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77

        241.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reviewed the relationship among internal marketing,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ervice quality. Based on the responses from 163 hotel employees and 489 customers who encountered them, the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al analysis showed that all internal marketing factors have positive relationships with service quality, and service quality has positive relationship with customer satisfaction. Also, service quality has mediating effect between four internal marketing factors(education, compensation, delegation of authority, and internal communication) and customer satisfaction.
        4,000원
        242.
        2007.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effect of disgust with meat mediating the factors influencing meat consump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measure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constructs. The structural analysis Result of the data indicated excellent model fit. The effects of moral concerns for animals, meat texture and satiety from meat on disgust with mea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effects of color in meat and negative body esteem on disgust with meat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expected, disgust with mea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meat consumption. Moreover, disgust with meat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 concerns for animals and meat consumption. Disgust with meat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ety from meat and meat consumption. Disgust with meat did not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or in meat and meat consumption. Disgust with meat did not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esteem and meat consumption. In conclusion, based on structural analysis, a model was proposed of interrelations among construct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original model was modified and should, preferably, be validated in future research.
        4,000원
        243.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is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superior trus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service quality in service food industry. Based on 302 data gathered in western Kangwon area, analysis result showed that procedural, int
        4,000원
        244.
        2005.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is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superior trus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service quality in service food industry. Based on 302 data gathered in western Kangwon area, analysis result showed that procedural, interactional, and distributive justice have affirmative relation with trust, and also trust has close relation with service quality. Therefore, trust appeared to have fully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service qualify.
        4,300원
        246.
        2023.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ince China put forward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in 2013, China has actively worked with the Initiative to revitalize relevant regional resources and encourage developing countries to participate in global social governance from a global macro strategic perspectiv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initiative has promoted connectivity and exchanges among countries by promoting border infrastructure construction. This strategic direction is in line with Indonesia’s “global marine fulcrum” plan. Moreover, the development of infrastructure construction in Indonesia lags behind. These factors have provided more opportunities and development space for The cooperation between China and Indonesia in the field of infrastructure construction, and the economic cooperation is getting closer and deeper. This paper, based on the relevant data collected in Indonesia from 2003 to 2018, verifies the impact of China’s direct investment on Indonesia’s economic growth by using the method of mediation effect verification and explores the impact of specific approaches.The results show that China’s direct investment in Indonesia can promote local infrastructure construction and promote Indonesia’s economic growth. The two countries proposed future cooperation in areas such as electricity, Internet communication and education infrastructure
        247.
        2022.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스포츠 동아리 참가자의 성취목표 성향(과제vs자아)과 친사회적 및 반사회적 행동 간 의 관계에서 또래동기분위기(과제중심vs자아중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이 연구는 횡단적 접근방 식을 활용하여 서울 내 대학스포츠 동아리에 소속된 대학생 298명(농구 64명, 축구 171명, 기타 63명)을 대상으 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및 AMOS 통계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과제성 향과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에서 과제중심 동기분위기는 긍정적인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과 제성향과 반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에서 과제중심 동기분위기와 자아중심 동기분위기는 부정적인 매개효과를 나타 냈다. 셋째, 자아성향과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에서 과제중심 동기분위기는 부정적인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넷 째, 자아성향과 반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에서 과제중심 동기분위기와 자아중심 동기분위기는 긍정적인 매개효과 를 나타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대학스포츠 동아리 참가자의 올바른 도덕적 행동을 위한 성취목표 성 향과 또래동기분위기의 영향력을 검증함에 따라, 대학스포츠 동아리 현장에서의 또래집단의 영향력과 도덕적 행 동 연구의 확장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248.
        202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는 중학생이 지각한 자율성지지와 운동전념의 관계, 자율성지지와 기본적 심리욕구만족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방법: 본 연구는 총 299명(여학생: 153명)의 중학 생이 참여하였다. 참여자의 개인적 특성, 자율성지지, 회복탄력성, 운동전념, 기본적 심리욕구만족을 설문지를 활 용하여 측정하였다. 모형의 검증 및 분석은 SPSS(version 25)와 Hayes의 PROCESS macro model 4를 사용하였 다. 결과: 연구 결과에 따르면, 첫째, 회복탄력성은 자율성지지와 운동전념의 관계에서 유의한 부분매개효과가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회복탄력성은 자율성지지와 기본적 심리욕구만족의 관계에서 유의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학교스포츠클럽 강사 및 체육 교사들에게 학교스포츠클럽 운영에 있어 자율성지지 및 회복탄력성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학교스포츠클럽의 장기적인 활성화를 위한 스포 츠 강사의 동기부여적 교습법 개발 및 전문성 함양을 위한 지속적인 지원과 근거 기반의 확대가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249.
        202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근무 중인 영유아교사의 마음챙김이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의 간접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서울 등 6개 시도에서 연구에 자발적으로 참여한 201명의 영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와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The PROCESS macro for SPSS 3.4를 사용하여 단순매개 또는 병렬매개모형을 검증하였다. 간접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은 bootstrapping 을 사용하여 살펴보았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교사의 마음챙김과 긍정정서, 공감능력의 관점수용, 상상하기, 공감적 관심, 개인적 고통은 각각 중간 이상의 수준이었으며, 부정정서는 중간 정도의 수준을 보였다. 둘째, 영유아교사의 마음챙김과 공감능력의 관점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는 긍정정서의 완전매개효과가, 상상하기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는 긍정정서의 부분매개효과가, 공감적 관심과 개인의 고통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는 긍정정서와 부정정서의 각각 병렬이중부분매개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영유아교사의 공감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마음챙김을 향상시켜 긍정정서를 높이고 부정정서를 낮추어 공감능력 향상을 도모해야 함을 의미한다. 이는 교사의 영유아와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보육 및 교육의 질적인 향상 뿐 아니라 거울반응 효과로 영유아의 공감능력을 발달시켜야 함을 시사한다.
        250.
        202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교사의 대인관계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교사의 불안정한 성인 애착과 대인관계유능성의 관계에서 대인존재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강원도내 유·초·중·고 교사 330명을 대상으로 성인애착 척도, 대인관계유능성 척도, 대인존재감 척도를 사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Hayes (2013)의 PROCESS Macro 모델 4를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애착불안은 근무지 학교급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바, 유치원교사들은 중등교사들보다 애착불안이 낮고 대인존재감은 높았지만, 대인관계 유능성에서는 학교급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직경력이 낮은 교사들(1~9년)이 10년이상 경력 교사에 비해 애착불안이 높았으며, 고경력(21년 이상) 교사들은 대인관계 유능성의 하위요인인 대인갈등 다루기에서 나머지 경력 집단 보다 높았지만, 애착회피, 대인관계유능성, 대인존재감 전체에서는 학교급별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가 지각한 불안정한 성인애착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부적인 관계에서 대인존재감이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간접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사의 대인관계 능력의 향상을 위한 교육 및 연수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251.
        202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사립유치원교사의 셀프리더십과 행복감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근무환경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강원도와 경기도, 경상도에 소재한 사립유치원에 재직 중인 261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인터넷 및 우편, 직접 방문을 통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는데, 셀프리더십 질문지, 행복감 질문지, 이직의도 질문지, 근무환경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과 AMOS 25.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결과처리를 위해 빈도와 백분율 산출, 신뢰도 검증, 적률상관분석, 경로분석과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립유 치원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근무환경은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립유치원교사의 행복감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근무환경은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사립유치원교사의 이직의도를 낮출 수 있는 다양한 방안과 보다 질 높은 근무환경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252.
        2020.11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to examine OL as a potential medi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T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Organizational learning (OL) has been proposed as the mechanism to accomplish this task. Existing empirical research demonstrates that OL may indeed act as a mediator for the effect of IT on organizational outcomes. Also, existing literature discusses the use of technology in the organization, and the case for OL as the key knowledge process, and the intersection between technology and OL as a knowledgebased means for improving organizational performance. Many studies use a descriptive measure of OL despite the theory suggesting that a normative measure may be more appropriate. This study aims to address these concerns in a setting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SEM)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descriptive and normative measures of OL as mediating variables in knowledge-intensive organizations. Survey results support OL as a mediator between IT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addition to normative measures of OL outperforming descriptive measures.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are discussed. To test the model, we will apply (SE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the analysis of a moment structures (AMOS) on the empirical evidence collected from 218 Pakistani CEOs and top managers.
        253.
        2020.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는 청소년 배드민턴 선수와 부모의 관계가 자기결정동기를 매개로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 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대한배드민턴협회에 등록되어 있는 중⋅고등학교 배드민턴 선수 259명을 대상으로 부모와의 관계, 자기결정동기, 회복탄력성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병렬적 구조의 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PROCESS Macro for SPSS를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청소년 배드민턴 선수의 부모의 관계와 회복탄력성의 관계에서 자기결정동기 하위요인 자율적동기가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 배드민턴 선수의 부모와의 관계와 회복탄력성의 관계에서 자기결정동기 하위요인 통제적동기의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부모와의 관계가 삶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나아가도록 하는 회복탄력성과 자율적 분위기의 동기 형성으로 긍정적 방향을 제시하는 자기결정동기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될 것이라 보고, 이를 바탕으로 부모가 선수에게 긍정적, 자율적 동기를 형성시킴으로써 선수의 회복탄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254.
        202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acceptance of smart farm technology. Smart farm technology is rapidly being introduced to agriculture in accordance with the progres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ut research on this is still little. Therefore, in this study, based on the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UTAUT), a research model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smart farm technology was constructed. To test this, empirical analysis was performed. A survey was conducted for students in smart farm technology education and adult male and female farmers who are currently planning to operate smart farms. Valid 204 sample were used for analysis. The hypothesis test was based 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4 statistical package. For the mediating effect and moderating effect, Process Macro 3.4 based on the regression equation was used. The results of testing the hypothesi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usal hypothesis test, it was shown that performance expectancy, social influence and price value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use smart farm technology. On the other hand, effort expectancy, facilitating conditions were not tested for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use of smart farm technolog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trust, it was found that trust plays a mediating role between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social influence, facilitating conditions, price value and intention to use smart farm technology. In particular, the effort expectancy has not been tested for a direct significant effect on intention to use smart farm technology, but it has been shown to have an impact through trust. Trust was found to be a full mediating between the effort expectancy and the intention to use the smart farm technology. The current IT level of prospective users has been shown to play a moderating role between performance expectancy, facilitating conditions and intention to use smart farm technology. In particular, the IT level was found to streng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 expectancy and intention to use smart farm technology.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suggested.
        255.
        2020.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민족정체성, 민주시민자질, 다문화신념을 유아교사의 통일교육역량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설정하고, 유아교사의 민족정체성을 독립변수로, 유아교사의 통일교육역량을 종속변수로 하여 민주시민자질과 다문화신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민족정체성, 민주시민자질, 다문화신념은 통일교육역량과 정적 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단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통일교육역량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순서대로 살펴본 결과, 민족 정체성의 ‘객관적 특성’, 민주시민자질의 ‘참여와 책임의식’, 다문화신념의 ‘다문화 연계의식’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민족정체성이 통일교육역량에 미치는 영향에서 민주시민자질과 다문화신념이 부분적으로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통일교육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상호 연관성을 밝힘으로써 유아통일교육을 위한 교사교육의 목적성과 방향성을 제시하고, 더불어 유아교사들의 통일교육역량을 높이기 위한 교사교육의 기초자료를 마 련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256.
        2020.05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ortance of professional models in the promotion of the corporate brand attitude through differentiated marketing strategies in the saturated low-cost carrier (LCC) aviation market. The attributes of professional models affect brand attitude and brand loyalty. The study seek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brand loyalty through the contribution of professional models. The empirical analysis is based on a questionnaire survey conducted online and off line over a seven-month period, from January to July 2019. Some 292 valid samples could be used. The study conducted a positive factor analysis using AMOS 18.0 and a reliability analysis using SPSS 18.0. Reliability of measurement tools was performed using Cronbach’s alpha. The attributes of professional models relating to airline advertising include: reliability, attractiveness and expertise. These attributes are shown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brand attitude and brand loyalty toward LCCs. The findings reveal that reliability and expertise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brand attitude and the formation of brand loyalty. Professional models’ attractiveness has no significant impact on brand attitudes and brand loyalty. The mediating effect of professional models’ attribut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attitude and brand loyalty also show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257.
        202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그릿(grit)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4년제 대학생 234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이용한 매개효과 검증방법인 Hayes(2013)의 PROCESS macro(Model=4)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부모애착, 그릿, 진로준비행동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부모애착과 진로준비행동 간 관계에서 그릿은 완전매개효과가 있었다. 이는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높이기 위해서는 그릿 수준을 높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258.
        202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최근에 각광받고 있는 브랜디드 콘텐츠 광고 중에 스토리텔링을 기반으로 하는 웹드라마형과 일반 감성광고가 몰입에 차이점이 있는지 알아보고 독특성 욕구의 조절효과와 즐거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브랜디드 콘텐츠vs. 감성광고) x2(독특성 욕구 낮음 vs. 독특성 욕구 높음)의 집단 간 디자인으로 연구를 설계하여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브랜디드 콘텐츠와 감성광고는 몰입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브랜디드 콘텐츠와 감성광고가 독특성 욕구에 따라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독특성 욕구가 높은 집단의 경우 브랜디드 콘텐츠가 높게 나타났고, 독특성 욕구가 낮은 집단에서는 브랜디드 콘텐츠와 감성광고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몰입의 경우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고, 즐거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즐거움은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브랜디드 콘텐츠와 감성광고는 독특성 욕구에 따라 몰입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점과 몰입이 즐거움을 통해 구매의도를 높일 수 있다는 결과들은 이론과 실무에 유용한 지침을 제공할 것이다.
        259.
        202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운동선수들을 대상으로 승리/패배에 대한 귀인차원이 감정과 관찰학습을 매개로 몰입에 미치는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과 경기 지역 대학부 11개 종목(레슬링, 배드민턴, 볼링, 복싱, 사격, 사이클, 수영, 양궁, 태권도, 테니스, 스쿼시) 운동선수 165명(남자: 13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중요한 시합 승리 이후 그 원인을 내적으로 인지할수록 자부심이 높아지고, 이는 관찰학습행위를 유도하여 몰입경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달리 안정성과 통제성 차원에서는 귀인차원 → 기대감 또는 수치심 → 관찰학습 → 몰입에 미치는 이중매개효과는 존재하지 않았다. 결론: 승리 이후에는 내적, 패배에서는 외적으로 설정하는 과거의 귀인이 미래의 수행력을 예측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3가지 귀인 차원 중 인과소재가 몰입경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260.
        2020.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lobalization has led to a dramatic increase in intercultural service encounters between services providers and customers from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This paper explores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employees’ cultural intelligence and adaptive sales behavior in intercultural service encounter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and emotional empathy on this relationship. A quantitative survey methodology was utilized to collect data on 341 salespeople at duty-free shops located on Jeju Island, Korea.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18 and Amos 18. The results show that cultural intelligence has a significant impact on cognitive empathy, emotional empathy, and adaptive sales behavior. Cognitive empathy has a positive impact on adaptive sales behavior, whereas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empathy and adaptive sales behavior is not significant. Additionally, cognitive empathy mediates the relationship of cultural intelligence and adaptive sales behavior. This study has useful managerial implications for employee selection, training, and development in service firms engaged in intercultural service encounters. This study extends prior research on intercultural service encounters by exploring the direct impact of cultural intelligence on intercultural adapta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empathy, suggesting the presence of a cognitive mechanism that plays a key role in the impact of cultural intelligence on adaptive sales behavior.
        11 12 13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