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35

        185.
        2011.0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教育課程包括公共團體和各級學校為了達成國家制定的教育目的實行的所有計劃和活動。因此現場的教育內容範圍和水準與教育過程中設定的教育目標有關。漢語課也不例外。現在一線中學·高中的漢語課是按‘2007年改定漢語課教育課程’進行的。由於教科書按改定的教育過程次第編纂,到2010年現在為止,有些學年還不能使用按改定的教育過程編纂的教科書,所以經常造成混亂。本稿為了‘2007年改定漢語課教育課程’能順利適應現場,試論新教育課程中散文教育的特徵和高中<漢文Ⅱ>散文教育的方向。‘2007年改定漢語課教育課程’改變過去以‘漢字’和‘漢字語’為中心的教育,顯示了以‘漢文’為中心的明顯的方向性。與七次教育過程相比‘2007年改定漢語課教育課程’中的<漢文Ⅰ>和<漢文Ⅱ>的目標從解讀階段上升到了對漢文的理解與欣賞階段,要求學習各種各樣的漢文資料。並且提高對漢文學史的理解,更加強化了在'漢字文化圈'上作為文化教育的目標。‘2007年改定漢語課教育課程’旨向漢語閱讀能力的提高',在這裡所說的閱讀能力不僅是解釋作品的能力,而是對作品的高層次的理解與鑒賞。所以‘2007年改定漢語課教育課程’中的散文教育應該以學會的內容為基礎,解讀文章,理解並鑒賞作品的內容與主題,應該超過純知識的層次,為了傳統文化的理解與繼承,為了漢字文化圈的相互理解與交流要做出貢獻。<漢文Ⅰ>和<漢文Ⅱ>要採取同樣的方式,但韓國漢文學作品應該考慮文學史的進程,對有關作品要達到賦予文學意義的水準。比起<漢文Ⅰ>來說,<漢文Ⅱ>應該選擇更高水準的文學作品,如果是文學作品,教育時要根據文學史的進程,培養理解與鑒賞有關作品的能力。這就是說,<漢文Ⅱ>是以先行學習為前提的課,所以定教育方向時比'閱讀'領域應該更加重視'理解'領域和文化領域。為了更有效的<漢文Ⅱ>散文教育,考慮了以下幾個方案。第一,解讀散文時可以採用傳統的散文分析法之一的篇章法。篇章法以含主題的文章為中心,結構化分析其他文章的有機連接,是一種尋主題與脈落的方法。解釋作品時,先簡單的解釋全作品後,讓學生們尋找作品的主題意義和敘述結構的話,比從頭到尾解釋的方法,能更有趣兒的進行講課。第二,對於漢文散文來說,語體不同,所表現的特徵和形式也會不同,因此理解與鑒賞散文時有必要強調語體教育。現在使用的<漢文古典>上也強調一些散文語體的特徵,但是只通過教科書裡的解釋不能完全理解‘序’的整體特徵和敘述方式。最好大略說明有關作品的語體特徵。第三,文學類散文要採用根據文學史進程來尋作品意義的方式。尤其是文學史上的重要作品和關於文學批評的內容。如果不懂文學史的進程,接觸文學類散文的話,儘管能轉換成我們國語,但不會理解其文章的意思。<漢文Ⅱ>的散文教育不僅要與別的科目有聯繫,而且實施時最好要擴大到文化教育的層次。漢文包括文·史·哲,<漢文Ⅱ>在內容選擇上比中學漢文1,2,3和高中<漢文Ⅰ>更自由。所以<漢文Ⅱ>的散文教育把編制的核心放在給學生們提供廣泛的視角和多種多樣的內容上。這樣不僅能擴展漢文水準,而且能提高對不同的漢文作品的理解能力。關於這個問題還可以考慮,把韓中日的類似主題散文編成一個單元來學習的方法。總的來說,按2007年改定敎育課程<漢文Ⅱ>的散文敎育方向,首先要把'漢文閱讀能力的提高'作為目標,但不能停止在閱讀階段,要培養理解與鑒賞能力,最好是擴大到文化教育的層次。
        186.
        2011.0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解放以後,韓國漢文作為獨立科目在初中、高中開始教授是在1972年2學期以後。在這之前,小學、初中、高中將漢文作為國語教育的一部分部分教授或者完全不教授。1)解放以後~第一次教育課程之前1945年9月美軍政廳學務局的“暫定國語教育措置”,和1946年9月制定施行的美軍政廳編修局的‘敎授要目’,容許在小學國語教科書裡以漢字和國文混用或者部分並記的形式在小學施行一定的漢字教育。漢文科目以‘教授要目’或者在初中、高中以國語科目補充教材的形式可以選修。1951年2月制定發表的“戰時學習指導要領”另外提出了“漢字指導要綱”,選用日常生活中被認為重要的漢字1000字以小學4、5年級各300字,6年級400字的比例進行教學,這1000個漢字在初級中學也施行應用,以此在小學和初中展開漢字教育。2) 第1~2次敎育課程1955年8月1日公佈的第1次教育課程裡,初中,在國語科敎育課程裡將“漢字與漢字語學習”的條款包含了進去;在高中,在必修敎科國語(1)的敎育課程裡面不僅將“漢字與漢文指導”包含進去,而且將漢文設定為選擇敎科國語(2)的一個部分。在小學,雖然沒有做明確的規定,但從1957年11月文敎部制定的‘臨時制限漢字’ 1,300字中的1000字1958年4月重新作為小學常用漢字的這一點上我們可以看出,小學的漢字教育仍然在施行著。1963年2月15日公佈的第2次敎育課程裡,小學,國語科4年級的學年目標裡做了與漢字有關的規定; 在初中,將“漢字與漢文指導”包含進國語科敎育課程裡; 在高中,除了以國語Ⅰ敎育課程的漢字敎育部分以外,人文系課程裡作為國語Ⅱ的一個科目 18單位(文法⑷, 漢文⑹, 古典⑷, 作文⑷) 中漢文6單位,職業系課程裡漢文6單位履行實施。但是1969年9月4日改定,1970年1學期開始施行的敎育課程部分改定案,將漢字與漢文關聯條目從小學與初中的國語和高中的國語Ⅰ的敎育課程裡刪除,完全廢止了漢字, 漢文敎育。雖然人文系高中國語Ⅱ裡的漢文單位數를從6單位增加到了8單位,但也只是做保留延續而已。初、高中的漢文教育是依據1972年 2月 28日公佈同年第二學期施行的敎育法施行令而復活的。依據這一施行令初、高中獨立新設漢文教科目,從這一年第二學期起漢文正式作為獨立的教科目開始教授。各大學的漢文敎育科也是在這個時候開始開設的。初、高中各900字的“漢文敎育用基礎漢字”1,800字也是在這個時候即1972年8月16日制定公佈的。另一方面,在小學,雖做了漢字漢文敎科目在實驗學校裡進行,視其成果而後決定是否進行擴大實施的計畫,但這個計畫並沒得到實際施行,結果直到現在小學也沒有能將漢字, 漢文敎育作為正式科目施行。3) 第3~5次敎育課程從1973年8月31日公佈的“第3次敎育課程”到“第5次敎育課程”,這個時期在初、高中漢文作為獨立敎科目實際上以必修科目施行。即初中漢文作為必修科目1,2,3年級每週教授一小時,高中漢文Ⅰ是共通必修或是必修選擇,漢文Ⅱ是人文系的必修課(但, "3, 4次敎育課程"裡是按'課程別"必修, "5次敎育課程"裡按課程別選擇)實際上也是作為必修科目來教授的。4) 第6~7次敎育课程1992年6月30日公佈,從1995年開始施行的第6次敎育課程以後, 漢文敎科目從初高中共同的必須科目降格為選修科目。即第6次敎育課程中初中漢文變為選修科目。高中漢文Ⅰ, 漢文Ⅱ變成課程別必修科目。所謂高中的課程別必修科目即,市․道敎育廳必須選擇的,有關敎育廳所屬學生學習的選修科目. 結果第6次敎育課程中,漢文科成了初高中共同的選修科目. 另一方面,6次敎育課程中特別需要注意的是與小學漢字敎育有關的條項的添附。即在小學新設‘學校裁量時間’,這段時間中,作為可以自由發揮的教學活動,雖然要和某幾個其他科目一起進行,漢字教育還是可以利用這一時間進行教授。1997年12月30日公佈,從2001年開始施行的第7次敎育課程中,初中漢文成為“敎科裁量活動時間”中需要學習的選修科目,高中漢文以2,3學年的選修科目, 一般選擇科目群中漢文⑹, 深化選擇科目群中漢文古典⑹的形式開設。5) 2007年和2009年改定敎育課程2007年改定敎育課程中初中漢文是“敎科裁量活動時間”需要學習選修科目, 高中漢文以2, 3學年的選修科目,普通敎科敎養科目群(漢文, 敎養科目群)中漢文 I⑹, 漢文 Ⅱ⑹的形式開設。 但是 2007年改定敎育課程施行不久,2009 年改定敎育課程又做了調整, 根據2009年改定敎育課程,初中漢文作為選擇科目群中的一項, 高中漢文以普通敎科的生活․敎養敎科群中漢文 I⑸, 漢文 Ⅱ⑸ 的形式開設。另一方面,2009年改定敎育課程中特別需要提及的事項是與小學漢字敎育有 關的條項重新被添附了進去。也就是在小學,可以利用漢字敎育相關的敎科(群) 和創意體驗活動時間進行漢字教育, 還有漢字敎育被添入以“學校級別共通事 項”提出的"凡敎科"學習主題中的一項。
        3,000원
        187.
        2011.0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ur society is changing rapidly to a multicultural society, but if we disrespect migrant workers, married immigrants and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who came from foreign countries and have been incorporated as our society members, only because of their different skin color, appearance and language and treat their culture with prejudice, such racial discrimination will cause cultural conflicts and undermine the stability of Korea society. In order for them to be the true members of our society, we need to give much consideration not only to national policies but also to social consensus and school education for minimizing their social and psychological conflicts with our culture and reduce social consumption resulting from such conflicts. Culture refers to internal ways of thinking, external behaviors, etc. shared by a specific group through a long process of life experience. Traditional culture is formed and developed collectively by a life community, and reflects their production activities and sentiments, so it has unique characteristics distinguished from the culture of other groups. Traditional culture defines the order and sentiment of life in the group members, and gives a sense of belonging to the community so that the members have identity. Multi‐culture originally meant the coexistence of diverse native cultures retained by minority races and people with their originality preserved rather than being integrated into the dominant culture in multi‐racial and multi‐ethnic countries like the U.S. These days, however, it has an expanded meaning, that is, respecting the originality of minority cultures and pursuing the coexistence of such cultures in the native culture of the mainstream society. In the process that a nation develops its culture, it may receive foreign cultures and change its traditional culture. What is important in this process is developing new culture without losing traditional culture. If traditional culture declines and fades away, overwhelmed by powerful foreign culture, it cannot be desirable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culture. Multicultural education originated from education for understanding the national background and cultural contributions of American immigrants in the late 1920s, and is also related to the term ‘national studies’ for enhancing the self‐identity of minority peoples in the early 1960s. From the late 1960s, the term ‘multiethnic education’ was used to mean that all children should learn various cultures in the U.S., and in the 1970s, the term ‘multicultural education’ began to be used as its meaning today. Banks, a representative scholar in multicultural education, defined multicultural education as “A reform movement for giving peoples from diverse genders, languages, social classes, races and groups equal opportunities for learning,” and Bennett explained it as “an approach to teach and learn based on democratic values and beliefs in order to promote cultural diversity in a culturally diverse society or an independent world.” Moreover, Morrison said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is education for preparing students to understand, perceive correctly and respect others from different races, genders, socio‐economic statuses, languages and cultural backgrounds, and ultimately to live, communicate, and act for common goals in multicultural society.In this way, multicultural education is a concept based on diversity and pluralism as well as on democracy, equality, human rights, social justice, etc. Furthermore, targeting not only children from migrant worker, married immigrant and multicultural families with minority culture but also all students from mainstream culture, it aims to help them recognize that our society is now entering into a multiethnic and multicultural society and be able to develop harmonious relations in the multiethnic and multicultural society. In other words, multicultural education is to emphasize and teach that, in the present age of globalization, groups of different culture, race and society should maintain their own native language and culture and, at the same time, coexist with the mainstream culture and make various contributions to the society. Multicultural education can be divided into ‘multicultural education for mutual understanding among cultures,’ ‘education responding culturally,’ ‘cross‐cultural education,’ ‘cultural pluralism of education,’ ‘multicultural education as human experience,’ etc. Moreover, multicultural education has been developed through processes such as multiple culture education, international understanding education, anti‐prejudice education, and globalization education, and may share conceptual denotations with human right education, anti‐war peace education, and ecological environment education. In other words, multicultural education intends to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diversity of people with various backgrounds in terms of culture, race, gender and social class, have positive attitude and perception toward the diversity, admit cultural differences from the viewpoint of cultural relativism, and acknowledge values in other cultures. It was from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at Korea began to take interest in multicultural education. At that time, people began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international understanding education and global citizen education and the necessity to understand culture diversity in other countries. In response to these demands,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ntroduced some contents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and multicultural understanding mainly in subjects related to foreign languages and social studies. Later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reflected multicultural education in all the subjects. That is, the Generals of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suggest multicultural education as one of 35 interdisciplinary themes of learning, and furthermore, direct that it should be reflected in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The Korean government is executing various multiculturalist policies to cope with transition to multicultural society and resultant problems. That is, as the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attending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s increasing with the expansion of married immigrants and migrant workers and there should be strengthened educational support to them,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made Plans to Provide Educational Support to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but most of the contents aim to help foreign workers and married immigrants adjust themselves to racially homogeneous Korean society by learning Korean language and traditional culture. This suggests that while our society is changing rapidly to a multicultural society but multiculturalist policies and multicultural education are still insisting on Koreanization through infusing the myth of homogeneous race and culture and forcing assimilation to Korean national culture. What is more, through its Study on Teaching‐Learning Support for Multicultural Education,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suggested the objectiv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s follows: first, to understand cultural diversity and differences and strengthen cultural identity; second, to develop tolerance of understanding and respective native culture as well as other cultures and the attitude of contributing to the recreation of culture; and third, to promote a sense of community, the qualities of democratic citizen, peaceful settlement of conflicts, cooperative attitude, respect for human rights, and social justice. In order to achieve these goals, in addition, it proposed programs: first, to provide opportunities to experience other cultures; second, to understand the own traditional culture; and third, to promote international understanding. However, these proposals focus on education for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so are not sufficient for giving multicultural education to ordinary students. In multicultural society resulting from globalization, our education should seek mutual understanding and coexistence of different languages and cultures of diverse races and people rather than the transfer of traditional culture based on our homogeneous language and race. Moreover, education in multicultural society should place emphasis more on the majority’s understanding and tolerance of minorities’ race, people, and culture than on assimilation of immigrants from foreign countries to the mainstream society. Accordingly, though already late, Korean people should also admit ‘multiculturalism’ as a basic attribute of the society instead of clinging to the purity of language and people, and receive and respect cultural diversity for the coexistence of multiple cultures in one society or one country. That is, school education should include not only education for multicultural family students to understand our language and culture as the mainstream but also education for the majority of our society to understand and tolerate the cultures of minorities including immigrants from foreign countries, half‐blooded children from them, and North Korean defectors. The fundamental objective of Korean education is “to build up the people’s character under the ideology of Hongikingan (devotion to the benefits of mankind) and to equip individuals with abilities for independent life and qualities as a democratic citizen so that they may be able to lead a noble life an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democratic state and the realization of the co‐prosperity of mankind.” Co‐prosperity of mankind is impossible without overcoming nationalism, which gives the top priority to the superiority and benefits of my own country. That is,the true co‐prosperity of mankind is possible only when we acknowledge and respect differences in history, culture, religion, language and customs between my people and others. This means that, in order to educate people required in the age of globalization, even the education of traditional culture should concentrate on raising global citizens from the viewpoint of multiculturalism.
        4,000원
        189.
        2011.0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進入近代時期以前,東亞漢字文化圈的共性以及各國的個性長久共存,一般以中國為核心、以同樣的漢字和漢文(文言文)為基礎。可以說,當時的漢字文化圈是一個哲學思想、教育、政治以及經濟方面都具有較多共同因素的共同體。但是各國成立近代國家化以後在西勢東漸的影響下,各國促使共同體走上不同的道路。各國開始使用不同的漢字,或者進行言文一致運動等,這樣逐漸消失了成立漢字文化圈共同基本因素。不過,二十世紀八十年代以後,隨著東亞各國經濟的迅速崛起,新漢字文化圈也開始復活。新興的漢字文化圈跟近代化以前的漢字文化圈在形式上和內容上不盡相同。第一,原來同形異音的漢字,變為異形異音。第二,有些國家曾經舉行有關限制使用漢字的運動(部份人甚至主張禁止使用),因此漢字很早就喪失了第一文字的地位。第三,廢棄共同的“漢文”(即文言文)以後,各國各自進行言文一致運動,因此已經很難找出文字或句子方面的共同點。儘管如此,從另外一個角度看,東亞漢字文化圈還是具有共同點——即文化遺產。也就是說,它具有以漢字漢文為核心而長久流傳下來的文化這一東西。東亞各國共同擁有文化遺產,已經有了1800年以上。並且這種文化影響到了後代,使得讓日常語言、思考、價值觀、行動標準以及歷史文物等都顯示出共同點出來。東亞的一些國家一般都進行漢字漢文教育,這其實也是在共同文化遺產這樣一個認識上形成的。因此,雖然是異形異音,但是漢字教育在各國仍然佔有重要的地位。與此同時,漢文教育(也稱作文言文教育、古典教育,內容包括中國古典和本國古典)同樣也反映了東亞共同的文化意識。可見,在東亞,漢字教育和漢文教育雖然內容上不盡相同,不過還是具有較高的教育價值。如前所述,近代化以後各國的教育方式不統一。不過我們都屬於共同文化圈,擁有共同的文化因素,因此,可以開發出新的教育方式。也就是說,目前各國在各國的文化意識、歷史意識、民族意識以及國家意識等方面,進行漢字教育和漢文教育,在此基礎上,我們還要找出東亞文化的共同因素,運用到教育上面,進一步培養出新的人才。為此,我們把各國原有的漢字漢文教育材料 和工具,可以互相借鑒使用,甚至可以開發出共同的教育教材。這樣可以增進相互之間的理解和交流,同時也會帶來相應的經濟效應。這項工作,也許比共同編纂新的歷史教科書還要有意義,還可以帶來文化交流等好處。綜上,漢字漢文教育是東亞共同的文明教育,也是東亞共同的文化教育,同時還可以認為是理解各國語言文化的通道。爲了漢字漢文教育的進一步發展,以後需要各國研究者做出共同努力。借此,筆者建議如下幾項方案:第一,已經開發使用的各國不同的漢字漢文教學理論、實踐方法、教材以及教育軟件等,需要互相翻譯,並且要有一個平臺來支持它。第二,目前各國使用的題材一般取自各國文獻。這種題材應該更加擴大,進一步探索以東亞共同文化因素作為題材的具體方法。第三,在搜集各國常用詞的基礎上,建立東亞詞彙詞庫,進一步思考它們的運用方案,這樣可以找出東亞詞彙的共同點。 第四,建議設立共同研究機構,進行定期交流以及共同研究等。
        190.
        201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07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은 7차 교육과정에 비하여 내용체계에 있어서 큰 변화가 있었다. 이 때문에 새롭게 추가된 내용 영역의 학습 요소에 해당하는 목표 를 세부적으로 진술하고 이 영역에 맞는 평가 문항의 다양한 개발이 필요하다. 한문과 평가문항에서 목표를 이원적으로 분류하는 근거는 무엇인가? 새로운 교 육과정에서 새롭게 추가된 내용을 평가문항에 어떻게 반영하고 문항화할 것인가? 이 두 가지 논의를 기초로 각 요소별 실제 문항의 유형을 정리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평가 문항을 제작하기 이전에 교육과정의 내용 영역과 Bloom이 제시 한 인지적 영역의 단계별 행동 영역, 다양한 문항 형식을 잘 조화하는 것이 새로 운 학습 요소에 적절한 문항 유형을 만드는 이론적인 기초라고 판단하였다. 즉, 새롭게 제시된 학습 요소를 Bloom이 제시한 지식, 이해, 적용, 분석, 종합, 평가의 각 단계로 목표를 세분화하고 이에 해당하는 문항을 기존에 개발된 문항과 자체 개발한 문항으로 예시하였다. 이를 통해 새로운 학습 요소에 어울리는 평가 문항 을 유형별로 정리하여 평가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10,400원
        191.
        201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인성 상실의 가속화와 입시 위주의 인지 교육이 지배하는 현재의 공교육에서 정의 교육의 중요성은 공교육이 시행되기 이전보다 세삼 강조되고 있다. 한문과의 학습 내용에는 학생들의 심미적 감상 능력을 키워줄 수 있는 문학의 요소와, 건전한 가치관을 형성하게 할 수 있는 철학의 요소가 다수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현행 한문과 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에는 ‘선인들의 삶과 지혜를 이해하 고 건전한 가치관을 확립한다.’와 ‘전통 문화를 계승 발전시키려는 태도를 지닌 다.’와 같은 정의적 학습 내용과 도달점이 명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교육의 목표가 있을 때 그 목표의 달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평가가 존재하여야 함은 지극히 당연하다. 하지만 ‘인지’와 불가분의 관계에 놓여 있는 ‘정의’라는 것의 복 잡성과, 가시적인 결과 값을 획득하기 어려운 ‘정의’의 측정학적 난해성으로 인해 정의 교육 평가는 인지 교육 평가에 비해 큰 관심을 갖거나 만족할 만한 성취를 얻기가 어려웠다. 이 연구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한문과 정의적 특성 평가 도구를 개발하기 위 한 절차로서 핵심적인 연구 문제들을 제기하는 것에 주요한 목적을 둔다. 따라서 문헌을 두 가지 편의적인 분류, 즉 ‘이론서’와 ‘논문’으로 대별해보고 각각의 연구성과를 살펴보고 그 성과들을 바탕으로 한 후속 연구 문제들을 초점화 유형화 시 켰다. 그 결과 연구자는 다수의 문헌에서 각기 혼용하고 있는 ‘정의적 영역’, ‘정의적 특성’이라는 용어 정립이 필요하며, 한문과 교육 평가는 교과 교육의 특수성을 반 영한 ‘정의적 특성 평가’에 중점을 두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는 것을 주장하였다. 또한 한문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무수히 많은 정의적 특성 가운데 한문과 교 육 평가에서 측정하여야 할 세부적인 정의적 특성은 ‘감상’, ‘가치’, ‘태도’등으로 압축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궁극적으로 한문과 정의적 특성 평가 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절차를 마련하였다는 점에 주요한 의의가 있다. 정의 교육 연구라는 지극히 난해한 문제 에 있어서는 더욱더 과학적 절차가 중요하므로, 이 연구에서 제기한 핵심 쟁점들 이 어느 정도 해결되었을 때 한문과 정의적 특성 평가 연구는 한 단계 도약할 수 있을 것이다.
        7,700원
        192.
        201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한문과 교재론 영역 가운데 초등학교 한문 교과서 단원 구성의 원리 와 방안 모색에 중점을 두었다. 단원 구성 방식에서 주목을 요하는 것은 대단원을 묶는 기제가 무엇인가라는 점과 개별 소단원을 어떤 원리에 따라 조직하는가라는 점이다. 단원 구성 체제의 핵심은 소단원의 구성 요소가 무엇이며 어떤 원리에 의해 조직할 수 있을 것인가라는 문제이다. 초등학교 한문 교과서의 주요 변인은 초등학생 학습자, 초등학교 교사 그리고 초등학교 한문 교육과정이다. 그리고 초등학교 한문 교과서 단원 구성에 작용하는 주요 원리를 목표, 활동, 조직 세 가지 층위에서 논의했다. 세 가지 층위는 단원 구성 및 체제와 연계되면서 상호 작용한다. 초등학교 단원 구성의 방안으로 주제 중심 통합 단원 구성을 제안했다. 주제 중 심 통합 단원 구성 방식은 주제를 중심축으로 교육과정의 영역, 내용, 제재, 목표 그리고 교과를 통합하는 방안이다. 그리고 단원 구성 체제 방안으로 교수 학습 활 동 중심 구성 체제를 제시했다. 매체 환경의 변화에 맞추어 향후 초등학교 한문 교과서 제작에 활동 중심의 워 크북 교재와 미디어 활동 자료집이 유효하다. 제작된 교과서의 교실 수업에로의 검증 작업과 국가적 지원 또한 긴요하다
        6,900원
        193.
        2010.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2009년과 2010년 2년간 치러진 中等漢文科敎師任用試驗중 1차 한문 선택형 시험을 대상으로 삼아 출제의 근거가 되는 出題基準을 검토하고, 출제 기준에 맞게 출제되었는지 그 현황을 분석한 후, 提言한 것이다. 출제 기준은 출제자로 인한 편파성 시비와 영역별 비중의 차별을 드러낸 이전 임용시험의 잘못을 시정하려는 의도에서 나온 것으로, 전국에 있는 漢文敎育科의 敎育課程속에서 10개의 기본이수과목을 추려내고 과목마다 1∼3개의 평가 영역 을 두어 공부한 내용을 빠뜨리지 않고 골고루 출제하고자 한 점에서 의의가 있었다. 출제 현황은 이수과목이나 평가 영역을 중심으로 보면, 대체로 공평하게 출제하 려고 한 점이 인정되나 2009년의 시험이 역대산문선독보다 한시선독에 관심이 두 어졌고, 2010년 시험에서 한시선독보다 역대산문선독이 선호되는 일면도 발견되 었다. 이 측면에서의 불균형 은 출제 상황의 제반 여건에서 빚어진 것으로서 차후 에 다시 바뀔 수 있으므로 별 문제가 되지 않겠지만 문항 출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地文의 장르에 대한 편중은 문제의 소지가 없지 않았다. 2009년의 경우에 산문 장르가 전체의 46∼47%, 2010년의 경우에도 산문 장르가 전체의 45∼46% 출제되어 특정 장르의 비중이 과도하다는 느낌을 받았다. 물론 산문이 한문학에서 차지하는 범위가 광대하고 출제하기 용이하다는 장점 이 있기는 하지만 그렇다고 출제 문항의 地文이 특정한 장르로 편중되는 것이 정 당화될 수는 없다. 출제 기준에서 기본이수과목별 출제비율이 경서강독, 한시선독, 한문소설선독, 역대산문선독 모두 대등한 것처럼 1차 한문 선택형 시험 40문항(80 점)에서 장르별 출제비율도 특정한 장르에 편중되지 않게 하여야 한다. 1차 한문 선택형 시험이 중등 한문과 교사가 되려는 수험생에게 중요한 만큼 원전 독해력과 그것을 교실 수업현장에 적용하는 능력을 갖춘 자를 교사로 선발 하는 시험이 되도록 난이도를 보다 높이고 출제범위에 얽매이지 말며 수험생이 접해보지 못한 지문이 많이 출제되게 해야 할 터다.
        6,600원
        194.
        2010.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글의 목적은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해설에 따른 교수․학습 실행 방안을 모 색하기 위해 고려해야 될 점과 실행의 곤란 요인을 규명하고, 효율적인 실행 방안 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해설에 따른 실행의 전제 를 고찰해 보고, 단위 학교에서 개정 교육과정의 효율적인 실행을 위해 학생 관련 자료를 어떻게 수집할 수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해설에 따라 효율적인 교수․학습을 실행하기 위해서 는 한문과 교수․학습 관련 연구가 활성화되고, 한문과 교수․학습 관련 변인에 대한 고려가 선행되어야 한다. 한문과 교수․학습 관련 연구의 활성화는 교수․ 학습 관련 개념의 정립, 다양한 사례 연구, 내용 영역별 교수․학습 모형 및 방법 의 개발을 구체적으로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수․학습 관련 변인은 교육과정 자체, 학습자 변인, 교사 변인, 텍스트 변인, 상황 맥락을 제시하였다. 이 중 교사는 교육과정 전달자로서 교육과정 성공의 핵심이라 할 수있다. 한문과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교사는 교육과정의 내용을 학생들의 학습 능력에 따라 재구성할 수 있어야 한다. 학생들의 학습 능력과 학습 곤란 요인을 파악은 실행의 기초작업이다. 연구자는 이를 위해 검사와 설문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 석하였다. 분석 결과 해당 학생들은 한문 독해의 기초 능력이 부족하며 그 원인은 문맥에 따른 한자의 뜻 파악 능력 부족, 직역 능력 부족 등이었다. 또한 한문 학습 에 대해 흥미를 느끼지 못하는 학생은 한문 학습에 동기부여가 이루어지지 않고, 한문 교과를 他者化하려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자는 이런 결과를 토대로 향후 교수․학습 전략을 수정․보완해야 하는 과제를 부여받게 되었다.
        7,000원
        195.
        2010.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글은 최근 검정을 마친 15종의 중학교『한문1』을 대상으로,개정 교육과정에서 설정한 ‘한문지식’영역의 내용 요소들이 적용된 양상과 그에 따른 문제점을 밝힌 것이다.개정 교육과정에서 설정한 ‘한문지식’영역의 내용 요소와 중학교 『한문1』에 제시된 내용 요소 사이에는 적지 않은 차이가 존재하고 있다.개정 교육과정에서 품사의 종류와 허자의 쓰임에 관한 내용은 ‘어휘’의 영역별 내용에 제시되어 있으나,중학교 『한문1』에는 ‘한자’에서 ‘한자의 쓰임’과 관련된 내용 요소로 제시되어 있다.또한 개정 교육과정에는 제시되어 있지 않은 ‘어휘의 음과 뜻’이 중학교 『한문1』에는 15종의 교과서에 모두 제시되어 있다.그리고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어휘의 활용’을 ‘어휘의 유형’과 ‘성어의 의미’와 관련시켜 익히도록 하였으나,중학교 『한문1』은 ‘어휘의 유형’과 ‘성어의 의미’와 연계시키지 않고 별도의 항목으로 제시되어 있다.개정 교육과정의 ‘한문지식’영역에 제시된 영역별 내용들은 주로 문법적 지식을 익히는 것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나,중학교 『한문1』에 제시된 학습 요소는 문법적 지식보다는 어휘의 의미와 활용에 중점을 두고 있다.중학교 『한문1』에는 ‘단어의 짜임’과 관련된 내용은 14종의 교과서에 141개의 단어가 수록되어 있으나,‘어휘의 음과 뜻’과 관련된 내용은 15종 모든 교과서에 627개의 단어와 성어가 수록되어 있고,‘어휘의 활용’과 관련된 내용은 15종 모든 교과서에 781개의 단어와 성어가 수록되어 있다.또한 개정 교육과정의 편제로 보아 주당 1시간으로 배정된 한문 시간에 1학년 과정에서 ‘한자’와 ‘어휘’영역에 제시된 14개의 학습 요소와 ‘문장’영역에 제시된 2개의 학습 요소를 모두 익히는 것은 물리적으로 쉽지 않다.차후 교육과정을 개정하거나 한문교과서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보완해야 할 것이다.
        11,300원
        196.
        2010.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07 개정 교육과정이 중학교 1학년을 시작으로 금년부터 시행된다. 한문과의 경우 ‘부분 개정’이라는 용어가 무색할 정도로 많은 부분이 변화되어 이에 따른 현직 교사 연수가 필요하다. 개정 교육과정과 현직 교사 재교육의 연결 고리를 찾 기 위해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는 학교 현장에 있는 漢文科敎師들이 접할 수 있는 敎科關聯硏修를 분석 대상으로 한다. 즉, 현직에 있는 한문 교사들이 授業專門性을 확보하고 유 지하기 위해 무엇을, 어떻게 배우고 있으며, 한문 교과 관련 연수를 통해 무엇을 얻고 싶어 하는지, 재직 중에 받은 한문 교과 관련 연수가 어떠한 도움을 주고 있 는지, 한문 교사들이 현장에서 겪는 어려움은 무엇이며, 그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 해 관련 기관이나 연구자들은 어떤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지에 관한 것을 다룬 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2007년 개정된 한문과 교육과정의 교사 연수 프로그램 시안을 개발할 수도 있고,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 연구를 통해 ⅰ) 연수 주최에 있어서, 단위 교육청이나 교사모임이 관련 학 회와 공동으로 주최하는 연수를 제안하며, ⅱ) 연수 운영에 있어서, 일방적인 강 의 위주의 수동적인 연수 보다는 연수 참가자들이 적극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연 수를 제안하며, ⅲ) 연수 강사 초빙에 있어서, 다양한 경로를 통한 인력풀 구축을 제안한다.
        7,700원
        197.
        2010.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2007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과 교육과정 해설 ‘평가’ 항목에 대한 비평적 검토를 목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 및 연구 방법은 문헌 연구, 설문 조사연구 그리고 포커스 그룹 면담이었다. 설문 조사를 통하여 교육과정 해설 ‘평가’의 문제점을 조사하였다. 교사의 참고 여부와 정도, 평가 항목 자체의 문제, 효율적 적용 방안 등을 살펴보았다. 현장의 한문 교사들은 평가 항목에 대해 대체로 부정적 인식을 나타내었다. 현장 한문 교사들의 부정적 인식에 작용하는 배경을 탐구하였다. 학생 평가의 본질, 학생 평가의 변인, 그리고 교육과정과 학교 현장 사이의 소통성의 문제가 개입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교육과정 개발진들의 상세화에 대한 배려와 교 육과정 실행 주체인 교사들의 역략 제고가 필요하다.
        12,000원
        198.
        2010.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한문Ⅰ교과서를 어떻게 개발할 것인지 그 방안을 모색해보는 작업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교과서 편찬에 있어 최우선 순위일수 밖에 없는 초ㆍ중등학교 교육과정(제2009-41호, 2009.12.23.)에 따른 고등학교 선택과목 검정 도서 편찬상의 유의점 및 검정기준 (한국교육과정평 가원, 2010. 3)에서 강조하고 있는 내용을 중심으로 한문Ⅰ 교과서 개발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敎育課程’과 관련하여, 교육과정 개정 의 중점이 특히 학습자의 한문 능력 향상을 중시하고 있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음을 언급하였다. 그리고 ‘原典引用’과 관련하여, 아직도 편의상 기존 교과서 등의 내용을 그대 로 轉載하여 적지 않은 오류를 보이고 있는 현상을 경계하며 題材는 原典에 충실 하게 引用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또 ‘漢字字形’과 관련하여, 교육용 기초한자와 컴퓨터상에서 지원하고 있는 漢字의 字形을 통일해야 하며, 아울러 일부 한자의 잘못된 획을 바로잡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文法用語’와 관련하여, 교육과정 해설에 제시된 文法用語를 사용해야 하며, 개정 교육과정에서 용어 변경 및 개념 정의를 새롭게 한 부분을 반드시 확 인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5,700원
        199.
        2010.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敎育課程에 대한 관심은 그 교과에 종사하는 사람에 국한하여 의미를 가진다. 학교 수업 사태의 核心은 늘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이며 敎科敎育課程 은 이를 充足해야 한다. 그러므로 ‘무엇을’은 교육과정의 目標와 內容을 包括하 며, ‘어떻게’는 敎授-學習方法과 교수 학습 방법에 기여하는 技法과 資料까지를 그 범위로 한다. 개정 제7차 교육과정은 제7차 교육과정과는 그 근본을 달리하기 때문에 학교 현장은 많은 變化를 受容해야 하는 상황이다. 여기서 ‘무엇을’은 개정 제7차 교육 과정 대영역인 ‘한문’이며 ‘어떻게’는 ‘중등학교 현장 적용’이라고 할 수 있다. 개정 교육과정은 ‘漢文․漢文知識’이라는 大領域體制로 轉換하였다. 이에 따 라 우선 개정 교육과정에서 대영역 ‘한문 지식’을 제외한 ‘한문’만을 대상으로 한 학교 현장의 적용하기 위하여 言語學的인 側面의 可能性을 探索하였다. 개정 교 육과정의 대영역 ‘한문'은 ‘읽기’, ‘理解’, ‘文化’라는 세 개의 中領域으로 範疇化하 여 構造化되었으며, 또한 각각의 중영역에 대한 領域別內容이 提示되었다. 또한 그들을 통하여 중학교 學年別內容을 提示하였다. 이러한 내용은 사실상 일련의 과정을 제시하는 것으로서 ‘읽기’를 통하여 ‘이해’로 나아가며 ‘이해’를 통하여 ‘문 화’로 나아가는 과정으로 이어져 있다. 이는 문자언어를 대상으로 한 한문 교과 교육에서 다루어야 할 文識의 過程이며 이러한 문식의 과정을 통하여 얻고자 하 는 것은 ’漢文能力의 伸張‘이다. 따라서 개정 교육과정 ‘漢文’의 ‘內容體系’와 ‘內容’을 檢討․分析하고 圖式化 하여 그것들이 갖는 內在的인 흐름을 把握하였다. 그 결과 ‘소리 내어 읽기 → 끊어 읽기 → 바르게 풀이하기 → 내용과 주제 이해 → 특수한 표현 방식 이해 및 감상’이라는 文識의 過程이 있음을 밝혔다. 그리고 그것에 實際의 ‘文章’을 適用하고, 文識性흐름의 過程을 追跡하여 ‘漢文能力의 伸張’이라는 改定敎育課程의 意圖를 學校現場에 繼承하려 試圖하였다. 또한 개정 교육과정이 학교 현장에 적용되어 보다 목표 도달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과서에 의존하기 보다는 敎育課程自體가 尊重되어야 한다는 것도 부연하였다. 결국 敎師들이 敎育課程과 敎科書再構成의 實踐者가 될 때 개정 교육과정은 비로소 學校現場에 바르게 適用될 것이라 여겨진다.
        7,800원
        200.
        2009.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앞서 수행하였던 “대학수학능력시험 한문 과목 ‘한자 영역’의 출제 경향 및 문항 유형 분석”의 후속 작업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한자어 영역’에 대한 분석의 방향 역시 ‘출제 경향’과 ‘문항 유형’의 차원으로 그 범주를 설정하였 다. 본 연구에서는 2005학년도 6월 모의평가부터 2010학년도 9월 모의평가까지 총 17회의 문항을 검토 대상으로 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먼저 출제 경향의 차원에서 살펴본 결과, 한자어 영역의 문항 수는 전체 문항 수의 30%인 9문항이 출제되어 출제 매뉴얼에서 제시한 시행 지침과 일치하고 있다. 그러나 배점으로 보면 ‘12점(24%)~15점(30%)’로 구성되어 ‘한자어’의 비 중이 최고 6% 정도 낮게 나타나고 있다. 문항의 평가 요소를 살펴보면 한자어 영역의 학습 요소를 고르게 반영하고 있으며, 문항의 유형 역시 다양하게 변화를 거 듭하고 있다. 이러한 유형의 변화는 내용상 타당성을 높이거나 변별도를 제고하거 나 정답률을 조정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인 동시에 기출 문항에 저촉되지 않기 위 한 것이기도 하다. 또한 삽화를 적극 활용하고 있는 것도 특징 중의 하나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수학능력시험 한문 과목 ‘한자어 영역’에 대한 분석을 ‘출제 경향’과 ‘문항 유형’의 차원에 국한하여 수행하였다. 차후로 ‘한문 영역’에 대해서 도 이와 같은 분석 작업이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대학수학능력시험 한 문 과목의 전체적인 출제 경향 및 문항 유형 분석 작업이 마무리되면 한 단계 더 나아가 ‘문항의 양호도’에 관한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일련의 작업은 앞으로의 과제로 남긴다.
        14,9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