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75

        201.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질경이를 공시하여 펄라이트, 펄라이트와 피트모스 1:1 혼합, 입상암면 및 피트모스 등 4종의 고형배지경에서 배지에 따른 생장반응과 무기성분 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배지종류별 생육반응은 초장, 경경, 엽수, 최대근장,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체중 및 건물중 등 전반적인 초기생장이 펄라이트와 피트모스 혼합배지〉피트모스 배지〉입상암면 배지〉펄라이트 배지 처리구 등의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체내 Ca와 Mg함량은 피트모스 배지에서, Mg와 Na 함량은 입상암면 배지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체내 P2O5 함량은 식물 생장과 비례적으로 증가하여 펄라이트와 피트모스 1:1 혼합 배지 처리구와 피트모스 배지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4,000원
        202.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코이어(CO), 피트모스(PM) 또는 코이어+피트모스 (5:5, v/v, COPM)에 펄라이트(PL)를 0, 20또는 40% (v/v) 혼합하여 9종류의 상토를 조제하고, 고추 '녹광'을 플러그 육묘하면서 작물 생육 및 무기원소 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72공 플러그 트레이에 파종하고 플러그 육묘하면서 파종 35일 및 70일 후에 지상부를 채취하여 식물 생육 및 무기원소 함량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CO는 PL의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생체중 및 건물중 생산량이 많았으나, PM은 PL를 20% 혼합한 처리에서, 그리고 COPM는 PL 0% 처리에서 파종 35일 후 생체중과 건물중이 가장 무거웠다. 파종 70일 후의 생육도 35일 후의 결과와 유사였다. CO와 PM은 PL의 혼합 비율이 높아질수록 파종 3일 후의 식물체내 P2O5과 K 함량이 감소하고, Ca 및 Mg 함량이 증가하였다. CO 혼합 상토가 동일한 PL 비율의 PM 또는 COPM 상토보다 Ca 및 Mg 함량은 낮았으나, K 함량은 월등히 높았다. 파종 70일 후 CO 또는 PM에 PL의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P2O5와 K 함량이 감소하였다. 식물체의 Ca및 Mg는 CO의 경우 20% PL, PM은 40% PL, 그리고 COPM은 40% PL 처리에서 각 유기물내의 다른 PL 처리보다 함량이 많았다.
        4,000원
        203.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02년 1월부터 2003년 5월까지 오염원이 비교적 단순한 산지하천에서의 무기 영양염 및 유기물 변동을 고찰하기 위해 낙동강 지류인 대천천의 상류에서 실시되었다. 조사지점은 인위적인 오염이 없는 DC1, 주위의 식당과 민가에서 생활하수가 유입되는 DC2, DC3, DC4그리고 부분적으로 수질이 자연 정화된 DC5이다. 전기전도도, 탁도, BOD는 하수의 유입으로 인하여 DC2에서 급격히 증가하였다가 DC5에서 다시 낮아졌다. 수층의 NH
        4,000원
        207.
        200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application rate of a slow release fertilizer (SRF) in three root media, peatmoss+vermiculite (1:1, v/v; PV), peatmoss+composted rice hall (1:1, v/v; PR), and peatmoss+composted pine bark (1:1, v/v; PB), on growth and nutrient contents of potted chrysanthemum 'Lima Honey'. All media contained polyacrylic acid sodium salt at a rate of 4.5g L-1. The fresh and dry weights at 43 days after transplanting did not show statistical differences among treatments in each root media. Elevated application rate of SRF increased fresh and dry weights at 80 days after transplanting in PV and PB media, but not in PR medium. Elevated application rates of SRF resulted in the increase of tissue phosphorus content and decrease of tissue Ca, Na, and Zn contents at both 43 and 80 days after transplanting. Elevated application rates of SRF resulted in the decrease of pH and increase of EC and concentrations of NO3- and P2O53-, K, Ca, and Mg in the soil solution of PV and PR media. The trends of those in PR media were also similar except NO3-. The differences among treatments in EC at 80 days after transplanting were less significant as compared to those at 43 days after transplanting in three media.
        4,300원
        208.
        200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plant growth and nutrient contents of potted chrysanthemum 'Lima Honey' as influenced by application rate of fused superphosphate (FSSP) in three root media, peatmoss+vermiculite (1:1, v/v; PV), peatmoss+composted rice hall (1:1, v/v; PR), and peatmoss+composted pine bark (1:1, v/v; PB). All root media contained polyacrylic acid sodium salt at a rate of 4.5g L-1. The treatment of 1.4g L-1 in PV and those of 0.7g L-1 in PR and PB had the greatest fresh and dry weights in each root medium at both 43 and 80 days after transplanting. Elevated application rates of FSPP increased tissue contents of N, P, and K at both 43 and 80 days after transplanting in PV medium. However, the differences in tissue contents of N, P and K in PR medium were less significant among treatments of FSPP. The pre-planting FSPP also less affected the tissue contents of nutrients at 80 days after transplanting as compared to those at 43 days after transplanting. Elevated application rates of FSPP in PV medium increased EC and the concentrations of NO3, P2O5, K, Ca, and Mg in soil solution of root media at 43 days after transplanting. The EC in PV medium at 80 days after transplanting was higher than that at 43 days after transplanting. The EC in all root media at 80 days after transplanting was not different among treatments of FSPP.
        4,600원
        209.
        200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plant growth and nutrient contents of potted chrysanthemum 'Lima Honey' as influenced by application rate of dolomite in three root media, peatmoss+vermiculite (1:1, v/v), peatmoss+composted rice hall (1:1, v/v), and peatmoss+composted pine bark (1:1, v/v). All root media contained polyacrylic acid sodium salt (PASS) at a rate of 4.5g L-1. In crop growth at 40 and 80 days after transplanting, elevated application rates of dolomite up to 6.0g L-1 in three root media increased fresh and dry weights per plant. But the treatment of 9.0g L-1 had less fresh and dry weights than those of 6.0g L-1. Tissue phosphorus content decreased and those of Ca and Mg increased by the elevated application rates of dolomite. Elevated application rates of dolomite in three root media resulted in the increase of pH, EC, and the concentrations of K, Ca, and Mg at 43 days after transplanting. Those at 80 days after transplanting were also increased, but the differences among treatments were less significant as compared to those at 43 days after transplanting. From the results of dry weight in potted chrysanthemum 'Lima Honey', the proper application rate of dolomite to three root media containing PASS at a rate of 4.5g L-1 were 6.0g L-1.
        4,500원
        210.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정밀여과 모세관 막을 이용한 무기 콜로이드 현탁액의 투과유속 감소특성을 검토하였다. 무기 현탁입자의 종류에 따른 투과거동은 알루미나 현탁액의 투과유속이 벤토나이트 현탁액보다 평균 2배정도 컸으며, 운전시간 경과에 따른 투과유속의 감소도 알루미나 현탁액이 벤토나이트 현탁액에 비하여 전체적으로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운전 시간 10분까지의 투과유속 감소율을 나타내는 초기투과유속 감소율은 벤토나이트 현탁액이 알루미나 현탁액보다 더 컸다. 막 투과유속 감소는 케익오염과 세공막힘오염에 기인하며, 막오염 형태에 있어 벤토나이트 현탁액의 세공막힘오염이 알루미나 현탁액 보다 현저히 크게 나타났다. 운전압력 1.0;kgf/cm2에서 총 막오염에 대한 성분오염의 비율은 알루미나 현탁액의 경우 완전세공막힘 9.35%, 표준세공막힘 6.82%, 케익여과 83.832%이었다. 순환흐름속도의 증가로 인해 투과유속은 증가하였고, 알루미나 현탁액은 6.5%, 벤토나이트 현탁액은 13.5% 증가하였다. 세공크기가 0.34;μm인 막의 투과유속은 세공의 크기가 0.24;μm인 막보다 컸으며, 세공크기의 증가에 따른 투과유속은 알루미나 현탁액이 1.61배, 벤토나이트 현탁액이 1.76배 증가하였다.
        4,200원
        214.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상토의 보수성 증가를 위하여 혼합되는 acrylamide 계통 고흡수성 수지인 Stocksorb C(STSB)의 수분 흡수 특성, 수분 흡수에 영향을 미치는 각종 무기염의 종류 및 농도, STSB가 침지된 외부용액속의 무기염 농도 변화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STSB의 수분 흡수량은 증류수에 침지한 경우 약 180 mL·g-1였다. 1가의 양이온을 포함한 염인 KH2PO4, KNO3 또는 (NH4)2SO4를 용해시킨 용액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흡수량이 저하되었으나 세 종류 양이온의 종류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았다. Ca(NO3)2·4H2O 다양한 농도로 용해시킨 용액 속에 STSB를 침지시킨 경우 수분흡수능 저하가 심하여 20 meq·L-1Ca(NO3)2·4H2O 용액에서 약 25 mL·g-1 수분을 흡수하였다. Mg(NO3)2·6H2O나 MgSO4·7H2O를 용해시킨 용액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수분 흡수량이 심하게 저하하였고, 1가의 양이온이 포함된 염을 용해시킨 용액에서보다 그 정도가 심하였다. 그러나 요소의 농도를 증가시킨 용액에서의 수분 흡수량은 저하되지 않았다. 침지전 Hoagland용액의 농도가 높거나, 침지시간이 길어질수록 STSB를 침지시킨 용액에서의 K+및 NH4+-N의 농도가 점차 높아졌다. Hoagland 용액의 희석배수와 무관하게 침지시간이 길어질수록 외부용액의 NO3--N, H2PO4- 및 SO4-2 농도가 약간 상승하였고, 24시간 경과 후 각각 5,300, 250 및 1,500 mg·L-1 농도로 분석되었다.
        4,000원
        216.
        200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딸기 시설재배에서 시비방법이 작물의 생육, 무기원소 흡수 및 토양 중 무기염 집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2년에 걸쳐 수행하였다. 1차 년도의 시비방법에 따른 딸기 생육에서 초장, 엽장, 관부직경, 엽병장 및 엽폭은 대조구를 제외한 시비구들간의 통계적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10a당 수량에서 (D)가 가장 많았고, (A), 농촌진흥청 추천시비(B), 일본의 도치기시험장 추천시비(C) 및 대조구(E)순으로 수확량이 감소하는 경향이었는데 (D)와 (E) 간의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2차년도 정식 80일 후에 조사한 생육 또한 (E)를 제외한 시비구들간의 통계적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2차년도의 수량 및 평균 과중 등은 1차년도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2차년도 토양분석에서 pH는 모두 수용 가능한 범위에 포함되었으나 (A)와 (D)에서 EC가 2.36 및 2.19%dS·m-1로 측정되었다. (A)와 (D)는 토양 NO3-N 농도가 각각 74.6 및 65.%mg·L-1〈/TEX〉, 그리고 Na가 3.71 및 3.53cmol+kg-1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할 때 (A) 및 (D)는 수량 증가를 위해 바람직 하나 토양의 NO3-N 및 Na 농도를 높여 염류집적을 심화시키는 시비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217.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目的은 우리나라 청주여자교도소 矯正施設에 수용되어 있는 女性無期受刑者들(34명)의 사회인구학적 特性과 교정실무상에 있어 수형자의 地位에 관하여 분류, 제시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논문은 矯正에 있어서 性認知的 觀點 土臺에서 性的 弱者이자 矯正分野에 있어서의 소수자인 女性無期受刑者에 관하여 실무적으로 再構成하여 體系的으로 모색하는 것으로 意義있는 硏究라고 할 것이다. 최근 6년간 우리나라의 女性無期受刑者에 관한 受刑現況 統計에 따르면, 2004년 5월 27일 현재 40명선을 유지하고 있다. 본 연구의 조사기준 당시보다 女性無期受刑者가 17.6%(빈도 6)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무기수형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다음과 같이 요약하였다. 年齡別 分布는 40대가 38.2%로 가장 많았으며, 이들의 평균 연령은 45.6세, 血液型은 O형이 43.8%로 가장 많으며, 평균 수형기간은 8년3개월이었다. 여성무기수형자들의 신봉하고 있는 대부분의 宗敎는 基督敎로 73.5%였으며, 학력은 高卒이 29.4%로 가장 많았다. 入所前의 결혼상태는 旣婚이 62.5%로 가장 많았다. 이들의 經濟生活水準은 中流生活(73.5%)이라는 특징을 이루고 있다. 罪名別로 볼 때 殺人罪가 88.3%를 차지하였다. 최초의 家出 평균 연령은 16.8세(6명, 18%), 최초 飮酒 평균연령은 24세(27명, 80%) 이었으며, 폭력조직에의 가입사실은 한 명도 없었다. 여성무기수형자의 취미․특기를 보면, 음악 감상과 요리이며 각각 26.5%로 가장 높은 응답을 보여주었다. 身體的 精神的 障碍가 있다는 응답은 8.8%(3명)이었다. 여성무기수형자의 지위로는 첫째, 特別團束의 대상자이며 둘째, 逃走 等 主要 矯正事故防止 管理對象者이다. 셋째, 敎育․敎化에 있어서의 地位는 受刑者敎育生 選定․精銳職業訓練生 選定, 敎化受惠 對象者 등에 있어 制限的 地位에 놓여있어 各種 處遇에 있어 不利한 入場에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女性無期受刑者의 處遇에 있어서 改善方向으로는 무기수형자의 필요적 가석방제도의 신설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無期受刑者에 대한 各種 處遇制限을 발전적으로 撤廢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女性無期受刑者에 대한 最初의 硏究라는 점에서 意義있는 연구라는 意味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6,300원
        218.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미역을 엽상부, 줄기, 포자엽의 3부위로 구분하여 부위별 일반성분, 알긴산 함량 및 무기질 함량(다량 무기질. 미량무기질)을 분석한 결과, 수분은 엽상부(10.5%)에. 탄수화물과 조지방은 포자엽(탄수화물 45.3%. 조지방 4.2%)에. 조회분은 줄기(39.0%)에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알긴산 함량은 25.9-32.2%이었고 불용성 알긴산이 수용성 알긴산에 비해 악 2~3배 많았다. 부위별로는 총알긴산은 포자엽(32.2%)에, 수용성알긴산은 엽상부(10.1%)에, 불용성 알긴산은 포자엽(27.7%)에 가장 많았다. 다량 무기질중 칼슘과 마그네슘은 엽상부(Ca 883.6 mg, Mg 1269.8 mg/100g D.W)에, 인, 칼륨, 황은 포자엽(P 680.5 mg. K 4508.0 mg. S 1287.4 mg/100 g D.W.)에, 나트륨은 줄기(6507.2 mg/100 g D.W.)에 가장 많았다. 미량 무기질중 철분, 아연, 망간은 엽상부(Fe 10.45 mg, Zn ,1.53 mg, Mn 0.71 mg/100 g D.W.)에, 크롬은 포자엽(0.14 mg/100 g D.W.)에, 알루미늄은 줄기(16.91 mg/100 g D.W.)에 가장 많았다. 칼슘:인의 비율은 엽상부와 줄기가 1.7~1.8:1이었다. 칼슘과 마그네슘의 존재형태는 소금물 가용성 분획인 단백질 펙틴과 결합한 것(Ca 62.1~68.9%, Mg 89.6~92.1%)이 가장 많았고 물에 가용성인 분회(F-I)은 엽상부〉줄기〉포자엽의 순으로 많았으며, 칼슘섭취에 있어 가장 문제가 되는 수산과 결합한 염산 가용성 분획(F-IV)은 포자엽〉줄기〉엽상부의 순으로 많게 나타났다.
        4,000원
        219.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contents of mineral, viscosity in the Demi-glace with added quantity of Omija extracts. Firstly, The level of mineral content in order was K, Na, P, Ca, Mg, Fe, Zn, Mn, B. The more Omija extracts, Ca, Mg, Fe, Zn, Mn, B was increased, but K, Na, P was decreased. Secondly, Viscosity of control was 538.13cP at rpm 100, and the sauce added with Omija extracts was 464.80~578.00cP. Regardless of Omija quantity there was Psedoplastic characteristic which showed apparent viscosity was decreased even though shear rate was increased. Thirdly, Sensory characteristics of Demi-glace sauces based on preference of 5 tastes, It was founded that 2% added Omija was the best, and 1%, 0%, 3%, 5% added Omija was next in order. Finally, Sensory intensities of Demi-glace sauces based on gender and occupation of the 5 tastes : As the sourness, bitterness, hotness, salines taste of all over was Omija added quantity was many more, appeared strong intensity, it was sensory intensities of 5% Omija added sauce was the highest. But sensory intensities of sweetness, Male showed 2% Omija added sauce, Female student and cook showed control was the highest.
        4,200원
        220.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순환식 양액재배시 계면활성제가 무기이온 흡수 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상추의 생육, 광합성율, 증산율 및 무기이온 함량을 분석하였다. 상추 생육은 0.3mg·L-1 PVA-95처리에서 가장 높았으며, l/2배액에서 재배된 상추의 생육도 양호하였다. 칼슘 함량이 증가된 0.3mg·L-1 CLS 처리의 상추는 생육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높은 증산율과 광합성율 및 엽내 카리, 칼슘 및 마그네슘 함량이 높았다. 따라서 높은 생육량과 비료 절감 효과가 인정된 PVA-95 처리와 CLS 처리에 의한 엽내 무기 성분 함량 증가가 인정됨에 따라 수경재배 상추의 고품질 생산에 유용하게 사용 가능하리라고 판단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