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95

        221.
        2006.06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mission concentrations of VOC and various odorous compounds were measured from different indoor process units located in 19 companies at the Ban Wall industrial complex from Jun. 2004 to Jan. 200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door pollution levels of various industrial facilities with respect to bothmalodorous compounds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 We also intended to build the database under the conditions affected by various anthropogenic processes with an aid of a statistical treatment. The three samplingmethods and five analytical techniques were applied tomeasure the sum of up to 32 individual compounds. According to this study, we were able to identify the importance ofmajormalodor compounds which include carbonyl compounds, reduced sulfur compounds, ammonia and trimethylamine. On the other hand, relative contribution of VOC as sources ofmalodor was ofminor significance except such compound as toluene. The overall results of this study thus indicate that the concentration levels of VOC in themanufacturing facilities are high enough to affect indoor laboring conditions.
        5,700원
        222.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방향족 폴리아미드 역삼투 복합 박막에 트리알콕시알킬 실란 화합물을 안정적으로 정착시켜 내염소성이 향상된 복합막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실란 화합물의 알킬 그룹의 탄소가 1개인 methyltriethoxysilane (METES)와 8개인 octyltriethoxysilane (OCTES) 표면 개질에 사용하였다. 긴 알킬 체인을 갖는 실란(OCTES)이 정착된 멤브레인의 경우, 일반 폴리아미드 역삼투막 또는 짧은 알킬 체인을 갖는 실란(METES)에 비해 개염소성이 크게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표면 분석을 통하여 OCTES 코팅막과 METES또는 상용막과의 내염소성 차이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EDX 원소 분석을 통하여 실란 화합물 둘 다 폴리아미드상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었음을 볼 수 있었으나 표면 조도나 접촉각 분석에서는 긴 알킬 체인을 가진 OCTES가 혐수성에 큰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223.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an attempt was made to measure uncertainties involved in the analysis of gaseous VOC standards prepared at various dilution stage. A GC/FlD system equipped with air server/thermal desorption (AS/TD) unit was used to draw calibration curves for the known amounts of VOC gases (including benzene, toluene, xylene, and styrene) prepared at four individual concentrations (10, 20, 50, and 100 ppb). The calibration curves obtained from standards of each respective concentration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It was found that the loss of samples was more prominent with decreasing standard concentrations (e.g., one prepared at 10 ppb) and that the heaviest compound, styrene exhibited the most noticeable loss than the others. In this study, an ancillary experiment was also conducted to evaluate the compatibility of standards between gaseous (using Tedlar bag) and liquid phases (using tube method). Based on this comparative analysis, the compatibility between two standard type was evaluated in terms of the recovery ratio between gas and liquid: 56 (benzene), 42 (toluene), 31 (p-xylene), and 25% (styrene).
        4,000원
        226.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t is interesting to discover the reaction kinetics of the newly developed molybdenum containing catalysts. The dissociation/adsorption of nitrogen on molybdenum surface is known to be structure sensitive, which is similar to that of nitrogen on iron surface. The rates over molybdenum nitride catalysts are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total pressure. This tendency is the same as that for iron catalyst, but is quite different from that for ruthenium catalyst. The activation energies of the molybdenum nitride catalysts are almost on the same level, although the activity is changed by the addition of the second component. The reaction rate is expressed as a function of the concentration of reactants and products. The surface nature of CO3Mo3N is drastically changed by the addition of alkali, changing the main adsorbed species from NH2 to NH on the surface. The strength of NHx adsorption is found to be changed by alkali dopping.
        4,000원
        229.
        200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충치원인균인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페놀성 화합물(14종)의 항미생물활성은 hydroxybenzoic acid group에서는 syringic acid를 제외한 모든 화합물이 5와 10 mg/disc 함유량에서 8.5~18mm까지의 생육저해환을 나타내었다. 기타 phenolics 화합물에서는 catechol과 L-ascorbic acid가 저해능을 나타냈는데, 특히 catechol은 10 mg/disc 함유량은 18.5~19.5mm로 강한 항미생물활성을 나타냈다. Phenolic compounds의 최소저해농도는 S. mutans, M1 및 M2 균 모두에서 2,000 ppm의 농도에서 MIC 값을 나타내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catechol만 1,000 ppm의 농도에서 높은 MIC 값을 나타내었다. 충치 관련 미생물인 S. mutans에 대해 항미생물활성이 인정된 7종의 페놀성 화합물을 대상으로 S. mutans가 생산하는 glucosyltransferase(GTase)의 활성저해능은 benzoic acid와 p-hydroxybenzoic acid 처리구에서는 100과 500 ppm 농도에서 약하게나마 GTase활성을 저해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gallic acid 처리구는 10 ppm부터 활성을 나타내기 시작해서 100 ppm과 500 ppm에서 약 50%의 저해 활성을 나타냈다. 한편 catechol 처리구에서는 10 ppm에서 58.7%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고, 50 ppm에서 60.7%, 100 ppm에서 88.4%, 그리고 500 ppm에서 89.6%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어 catechol의 S. mutans에 대한 생육저해능 측정에서 높은 항미생물활성을 나타낸 결과와 동일한 경향을 나타냈다.
        4,000원
        234.
        200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기증기에 대한 PDMS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4,4'-diphenylmethane diisocyanate (MDI)와 1,4-butanediol(BD)를 이용하여 poly(dimethylsiloxane)를 기초로 한 polyurethane-polysiloxanes (PU/PDMS)를 합성하였다. 그리고 poly(tetrafluoroethylene) (PTFE)를 다공성 지지체로 이용하여 복합막을 제조하여 SEM 분석으로 코팅층의 존재와 두께를 확인하였다. 증기투과실험에서 투과온도와 feed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flux는 점차 증가하였고, separation factor는 이와 반대로 점차 감소하는 'trade-off'현상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의 PU/PDMS는 soft segment의 함량보다는 비교적 hard segment의 함량이 높기 때문에 투과온도의 증가에 따른 영향이 크지 않았던 것으로 사료된다. PU/PDMS막은 VOCs와 상대적으로 높은 친화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PU/PDMS 균질막과 비교하여 복합막의 형태에서도 향상된 flux와 높은 separation factor를 나타내었다.
        4,000원
        235.
        200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237.
        200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에서는 미국산 R. rhabarbarum L.과 중국산 R. palmatum L.의 줄기 추출물과 그리고 한국산 R. undulatum L.의 뿌리 추출물이 천연항산화제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대황의 페놀화합물을 추출하기 위해서 물, 에탄올, 메탄올이 사용되었다. 에탄올이 대황(Rhubarb)에서 페놀화합물을 추출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용매였으며 50% 에탄올은 R. rhabarbarum L. 줄기에, 70% 에탄올은 R. palmatum L.의 줄기에, 80% 에탄올은 R. undulatum L.의 뿌리에서 페놀을 추출하는데 각각 가장 효과적인 용매농도였다. 또한 추출물리 항산화능을 알기 위해 β-carotene bleaching inhibition activity와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를 측정하였으며 합성항산화제인 BHT와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β-Carotene bleaching inhibition activity 실험에서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하면 대황추출물의 항산화능이 역시 증가하였다. 추출물의 농도가 5mg/ml와 10mg/ml 일때 R. undulatum L. 뿌리추출물과 BHT의 항산화능은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p≤0.05). 그러나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에서 R undulatum L. 뿌리추출물이 0.4 mg/mL 농도 이상에서는 BHT 보다 높은 항산화능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대황(R. undulatum L.)의 80% 에탄올 추출물이 천연항산화제로의 사용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합성항산화제인 BHT의 식품에 사용농도를 비교하여 볼 때 대황 추출물의 항산화능이 BHT와 동일하기 위해서는 보다 높은 농도를 필요로 하였다.
        4,000원
        238.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action conditions and catalysts were investigated for direct CF3I synthesis. Optimum reaction temperature was determined by pyrolysis of CF3H and catalytic reactions. Reactions with changing oxygen concentration were performed. As a result, yield of CF3I increased with decreasing oxygen concentration. Catalytic activity was changed with the weight ratio of the used metal salts. This result was stemmed from the change in the pore size of activated carbon by the metal salts. The optimum reaction conditions were: 600℃, space velocity of 45hr-1, and with 7wt% KF/AC catalyst.
        4,000원
        240.
        200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rchardgrass 및 white clover에서 미량요소 Fe, Mn, Cu 및 Zn의 systematic variation 시비가 목초의 생육, 개화, 수량 및, 양분 함량 등에 미치는 영향 등을 구명하였다. 다량요소 양분을 동일 양 시비한 조건에서 Fe/Cu(시험군-1), Mn/Zn(시험군-2) 및 Fe+Cu/Mn+Zn(시험군-3)의 처리는 systematic variation 방법으로 시험군별 총 시비량을 각각 0/100, 25/75, 50/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