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96

        202.
        201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Vector-borne plant virus transmission is a complex mechanism involving various interactions of viruses, vectors and plants. Plant viruses modify,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the rates of development, reproduction and behavior of vector insects in a positive, negative, or neutral manner. The sweetpotato whitefly, Bemisia tabaci, is the only known vector of Tomato Yellow Leaf Curl Virus (TYLCV) which is a virus that seriously damaged tomato cultivars all around the world. Acquisition of TYLCV influences on various developmental, physiological and molecular mechanisms of Q1 biotype B. tabaci. We compared several behavior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between non-viruliferous (NV) and TYLCV-viruliferous (V) of Q1 biotype whiteflies. When B. tabaci acquired TYLCV, total life span was shorter and fecundity was lower than NV ones. V whiteflies were more susceptible to thermal stress by increasing hsp mRNA levels but higher in mortality by either heat or cold shocks. Furthermore, V whiteflies increased the rates of plant sap probing and light attraction behaviors than NV ones. All together, our results show that TYLCV acquisition regulates B. tabaci to enhance the rates of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susceptibility. Our results provide insights to understand vector’s role in relation to the acquisition and transmission of plant viruses.
        203.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investigate the effect of medicinal plant extracts on physiolog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The medicinal plant extracts were added to chocolate at a weight percentage of 0, 3 and 6%. Color values(L-value, redness, and yellowness), total flavonoid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made with varying various medicinal plants concentrations of the additives were measured. In sensory evaluation, significant differences(p<0.05 and p<0.01) were shown in taste, texture, and overall acceptability depending on the addition of plant extract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ocolate aroma and bitterness properties.
        4,000원
        204.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주파 처리는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의 생리변화를 유발시켜 섭식행동, 발육 및 면역반응의 변화를 초래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고주파의 영향을 파밤나방의 생화학적 변화를 통해 분석했다. 고주파(5,000 Hz, 95 dB) 처리는 중장 상피세포의 단백질 합성과 분비를 억제시켰다. 또한 이 고주파 처리는 중장의 인지질분해(phospholipase ) 소화효소의 활성을 현격하게 억제시켰다. 고주파 처리는 세 종류의 열충격단백질과 지질운송단백질(apolipophorin III)의 유전자 발현을 변동시켰고 이러한 변화는 중장 조직에서 뚜렷했다. 혈림프 혈장에 존재하는 지질 및 유리당의 함량이 고주파 처리에 의해 현격하게 증가했다. 이러한 결과는 고주파 처리가 파밤나방의 체내 생화학적 변화를 유발시켜 생리적 교란을 유도하는 스트레스로 작용한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4,000원
        205.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일부 고주파 음파 처리가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의 생리변화를 유발시킨다. 이 연구는 초음파( 20 kHz) 처리가 파밤나방 유충 섭식, 용 발육 및 성충 교미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초음파 처리는 5령충의 섭식 활동을 억제시켰다. 특별히 30 kHz 또는 45 kHz 초음파 처리를 받은 유충은 50% 이상의 섭식활동이 감소하였다. 이러한 초음파 처리를 받은 유충은 혈장의 주요 영양물질 함량이 변동되었다. 혈장 단백질은 처리 초음파의 주파수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다. 그러나 혈당은 처리 초음파의 주파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다. 지질 함량은 30 kHz 처리까지는 증가하다가 이후 감소하였다. 파밤나방 5령의 혈구, 지방체 및 표피세포의 세 조직은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들인 세 종류의 열충격단백질과 apolipophorin III를 발현시켰다. 그러나 초음파를 처리할 경우 일부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을 크게 억제시켰다. 초음파 처리는 또한 용발육을 억제시켜, 용기간을 연장시키고 성충으로 우화를 현격하게 낮추었다. 끝으로 초음파 처리는 성충의 교미행동을 억제시켜 암컷의 산란력을 뚜렷하게 낮추었다. 이러한 결과는 초음파가 파밤나방의 생리적 스트레스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4,000원
        206.
        201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multi-probiotic, fermented ginseng byproduct and fermented sulfone on the performance, intestinal microflora and immunity of broiler, a five weeks trial was conducted with 340, 1-d-old Ross×Ross broiler. All broilers were divided into five different groups having 68 birds in each treatment, and they were assigned as control, antibiotic avilamycin (AB), multi-probiotic (MP), fermented sulfone (FS) and fermented ginseng byproduct (FGB). Each artificial or naturally derived probiotic was inoculated 0.1% level with the basal diet, and all diets were provided to birds for five weeks. Weight gain and feed intake were measured weekly basis, and blood, spleen and feces were collectedand used for the physiological properties of broiler chickens. All performances and cholesterol profil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d but numerically lower level of neutral fat and LDL was found in multi-probiotics and FGB treatments respectively. The salmonella spp and E. coli numbers in the ileum were high in control in relation to those of other treatments and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antibiotics treatments (p<0.05). In addition, Lactobacillus sp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roliferation in MP as compared to that of others (p<0.05). Fecal ammonia and CO2 gas emiss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MP, FGB and FS, respectively (p<0.05), but significantly increased proliferation of spleen was determined in MP group in comparison of other treatments (p<0.05). Therefore, the results indicates that multi-probiotics would be valuable feed additives to improve the salmonella, E. coli and Lactobacillus proliferation, and manure gas emission of broiler chickens, but further study related to the production of manure gas emission of MP is necessary.
        4,000원
        207.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피음처리에 의한 고려엉겅퀴와 누룩치의 광합성 및 생장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차광막을 이용하여 전광처리구(0%), 약피음처리구(45~55%), 중간피음처리구(65~75%), 강피음처리구(88~92%) 설치하고 엽록소함량, 엽록소 형광반응, 광합성 반응 등을 조사하였다. 고려엉겅퀴와 누룩치 모두 피음처리 수준에 따라 엽록소 함량과 엽록소형광반응, 순양자효율 등이 증가하여 빛의 흡수와 광합성 반응에 대한 효율을 높이는 내음성 적응 반응을 나타냈으며, 엽면적 SLA 역시 증가하여 부족한 광환경에서 수광량을 늘리기 위해 엽면적은 늘어나고, 엽두께는 얇아지는 형태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특히 전광처리구에서 총 엽록소 함량, 엽록소 형광반응, 순양자효율, 기공전도도 및 기공증산속도가 비교적 낮았으며, 이는 강한 광으로 광저해 현상이 일어나 광합성 능력이 저하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고려엉겅퀴의 강피음 처리구는 엽록소 함량도 높으며, 엽면적이 늘어나고 엽두께는 얇아져 광을 수집하기 위한 형태적인 변화도 나타나고 있으나 광선요구도보다 적은 광 환경에서 계속 생장함으로서 엽육내 CO2를 효율적으로 소비하지 못하고, 수분이용효율 역시 감소되어 광합성 능력을 점점 상실해 가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고려엉겅퀴는 약광처리구(전광의 45~55%)에서최대광합성속도와 순양자효율이 가장 높고, 기공개폐 반응과 광화학반응 효율이 비교적 높았으며, 누룩치는 처리구간의 차이는 크지 않지만, 중간피음처리구에서 최대광합성속도, 순양자수율, 기공개폐반응 및광화학효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적절한 피음처리를 통해 건전한 생육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고려엉겅퀴의 경우 전광을 약 45~55% 차단하고, 누룩치는 약 65~75% 차단시킨 광환경이 효과적이라 생각된다.
        4,000원
        208.
        2012.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xpression of porcine sirtuin 1–3 (Sirt1–3) genes in immature (germinal vesicle; GV stage), mature (metaphase II; MII stage) oocytes, preimplantation embryos derived from parthenogenetic activation (PA), in vitro fertilization (IVF) and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SCNT). We also investigated the role of sirtuins in oocyte nuclear and cytoplasmic maturation, and embryonic development of PA and IVF embryos using sirtuin inhibitor [5 mM nicotinamide (NAM) and 100 μM sirtinol]. The expression of Sirt1–3 mRNA was significantly (p<0.05) up-regulated during IVM. The expression patterns of Sirt1–3 mRNA in preimplantation embryos of PA, IVF and SCNT were gradually (p<0.05) decreased from MII stage of oocyte to blastocyst stage. Especially, the expressions of Sirt1 and Sirt3 in SCNT blastocyst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IVF blastocysts. Treatment with nicotinamide (NAM) during IVM resulted in significantly decreased nuclear maturation but it was restored when NAM treated with 2 μM resveratrol (RES; known as antioxidant and sirtuin activator) compared to the control (control: 88.9%, NAM: 67.9% and NAM+RES: 86.4% respectively).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level of oocytes matured with NAM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nd with NAM+RE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Treatment with sirtuin inhibitors during IVC resulted in significantly decreased blastocyst formation and total cell number of blastocyst derived from PA (NAM: 29.4% and 29.6, sirtinol: 31.0% and 30.3, and control: 40.9% and 41.7, respectively) and IVF embryos (NAM: 10.4% and 30.9, sirtinol: 6.3% and 30.5, and control: 16.7% and 42.8,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leavage rate both PA and IVF embryos. Oocytes treated with NAM during IVM showed significantly lower expression of PCNA, Bax, Bcl-2, POU5F1 and Sirt1–3 compared to the control. Oocytes treated with NAM+RES during IVM restored gene expression except POU5F1. Similarly, PA derived blastocysts treated with NAM during IVM showed down-regulation of PCNA, Bax, Bcl–2, POU5F1 and Sirt1–2. The blastocysts derived from PA embryos treated with sirtuin inhibitors during IVC showed lower (p<0.05) expressions of POU5F1 and Cdx2 genes. Also, Sirt2 mRNA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sirtinol treated group and Sirt3 mRNA expression was also significantly de -creased in both NAM and sirtinol treated groups compared to the control.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Sirt1–3 which are transcribed and stored during oocyte maturation may have physiological and important roles in porcine oocyte maturation and preimplantation embryonic development by regulating gene expressions. * This work was supported by a grant from Next-Generation BioGreen 21 program (# PJ008121),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epublic of Korea.
        209.
        2012.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the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three strains of Hypsizygus marmoreus. Largely, anti-hypertensive, anti-inflammatory, anti-diabetic, anti-tumorigenic activities were carried out. In addition, β-glucan contents were also measured. Mangadak 2 ho has the 36%(w/w) β-glucan contents, it is highest value of all strains. And it also showed highest inhibitory activities of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GONJI No.6 highly inhibited releasing of nitric oxide from Raw 264.7. Anti-diabetic activity, the Hypsizygus marmoreus(from Japan) showed highest inhibitory activity on amyloglucosidase. MTT assay was performed on the anti-tumorigenic test. The cancer cell were used to HeLa, A549. repectively.
        210.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ound treatments have been considered as a non-chemical insect pest control technique. Different frequency and intensity sounds were applied to immune and adult stages to screen any stress sounds to alter physiological processes. At 95 dB, 5,000 Hz and 30,000 Hz were selected to be stress sounds in audible and inaudible sound ranges, respectively. Both stress sounds significantly inhibited larval and pupal development. In biochemical analyses, lipid and sugar levels in plasma signigicantly increased in response to the stress sound treatments. Moreover, a digestive phospholipase A2 enzyme activity in midgut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adult stage, ultrasound treatment significantly inhibited mating behavior, which resulted in a reduced fecundity. These stress sounds altered gene expressions of stress-related genes, such as heat-shock proteins and apolipophorin III. This study suggests that extreme sounds play a role in physiological stress factors in S. exigua by altering developmental and reproductive processes.
        211.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시비 처리에 따른 생육상토의 화학적 특성, 생장 특성 및 생리적 특성 변화를 조사 분석하여 최소 시비량에 대한 최대 생장 효과와 적정 시비 방법 적용에 따른 환경오염의 최소화를 목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시비 처리에 따른 생육 상토의 화학적 특성은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pH의 경우 유의적 차이를 보였는데 시비량이 적은 Exponential 처리구에서 산성도는 가장 낮고, 시비량이 높은 Constant와 Three stage 처리에서 산성도가 높아, 시비에 따른 산성화가 진행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시비 처리에 따른 근원경과 간장 생장은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세 시비 처리구 모두에서 낙엽송 용기묘 규격 이상의 우수한 생장을 나타냈다. H/D율과 T/R율은 Exponential 처리구에서 가장 낮은 값을 보였으며, 반면 물질생산량과 묘목품질지수는 Constant 처리구가 높은 값을 나타냈다. 시비 처리에 따른 광화학 효율과 엽록소 함량은 Constant 처리구에서 높았지만, 세 처리구 모두 유의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시비량을 생장에 따라 조절함으로써 시비량을 줄이면서 동시에 비슷한 생장 및 생리적 반응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Exponential 처리구는 50% 시비량으로 생장, 묘목품질지수 및 생리적특성에서큰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규격묘 생산이 가능했다. 이는 낙엽송 용기묘 100만본 생산 시 비료량을 약 200kg 이상 줄일 수 있는 것으로, 시설양묘과정에서 다른 시비 방법에 비해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양묘장 토양 및 계류수의 오염을 줄이면서 비슷한 생장을 유지할 수 있다. 즉, Exponential 시비 방법은 생산 비용을 줄이면서 비슷한 생장 효과 얻어 경제적이면서 친환경적 시비방법이라 판단된다.
        4,000원
        212.
        201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acai berry (Euterpe oleracea Mart.) extracts from three different solvents (water, methanol, and ethanol). We measured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 conten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nitrite scavenging activity, metal chelating effect, and reducing power. The extraction yield from water, methanol, and ethanol was 17.10, 9.50, and 37.51%, respectively. The highest total polyphenol content (10.54 mg/100 g)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1.88 mg/100 g) was observed in water extrac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the highest in both water extract (72.03%) and methanol extract (74.79%) at levels of 5 mg/mL, which was similar to that of BHT (78.90%). Water extract yielded the highest metal chelating effect (92.54%) and reducing power (1.09) at levels of 5 mg/mL. Taken togeth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xtracts of acai berry can be used as functional food materials with antioxidative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4,000원
        213.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냉 난방공조 조건에서 예상 온열감 반응(predicted mean vote; PMV)의 변화에 따른 심리 생리적 감성반응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 공조 시스템의 냉 난방 가동에 따라 PMV의 변화를 유도하고, 쾌/불쾌 및 각성/이완 정도를 심리적 감성반응으로, 심박률(heart rate; HR)을 생리적 감성반응으로 활용하여 PMV 변화에 따른 심리 생리적 감성반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동일한 PMV 변화 범위 내에서 재실자의 심리적 쾌/불쾌 및 긴장/이완 반응과 생리적 반응이 공조 조건이 달라짐에 따라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난방과 냉방의 공조조건에 따라 재실자의 실내 온열환경에 대한 감성반응이 서로 다를 뿐 아니라 각 공조 조건에 민감한 감성반응이 존재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는 실내 온열조건을 재실자에게 가장 적합하도록 조절하고자 할 때, 인간의 심리 및 생리적 감성반응을 모두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4,000원
        214.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간척지에서 재배가 가능한 내염성 보리 품종육성을 위한 기초정보를 얻고자 겉보리 두 품종을 대상으로 생육초기 염 스트레스에 따른 생리적 반응과 잎 프로테옴의 발현양상 변화를 분석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토양의 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보리의 건물중은 무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상록보리는무처리구에 비해 건물중 감소가 작았으며, 선우보리는 컸다. 2. 염처리에 따른 잎의 엽록소 함량을 나타내는 SPAD 값은상록보리가 57.6으로 47.6인 선우보리보다 높았으며, Na+의 함량은 선우보리에서 유의적으로 높았고, K+/Na+의 비율은 상록보리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3. 이차원전기영동에 의하여 염 스트레스에 의한 잎 프로테옴의 발현양상을 분석한 결과 47개 단백질 spot이 발현양의차이를 나타냈다. 품종별로 발현양이 증가한 단백질 spot은 상록보리와 선우보리에서 각각 17개와 14개로 나타났고, 발현양이 감소한 단백질 spot은 상록보리와 선우보리에서 각각 28개및 27개로 확인되었다. 4. 염처리에 따른 발현양의 차이를 보이는 18개 단백질을 동정한 결과 ribosomal protein 등 기능과 스트레스와의 관련성이 보고된 10개의 단백질과 ankyrin repeat domain protein등 스트레스 조건에서의 역할이 명확하지 않은 4개의 단백질및 Os02g0753300 등 기능 및 스트레스와의 관련성을 알 수없는 2개의 단백질이 동정되었다.
        4,000원
        215.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피음처리에 따른 1년생 가시나무 용기묘의 생장과 생리적 반응을 탐구하고자 수행되었는데, 피음처리는 전광 및 전광의 35%, 55%, 75%의 수준으로 실시하였다. 가시나무의 간장과 근원경생장은 35%와 55% 피음처리에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피음처리와 상관없이 근원경생장이 간장생장 보다 4주 정도 더 길게 지속되었다. 피음처리 후 가장 높은 H/D율은 4.31을 기록한 35% 피음이었으며 가장 낮은 값은 3.63을 기록한 75% 피음이었다. 또한 피음처리후 가장 높은 건물생산량은 55% 피음, 그 다음으로는 35% 피음이었는데, 부위별로도 이 두 피음수준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T/R율은 75% 피음에서 1.76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고 55%에서 2.4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35%에서는 2.38로 조사되었다. Leaf dry weight ratio(LWR)의 경우, 피음처리 후 가장 높은 값은 55% 피음의 0.53, 다음은 35%의 0.52이었으며, root dry weight ratio(RWR)은 피음수준이 가장 높은 75%에서 0.36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피음이 강해질수록 엽록소 a 함량과 총 엽록소(a + b) 함량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지만 엽록소 b의 경우에는 피음처리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광합성률과 증산율은 전광에 비해 피음이 높을수록 증가하였으나, 가장 높은 피음인 75%보다는 35% 및 55% 피음에서 더 높았다. 본 실험에서 피음처리에 따른 광 조건이 다른 환경에서 생육한 묘목들이 보인 생장과 광합성 반응 결과는 적정 생육광도를 설정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내음성 정도를 추정하는 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216.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칼륨의 독성에 따른 배추의 생육과 생리적 특성 그리고 형태적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100mM의 칼륨 농도 처리구까지 전체적인 생육이 증가한 반면, 600mM 처리구에서 생육이 가장 저조하였다. 칼륨 처리 농도가 높을수록 N, P, K, 함량은 증가하였지만 Ca, Mg, Na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미량원소, Fe, Mn, Zn의 경우 100mM의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생체중당 Chl a, b와 carotenoid 함량은 600mM에서 가장 많이 증가하였으나 증가한 엽록소 함량에 비해 광합성효율(Fv/Fm)은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고 CO2 동화율은 오히려 감소하였다. 이는 칼륨 과다에 의한 삼투스트레스의 결과로 기공의 퇴화와 CO2 동화능력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을 형태학적 관찰로 확인되었다. Total free amino acid의 경우 100mM 처리구까지 칼륨 처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 반면 600mM에서 급격히 감소하였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의 배추는100mM의 칼륨 농도까지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217.
        2011.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the water and methanol extracts from Auricularia auricula-judae(black and brown) and Auricularia polytricha. Largely, anti-oxidant, anti-tumorigenic, anti-inflammatory, anti-diabetic activities were carried out. DPPH scavenging activity was performed on the anti-oxidant test. MTT assay and nitrite scavenging acitivity were performed on the anti-tumorigenic test. The cancer cell were used to HeLa, A549, HT-29 and MCF-7 and normal cell was used as control. lastly, in the anti-inflammatory and anti-diabetic activities, NO assay and α-amyloglucosidase inhibition were performed, repectively.
        218.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Hz-2V, which belongs to nudiviridae, is a sexually transmitted insect virus of corn earworm, Helicoverpa zea. Hz-2V is transmitted during mating or mating attempt of infected individuals, and specifically replicates in the reproductive tissues to cause abnormal development of testes and ovary in the adult moths of next generations. The malformation of Hz-2V reproductive tissues started during the early pupal stage without clear sign of virus replication. The virus replication started at the late pupal stage to cause sterility of the emerged moths. Interestingly, the infected female moths showed a unique pathology, so called ‘waxy-plug’, which is filled with virus particles, and abnormal mating behavior while they produced 6~7 times more of pheromone than the normal female moths did. To investigate the factors of Hz-2V which control the physiological, and behavioral changes of the infected moths, the whole genome sequence of Hz-2V was determined. Bioinformatics analysis demonstrated that Hz-2V contains 113 putative ORFs including juvenile hormone esterase (JHE) and histone binding protein homologues, and a miRNA candidate which probably controls the expression of viral JHE.
        219.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화이트 클로버에서 마이코라이자 접종이 가뭄스트레스와 관련된 생리학적 요인들을 조사하기 위하여, 마이코라이자 접종 (AM) 또는 비접종구에서 정상관수 (WW) 또는 가뭄 스트레스 처리 (DS)하여 7일동안 주기적으로 잎 수분포텐셜, 상대수분함량, 건물중, 광합성효율, 증산, 기공전도성, 프롤린 및 암모니아 함량을 각각 측정하였다. 모든 조사항목에서 정상적인 관수조건 (대조구)에서는 전 시험기간 중 변화가 매우 적었으며, 마이코라이자 접종에 의한 변화도 매
        4,000원
        220.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physiological evaluation of cloned mini-pigs in a transportable isolator. Transportable isolator was designed and manufactured by our research team for transporting gnotobiotic pig. Until now, no previous reports are available regarding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and harmful effects when pigs were transported in this isolator. Five cloned mini-pigs of 1~2 year (s) old female with a body weight between 80~90 kg were used. The effects of transportable isolator on stress-related hormone, adrenocorticotrophic hormone (ACTH) and cortisol levels, and heart rate were evaluated. In addition, it was also examined the effects of transportable isolator on blood chemistry factors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blood urea nitrogen: BUN, glucose, and creatinine). Blood was sampled just before the beginning of transport (T0), at the end of transport (30min after the transport; T1), and 30 min after the end of transport (T2). At the same time, heart rate was also evaluated. As a result, heart rate had no significant (p>0.05) differences at the various-time points of study (T0, T1, T2). However, heart rate was slightly higher than normal range in T1 and T2. The ACTH level was higher than normal range. Whereas, the cortisol level was lower than normal range. There were no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s both ACTH and cortisol level between different time groups. Also,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lood chemistry factors. Therefore, our present study shows that transportable isolator has no harmful effect on stress and physiological condition in cloned mini-pigs.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