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78

        201.
        2009.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roductivity and nutritive values of SSH under Double-cropping SSH followed by whole crop barley (SSFWB) or by Hairy vetch (SSFHV) in paddy land. A field study was conducted at Baeksan-myeon, Kimje, Jeonbuk province in Korea on clay loam soil for 3 years. All plots were arranged in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with three replicates. The yield of SSH in SSFWB treatment was higher t㏊n t㏊t of SSFHV (P<0.05). All nutrients values of SSH were not influenced by the cropping system. However, all nutrients of SSH in SSFWB treatment were just a little increase, compared with those of SSFHV.
        202.
        2009.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a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ouble cropping system, such as winter whole crop barley followed by rice (WBFR) or after Sorghum × Sudan hybrid (WBASS), in paddy land on the properties of soil and water. A field study was conducted at Baeksan-myeon, Kimje, Jeonbuk province in Korea on clay loam soil for 3 years. All plots were arranged in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with three replicates. The pH and the contents of T-N, P₂O? and organic matter (OM) in soil samples collected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were remarkably higher t㏊n those at the beginning of the experiment (P<0.05) in both WBFR and WBASS. The contents of an exchangeable cations (CEC)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were remarkably higher t㏊n those at the beginning of the experiment (P<0.05). The concentrations of NO₃-N, NH₃-N and PO₄-P in discharge and leaching water were not influenced by the cropping system.
        203.
        2009.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productivity and nutritive values of whole crop barley under double cropping system such as winter whole crop barley followed by rice (WBFR) or after Sorghum ㎡ Sudan hybrid (WBASS) in paddy land. A field study was conducted at Baeksan-myeon, Kimje, Jeonbuk province in Korea on clay loam soil for 3 years. All plots were arranged in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with three replicates. The yield of dry matter (DM) of whole crop barley in WBASS treatment was higher than that of WBFR. And then, the contents of ADF, NDF and TDN of whole crop barley in WBASS treatment were higher t㏊n those of WBFR.
        204.
        2009.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o know adaptability and production of silage corn, we studied on paddy field experiment. Heading date of 'Kwangpyongok' and 'P32P75' Hybrids was on 15th July, 14th July respectively. The dry matter yield of 'P32P75' hybrid (20.4ton/㏊) was the highest among 10 hybrids and that of 'Kwangpyongok' hybrid (19.1ton/㏊) showed high in domestic corn hybrids and other characters as like feed vales is almost same in 10 hybrids.
        205.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occurrence and damage of stink bugs were monitored at South Korea from 2007 to 2008. A total of 11 stink bug species were observed in paddy field and occurrence periods of stink bugs were significantly differed by species. In occurrence period and damage of stink bug feeding in paddy field, Scotinophara lurida occurred from June, Cletus punctiger, Eysarcoris aeneus, Rhopalus maculatus, Riptortus clavatus, E. ventralis, Stenotus rubrovittatus occurred from August and Pachygrontha antennata, C. schmidti, Trigonotylus caelestialium, Paromius exiguus occurred from September. When we were classified into two region with mountain and plain area cultivated rice, generally C. puntiger population was higher in mountain area than plain area, and E. aeneus was higher in plain area than mountain area. Also, stink bug species were higher in environment condition formed with a paddy field and a waterway overgrown with weeds. Control threshold for E. aeneus in paddy field was 1-2 individuals/heading stage, and then rate of pecky rice made to 5.0% while milk stage, dough stage and yellow ripe stage made to less than 5.0%.
        206.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root zone applications of a systemic insecticide, carbofuran, were evaluated for their impacts on the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ugens (Stål), and spider populations in the greenhouse and rice paddy fields. In the green house experiments, no BPH nymphs were hatched at root zone treated on 40 to 50 day-old rice, while around 20 to 54 nymphs per pot were emerged in broadcasting and foliar spray treatments. This indicates that the root zone treatment can kill the eggs of BPH effectively. This is the first study ever demonstrated the high egg mortality of BPH due to the root-zone application. In the field experiments, the density of BPH in root zone treated plots were four to six times lower than in broadcasting and foliar spray plots at the 21 days after application. The BPH outbreaks and hopper-burns were observed at all treatments except the root zone treated plot at the 28 days after application. The root-zone application did not impact on the spider population, while foliar spray killed most of all spiders just one day after application. The densities of spider in foliar spray plots were always lower than in root-zone treated and control plo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root-zone application of carbofuran can control BPH effectively without adverse effects to the spiders inhabited on the paddy field.
        207.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rvey the occurrence of stink bugs and pecky rice grain caused by the stink bugs in paddy fields in six districts of Gyeonggi-do. In the levee of the paddy fields, 30 species of the stink bugs were collected, and the dominant species were Paromius exiguus in Hwaseong and Siheung, and Stenotus rubrovittatus in Pyeongtaek, Icheon and Paju. In the paddy fields, 23 species were collected, and the dominant species were Paromius exiguus in Siheung, and Stenotus rubrovittatus in Pyeongtaek, Icheon and Paju. P. exiguus overwintered and proliferated mainly in the west coastal region, where its host plants, Imperata cylindrica and Calamagrostis epigeois, were abundant, and then moved to paddy fields later in the season, resulting in the peak density in September in paddy area. Stenotus rubrovittatus and Cletus punctiger were abundant in paddy area in August and September, and Eysarcoris aeneus was abundant in June and July. When the stink bugs were inoculated on the rice, the rate of pecky rice caused by E. aeneus and P. exiguus at milk ripe stage was 10.2% and 4.8%, respectively, and the rate by S. rubrovittatus and P. exiguus at dough ripe stage was 4.3% and 2.7%, respectively. The damage shape of pecky rice was distinctive according to the species. The surface of pecky rice by P. exiguus was very smooth but the surface of pecky rice by E. aeneus was rough and caved. In the pecky rice by S. rubrovittatus, the spot occurred at the topside of the grain.
        4,000원
        208.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남부지방에 벼 대체 여름 사료작물인 옥수수를 파종하여 조사료를 생산하는데 논 재배에서 적응성 및 생산성이 우수한 품종을 선발할 목적으로 2007년부터 2008년까지 2년간에 걸쳐 전라남도 농업기술원에서 수행하였다. 국내육성 2품종과 도입품종 4품종 등 6품종 을 시험한 결과 광평옥 품종이 간장이 198cm 로 다른 품종들보다 크고 경직경이 굵으며 내습성 및 후기 녹체성이 좋고 우수한 특성을 보였으며 수량 측면에서도 생초수량은 ha당 생초 수량
        4,000원
        209.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우리나라 논에서 적응성이 우수한 forage pea 품종을 선발코자 2004년부터 2006까지 전라남도농업기술원 답리작 포장에서 공시 초종은 자운영 1품종(중국 자생품종)과 forage pea 2품종(cv, 'Austrian Pea', 'Livioletta')이었고 파종량은 120kg/ha으로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개화기는 Livioletta 품종이 5월 16일로 빠르고 Austrian Pea품종이 5월 18일로 2일정도 늦
        4,000원
        210.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천안시 성환읍에 위치한 배수가 불량한 논에서 사료작물재배를 위해 암거배수 간격을 3 m, 5 m 그리고 7 m로 처리하고 여름 사료작물로는 옥수수와 수수수수 교잡종, 겨울 사료작물로는 청보리를 조합하여 옥수수와 청보리 조합, 수수수수 교잡종과 청보리 조합 등 2개의 작부체계에 대한 재배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2006년 3월부터 2007년 5월까지 수행되었다. 배수간격별 출현율과 출수 시는 차이가 없었다. 출현율은 옥수수가 90%, 수수수수 교잡
        4,000원
        211.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제초제 bensulfuron-methyl에 대한 우리나라 주요 논잡초종들의 감수성 차이를 확인하고 생리적 원인을 밝히고자 잡초종별로 ALS(acetolactate synthase)의 활성 변화를 확인하였다. 제초제 처리에 의해서 Oryza sativa, Ludwigia prostrata와 Bidens tripartita의 경우 엽록소 함량은 bensulfuron-methyl 농도가 10 μM 까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였다. Aneilema keisak와 L. prostrata의 경우 환원당 함량의 급격한 증가가 제초제 처리에 의해 일어났다. 반면에 엽내 단백질 함량에 대한 효과는 종에 따라 서로 상이하였다. 감수성을 보인 L. prostrata와 B. tripartita는 bensulfuron-methyl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유리 아미노산 함량의 증가가 일어났으나 다른 종에서는 제초제 농도와 유의성 있는 상관은 확인되지 않았다. ALS의 in vitro 활성은 bensulfuron-methyl 의 처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ALS에 대한 I50 값은 대상 종에 따라 28 nM to 39 nM의 범위를 보였다. 이러한 I50의 차이가 제초제 bensulfuron-methyl에 대한 감수성 차이를 나타내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 감수성 차이는 직파재배 논에서 이 제초제 적용에 있어서 중요한 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
        4,000원
        215.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벼 재배 농업인들에게 기술지원을 하고, 소비자들에게 우리 쌀의 안전성을 널리 알리고자, 2005년-2006년 “탑라이스” 생산단지 및 인근 관행재배 지역에서 토양, 볏짚, 왕겨, 쌀겨, 현미, 및 백미 시료를 채취하여 미국 EPA 7473 규격을 만족시키는 자동수은분석기(DMA80)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우리나라 논 토양의 수은함량은 평균 0.031 mg/kg로 토양환경보전법상 우려기준(4 mg/kg)과 대책기준(10 mg/kg) 대비 1/25-1/65 이하로 매우 안전한 수준이었고, 탑라이스를 포함한 우리 쌀 중 수은잔류량은 평균 0.0018 mg/kg로, 중국의 잔류허용기준(MRL) 0.02 mg/kg 및 대만의 잔류 허용기준(MRL) 0.05 mg/kg과 비교할 때 1/10-1/30 이하의 수준으로 수은에 의한 우리 쌀에 대한 안전성 우려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6년 탑라이스 생산단지 토양의 수은함량은 평균 0.02788 mg/kg, 볏짚 0.00896 mg/kg, 정조 0.00182 mg/kg, 왕겨 0.00189 mg/kg, 현미 0.00166 mg/kg, 쌀겨 0.00452 mg/kg, 그리고 백미 0.00145 mg/kg 수준이었다. 토양 중 수은농도 대비 비율로 계산해 보면 볏짚 0.321 >> 쌀겨 0.162 >> 왕겨 0.068 ≥ 정조 0.065 > 현미 0.060 > 백미 0.052 순으로 볏짚 및 쌀겨의 수은농도가 높았다. 잔류수은의 흡수이행 기울기는 볏짚 >> 쌀겨 >> 왕겨 ≥ 정조 > 현미 > 백미 순으로 기울기가 크다는 것은 상대적으로 흡수이행량이 크다는 것으로 해석되며, 지상부로 흡수된 총수은량의 83.8%는 볏짚에 존재하였으며, 정조에 16.2%, 왕겨에 2.8%, 현미에 12.4%, 쌀겨에 3.5% 및 백미 9.7%가 분포하였다. 결론적으로 “탑라이스” 생산단지를 포함한 인근의 관행재배지역 토양은 수은에 오염되지 않았으며, 여기에서 생산된 우리 쌀은 매우 안전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216.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우선 논에서 여름철 사료작물과 연계할 수 있는 겨울철 재배에 적합한 월년생 두과작물로 이듬해의 개화를 통한 경관효과와 수량이 우수한 초종의 선발을 목적으로 충남 천안시 성환읍에 위치한 벼재배 농가포장에서 2006년 9월부터 2007년 5월까지 수행되었다. 월년생 두과 사료작물로서 Hairy vetch(Vicia villsa), Crimsom clover(Trifolium incarnatum), Berseem clover(Trifolium al
        4,000원
        217.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논에서 월동사료작물로 재배되고 있는 내한성 이탈리안 라이그라스(Lolium multiflorum Kospeed)의 입모율 향상과 건물수량 증대를 위해 우리나라 중부지역에 알맞은 파종방법을 구명하고자 본시험을 수행하였다. 파종시기는 총체벼 수확 후 9월 25일에 파종하였으며 파종방법은 로타리-조파-진압, 로타리-산파-진압, 로타리-산파, 로타리-산파-가벼운 로타리, 무경운산파-가벼운 로타리) 5처리를 난괴법 3반복으로 수행하였다. 파종방법별 입
        4,000원
        218.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중부지역 답리작에서 파종시기를 달리하여 이탈리안 라이그라스(Italian ryegrass, IRG, Lolium multiflorum), 총체보리(barley, Hordeum vulgare), 호밀(rye, Secale cereale)을 재배할 경우 생육특성,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2004년부터 2005년까지 2년간 축산과학원(수원) 포장에서 시험을 실시하였다. 생육특성 및 숙기는 조기 파종(9월 26일)구에서 관
        4,000원
        220.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분뇨이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질소고정을 통해 동반하는 작물에 질소를 고정하고 이동하는 두과와 화본과의 혼파가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각기 다른 혼파조합이 춘계논토양에서 두과작물의 질소고정과 이의 이동을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시험처리는 난괴법 3처리, 3반복이었으면 세 개의 다른 혼파처리는 호밀+벳치, 이탈리안라이그래스+크림손클로버 그리고 연맥+완두였다. 충남 서천의 논토양을 포트에 채워 시험을 하였다. 호밀과 헤어리벳치구는 수원의 진흥청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