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35

        201.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울릉도 성인봉지역(해발 984m)에 대해 해발고별 식생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해발고 l00m단위마다 l0m×10m(l00m2) 조사구 4개씩을 설치 총 40개 조사구를 조사하였다. 군집의 분리를 위하여 TWINSPAN과 DCA를 이용하였으며, TWINSPAN분석 결과 해발 300m이하의 저지대, 해발 400~700m사이의 중지대, 그리고 해발 800m이상의 고지대로 구분되었고, DCA분석 결과 저지대와 중지대사이에 식생의 비연속성이 뚜렷하였고, 유사도지수도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해발고별 종다양성분석에서는 해발고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다만 최대종다양도는 저지대로 갈수록 높았다. 밀도분석에서는 중지대가 교목층과 아교목층에서 개체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흉고단면적은 저지대가 높았다.
        4,000원
        202.
        199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울릉도 성인봉 원시림의 식생구조를 밝히기 위해 400m2(20m×20m)의 조사구 10개를 설치하였다. 성인봉원시림은 우산고로쇠, 너도밤나무가 우점종이었으며 너도밤나무군집. 우산고로쇠-너도밤나무군집. 우산고로쇠군집으로 나누어졌다. 울릉도의 지리적 입지와 식생 특성상 각 군집의 Shannon 종다양도는 0.5150~0.8437로 낮은 편이었다. 상대우점치 분석, 흉고직경급별 분포 분석 등 군집구조 분석 결과, 성인봉 원시림은 성숙한 산림으로 현 상태를 오랜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유지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수목 생장유형 분석 결과, 과거 너도 밤나무림이 우점하던 성인봉 원시림에서 교란에 의해 우산고로쇠의 세력이 확대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4,000원
        203.
        199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 강화도 지역의 산지형 도시녹지를 대상으로 식생구조 분석을 통한 관리방향 제시를 목적으로 하였다. 총면적 11,331ha에 대한 현존식생 분석 결과 식물군집은 19개 유형으로 분리할 수 있었는데 이중 상수리나무군집, 소나무-상수리나무군집, 신갈나무군집 등 2차림이 전체의 92.32%(10,461ha)를 차지하고 있었다. 아까시나무림 등 인공식재림은 전체의 5.40%(612ha)로서 수도권지역 다른 도시들 보다 적은 면적을 나타내었다. 총 57개 조사구에 대한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분석 결과 총 7개 군집으로 분리되었는데 그것은 리기다소나무(군집 A), 상수리나무(군집 B), 소나무-상수리나무(군집 C), 상수리나무-소나무 (군집 D), 소나무-서어나무-졸참나무-상수리나무(군집 E), 졸참나무-신갈나무(군집 F), 느티나무-고로쇠나무 (군집 G)이었다. 강화도 지역은 온대 중부지방에서의 일반적인 천이진행단계인 소나무림에서 상수리나무림을 거쳐 신갈나무림, 졸참나무림, 서어나무림으로 생태적 천이가 진행중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토양 pH는 평균 4.17의 강산성 토양으로서 토양환경 개선을 위한 연구가 산림식생 관리계획에서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4,300원
        204.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난대 상록활엽수림 복원 모형 연구의 사례지인 완도의 식생구조를 조사하였다. 완도의 사록활엽수림은 붉가시나무가 우점종이었으며, 수령 30여년 미만의 맹아림이 대부분이었다. 중복부와 산록부에는 조림식생과 낙엽활엽수림이, 능선부와 고지대에는 졸참나무, 개서어나무, 소사나무 등의 낙엽활엽수림이 발달하고 있었으며, 임상층에서 상록활엽수종이 활착하고 있었다. 47개 조사구에서 60% 이상의 상재도를 나타낸 상록활엽수종은 광나무, 마삭줄, 붉가시나무, 사스레피나무이었다. 본 조사지역 내에 출현한 관속식물상은 101과 321속 426종 56변종, 5품종 및 1교잡종 등 촌 488종류로 파악되었으며 이 중에서 상록성 수목은 23속 30종 2변종 등 32종류이었다. 12개 조사지역에서 100%의 상재도를 나타낸 종은 맥문동과 칡이었으며, 50% 이상인 종은 덜꿩나무, 마삭줄 등 40종류이었다. 한편 상재도가 8% 이하인 식물종은 가래나무, 말채나무, 병아리꽃나무 등 209종류이었다. 식물종 다양성은 장기간 인간간섭으로 조사지역간 특이한 사항은 보이지 않았으나, 곰솔림이 155종으로 가장 높은 값을 보인 반면에 생달나무-마삭줄군락은 23종으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5,200원
        205.
        199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생물종자원 및 경관자원으로서의 보존가치가 큰 난온대 상록활엽수림의 식생구조를 정량적으로 파악하여 국토자원관리와 식재설계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지는 전남 진도군 의신면의 선연기념물(107호)인 상록수림을 포함하는 첨찰산 일원이었다. 식생구조분석을 위하여 총 52개의 조사구(조사구면적 300m2)를 설정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였으며 TWINSPAN 및 DCA 기법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7개의 식물군짐이 분리되었는데 이들 군집은 굴참나무-개서어나무군짐, 정가시나무군집, 구실잣밤나무-참가시나무군집, 구실잣밤나무-동백나무군집, 붉가시나무, 참식나무 등 상록활엽수로 천이되고 있는 천이 도중상의 식생구조이었다. 수종과 토양 및 입지환경과의 관계에서 참식나무, 종가시나무, 동백나무는 비옥한 토양에서 상대우점치가 컸고 소사나무는 고지대 능선부, 개서어나무는 저지대 곡간부나 산록부의 양호한 환경조건에서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난온대림 지역의 관광지 주변이나 국,공유림의 삼림식생관리는 식생구조와 천이계열을 고려하여 상록활엽수림 복원을 촉진시키는 계획이 필요하며, 도시구역이나 공단조성시에는 황견 입지조건을 고려한 상록활엽수종의 식재가 바람직하다.
        4,000원
        206.
        199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대산 국립공원의 주연부 수종 및 식생구조를 밝히기 위하여 1995년 7월 1일-4일에 현지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당므과 같다. 오대산 곡간부에 위치한 삼림주연부의 종구성은 삼림내부와 상이하였다. 종다양도, 종수, 수관피도 및 개체수는 주연부에서 임내로 갈수록 감소하였다. 병꽃나무는 온대기후대 전역의 주연부에서 경쟁력이 우수한 수종으로 나타났으며, 오대산 국립공원에서만 출현한 주연부 수종은 조회풀과 산조팝나무이었다.
        4,000원
        207.
        199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라산 영실의 오백나한-윗세오름대피소-방아오름에 이르는 아고산대(해발 1,440-1,700m)삼림의 식물군집 구조분석을 위하여 37개소에 조사구(1개 조사구당 10 × l0m 방형구 1개씩 설치)를 설치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여 얻은 자료에 대하여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 및 ordination의 종류인 RA및 DCA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가축방목과 이용객에 의한 식생훼손을 파악하기 위하여 17개소에 조사구를 설치하였다. TWIMSPAN에 의해 5개의 군집으로 분리되어 구상나무-주목군집, 산철쪽-털진달래 -제주조릿대군집, 큰꽝꽝나무-보리수나무-제주조릿대군집, 산철쭉-눈향나무-털진달래군집, 시로미-눈향나무군집으로 나뉘었다. 가축방목과 탐방객의 이용에 의하여 식물군집의 종다양성이 심하게 감소되었다.
        4,200원
        208.
        199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리산 국립공원지역에서 주연부식생구조 및 출현수종을 밝히기 위하여 1991년 8~10월 사이에 현지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지대 북동사면의 주연부로부터 삼림내부로의 거리 증가에 따라 하층수종의 상대우점치가 변화하였다. 주연부로부터 30m까지 식생구조의 변화가 있었으며, 주연부의 깊이는 15~20m 이었다. 고도, 지형적위치 및 방위요인이 주연부 수종과 출현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주연부식생은 능선과 산록부간의 지형적 위치와 중복부 이상에서의 남향과 북향의 방위간에 심한 차이를 나타냈다. 남.북사면간의 하층식생구조를 비교해 볼 때, 개체수와 피도는 북사면에서, 반대로 수종 수, 종다양도 및 조릿대 피도는 남사면에서 더 많거나 높게 나타났다.
        4,200원
        209.
        199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속리산국립공원의 환경유형별 주연부식생구조를 밝히기 위해 1990년 8월에 현지조사를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주연부식생의 수관층위별 우점수종, 종구성의 유사도는 기존식생, 고도, 방위, 지형적 위치의 환경 요인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상부 주연부식생은 다른 환경유형과 심한 차이를 나타냈다. 주연부의 종다양도는 중복부 북사면이 가장 높게, 남사면이 가장 낮게 나타났고, 전 환경 유형의 아교목층에서 좁은단풍나무가 우점종으로 출현했다. 고도. 방위, 지형적위치에 따라 주연부수종들의 출현밀도의 차이가 있었으며, 고도, 방위, 지형적 위치 등에 관계없이 좁은단풍나무, 신갈나무, 물푸레나무, 조록싸리, 병꽃나무가 높은 출현빈도를 나타냈다.
        4,000원
        210.
        198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가야산국립 공원의 주연부 식생구조와 우세수종을 밝히기 위해 1989년 7~8월 사이에 현지조사를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간선형과 전진형 주연부식생이 출현했다. 주연부에서 삼림내부로의 거리에 따른 출현수종들의 상대우점치변화는 방위, 토양수분, 기존상층우점식생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소나무림내부에서는 소나무와 친화성있는 양수들이 우세하게 출현하고 있었다. 삼림주연부에서 삼림내부로의 거리증가에 따른 생태지수들의 변동이 일정하지 않았으나 주연부깊이는 대략 15~20m로 나타났다. 주연부 우점수종은 고도, 방위보다는 토양수분에 영향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종구성의 유사성은 고도에 영향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도, 방위, 지형측위치에 따라 주연부 수종들의 출현빈도의 차이가 있었으며, 고도, 방위, 입지조건에 관계없이 조록싸리, 병꽃나무, 물푸레나무는 높은 출현빈도를 나타냈다.
        5,400원
        211.
        198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changes of dry matter production in permanent pasture and its relation with relative yield of the 1st cutting, regrowth capacity, and persistance of orchardgrass sward, based on the data of preceeding The res
        4,000원
        212.
        198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치악산국립공원의 주연부 식생구조 및 출현수종을 밝히기 위해 1988년 7월-9월 사이에 현지조사를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관선형, 수간선형 및 전진형 주연부식생이 나타나고 있었으며, 주연부에서 삼림내부로의 거리에 따른 출현수종들이 수관층위별 상대우점치 변화가 방위와 기존 상층우점수종별로 달랐다. 특히, 남사면의 소나무림 내부에서 주연부 양수들이 우세하게 출현하고 있었으며, 북사면 계류 주연부에서는 호습성수종들이 양수들과 함께 우세하게 출현하였다. 삼림주연부로부터 삼림내부로의 거리가 증가할 수록 수관층위별 종수 및 개체수, 종다양도 및 상이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주연부깊이는 15-20m로 나타났다. 환경유형별 관목층과 임상층의 주연부우점수종은 고도와 지형적 위치 즉, 계곡부, 능선, 정상부에 따라 달랐으며 특히, 정상부의 주연부 우점수종은 독특하였다. 그리고 고도, 지형적 위치 및 방위가 주연부식생간의 유사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도, 방위 및 지형적위치에 따라 주연부 수종들의 출현빈도계급이 달랐으며, 병꽃나무는 전지역에서 높은 출현빈도를 나타냈으며 병꽃나무, 신갈나무, 물푸레나무, 다래, 산딸기, 소나무, 생강나무, 노린재나무, 두릅나무는 대체적으로 전지역에서 주연부 수종으로 출현했다.
        5,200원
        213.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nvironment factors including community structure and soil characteristics in the wild habitats of Cephalotaxus koreana, and offers the basic information for habitats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Most of the wild habitats were located at altitudes between 148~835 m with inclinations ranged as 12~32°. The average soil pH was 4.7~5.9, soil organic matter was 5.72~15.99%, cation exchange capacity was 14.1~19.9 cmolc/㎏-1 and exchangeable K+, Ca2+, Mg2+ was 0.25~0.48 cmolc/㎏, 0.79~6.68 cmolc/㎏, 0.31~1.73 cmolc/㎏, respectively. The dominant species of tree layer were found to be dominated by Quercus dentata in Jekbo-san (C1), Acer pictum in Bogae-san (C2), Acer pseudosieboldianum in Geumwon-san (C3), Q. serrata in Jiri-san (C4), Zelkova serrata in Baegun-san (C5), and Q. acutissima in Duryun-san (C6). The Species diversity (H’) was 0.854~1.234, evenness (J’) was 0.654~0.993, and dominance (D) was found to be 0.067~0.346. Correlation coefficients analysis based on environmental factors, community structure and value of species diversity shows that growth of Cephalotaxus koreana is correlated with species diversity and evenness. This result show that Cephalotaxus koreana habitats located in mature stands.
        214.
        2016.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s purpose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monitoring of ecological changes caused by change of vegetation structure of Abies koreana forest in a study site susceptible to climatic change in Yeongsil area of Hallasan Mountain, Jeju Island. Surveys revealed this: in Yeongsil area of Hallasan Mountain, per 1 ha of A. koreana forests, total number 1,781, and A. koreana number 989, accounting for 55.5% of the total number of trees. 190 A. koreana or 19.2% were found to be dead. For the number of individual trees by DBH, trees standing 5 ㎝ -10 ㎝ tall formed the largest portion at 39.9%, and in the case of other trees except A. koreana, the number of individual trees below 5 ㎝ accounted for 23.5% of the total number of trees. The survey of importance by height revealed this: at the top level, the importance of A. koreana was the highest at 106.23, but the sum of importance of temperate deciduous broad-leaved trees (Prunus maximowiczii, Quercus mongolica, and Taxus cuspidata) was higher at 142.84 than that of A. koreana. The analysis of species diversity revealed 0.645 species diversity for the tree layer and 0.817 for the shrub layer; for evenness, 0.549 for the tree layer and 0.664 for the shrub layer; for dominance value; 0.451 for the tree layer and 0.336 for the shrub layer. The analysis of tree vitality revealed that for the A. koreana forests in Yeongsil, the composition ratio of A. koreana by type is AS type>AL type>DS type >DB type, and that of the other trees is AL type>AS type>AF type>AB type. Compared with the forests in other areas, the A. koreana forests in the Yeongsil area have a very high occurrence rate of dead trees, and a high importance of trees is shown in the deciduous broad-leaved tree forests. Compared with the A. koreana forests in the Jindallaebat area, with the same level above sea, the vegetation structures are fast changing. Also, due to dryness and other non-physical environmental changes caused by a lack of rainwater and dry winds in winter, dead trees are fast increasing in number.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climate change diversely affect the maintenance of A. koreana in individual areas, and if environmental changes are fast and continue long, of the A. koreana forest areas in the Hallasan Mountain, the A. koreana forests in the Yeongsil area will decrease fastest in number and will experience changes in the vegetation structure. Thus, it is necessary to survey the vegetation changes in A. koreana forests, which are distributed in all directions but are centered on Hallasan Mountain, and to thus conduct long-term monitoring and research.
        216.
        201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at classifying and interpreting on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the vegetation transition over 25 years (between 1986 and 2010), and the correlation with the change of some conditions (the vegetation height and coverage on each layer and the climate factors as WI, CI, mean annual temperature, mean annual total precipitation etc.) in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Hong-Do island. The EBLF is classified into five units of vegetation (Hedera rhombea-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M-M comm.), Castanopsis sieboldii forest (Machilus japonica-Castanopsis sieboldii community; Raphiolepis indica var. umbellata-C. sieboldii community), community (Qa comm.), Carpinus turczaninovii community (Ct comm.), Camellia japonica stand (Cj stand)). The vegetation transition by CCA had high correlation with the height and coverage on each layer and the climate factors, and it did the succession (transition) that the M-M comm. (2010) from Mallotus japonicus community・Machilus thunbergii community・Carpinus coreana community (Cc comm.)・Aucuba japonica community (Aj comm.)・Trachelos permum asiaticum var. intermedium-Quercus acuta community (TQ comm.) (1986), the communities of C. sieboldii forest (2010) from Aj comm.・TQ comm.・Raphiolepis umbellata-Camellia japonica community (RC comm.) (1986), the Qa comm. (2010) from Ardisia japonica-Castanopsis sieboldii community (AC comm.) and TQ comm. (1986), the Ct comm. (2010) from Cc comm.・RC comm.・Aj comm.・Quercus serrata community and the Cj stand (2010) from AC comm. (1986). the height and coverage on each layer are also changed.
        217.
        2014.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surveyed Abies koreana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its vegetation structure according to its slope direction and seedling establishment in a bid to build basic research data on the changes and conservation of the A. koreana in Hallasan Mountain. The findings of its vegetation structure revealed that in both areas, Importance value was given to the A. koreana for its tree layer, the Taxus cuspidata for its shrub layer, and the Sasa quelpaertensis for its herb layer. However, in the Youngsil area with the tree layer, high importance was given to deciduous broad-leaved trees such as Prunus maximowiczii, Quercus mongolica, and the young species of the A. koreana in the shrub layer that can maintain the A. koreana forest’s greater importance in the Jindallebat than in the Youngsil. Thus, the A. koreana forest in the Jindallebat is believed to lastlonger. The findings of correlation between the quantity of seedlings and their location by area revealed that in each tiny quadrat, the A. koreana seedling averaged 5.3 in the Youngsil and 2.9 in the Jindallebat. Both areas were all found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in terms of rock exposure ratio and dead tree ratio as well 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regard to the cover degree of S. quelpaertensis, the canopy gap, the total vegetation, and the herb layer. It was found that the cover degree of the herb layer in the Youngsil and the S. quelpaertensis in the Jindallebat had the largest impact on the A. koreana seedlings.
        218.
        201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모새나무는 국내 분포 정금나무속(Genus Vaccinium)식물 중 상록성이며 민간에서 열매를 식용으로 사용했던 종으로 산업화 가능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제주도내 모새나무의 자생지 환경 및 개체특성 등을 조사하여 산업화 및 보호의 기초자료로 삼고자 실시하였다. 조사한 결과, 모새나무는 한라산 남사면에 많이 분포하였고, 해발 100~500 m에 주로 분포하였다. 조사방형구내 출현한 모새나무는 총 30개체로 평균수고 6.0 m, 평균흉고직경 7.8 cm로, 평균분지수 4.3개였다. 자생지의 군락 구조는 교목층의 평균식피율이 36%로 낮은 반면 아교목층이 평균식피율은 78%로 높게 나타나 아교목층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였다. 조사구내 총 출현한 종수는 76종으로 교목층에 상록침엽수 2종, 상록활엽수 3종, 낙엽활엽수 5종 등 총 10종이 출현하였고, 아교목층은 상록침엽수 1종, 상록활엽수 11종, 낙엽활엽수 10종 등 총 24종이 출현하였다. 이 중 상대기여도가 높은 종은 사스레피나무로서 모새나무를 위협하는 종이였다. 관목층은 생달나무 등 27종이 출현하였고, 초본층은 백량금 등 64종이 출현하였다. 모새나무 자생지간 유사성은 매우 낮아 특징적인 군락을 선호하지 않았고, 신례천의 모새나무 군락은 하천 사면이 아니라 사면과 연결된 주변에 분포하였으며, 분지가 많이 이루어졌으나 햇볕을 받지 못하는 가지들이 고사된 상태였고, 숲의 형성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경우 모새나무는 쇠퇴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219.
        201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at classifying and interpreting on the vegetation structure, the correlation between a vegetation and an environment, a species diversity and a life-form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EBLF) located in Gageo-do Island. It is also the objective that the estimation of vegetation change founded on the species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The vegetation of EBLF was classified into three forests or four community units as Machilus thunbergii forest (Polystichum polyblepharon-M. thunbergii community and Phaenosperma globosum-M. thunbergii community), Ilex integra-Castanopsis sieboldii community, Quercus acuta community and Neolitsea sericea stand. The ordination analysis by DCA is analogous with the vegetation structure analysis.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environmental conditions, the Altitude has the significance with the distribution of communities. The total vegetation change by progress of succession will not be wandered away from the present vegetation structure practically, and the vegetation on the underlayers will be a little changed.
        220.
        201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희귀식물로 지정되어 있는 애기송이풀의 자생지 환경을 조사하여 보전 및 복원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조사결과 애기송이풀의 자생지는 해발고도 107~494m 범위와 경사 5~20˚의 계곡부에 주로 생육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식생 및 관속식물 조사결과 6개 지역의 18개 방형구 내에서 조사된 관속식물은 총 243분류군이 출현하였으며, 각 조사구 내 초본층의 피도와 빈도를 기초로 한 애기송이풀의 중요치를 산출한 결과 평균 13%로 나타났다. NMS 분석결과, 애기송이풀 자생지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목본층의 종구성, 초본층의 종구성보다는 환경적 영향이 더 지배적이라는 말할 수 있다. 이에 자생지의 안정적인 유지를 위해서는 서식지 보전이 중요하며 서식지 주변에 보호구역을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1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