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31

        221.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Stroke patients have leg muscle weakness and impaired balance resulting in compensatory changes. To restore balance in these patients, functional training using postural strategy is needed. Objective: To examine the effects of ankle and hip strategy training on the center of pressure (COP) movement and limits of stability (LOS) in standing posture in stroke patients. Design: The study was an assessor-blinded and randomized-controlled clinical trial. Methods: Thirty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an ankle strategy training group and a ankle/ hip strategy training group. Patients in the ankle strategy training group underwent ankle strategy exercise for 30 min, and those in the ankle/ hip strategy training group underwent 15 min of ankle strategy exercise and 15 min of hip strategy exercise. Both groups underwent training thrice a week for four weeks. Forward, backward, paretic side, and non-paretic side COP movements and LOS were measured using BioRescue. Results: After the intervention, except for the backward area in the ankle strategy training group, the COP movement area and the LO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both the groups. In addition, these improvem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ankle/ hip strategy training group than that in the ankle strategy training group. Conclusions: Ankle strategy training in addition to hip strategy training improves COP movement (forward-backward, paretic side area, and nonparetic side area) and LOS in stroke patients.
        4,000원
        222.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moderate- and high-intensity resistance training on hippocampal neurotrophic factors and peripheral CCL11 levels in high-fat diet (HFD)-induced obese mice. C57/black male mice received a 4 weeks diet of normal (control, CON; n = 9) or a high-fat diet (HF; n = 27) to induce obesity. Thereafter, the HF group was subdivided equally into the HF, HF + moderate-intensity exercise (HFME), and HF + high-intensity exercise (HFHE) groups (n = 9, respectively), and mice were subjected to ladder-climbing exercise for 8 weeks. The hippocampal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and nerve growth factor (NGF)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HF group than in the CON group (p < 0.05). In addition, in the HFME and HFHE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HF group (p < 0.05). The peripheral CCL11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F group than in the CON group (p < 0.05). In addition, in the HFME and HFHE group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in the HF group (p < 0.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exercise intensity among the groups. Coll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obesity can induce down-regulation of neurotrophic factors and inhibition of neurogenesis. In contrast, regardless of exercise intensity, resistance training may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brain function by inducing increased expression of neurotrophic factors.
        4,000원
        223.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Breast cancer survivors(BCS) have memory, attention, processing speed, and/or executive function impairment affecting their quality of life(QOL) and function. Study aims were: (1) compare computer-assisted cognitive training with visual exercises to one with audio+ visual exercises, and (2) gain insight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engagement in meaningful activities, cognitive deficits and QOL. Methods: This pilot study used an experimental design with 24 women. Pre and post measures assessed working memory, perceived cognition, QOL and engagement in meaningful activities. Results: Treatment effects were not significant for working memory or engagement in meaningful activities. Visual group participants scored significantly better on perceived cognitive function posttest test(M = 91.62, SD = 21.75) than pretest(M = 74.48, SD = 29.00), p = .010 and significantly higher on QOL posttest(M = 6.42, SD = 1.27) than pretest(M = 5.60, SD = 1.76), p = .004. Pretest perceived cognitive funct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retest(ρ = .617, p < .001) and posttest(ρ = .436, p < .05) QOL. Conclusion: Computer-assisted cognitive training with visual exercises appears to improve perceived cognitive function and QOL for BCS. A positive relationship exists between perceived cognitive function and QOL.
        4,300원
        224.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L-arginine 섭취가 고강도 훈련 프로그램에 따른 카누선수의 근 손상 지표, 피로 물질 및 경기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카누 선수 7명을 대상으 로 고강도 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고강도 훈련 프로그램은 주 2회의 유산소 운동(화, 목), 주 3회 의무산소 운동(월, 수, 금) 그리고 주 5회의 유연성 운동을 실시하였다. 고강도 훈련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6주 과정 중에 처음 2주는 약물섭취(L-arginine or 위약)를 실시하고 다음 2주는 wash out, 그리고 마지막 2주도 약물섭취(L-arginine or 위약)를 실시하였다. 모든 연구대상자들이 L-arginine 섭취(시험군)와 위약 그룹(대조군)으로 배정되는 교차설계로 디자인하였다. L-arginine은 하루 총 3g으로 섭취하였다. 채혈을 통해 L-arginine 섭취에 따른 근 손상 지표, 피로 지표, 항산화력을 확인하였으며, 혈관내피세포기능 분석을 위해 FMD, 그리고 카누 에르고미터를 활용하여 카누 경기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L-arginine 섭 취에 따른 Ammonia, IP, CK의 수준의 직접적인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LDH의 수준은 L-arginine 섭취로 인해 PLA 그룹보다 ARG 그룹에서 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L-arginine 섭취에 따른 Total NO, d-ROMs, BAP, 그리고 FMD의 수준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카누 경기력 향상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한 500M 카누 에르고미터 결과에서 총시간, 스트록 거리, 평균 속도 분석에서 L-arginine의 운동수행능력 향상의 직접적인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L-arginine 섭취로 인해 근손상 지표, 피로 지표, 항산화력, FMD, 그리고 카누 경기력 수준이 개선되는 경향은 나타 났다. 따라서 L-arginine 섭취의 잠재적인 운동능력 향상 보조제 효과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4,300원
        225.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소년원학교 여자 청소년들의 수용생활 기간 동안의 환경생리학적 변화를 알아보고, 향후 소년원생들의 심리사회적 적응과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치유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할 목적에서 실시되었다. 소년원학교 수용생활 기간 동안 자발적으로 치료프로그램 참여 활동에 따른 적극적인 실행이 없는 약 18세의 여자 소년원생 8명을 대상으로 특별한 프로그램을 진행하지 않고, 3개월 전과 후에 동일한 조건에서 채혈하였다. 면역지표와 Red blood cell, Platelet, Hemoglobin을 분석한 결과, Red blood cell, Platelet, Hemoglobin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p<.05). 이러한 결과를 통해, 소년원학교 여자 청소년들이 수용 기간에 활동의 제한과 심리적 압박 등으로 인해 스트레스와 우울이 매우 높아졌음을 알 수 있었다. 이들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심리적 표현과 신체적 활동 등이 매우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했다. 또한 소년원학교의 환경에 적응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신체, 심리 통합적 접근 프로그램 및 생리학적 검사 지표로써의 과학적 근거가 뒷받침되는 통합적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5,700원
        226.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Visual and somatosensory integration processing is needed to reduce pusher behavior (PB) and improve postural control in hemiplegic patients with acute stroke. Object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ame-based postural vertical training (GPVT) on PB, postural control, and activity daily living (ADL) in acute stroke patients. Methods: Fourteen participants with acute stroke (<2 months post-stroke) who had PB according to the Burke lateropulsion scale (BLS) (score>2)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e GPVT group (n1=7) and conventional postural vertical training (CPVT) group (n2=7). The GPVT group performed game-based postural vertical training using a whole-body tilt apparatus. while the CPVT group performed conventional postural vertical training to reduce PB (30 minutes/session, 2 times/day, 5 days/week for 3 consecutive weeks). The BLS was evaluated to assess the severity of PB. And each subject’s postural control ability and ADL level were assessed using the 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SS), balance posture ratio (BPR), and Korean-modified Barthel index (K-MBI). Outcomes were measured preand post-intervention. Results: Comparison of the pre- and post-intervention assessment results showed that both interventions led to the following significant changes: decreased severity of PB scores and increased PASS, BPR, and K-MBI scores (p<.05). In particular, statistical analysis between the two groups, the BLS scor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GPVT group (p<.05). And PASS, BPR, and K-MBI score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GPVT group than in the CPVT group (p<.01, respectively).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GPVT lessened PB severity and improved postural control ability and ADL levels in acute stroke patients.
        4,000원
        227.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다목적 암맹상자(multi-purpose blind box)를 개발하고 이의 효과성 검증을 통해 뇌졸중 환자의 감각과 시지각 기능향상을 위한 훈련도구로서의 역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연구 대상자는 광역시 소재 병원에서 작업치료를 받고 있는 뇌졸중 환자 33명을 선정 하였다. 연구도구로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감각과 시지각 기능향상 훈련용 다목적 암맹상자를 활용하였으며, 평가 도구는 Semmes Weinstein Monofilament(SWM), Two-point Discrimination Test(TD), Modified Moberg Pickup Test(MPT), MVPT-3와 QUEST 2.0을 사용하였다. 대상자들은 무작위 할당을 통해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분류한 후 초기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실험군에게는 다목적 암맹상자 훈련 프로그램을 1회당 30분간 주 3회를 시행하였다. 대조군은 전통적인 작업치료를 받도록 하였고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6주간 훈련 후 재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 : 다목적 암맹상자 훈련 전·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SWM, TD, MPT 및 MVPT-3 점수 차이는 대조군보다 실험군에서 유의하게 더 높았다(p<.05). 또한 실험군에서는 다목적 암맹상자 훈련 시행 후 SWM과 TD 수치의 감소, MPT 시간의 감소 그리고 MVPT-3 점수는 향상됨을 보였다. 다목적 암맹상자 활용 후 사용성 평가는 모든 문항에서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대답하였다. 결론 : 본 연구결과 다목적 암맹상자를 이용한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감각과 시지각 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알 수 있었고, 향후 훈련도구뿐만 아니라 평가도구로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4,300원
        228.
        2019.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regard to upgrading the teaching sylabus on Advance Training Program of Architecture courses, we would like think about what some of the main drivers of the effort were here: 1) to promote more research in the design studios (which also meant making them longer in duration, to accommodate the research phase); 2) integrate related analyses and syntheses by using diagrams and diagram models for analysis of precedents and synthesis of new work; 3) setting up concurrent related coursework, especially related to green design, but also across the curriculum, at every opportunity, so that lectures and studios can support each other more and 4) creating a portfolio review framework to identify and address problems individual students are having at the end of the 2nd year and the end of 4th year. If these ideas are applied to publish a new training program of architecture, they will bring out many advantages to both the university and the student. Furthermore, new university campuses in Vietnam will find suitable for applying to the new course.
        4,000원
        229.
        2019.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IMO Standard Marine Communication Phrases (SMCP) has been established purposely to enhance the greater safety of vessel’s navigation by standardizing the language used among seafarers. However, accidents are still occurred due to communication failures among onboard merchant vessels’ crews. It is worth mentioning that the major cause of marine accidents is human error (80%) where one-third from it was due to communication failures. Ineffective communication, different culture and language among seafarers onboard are some instigators of human error that lead to accidents in marine operations. Therefore, the primary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and evaluate the causal factors that contributes to communication failures onboard merchant vessels. Then, this paper recommends possible solutions for minimizing the communication failures among seafarers. To achieve this research objectives, two decision-making tools which are the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HP) and Evidential Reasoning (ER) was applied. Data and judgments are obtained from domains experts from four marine training providers and eight shipowners in Malaysia. The result has shown that lack of SMCP knowledge, prejudice and dialect varieties are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that contribute to the communication failures onboard merchant vessels. Few suggestions and opinions from the experts are proposed in this paper. This research can assist marine training providers and shipowners to identify and evaluate the causal factors of communication failures thus corrective action can be taken.
        4,200원
        230.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해사안전을 위한 비상대응훈련 및 해기교육기관의 안전교육은 정해진 시나리오와 교육내용을 기반으로 실시되기 때문에, 다양한 상황에 따른 인적오류 감소와 대응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대한 개선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으나, 기존 교육훈련에 대한 평가와 상황의 다양성 확보를 통한 대응능력 향상을 위한 방안은 부재하다. 본 연구는 비상대응훈련 개선을 위해 상황 다변성을 모델링할 수 있는 이론적 절차 분석기법을 제안한다. 선원과 시스템의 유기적 관계에 기반한 인적 및 시스템 이론적 절차 분석 모델(HSTPA)을 정의하고, 각 구성요소들이 발생시킬 수 있는 오류를 분석, 수직적 보고체계와 대응이 요구되는 화재대응 훈련 시나리오에 이를 적용하여 기존 훈련의 한계점을 식별하였다. 제안된 HSTPA 모델을 적용한 훈련 시나리오 고려요소의 세분화 및 점검은 비상대응훈련 및 교육에 있어 다양하고 현실적인 시나리오 생성과 피훈련자들의 상황판단 이해력 및 대응능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31.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test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in two different settings of training and testing data. Panoramic radiographs were selected from 1170 female dental patients (mean age 49.19 ± 21.91 yr). The cortical bone of the mandible inferior border was evaluated for osteoporosis or normal condition on the panoramic radiographs. Among them, 586 patients (mean age 27.46 ± 6.73 yr) had normal condition, and osteoporosis was interpreted on 584 patients (mean age 71.00 ± 7.64 yr). Among them, one data set of 569 normal patients (mean age 26.61 ± 4.60 yr) and 502 osteoporosis patients (mean age 72.37 ± 7.10 yr) was used for training CNN, and the other data set of 17 normal patients (mean age 55.94 ± 4.0 yr) and 82 osteoporosis patients (mean age 62.60 ± 5.00 yr) for testing CNN in the first experiment, while the latter was used for training CNN and the former for testing CNN in the second experiment. The error rate was 15.15% in the first experiment and 5.14% in the second experiment. This study suggests that age-matched training data make more accurate testing results.
        4,000원
        232.
        2019.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청소년 수련활동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모색해 만족도 향상에 관한 연구를 위해 현장조사방법을 적용하고 구체적으로 질문지법을 이용하였다. 부산과 경상 남도에 소재한 총 10개의 청소년수련시설을 이용하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 하여 조사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산과 경상남도의 청소년수련시설 이용실 태 및 개선점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둘째, 청소년들이 수련활동에 참여하고 지도하는 지도사에 대한 요구와 요구도를 조사 분석 하였다. 셋째, 생활권 수련시설 프로그램에 대한 청소년들의 만족도를 조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청소년시설이 청소년에게 전반적인 분위기를 조성하고 이를 수련활동에 전념하는 문화 공간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시설의 적극적인 개선과 홍보가 필요하다. 수련시설에 있어서 는 직접적인 활용과 운영절차를 통해 문화인으로서의 청소년의 자부심을 높이고, 불편함 의 파악과 개선점 및 운영상 반영을 통해 청소년 문화의 메카로 자리잡기 위한 편의성 제고 노력이 필요하다. 부산과 경상남도 생활권에서의 청소년수련활동 활성화를 위해서 는 각 지역의 청소년전문가, 학교교육자, 건축가 등 전문가의 행보가 수련활동에 대한 만족도를 높여야 할 것이다. 또한, 취미활동, 영상매체 이해 왈동, IT캠프활동, 장애청소년 의 스포츠활동을 이해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이 필요할 것이다. 청소년의 주요 목표인 창조, 진보적 도덕, 미래를 위한 준비에 보다 다양하고 매력적인 시설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지도사에 대한 재교육과 함께 다양한 활동 장비와 교보재를 친숙하게 해야 하며, 필요한 지도사를 위한 원활한 교수법과 재교육 시설이 필요하다.
        6,100원
        237.
        201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선박의 안전과 보안의 유지는 공급망의 각 단계에서 화물운송 및 여객의 인명 안전을 보장하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ISPS Code는 선원과 선박을 보안 위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SOLAS 협약에 채택되었고, STCW 2010 마닐라 개정에 따라 선원은 반드시 보안교육을 이수해야 한다. 효과적인 선원의 교육과 훈련은 선박의 보안 관련한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적절한 이행활동의 수준을 보장하는데 중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선원들이 이수한 보안교육과 선원의 보안인식 및 선박의 보안성과 사이의 관계를 실증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1) 선박 보안 교육을 이수한 선원들은 선박 보안에 대한 인식이 높고 (2) 이러한 보안 교육 및 보안 인식은 선박의 보안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3) 보안 인식은 보안 교육과 보안성과 관계에서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보안 교육과 훈련은 선원의 보안인식과 보안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이는 결과적으로 해운산업에서 보다 경제적․운영적 및 이미지 측면에서 주요 이점으로 해석될 수 있을 것이다.
        4,200원
        238.
        201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유도체육관 프로그램 특성과 사회성 발달 및 생활만족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유도체육관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심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실증적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초등학생의 유도 활성화에 이바지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자료분석을 위해 3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응답이 누락된 15부의 설문지를 제외하고 총 285부(95%)를 유효표본으로 사용하였다. 분석을 위해 IBM SPSS 21과 IBM AMOS 21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Cronbach’s α, 집중타당도, 판별타당도, 개념신뢰도,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을 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에 대한 유도체육관 프로그램 특성은 사회성 발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에 대한 유도체육관 프로그램 특성은 생활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성 발달은 생활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성 발달은 초등학생에 대한 유도체육관 프로그램 특성과 생활만족의 관계에서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기 초등학생에게 신체단련과 예의범절을 동시에 지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도는 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유도체육관 관장들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사회성 발달과 긍정적 심성을 키울 수 있는 수련 프로그램 개발에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며, 이를 통해 유도의 수련층 확대를 통한 유도 활성화에 노력해야 할 것이다.
        4,3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