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life satisfaction between agricultural and non-agricultural households using 1~4th KReIS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data, to investigate whether to affect on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employment industry of householder. and to examine various determinants of life satisfaction between agricultural and non-agricultural households. The summary of analysis results is as follows. First, life satisfaction is influenced by economic value. Also it is examined that both physical and mental health have a significant effect for life satisfaction. Especially, it is analyzed that the effect of mental health is larger than one of physical health for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it is investigated that life satisfaction of single-person households is higher than two or more person households.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gricultural and non-agricultural households in life satisfaction. It was proved that life satisfaction of agricultural households is higher than non-agricultural ones. As a result, it is confirmed that life satisfaction is influenced by industrial characteristic and mental health rather than another determinants.
계획적이고 안정적인 영농을 위해 영농작업 인력을 확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농가인구의 감소로 인한 농업인력 확보의 어려움과 농업노동 임금의 지속적인 증가는 경영주에게 이중의 고통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가처분가능소득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강원도를 지역 표집으로 선정하여 Bivariate Probit 모형을 이용해 내국인과 외국인 고용의 상호 관계를 고려한 고용인력 수요 결정요인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첫째, 3개월 이상 노동력을 고용하는 농가들의 경우 내국인 고용수요와 외국인 고용수요 간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형적인 도시근교 농업의 특징을 나타내는 춘천시에 비해 강원도내 타 지역 농가들은 다른 변수들이 일정할 경우 내국인과 외국인의 고용 수요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젊은 경영주일수록 내국인 상시 고용에 대한 수요가 높고, 농가조직에 참여하고 있는 농가일수록 자가노동 확률은 0.13% 감소하고, 상시 농업 노동력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종합한 농업 노동력 확보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으로는 첫째, 상시고용된 농업인력들을 대상으로 국내외 문화 차이를 인지하고, 내국인 노동자와 외국인 노동자간의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영농교육 확대가 필요하다. 둘째, 각 지역별로 내국인 또는 외국인 노동자의 상시고용 수요가 상이한 것으로 나타나 강원도내 지역별 농산업 현황을 기반으로 「(가칭)강원도 농업 인력 수급 플랫폼」구축이 필요하다. 셋째, 청년창업농과 농가조직 참여 농가들을 대상으로 농작업 상시고용 인력을 우선적으로 매칭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IT기술 진보로 인하여 국내 복화운송(Street Turn) 시스템도 많은 발전을 거듭하고 있지만 복화운송 물량의 증가로 귀결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기존 복화운송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 입장에서 시스템을 이용하게 하는 의사결정 요인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퍼지계층분석(Fuzzy-AHP)을 이용하여 국내 복화운송을 사용한 경험이 있거나 해운기업에 종사하고 있 는 경력자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총 5개의 대요인과 17개 세부 요인을 추출하였으며, 연구결과 대요인으로 적시성 요인이 가장 중요한 요인이며 그중 정보제공 시기(0.207)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선정되었으며, 다음으로 플렛폼 이용 프로세스(0.079), 참여 화주의 수 (0.074)가 뒤를 이었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trust and intention to return to the traditional market by using empirical analysi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For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for adults and over 20s. A total of 2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consumers with experience in traditional markets, and 163 of them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In order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trust and return visit intention by consumers visiting the traditional market, variables were selected through 10 constructive concepts and revised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SPSS for win 18.0 was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 In order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visit to traditional market and customer's trust, it was found that the tolerance values of both the visiting factors and the consumers' perceptions of traditional markets were higher than .01. In the relationship between visitor's visit to traditional market and customer's trust, price was positively related to customer trust at 0.1% level. Image, product quality and freshness of traditional market were 5% Positive effects were found. These results show that consumers who visit traditional markets gain customer's trust in price, image, product quality and reliability of traditional market. Conclusions –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customer trust on customer satisfaction is affected by the image (emotion) consumers feel about traditional market, the trust level about the price of goods offered by the market, The confidence level of freshness, the reliability of consumers' connection with the local economy, the consumer's traditional marketplace, and the level of awareness of the service (kindness) of the variables on the independent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among the influence variables of customer trust used in this study, consumers had a high level of confidence about the price of commodities offered by the market, quality of goods, and freshness, The same relationship, market environment such as hygiene or cleanliness, connection with a local economy, service (kindness) of traditional market did not affect consumers' trust in traditional markets.
In order to export Korean spray roses to the China, it is needed to analyse chinese preferences, rose attributes, and purchase inten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implications on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roses for export by analyzing the quality preference attributes and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rose for Chinese flower experts. A survey on the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flower roses by Chinese flower experts was conducted through face - to - face interviews with flower show participants in China. Approximately 100 Chinese flower experts who participated in the Flower Show in 2016 received the questionnaire, and 86 survey results could be used for analysis. Survey data were analyzed using ordered probit and bivariate probit models. As a result of an analysis, it was found that Chinese flower experts were more likely to buy Korean roses than Chinese roses even if they consider flower color, leaf shape and size and color diversity. The probability of purchasing more than twice the pric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lor diversity considering the flower shape, leaf shape and size, but the bivariate order probit model was larger than that of flowers, leaves and size, and the order of probability size was changed. In order to increase the export of Korean spray roses to the Chinese market, We need to increase Chinese experts’ preferences and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it is very important to develop export varieties of roses with large flower buds and shape / coloring, and to apply the useful post-harvest technology that can extend freshness and distribution period of export roses.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cause consumers to frequently visit large – Super Store and goods for large – scale retailers using Super Stor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empirical analysis of 53 adult males and females living in the Mokpo area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level of satisfaction and loyalty of the large – scale marts. The results were analyzed. The statistical data of the questionnaire were verified by the SPSS. Results – In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four variables were found to be the main loyalty factors, which were found to affect the satisfaction of Super Store and the decision to return again. Therefore, in this study, the quality of goods, price, diversity, and image were analyzed as loyalty factors, and it was analyzed as factors influencing satisfaction. It was confirmed that loyalty factors were important. In particular, consumers’ perception of behaviors such as local specialties and community service that can be distinctly differentiated from other distribution agencies was very low. Conclusions –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comprehensive systematic system to analyze the detailed factors influencing the satisfaction and loyalty of users of Mokpo ticket consumers and to systematically manage and evaluate them. In order to raise awareness of consumer loyalty factors, consumer satisfaction and loyalty survey should be regularly conducted. Consumers should look for ways to improve them and develop improvement plans. The various direct and indirect services provided by Super Store to consumers include price, quality, assortment, customer service, accessibility, and feelings for large marts. However, since the services provided by the Super Store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consumers, the loyalty factors for the different factors can be different. Therefore, in order to differentiate them from traditional markets or other distribution centers, it It should be used as a weapon of competition. In this study, it is generally recognized that the services provided by Super Store are very simple and inexpensive, so that consumers are not aware of the difference of particular stores.
기존 선박매매시장에서 선박가격은 최근 거래되는 비슷한 유형의 선박가격을 기반으로 산정되었다. 하지만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선박가격 변동이 심해지면서 선박 내재적 가치를 산정할 수 있는 선박가격평가기준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선박의 내재된 요소를 추정하 기 위해 헤도닉가격모형을 사용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헤도닉가격모형을 이용하여 선박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각 특성별 가치를 분석하고 추 정모형을 도출하였다. 헤도닉가격모형에서 제시된 4가지 모형들 중에 분산확대인자와 단계선택방식으로 최적의 모형을 선정하였다. 이를 위 해 실제 거래된 선박과 특성자료를 활용하여 선박가격에 미치는 결정변수들의 영향력 정도를 분석하였다. 최종 선정된 모형은 Log-Line모형 으로 회귀분석결과 DWT, Age, Market Value, Short-Term Charter, Long-Term Charter, Enbloc, Special Survey Due, Builder 8개의 변수 가 선박가격모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시한 선박가격모형은 선박가격을 평가할 때 객관적이고 균형있는 의사결정을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최근 중국 내 경영환경 급변으로 인한 새로운 환경 하에서 한국기업의 중국시장에 진출 현황을 분석하고 한국기업의 대중국 직접투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여 대중국 직접투자 건수로 종속변수를 설정하였으며 독립변수는 시장규모, 환율, 임금수준, 물가의 4개 주요요인을 사용하였다. 통계패키지는 SPSS20를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라 시장규모, 환율의 변수들이 주로 예상된 부호를 가지고 해외직접투자에 정(+)의 효과를 나타냈을 뿐만 아니라 매우 유의성이 있는 변수로 추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시장규모, 환율이 클 수 록 한국의 대중국 직접투자가 증가하게 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물가, 임금은 예상대로 부(-)의 부호를 나타냈으며 물가와 임금수준의 낮을 수록 한국기업의 대중국 직접투자가 증가해 보 였다는 결론이 나타냈다.
본 연구는 건강 기능성 게임인 흡연시뮬레이션 게임의 몰입을 결정하는 요인에 대해 파악하고 이들 요인들이 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특히 게임 중에 발생하는 뇌 활동 패 턴이 게임몰입과 어떠한 상관관계를 가지는지 뇌파측정과 몰입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게임몰입의 정도를 종속변인으로 설정하고 몰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감정이입, 건 강관심도, 생리적 지표인 뇌파(α,β)를 독립변인으로 설정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흡연시뮬레이션 게임에서 몰입에 감정이입, 건강관심도, β파는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α파의 경우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기능성 게임몰입에 영향을 미 칠 수 있는 사용자 경험과 신경생리학적 변화에 대하여 자기 보고와 더불어 뇌파측정을 통해 실 증적으로 분석하고 게임몰입의 결정요인을 규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론적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사회경제적 취약계층 학생의 진로결정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자신의 적성이나 흥미, 희망 진학계열 및 진학전공에 대한 정보, 직업세계에 대한 이해 등을 가지고 잠정적으로 미래 진로에 대한 의사결정을 내린 청소년이 획득한 진로정보의 양을 ‘진로결정 시 진로정보 획득수준’이라고 정의하고, 사회 경제적 취약계층 청소년이 진로결정 시 충분한 진로정보에 근거한 진로결정을 하는 것과 관련이 있는 요인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수집한 한국교육고 용패널조사(KEEP)의 일반계 고등학교 3학년 코호트 1차년도 자료(2004년)와 중학교 3학년 코호트 4차년도 자료(2007년) 가운데 일반계 고등학교 3학년 시점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음에도 , 불구하고 진로결정 시 진로정보 획득수준이 높 은 학생들은 자기탐색 수준이 높고, 자녀에 대한 관심이 높은 가정에서 생활하고 있으며, 학교 내 진로지도 활동에도 다수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가정 의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른 청소년들 간 진로결정 시 진로정보 획득수준 격차를 줄이기 위 한 정책 마련에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1인 가구 및 핵가족의 증가 등의 소비구조의 변화와 농식품 유통의 다각화로 유통채널별로 적합한 농식품의 포장재가 중요 한 요인이 되고 있다. 물류형태에 따른 포장재 재질과 포장 디자인의 이용실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직접유통 농가와 간접유 통 농가 112호를 중심으로 2015년 3월 27일부터 5월 3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문항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 하기 위해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고, 가설검증을 위해 독립표본 t-검정과 카이제곱(χ2)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H1. 유통 채널별로 포장박스를 구별하여 제작하는 것에 대하여 집단 간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가설이 채택되어서 간접유통 농가집단 보다 직접유통 농가집단이 포장박스 제작을 유통채널별로 보다 더 구별하여 제작하고 있었다. H2. 포 장박스 제작 시 중요 결정요인에 대하여 집단 간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가정이 채택되어 간접유통 농가집단과 직접유통 농가집단은 제작 시 중요결정 요인은 유통채널별로 구별하여 제작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 통채널의 다각화에 따른 포장재 활용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택배 물류의 농식품은 소비자가 직접유통 중에서 물류시스템이 더 복잡한 전자상거래로 구입이 많기 때문에 좀 더 견고하게 제작되어야 하고, 비택배 물류의 농식품은 마트 나 상점에서 구입하기 때문에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규정을 준수하여 제작되어져야 한다. 둘째, 직접유통의 경우에는 소비 자와 생산자의 상호 신뢰와 면대면을 통해서 거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포장 디자인을 크게 부각해야 할 필요는 없지만 간 접유통의 경우에는 소비자와 생산자의 상호신뢰가 형성되지 않았거나 미흡하기 때문에 포장 디자인을 통한 상품의 우수성 을 강조하여 포장 디자인을 차별화해야 한다. 셋째, 유통채널에 따른 포장재 표기방식에서 부각해야 할 부분을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는 농식품의 유통채널에 따른 포장재 재질과 포장 디자인의 다양화가 필요하다는 근거를 제시하여 향후 농식 품 포장의 선진화에 바탕이 될 것을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resent status and factors influencing farmers’ satisfaction on the crop insurance for pear. Data analyzed were collected by survey and ordered logistic model was utilized for an empirical analysis.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producers who are more highly educated and have an experience to receive an educational program related to crop insurance for pear are more likely to satisfy. In addition, it is shown that sales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satisfaction whereas cultivated areas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it. Based on the finding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ew educational program, strengthen public relations, and support an insurance premium for improving farmers’ satisfaction of the insurance for pear.
본 연구는 항만배후단지 개발 및 임대방식의 변화를 겪고 있는 인천신항 항만배후지를 대상으로 하여, 기업 관점에서 고려하는 배후단지 입주결정요인을 도출하고, Fuzzy-AHP를 통해 입주결정 요인에 대한 우선순위를 분석하여 향후 인천신항 배후단지의 진입을 활 성화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인천신항 배후단지 입주 결정요인들의 종합적인 가중치 순위를 평가하면 비용요인인 임대료 수 준이 10.2%로 가장 높은 순위를 차지하였다. 다음으로 시장요인인 항만의 처리물동량이 8.2%, 배후시장의 규모가 7.3%, 비용요인인 내륙 운송비 절감이 7.1%, 입지요인인 내륙교통 운송망과의 연계성이 6.7%, 자유무역지역의 지정 및 규모가 6.4% 순으로 나타났다. 인천신항 배후단지 입주를 결정할 기업측면에서 보면 임대료 수준을 타 지역 항만의 배후지에 비교하여 매력적으로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수 도권 화주의 가장 큰 고민 사항인 내륙운송비를 절감하고, 인천항에서 미주 및 구주항로로 직접 연결할 수 있는 항로개설이 필요하다.
2001년 중국시장에서의 한국 온라인게임의 큰 성과에도 불구하고, 2006년 이후 중국내 위 치는 점점 축소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비자의 ‘인지-감정-행위(의도)’ 간 관계에서 재이 용행위 결정요인과 온라인평가의 조절 효과에 관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회수된 자료를 사용하여 조절회귀 분석을 활용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재구 매 행위에 대해 인지가치와 충성도가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온라인평가는 부분적으로 조절 효과를 가졌다. 또한 학력이 통제변수로서 재구매 행위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게임업 체는 게임개발 시 인지가치와 신뢰/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격, 품질관리, 정보관리에 주의하 여야 하겠으며, 온라인평가의 정확한 분석 결과 등을 잘 활용해야 하겠다.
한국의 대 중국 투자는 지리적, 역사적, 문화적으로의 관계가 있기 때문에 대 중국 투자가 매우 활발한 편이다. 한국 기업들의 대 중국 업종별 직접투자를 살펴보면 노동집 약적인 업종에 집중되었다는 점이다. 노동집약적 업종에 집중된 원인은 두 가지가 있다. 첫 번째는 한국 기업들의 대 중국 투자진출이 대부분 생산효율추구 요인 즉, 중국의 값 싸고 풍부한 노동력을 활용하여 생산한 뒤 제3국 혹은 한국으로 수출하려는 목적에 의해 결정되었기 때문이며, 두 번째로는 그 동안 중국정부가 비제조업 부문, 특히 서비스 부 문과 같은 3차 산업에 대한 외국인 직접투자를 제한한 정책 또한 이러한 현상의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추세가 시간이 흐를수록 제조업의 투자 가 줄어들고 상대적으로 3차 산업의 비중이 늘어나는 추세로 변화되고 있다.
결과는 두 산업에 대한 투자의 결정요인은 차이점이 있다. 시장규모의 변수는 제조업 투자와 기대한 계수의 부호와 같이 정(+)의 관계가 나타나지만 서비스업에 대한 투자는 부(-)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낸다. DIR는 제조업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이하지 않지만 제조업에서는 통계적으로 정(+)의 관계가 나타났다. 환율의 변수를 보면 제조업에서 통 계적으로 정(+)의 관계가 나타나지만 서비스업은 통계적으로 유의수준에서 부(-)의 관계 가 나타났다.
In this study, consumers who have experience of visiting Jeongsun Arirang Market has been selected as sample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agricultural products purchase. For this, double hurdle model was used in order to resolve sample selection problem and obtain consistent estimator. The key points are the following. First, as the age increases(up to 59.8 years), chances of purchasing the products at traditional market increase as income increases. Second, when the residence area is outside of Gangwon-province, the purchase amount of the products increased compared to those from visitors within the Gangwon province. Also, visitors who use public transportations purchase less products compared to those who use their own car. Third, probability of agricultural products increase as the visitors consider positive effect the product purchase leads to the local farmers. Fourth, if the visitors consider the quality of the agricultural products, probability of purchasing agricultural product at the site increases. However, if the visitors consider the freshness of the agricultural products, the purchase amount rather drops. Fifth, the probability of purchase increases as visitors consider the brand of traditional market.
This study consists of an observation of the changes in management and agricultural production of Shinbuk-eup based on the data from the Agricultural, Forestry & Census Report Survey. The following is a short summary and suggestions of the research. First, taking a look at the farming conditions of Shinbuk-eup, it shows that it is extremely polarized into rice paddies and vegetable cropping. Second, using the Tobit model to analyze the factor of determination of farmable lands of the farmers in Shinbuk-eup, the higher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the less the hired work, and the more the experience in farming, have larger farmable lands. Meanwhile, the younger the farmer, their land mass is higher, however, after reaching their threshold age, their lands decrease.
This thesis has analyzed the determination factor for the crop insurance of rice focused on paddy rice. The analysis on each farmer has been used with integrated probit model & random effects probit model. It has shown in the analysis result of determination factor for buying the crop insurance of paddy rice farmer through integrated probit model & random effects probit model that the higher age, degree of education, cultivated area, and amount of received insurance money and the lower in a number of family member have revealed the higher possibility to buy the crop insurance in the integrated probit model. While the random effects probit model has shown a higher possibility to buy the crop insurance as the higher age, cultivated area, and amount of received insurance money.
FDI in China begins in 1979 with China's reform and opening-up, which has brought China a great progress in the economic development up to now. For the sake of attracting FDI to China, Chinese government has built several special economic zones around coastal areas and the scale of FDI in China has been greeting its prosperous time since China's entry into WTO in 2001. In 2002, China firstly surpassed the USA and ranked as the first in the world with 52.7 billion dollars of annual FDI. More recently, the actual FDI in 2012 in China was 111.7 billion dollars, making a great contribution to China's economic development. With the guidance of government, most of the FDI focused on the coastal areas in east of China during the past 30 years. However, in order to reduce the regional differences, narrow the wealth gap, the FDI in major eastern cities and coastal areas has been gradually transferred to the central and western regions of China. This study makes a positive analysis on the determining factors of FDI site selection in China, according to the data provided by 29 provinces in the past 28 years. This analysis focuses on all the east, central and west regions of China.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indicate that: 1. In a national scope, the FDI in China is proportional to the GRDP and export, but inversely proportional to salaries and students percentage.2. In the eastern, central and western local scope, the FDI in this three regions is all proportional to the GRDP and the percentage of secondary industry, but inversely proportional to salaries and students percentage. Additionally, the FDI is proportional to the export in east of China, while that is not obvious in central and western regions.3. The study on the three-region interactions shows that the FDI in three regions are proportional and the closer the locations are, the deeper the influence is. Therefore, the conclusion is that relationship of the three regions is not competitive but mutually promotive.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present the valuation system of soil carbon sequestration potentials of soil in accordance with the new climate change scenarios(RCP). For that, by analyzing variation of soil carbon of the each type of agricultural land use, it aims to develop technology to increase the amount of carbon emissions and sequestration. Among the factors which affects the estimation of determining the soil carbon model and influence power after the measurement on soil organic carbon, under the center of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explanatory variables this study were investigated. Chemical fertilizers (NPK)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amount of soil organic carbon and as with the first experimental results, when cultivating rice than pepper, the fact that soil organic carbon content increased has been found out. The higher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the higher the amount of organic carbon in the soil and this result is reliable under a 10% significance level. On the other hand, soil organic carbon, humus carbon and hot water extractable carbon has been found out that was not affected the soils depth, sames as the result of the first year. The higher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the higher carbon content of humus and hot water extractable carbon content. According to IPCC 2006 Guidelines and the new climate change scenario RCP 4.5 and the measurement results of the total amount of soil organic carbon to the crops due to abnormal climate weather, 1% increase in atmospheric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was found to be small when compared to the growing rate of increasing 0.01058% of organic carbon in the so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