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65

        221.
        201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ungsten carbide (WC) hard materials are used in various industries and possess a superior hardness compared to other hard materials. They have particularly high melting points, high strength, and abrasion resistance. Accordingly, tungsten carbide hard materials are used for wear-resistant tools, cutting tools, machining tools, and other tooling materials. In this study, the WC-5wt.%Co, Fe, Ni hard materials are densified using the horizontal ball milled WC-Co, WC-Fe, and WC-Ni powders by a spark plasma sintering process. The WC-5Co, WC-5Fe, and WC-5Ni hard materials are almost completely densified with a relative density of up to 99.6% after simultaneous application of a pressure of 60 MPa and an electric current for about 15 min without any significant change in the grain size. The average grain size of WC-5Co, WC-5Fe, and WC-5Ni that was produced through SPS was about 0.421, 0.779, and 0.429 μm, respectively. The hardness and fracture toughness of the dense WC-5Co, WC-5Fe, WC-5Ni hard materials were also investigated.
        4,000원
        222.
        201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돼지감자를 9번 찌고 9번 말려서 차를 제조한 다음 M사의 돼지감자차와 성분 및 기능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개발한 돼지감자차는 칼로리 342.27kcal, 탄수화물 73.87g/100g, 유리당 32.66mg/100g, 회분 6.80g/100g, 단백질 8.21g/100g이었고 무기물 총량은 2,785.67mg/100g, 칼륨 2,563.93mg/g, 칼슘 97.52mg/g, 마그네슘 88.78mg/g 등이었다. 돼지감자차의 유리당 총량은 32.66mg/100g이고 그중 fructose 17.40mg/100g, sucrose 9.03mg/100g, glucose 6.05mg/100g이었다. 돼지감자차의 포화지방산은 30.34mg/100g, 4 불포화지방산은 69.66㎎/100g이었고 그 중 linoleic acid 47.00mg/100g, palmitic acid 25.31mg/100g, linolenic acid 8.61㎎/100g이었다. DPPH 라디컬 소거력은 개발한 차 34.2%, 비교용 M사차 5.2%, 지표물질 44.0%였다. ABTS 라디컬 소거력은 개발한 차 93.0%, M사차 61.9%, 지표물질 47.6%였다. SOD 유사활성은 개발한 차 2.7%, M사차 1.6%였다. 플라 보노이드 함량은 개발한 차 2.8 fold, M사차 2.0 fold, 지표물질 1.7 fold 였다. 폴리페놀 함량은 개발한 차 38.2 fold, M사차 8.92 fold, 지표물질 14.0 fold였다. α-Glucosidase 저해율은 개발한 차 9.83%, M사차 8.92%였다. 기호도는 1회 우린 것과 5회 우린 것을 비교하였다. 1회 우린 것을 기준으로 할 때 5회 우린 것의 기호도 중 색은 개발한 차 83.7%, 비교용 차 50.0%, 향기는 개발한 차 78.0%, 비교용 차 42.5%, 맛은 개발한 차 66.7%, 비교용 차 37.5%, 종합적인 기호도는 개발한 차 73.3%, 비교용 차 47.5%로 나타났다. 이같이 비교용 M사차는 우릴수록 추출 성분이 감소하여 5회 후에 종합적인 기호도는 46.3%로 감소한 반면 개발한 차는 감소폭이 적어서 73.3%를 나타냈다. 이같이 개발한 돼지감자차는 비교용 M사차 및 지표물질보다 항산화 작용이 강하고 유효 물질 함량도 더 많고, 기호성도 높으므로 질병 예방 및 개선 효과가 클 것으로 생각한다.
        4,300원
        224.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In some clinical guidelines followed in clinical practice, nonsurgical treatments are recommended as the primary intervention for patients with lumbar disc herniation (LDH). However, the effect of a therapeutic exercise program based on stabilization of the lumbar spine for treatment of multilevel LDH has not been evaluated thoroughly.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rapeutic exercise on pain, physical function,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findings in a patient with multilevel LDH. Design: Case Report Methods: A 43-year-old female presented with low back pain, radicular pain and multilevel LDH (L3–L4, L4–L5, L5–S1). The therapeutic exercise program was conducted. in 40-min sessions, three times a week, for 12 weeks. Low back and radicular pain, lumbar disability, and physical function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6 and 12 weeks of the exercise program. MRI was performed before and after 12 weeks of the program. Results: After 6 and 12 weeks of the therapeutic exercise, low back and radicular pain and lumbar disability had decreased, and lumbar range of motion (ROM) was improvedbilaterally, compared with the initial values. Also improved at 6 and 12 weeks were isometric lumbar strength and endurance, and the functional movement screen score. The size of disc herniations was decreased on MRI obtained after 12 weeks of therapeutic exercise than on the pre-exercise images. Conclusions: We observed that therapeutic exercise program improved spinal ROM, muscle strength, functional capacity, and size of disc herniation in LDH patient.
        4,000원
        226.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신체적 활동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효과의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is(PRISMA) guidelines의 보고 지침 체크리스트 항목을 바탕으로 체계적 고찰방법을 사용하였다. 전자 데이터베이스인 PubMed, CINAHLPychINFO, Embase, Cochrane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Cochrane Risk of Bias Tool을 통하여 각 연구의 비뚤림 위험을 평가하였다. 검색어에는 “MCI” OR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physical activit*” OR “physical performance” OR “physical exercise*”, AND “executive function*”을 사용하여 최종 2005년부터 2017년까지 무작위대조군 연구 11편을 선정하였다. 결과 : 중재는 주로 그룹으로 진행 되었으며 복합적 중재보다는 단일 중재가 많았다. 중재를 진행한 전문가는 피트니스 전문가,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가 많았다. 실행기능을 측정한 도구로는 TMT-A(21.4%)와 TMT-B(17.9%)가 가장 많았으며, 중재로 사용된 신체적 활동으로는 유산소 운동과 (8편, 72.7%) 무산소 운동 (7편, 63.6%)이 많았다. 유산소 및 무산소 운동을 포함한 중재는 실행기능 향상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으나, 여가 활동을 제공한 중재는 실행기능에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신체적 활동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실행기능에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작업치료는 경도인지장애노인의 실행기능 향상을 위한 중재로 인지적 접근과 더불어 신체적 활동에 관한 다양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4,300원
        227.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Tait-Wick과 Duke-Elder의 방법에 의한 시기능이상과 읽기능력의 상관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 안질환이 없고 굴절이상이 완전 교정된 151명을 대상으로 Tait-Wick과 Duke-Elder의 방법으로 시기 능이상군의 종류를 나누어 읽기능력검사를 실시하였다. 시기능검사는 원‧근거리 수평사위도와 조절력, 폭주근점, 원․근거리 융합버전스, 조절용이성을 측정하였고, 읽기능력은 ReadAlyzer를 사용하여 단어주시시간, 단어반복보기횟수, 줄반복보기횟수, 읽기속도, 이해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 폭주부족군은 정상군에 비해 유의하게 단어주시시간이 감소하였고(t=-2.423, p=0.019), 단어반복보기 횟수는 증가하였으며(t=4.770, p=0.000), 그 결과 읽기속도가 감소하였다(t=-5.674, p=0.000). 조절용이성이상군은 정상군에 비해 유의한 차이로 단어반복보기횟수가 증가했고(t=2.844, p=0.006), 읽기속도는 감소했다(t=-5.617, p=0.000). 다른 시기능이상군은 읽기요소에 대한 유의한 차이와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결론 : 폭주부족군은 독서 시 폭주가 충분치 않아 근거리 주시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워 단어주시시간이 감소하 고 단어를 반복해서 보게 되며 그 결과 읽기속도가 감소한 것으로 사료된다. 조절용이성이 작을수록 단어반복보기 횟수가 증가하고 읽기속도가 감소한 것으로 보아 검사거리가 40cm로 고정된 상태에서도 독서 시 미세한 조절자극의 변화가 발생하였고 이에 대한 부적응이 일어난 것으로 사료된다. 일부 시기능이상은 읽기의 운동적 요소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나 인지적 요소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사료된다.
        4,300원
        228.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ADHD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실행기능 향상을 위한 중재특성과 동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그 근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 전자 데이터베이스인 Proquest, Scopus, Pubmed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국외 학술지에 2009년 1월부터 2018년 4월까지 게재된 문헌을 수집하였다. 검색어는 “ADHD” AND “Executive function” AND “intervention OR therapy OR effect OR occupational therapy” AND “RCT OR Randomized control trial”를 사용하였다. 최종적으로 13편의 논문을 본 연구의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결과 : 선정된 연구는 연구의 질적 수준, 일반적 특성, 중재종류, 종속변인으로 측정된 실행 기능영역, 측정도구, 중재효과 영역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실행기능에 대한 중재는 인지적 중재를 한 연구가 10편, 신체적 중재를 한 연구가 3편이었으며, 종속변인으로 많이 사용된 실행기능 영역은 작업기억이었다. 각 영역별 측정도구는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는데 대표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도구로는 Behaviour Rating Inventory of Executive Function(BRIEF), Trail Making Test(TMT)가 있었다. 실행기능의 효과를 나타낸 중재결과의 영역은 작업기억 영역이 7편으로 가장 많았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ADHD 아동ᆞ과 청소년의 실행기능 중재에 대한 동향 및 다양한 중재법, 평가도구와 중재효과 영역에 대해 알 수 있었다. 이는 작업치료사에게 임상적 근거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추후에는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ADHD 아동ᆞ과 청소년의 실행기능에 관련된 평가도구 및 중재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5,200원
        229.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인공지능 시대의 도전에 종교학적으로 답하기 위해 폴 리쾨르(Paul Ricoeur)의 미메시스(mimèsis) 이론을 그의 종교적 해석학에 접붙였다. 이 접붙임을 통해 드러나는 종교적 텍스트의 본유적인 기능은 개인과 공동체가 종교적 텍스트를 읽고 해석하면서 개인과 공동체가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한정적인 시간성(Zeitlichkeit)을 넘어선 영원성(eternity)이나 공(空)과 같은 근원적인 시간성과 새로운 존재의 가능성을 보면서 일어나는 영혼의 변형과 서사적 정체성이다. 약한 인공지능(weak AI)의 경우, 인공지능이 지식적이고 교리적인 측면의 기능을 감당하게 되어 영혼의 변형이라는 종교적 텍스트의 본유적 기능이 강화될 것이다. 강한 인공지능(strong AI)의 경우, 인공지능이 앞으로 인간과 함께 살아가는 동반자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강한 인공지능이 등장하기 전에 지금까지 종교적 텍스트가 형성해 온 다양한 종교적인 서사적 정체성을 인공지능 프로그램 안에 적극적으로 포함하는 컴퓨터 공학과의 협업이 강력하게 요청된다.
        5,500원
        230.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short thumb opponens splint 착용이 분만성 상완 신경총 손상 아동의 상지 기능과 손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방법 : 분만성 상완 신경총 손상으로 진단 받은 11세 남성 아동 1명을 대상으로, 증례 보고 방법 중 (single-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design) ABA’ 설계를 사용하였다. 총 20회기로 매주 1회기씩 20주간 진행하였다. 기초선 5회기는 중재 없이 평가하였고 중재기 10회기는 하루 6시간 short thumb opponens splint를 착용 하는 중재를 실시한 후 평가하였다. 추적기 5회기는 중재 없이 평가하였다. 평가는 손기능 평가를 위한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Box and Block Test; BBT), 상지 기민성 검사(nine-hole pegboard test)와 분만성 상완 신경총 손상 환자의 상지 기능 평가를 위한 Mallet scale, active movement scale 검사를 통해 변화를 알아보았다. 결과 : short thumb opponens splint 중재 결과, 상지 기능(Mallet scale, active movement scale)과 손기능(BBT, nine-hole pegboard test)은 중재 전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결론 : short thumb opponens splint 착용이 분만성 상완 신경총 손상 아동의 상지 기능과 손기능향상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향후 분만성 상완 신경총 손상 환자의 임상적 중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4,500원
        231.
        201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Stroke is one of the most common diseases responsible for physical disabilities. In addition to their physical and occupational therapy, the self-exercise programs were developed for patients with hemiplegia to increase the intensity of their therapeutic exercise. Obj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 of a customized self-exercise program (CSP) to walking function on improving stroke survivors’ muscle strength and ambulation function. Method: To test the effect of the self-exercise program, the following tests were conducted: The functional ambulation category (FAC), Tinetti performance-oriented mobility assessment gait part (POMA-G), timed up and go (TUG), 10-meter walk, and 2-minute walk. The study included 161 consenting stroke patients (FAC score>1) from a randomized, screened sample of 217. The CSP group participated in a 30-minute CSP each day for 10 weeks in addition to completing a routine rehabilitation program. The control group received only a routine rehabilitation program. All the subjects were monitored by a therapist once a week and had to submit an exercise checklist at the end of each session. Result: The strength of the participants’ upper and lower extremity muscl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SP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FAC score and POMA-G also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UG, 10-meter walk test, and 2-minute walk test (p<.05).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 CSP may improve gait-related function in stroke survivors.
        4,600원
        232.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Evjenth-Hamberg stretching of the sternocleidomastoid, upper trapezius, and pectoralis major on the lung function of adults with forward neck posture. The subjects were 20 adult students in P university located in Pohang, Korea, whose degree of head forward displacement measured according to NEW YORK state posture test was mild. The subjects were randomly and equally assigned to the Evjenth- Hamberg Stretching group (EHSG, n=10) and the control group (CG, n=10). Their forced vital capacity (FVC), slow vital capacity (SVC), and maximal voluntary ventilation (MVV)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In within-group comparison, only the EHSG experienc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FVC, forced expiratory volume in the first second (FEV1), and peak expiratory flow (PEE) after the experiment, compared to before the experiment (.05<p). In between-group comparison, the PEE of EHSG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CG (.05<p). Regarding SVC, only the EHSG experienc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inspiratory vital capacity after the experiment, compared to before the experiment. With regard to MVV, only the EHSG experienc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ir tidal volume during maximal voluntary ventilation after the experiment compared to before the experiment. Our results indicated that Evjenth- Hamberg stretching was an effective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 to improve the lung function of adults with FHP by correcting their head forward displacement.
        4,000원
        233.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moking can be a significant cause of lung diseases and reduced respiratory functions. Among soldiers, smoking may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ir health (physical strength) and well being. Information on differences in the respiratory functions of smokers and nonsmokers in the military services and the effects of the smoking duration and amount (i.e., the number of cigarettes smoked per day) would be useful. This study investigated smoking durations and smoking amounts among young male soldiers (N = 61). The forced vital capacity (FVC),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 (FEV1), and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forced vital capacities (FEV1/FEC) were measured FVC, FEV1, or FEV1/FEC of smokers and nonsmoker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nd FVC and FEV1 were inversely proportional to smoking duration. Besides, the number of cigarettes smoked per day was not correlated with respiratory functions. These findings may be attributed to the effect of the strenuous physical activity (e.g., military drills) undertaken by soldiers on their respiratory functions. Despite the lack of evidence for a difference in the respiratory functions of smokers and nonsmokers, this study recommends ongoing respiratory function management through smoking cessation programs and respiratory physiotherapy to manage the respiratory functions of Korean smoking soldiers.
        4,000원
        234.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만 65 세 이상 고령운전자와 50 ~ 65 세 이전의 예비고령 운전자의 시각적 기능을 검사하고, 일반인과 직업 운전자를 구분하여 그 차이점을 연구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만 65 세 이상 고령운전자(40 명), 만 65 세 이하 운전자(67 명)이었다. 모든 대상자들은 안과적 질환이 없고, 운전 경력은 5년 이상이었다. 기본적인 데이터(성별, 직업, 연령, 건강상태)와 함께 시각기능 데이터 (대비감도, 정적 및 동적 입체시, 시력회복시간, 눈부심 지수)등을 측정하였다. 결과: 명소시 조건에서의 대비감도는 전반적으로 버스군에서 가장 좋은 감도를 보였으며, 12 cpd와 18 cpd의 주파수에서 일반 1.57, 버스 1.70으로 그 차이 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5). 암소시 조건에서는 65 세 이상 고령층에서는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일반군과 택시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p<0.05). 눈부심 후 시력회복시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다만 연령대가 증가할수록 시간이 길어지는 경향은 보였다. 눈부심 지수에 관한 결과는 65 세 이상의 일반군에서 운전에 방해가 되는 눈부심에 해당하는 지수 3에 가까운 결과를 보였고, 택시 및 화물 운전군에서는 양호한 눈부심에 해당하는 지수 5에 가까운 결과 값을 보여주었다(p<0.05). 결론: 고령자들의 시기능을 분석한 결과, 나이가 들수록 대부분의 시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65 세 이상의 고령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위해서는 현재 시행되어지고 있는 시력, 색각 검사 외에도 운전 환경과 연관되어 있는 시기능인 대비감도, 눈부심, 입체시력 등의 시각기능 검사가 추가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4,000원
        235.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Quality requirements of manufactured products or parts are given in the form of specification limit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units. If a product is to meet the customer’s fitness for use criteria, it should be produced by a process which is stable or repeatable. In other words, it must be capable of operating with little variability around the target value or nominal value of the product’s quality characteristic. In order to maintain and improve product quality, we need to apply statistical process control techniques such as histogram, check sheet, Pareto chart, cause and effect diagram, or control charts. Among those techniques, the most important one is control charting. The cumulative sum (CUSUM) control charts have been used in statistical process control (SPC) in industries for monitoring process shifts and supporting online measurement.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apply Taguchi's quality loss function concept to cost based CUSUM control chart design. In this study, a modified quality loss function was developed to reflect quality loss situation where general quadratic loss curve is not appropriate. This research also provided a methodology for the design of CUSUM charts using Taguchi quality loss function concept based on the minimum cost per hour criterion. The new model differs from previous models in that the model assumes that quality loss is incurred even in the incontrol period. This model was compared with other cost based CUSUM models by Wu and Goel, According to numerical sensitivity analysis, the proposed model results in longer average run length in in-control period compared to the other two models.
        4,000원
        236.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Posterior-anterior (PA) vertebral mobilization, a manual therapy technique has been used for relieving pain or stiffness treating in spinal segment for in clinical practice, however evidence to gauge efficacy is yet to be synthesised. Object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 mobilization of the thoracic spine on the respiratory function in patients with low back pain (LBP).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included 30 patients with chronic LBP. They were randomly allocated to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received PA mobilization of the T1-T8 level of the thoracic spine and placebo mobilization, respectively. All patients received interventions for 35 minutes a day, five times a week, over 2-week period, respectively. Forced vital capacity (FVC),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FEV1), peak expiratory flow (PEF), forced expiratory flow 25∼75% (FEF25∼75%), and chest wall expansion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independent t-test and two-way analysis of variance,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compare the correlation between respiratory function and chest measurement.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FVC, FEV1, PEF, FEF25∼75% (p<.05), and chest wall expansion (p<.05)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PA mobilization of the upper thoracic spine may be beneficial for improving respiratory function parameters including FVC, FEV1, PEF, FEF25∼75%, and chest wall expansion in patients with chronic LBP.
        4,000원
        237.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피젯 스피너를 활용하여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손 기능과 글씨쓰기 명료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일반아동 중 우세손이 우측인 1~2학년(만 7~8세) 아동 24명을 대상으로 실험군 12명, 대조군 12명으로 무작위 분류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설계는 사전-사후 설계이다. 중재는 실험군 아동들에게만 실시하였으며, 5주간, 주 2회, 1회 당 40분씩 총 10회기로 진행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중재 전, 후의 손 기능과 글씨쓰기 명료도의 비교를 위하여 젭슨-테일러 손 기능 검사(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 JHFT)와 장악력 검사(Grip Strength Test; GST) 그리고 명료도 검사(Legibility Test; LT)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Wilcoxon signed rank 검정과 Mann-Whitney U 검정, 그리고 교차분석의 카이제곱 검정을 사용하였다. 결과 : 피젯 스피너 훈련은 실험군의 손 기능과 장악력, 글씨쓰기 명료도에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며,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손 기능과 글씨쓰기 명료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는 도구로써 피젯 스피너의 가치 및 효용성을 확인하였다. 이에 향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를 토대로 피젯 스피너 훈련의 효과를 검증하는 다양한 연구가 이어지길 기대한다.
        4,500원
        238.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aming script has its rationale, and thus the script name with symmetry reflects some differences and connections among its function, evolution, and propagation. Some scripts reflecting the divergence in its function mirror users’ gender differences, different use areas, the discrepancy between the folk script and formal one, and whether it is official or not. Others reflecting its evolution show that the new script has improved on the basis of the old one. Others again reflecting its propagation give an expression to the connection of character sources, object writing, and character morphology.
        4,900원
        239.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산지계류에 시설되는 사방댐의 투과정도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재해예방과 생물종 다양성에 대한 적절한 보호 및 관리를 위하여 개방형에 따른 사방댐의 생태적 기능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 하면 다음과 같다. 투과율이 15% 미만인 불투과형 중력식 댐은 투과형 댐으로 구조개량 하거나 전환할 경우 투과율이 0.72%에서 55.8%로 약 77배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사 및 저수 등 특별한 목적을 두고 시공하는 불투과형 중력식 사방댐을 제외하고는 하류지역으로 토사의 이동, 어류 및 양서류의 상 ·하류에의 생태통로 등 다양한 기능을 비교적 양호하게 할 수 있는 투과형으로 개선하여 시공 할 필요성이 있다. 사방댐 차단높이에 따른 개방은 유효고, 기초부의 높이 및 하부기초 부분의 매몰정도에 따라 다르므로 현장여건 및 시공목적에 따라 설계할 필요성이 있다. 횡단면의 개방형태에 따른 사방댐의 생태적 기능은 어류소통형, 홍수조절형, 저수형(산불방지취수형), 토석막이형(저사형), 토석막 이형(토석형) 및 입도분석형으로 제시하였다.
        4,3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