucial organ in the digestive process. Dogs are often susceptible to chronic AFB1 exposure owing to lack of variation in their diet, unlike humans, thereby rendering them prone to its effects.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FB1 on canine small intestinal epithelial primary cells (CSIc). Methods: We treated CSIc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AFB1 (0, 1.25, 2.5, 5, 10, 20, 40, and 80 μM) for 24 h and analyzed cell viability and transepithelial-transendothelial electrical resistance (TEER) value. Additionally, we analyzed the mRNA expression of tight junction-related genes (OCLN, CLDN3, TJP1, and MUC2), antioxidant-related genes (CAT and GPX1), and apoptosis-related genes (BCL2, Bax, and TP53). Results: We found a significant decrease in CSIc viability and TEER values after treatment with AFB1 at concentrations of 20 μM or higher. 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analysis indicated a downregulation of OCLN, CLDN3, and TJP1 in CSIc treated with 20 μM or higher concentrations of AFB1. Additionally, AFB1 treatment downregulated CAT , GPX1, and BCL2. Conclusions: Acute exposure of CSIc to AFB1 induces toxicity, and exposure to AFB1 above a certain threshold compromises the barrier integrity of CSIc.
The physical and sensorial properties of frankfurter with the addition of different sized defatted rice bran (DRB) were investigated. Coarse DRB (DRB-150; D50 = 267 μm), fine DRB (DRB-63; D50 = 115 μm), and super-fine DRB (DRB-JM; D50 = 5.0 μm) were prepared via conventional sifting followed by jet-milling with the milling pressure of 7 bars. Frankfurter was made with the addition of coarse DRB (FDRB-63), fine DRB (FDRB-150), superfine DRB (FDRB-JM), and without DRB (FC) with the DRB concentration of 0.5 and 1.0%. Frankfurter with larger DRB (FDRB-63 and FDRB-150) showed less smoother texture, while frankfurter with superfine DRB (FDRB-JM) resulted in little changes in physical and organoleptic qualities, which were verified by quantitative descriptive analysis (QDA), texture profile analysis (TPA), and color measurements.
The effects of pulsed electric field (PEF) treatments on tenderization of beef were investigated. The beef was prepared by using the eye of round. PEF treatment of beef was performed using a newly manufactured movable batch chamber. The PEF treatment was conducted with electric field strength of 0.5~2.0 kV/cm using a fixed pulse width of 30 μs and frequency of 20 Hz.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appearance of PEF treated beef. The cutting force [N] of the sample was greatly reduced as the field strength of the PEF was stronger. The cutting force of beef treated with PEF at 2.0 kV / cm was 41.18 ± 3.28 N and the control was 57.25 ± 4.16 N. In the texture profile analysis, hardness and chewiness weakened as the field strength increased (p <0.05). There was no difference in springiness, cohesiveness, resilience before and after PEF treatment (p <0.05).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ial properties of fibrous tofu with the addition of different sized defatted soybean flour (DSF) were investigated. Coarse DSF (DSF-150; D50 = 279 μm), fine DSF (DSF-63; D50 = 105 μm), and super-fine DSF (DSF-JM; D50 = 5.0 μm) were prepared via conventional sifting followed by jet-milling with the milling pressure of 7 bars. Tofu was made with the 5% addition of coarse DSF (TDSF-63), fine DSF (TDSF-150), superfine DSF (TDSF-JM), and without DSF (TC). The yields of tofu were slightly decreased as coarse and fine DSF were incorporated while the yield of tofu with super-fine DSF was statistically identical with that of control tofu (p<0.05). Tofu with larger DSF (TDSF-63 and TDSF-150) showed less smoother texture and less pure in color, while tofu with superfine DSF (TDSF-JM) resulted in little changes in physical and organoleptic qualities, which were verified by quantitative descriptive analysis (QDA), texture profile analysis (TPA), and color measurements. Each fibrous tofu samples were prepared by mixing soymilk with 5% of DSF from sifting (150 μm, 63 μm sieve) and jet milling process which mentioned as TDSF-150 (DSF average particle size), TDSF-63 (D50 = 105 μm) and TDSF-JM (D50 = 5 μm), respectively. The fibrous tofus were compared to the normal tofu (TC). TDSF-JM has higher yielded (50.98%) among tofu samples. The moisture content of TC, TDSF-JM, TDSF-150 and TDF-63 were 75.81%, 75.47%, 69.89% and 69.80%, respectively. TDSF-JM and TC were having similar L-a-b index. Texture properties of TDSF-JM were similar with TC. On the other hand, TDSF-150 and TDSF-63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hardness value and lower point on springiness and cohesiveness compared with TC. Sensory evaluation with quantitative descriptive analysis (QDA) method shown that hardness, mouth feel and beany flavor intensity were decreased with the decreasing of particle size of DSF.
말에서 주요 경제형질인 운동과 관련된 연구는 중요하지만, 현재까지의 연구는 물리학적, 생리학적 연구에 치중되어 있어 분자수준의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하여 경주마에서 RNA-sequencing을 수행하여 운동 전·후 alternative transcript 이형에 따라 발현 양상이 상이한 유전자(DYNC1LI2, COBLL1, AXL, PLEKHG1)를 발굴하였다. 이 중, DYNC1LI2 유전자를 선택하여 분자생물학적 분석 및 운동성과의 관계에 대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DYNC1LI2 유전자의 2가지 전사 이형은 긴 형태의 전사체(DYNC1LI2a)와 결손이 일어나 상대적으로 짧아진 전사체(DYNC1LI2b)의 형태로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두 가지 전사 이형 모두가 말의 각 조직(갑상선, 결장, 골격근, 맹장, 심장, 신장, 척수, 폐)에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운동 전과 운동 후 발현량 분석을 통해 두 가지 전사 이형이 동일하게 운동에 따라 발현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두 가지 전사 이형의 아미노산 비교 분석 결과, 엑손영역에 결손이 일어나는 부분은 단백질의 인산화 및 당질화와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DYNC1LI2a가 DYNC1LI2b에 비해 더욱 단백질의 안정화 작용을 하는 것을 의미하며, DYNC1LI2 유전자가 운동에 따라 발현이 달라짐에 따라 차후 말에서 운동관련 연구에 대한 기반 자료로써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말의 형태는 기능적으로 개별적으로 실행 할 수 있는 능력과 연관이 깊다. 또한, 진화론적 관점으로 말의 형태는 말이 요구되는 일의 유형에 따라 적합하게 변화되어야 한다. 제주마의 경우에는 체형이 작고, 근육의 탄력이 적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위 특징은 제주마가 국내의 경우 과거에 짐의 운반과 경운에 유용하게 이용되어졌음을 의미한다. 오늘날 말들은 거의 경주마로써 육성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말의 형태와 경주능력간의 관계에 대해 규명하고, 이 관계는 우수한 육종가의 선발에 사용될 수 있음을 기대한다. 본 연구는 경주성적이 있는 제주마 92 두와 더러브렛종 81두의 골격근 18 개 부분과 형태와 체고를 직접적으로 측정하여 확인했다. 또한, 실측 체고치와 측면 이미지 자료로부터 17 부위의 길이를 쟀다. 연구에 사용된 경주기록은 2002 년 2 월부터 2004 년 11 월까지 제주 경주 공원으로부터 수집하여 사용했고, 통계분석은 SAS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RINCOMP와 GLM을 분석 실시하였다. 성, 나이로 그룹을 설정하여 GLM의 다양성에 따라 분류하여 주성분분석을 실시한 결과, 제 1~6 주성분 PCs 간의 전체 변이는 67.1%로 계산되었고, 경주수행정도는 속도 어깨와 목길이가 길고 전박장과 엉덩이 길이가 짧은 특징을 나타낸 제 2 주성분(PC2)에 유사하게 상관되게 측정되었다(P<.001). 위 결과에 따르면 말의 여러 가지 형태적 특징 중, 말의 목 하단길이와 견갑골이 길며, 전완골과 정강이가 짧은 형태를 가질 경우 빠르게 달릴 수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제주마의 경주 속도가 일반적인 형태적 균형에 의해 좌우될 수 있다는 개념을 시사한다. 또한, 본 연구는 더 많은 데이터가 있었다면, 조사의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노화란 시간경과에 따라 생체기능의 불가역적인 저하로 치매, 뇌혈관질환, 고혈압, 암 등과 같은 노화관련 질병이 생겨나며, 세포들이 생명력을 잃어가는 일련의 현상이다. 노화로 인한 대표적인 질병은 퇴행성 뇌 질환에 의한 알츠하이머, 치매와 파킨슨병이 있다. 이 병들은 초기의 변화가 두드러지지 않아 조기 진단이 어렵고, 질병의 진행을 막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를 해결할 방법으로 유전자 지표를 개발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는데, 본 연구는 노화 동물모델인 SAMP1 마우스를 대조군인 SAMR1 마우스를 비교하여 노화의 초기단계에 차등 발현하는 유전자를 확인하여 향후 노화와 연관 지표를 발굴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먼저, 성장단계인 8주령과 노화초기진행단계인 26주령의 뇌 조직에서의 차등발현 유전자를 발굴하고자 cDNA chip 분석을 수행하였고, 신뢰성을 가지고 생물학적 변이를 검출할 수 있는 유전자는 13,939개의 유전자를 발굴하였다. 이들 중 발현이 2-fold 이상 증감하는 유전자들을 조사한 결과, 2,029개의 유전자를 선별할 수 있었다. 또한, 기능별로 분류한 결과 노화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총 증가 혹은 감소한 유전자의 개수는 660개였으며, 이 중 노화와 연관성이 높은 유전자는 74개였다. 26주령에 증가양상을 보인 것이 46개, 감소양상을 보인 유전자가 28개로 밝혀졌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노화와 관련된 유용한 유전자인 Wnt7a, Prkcb, Dgke가 선별되어 real-time qPCR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Wnt7a 유전자는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발현양이 급격히 감소하여 노화 초기 단계의 지표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반면에 Prkcb 유전자는 성장단계의 발현량에는 관계없이 노화초기단계에서 억제됨을 확인하였고, Dgke는 성장단계부터 유전자 발현이 억제되어 노화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As a part of an infrastructure project on medicinal herb-based remedies, we conducted a phytohemical investigation of the 100% MeOH extract from the aerial part of Boehmeria quelpaertense; our findings resulted in the isolation of flavonoids (1-2), isoquercitrin (1) and hyperoside (2). The identification and structural elucidation of these compounds were based on 1H-,13C-NMR, and LC ESI IT-TOF MS data. All the compounds isolated from this plant we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1 and 2 on the hydrogen peroxide (H2O2)-induced oxidative stress in a Rat Cardiomyoblast cell line (H9c2). The pretreatment of the flavonoids showed that it protects against H2O2-mediated cell death in the H9c2 cell line. Also, it decreases the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levels by the flavonoids in the H2O2-treated H9c2 cell line.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1 and 2 are a source of antioxidants. As a result, they might be helpful in preventing the progress of various oxidative stress mediated diseases, including myocardial infarction.
Spiraea prunifolia Sieb. et Zucc. var. simpliciflora Nakai (SSN) has been used for the anti-inflammation in traditional folk medicine. To compare water and methanol extracts of SSN, we analyzed major components using LC IT TOF MS. The major components of hot water extract were identified as caffeic acid and p-coumaric acid, but methanol extract was not well established. However, methanol extract was detected with less polarity compounds compared to hot water extract. Next, we investigated the inhibitory effects of SSN water extract on the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inflammatory response or H2O2-induced oxidative stress in Raw 264.7 macrophage cells. SSN strongly suppressed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in LPS-induced inflammatory response without cytotoxcity. The SSN possesse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such as DPPH (IC50=320.2 ㎍/㎖), ABTS (IC50=124.0 ㎍/㎖), and superoxide anion radical (IC50=122.6 ㎍/㎖). The total phenol and flavonoid content of SSN was 56.7 ㎎/g, and 15.1 ㎎/g, respectively. Furthermore, SSN decreased the H2O2-induced cytotoxicity by enhancing the cell viability, and SSN significantly reduced the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level. Therefore, SSN may be recommended as an effective strategy to prevent and/or treat various inflammation and ROS-induced diseases.
공공시설물의 대형화 및 도심지로의 인구 밀집화에 따라 충돌 또는 폭발과 같은 하중조건 하에서의 구조물 방호성능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구조물의 방호설계 및 시공에 있어서 필수적이라 할 수 있는 구조 재료 또는 자재에 대한 방호성능 평가기준은 현재 정 립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구조용 자재의 내충격 성능평가 기준 개발 연구의 일환으로 가스건을 사용한 발사체 충격 파 괴시험을 콘크리트 시험체에서 수행함과 동시에, 다양한 접촉식 계측 센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충격 파괴시험을 통해 일반 콘크리트 및 강섬유가 보강된 초고성능콘크리트의 파괴모드 및 방호성능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실험 수행 결과, 접촉식 계측센서 중 LVDT 변위계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UHPC의 경우 혼입된 보강섬유의 효과로 인해 일반 콘크리트에 비해 우수한 방호성능을 보여주 었다.
충돌 또는 폭발 하중 하의 콘크리트는 정적 하중에서 가지는 재료물성과 다른 거동을 보이게 된다. 즉, 고변형율 하의 콘크리트의 재료물성은 크게 변화하게 되며, 이를 시험평가하기 위한 방법 중 압축강도와 관련된 시험법으로는 SHPB(Split Hopkinson Pressure Bar) Test가 있다. 그러나, SHPB Test는 금속과 같은 인성재료를 위해 개발된 시험방법으로서 취성재료인 콘크리트에 적용이 가능한지에 대한 검토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며, UHPC와 같은 섬유보강 초고성능 콘크리트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시험체를 위해 제작된 SHPB Test 장비를 사용하여 일반 콘크리트 및 UHPC 시험체에 대한 시험평가를 수행하였으며, SHPB Test의 적용 적정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초고속카메라를 활용한 변위영상 분석을 통한 검증을 수행하였다.
Because ordinary concrete cannot be hardened well under sub-zero temperatures, anti-freeze agents are typically added to prevent the frost damage and to ensure the proper hardening of concrete. With the advantage of a rapid exothermic reaction property, jet set concrete may be used as a cold weather concrete because it can reach the required strength before being damaged by cold weather. Recent studies are reported that magnesia-phosphate composites can be hardened very quickly and hydrated even in low temperature, which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of severe cold weather concrete in arctic regions. This study developed the magnesia-phosphate composites that can be used in severe cold regions and suggested an appropriate mixture design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