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38

        282.
        2013.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this article, contained numerical aspects of Classics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which selected in text book of middle school curriculum of Korea, China, Japan. This is the study for review the actual aspect of the cultural elements that shared in the cultural area of Chinese character, and analyze the culturally influences the lives of subsequent generations  First, the Classic works presented in the textbook case of Korea, contained the Korean writer’s works to the 80% level, the other 20% works are Chinese writers’. In Japan, It contains 30% of the works of native writers, and the remaining 70% are scriptures of Confucianism like the Analects of Confucius or the poetry and prose of Tang and Song dynasty. In the case of China, entirely contains the works of its own. In the case of Korea, compare to China and Japan, the proportion of the scriptures of Confucianism or the poetry and prose of Tang and Song dynasty are significantly less. In this paper, I placed out the view of its causes.  The subject of Classical Chinese has been the auxiliary role of Korean language. The number of extant remains of pre‐modern Korean literary works is markedly less. Thus, unlike Korean and Classical Chinese has been the role of Korean Studies in different ways.  To emerge as the cultural area of Classical Chinese, the three nations of East Asia have to make standard of the Classical Chinese textbook and this work should come before as ground work for reunion. With these ideas, I suggest “How to configure standard of the Classical Chinese textbooks” are as follows: As is common in the textbooks of the Three nations Classical Chinese textbook, for example, such as ‘the Analects of Confucius’ and ‘the poetry and prose of Tang and Song dynasty’, should be chosen up to 40% of its whole. And then three countries, Korea, China and Japan select the works which represent of its own country by 20% each. Based on this, if performed Classic Chinese lessons, cultural foundation of the three nations of East Asia can be redefined, and even to establish a common understanding based on the Cultural commonalities, to make the standard of Classical Chinese text book may be the key. 
        283.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study the importance of family meals in adolescents, 251 middle school students were surveyed through a questionnaire on their family meal patterns, dietary behaviors, food intake, and life satisfaction. The family meals were defined as "meals with all family members living together" by 62.2% of the students. For the frequency of family meals, 42.2% of the students replied having family meals "More than once a day". A common reason for the difficulty in having a family meal was a "lack of time" (73.3% of the students). Students tended to respond that they would be most fond in having meals with entire family members with traditional Korean food. Having more frequent family meals was found to benefit both individual and familial dietary behavior. In terms of food intake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family meals, the group having frequent family meals consumed significantly more rice, tofu, legumes, meats, fishes, eggs, green vegetables, seaweeds, fruits, milk, and milk products. This indicates that students can achieve a balanced diet through family meals. In terms of emotional status, the group having more frequent family meals showed a higher satisfaction with their daily life, health, nutritional status, and care from their relatives. In terms of personal mental status, the group having more frequent family meals was also found to be more effective at controlling undesirable emotions such as loneliness, indignation, and lethargy. As a result of this study, students in the group having more frequent family meal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dietary behavior, a balanced nutrition, a higher life satisfaction, and a more stable mental status. This result is useful as nutritional and educational information in schools to impress upon the public the importance of family meals for adolescents.
        4,000원
        285.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plores gender images represented in the works of women artists from the Middle East, where male chauvinism is recognized to be more predominant than elsewhere. The artists included in this study such as Mona Hatoum, Shirin Neshat, Lida Abdul and Sigalit Landau are Post-Feminist generation of artists who were born in the Middle East but spent significant amount of time in the West. In addition, they were trained as artists under the influences of the Western Feminist Art. This particular group of female artists pays much attention to the ontological question of their identities rather than male/female inequality, and each artist represents men and women in the ways that can hardly be found in the works by women artists in the West. These artists not only connect gender identities to the socio-political geography of the Middle East but also deconstruct Western stereotypes of men and women from Arab world. The paper focuses on the way these women artists incorporate male/female vs. culture/nature dichotomies into their works to subvert the premises on which Western Feminism has been based and not only to cast light on women's freedom and their ontological conflicts but also to emphasize social suppression inflicted upon men. In such process, these artists resist stereotypical images of Middle Eastern men and women widely circulated in the mainstream media of the West.
        6,300원
        288.
        2013.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orm a physical education course that satisfies interests of a learner by inquiring preference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on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and their satisfaction on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fur
        4,000원
        289.
        2013.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offer the teachers the useful resources that can be used while teaching the students the standing broad jump, using the equipment of the three-dimensional video analysis and of the ground reaction force to figure out the
        6,600원
        290.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기본적 목적은 중소기업의 중간관리자들에 의해 지각된 조직내 기업가정신이 그들의 혁신적 업무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먼저 조직내 기업가정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내부 조직적 요인들, 즉 조직문화를 포함하여 경영층지원, 직무자율성, 보상 및 강화, 시간적 여유, 구조적 지원 등과 같은 조직과정들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개념적 모형과 가설을 개발했다. 실증적 연구는 중소기업진흥공단에 있는 중소
        6,700원
        291.
        2013.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that is necessary for teachers to guide students by presenting an efficient operational direction of after-school physical activities that could satisfy both teachers and students through an accurate i
        4,200원
        292.
        2013.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current situation of safety education to improve safety awareness and practice in Korean school students. In order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current level of safety awareness and practice with the actual status of accident occurrence. Furthermore it is try to figure out the most influencing factors on the safety education for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The 412 students were taken from a random sample. The samples were one class of 2nd grade students in five different middle schools and four different high schools in Seoul, Korea.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29 September 2010 through 15 October 2010. An additional samples for the questionnaires posted in web were collected. The 305 respondents from school students and 80 respondents from web survey were used to analyze for this study out of 800 respondents. SPSS was used to analyze the questionnaires. The overall safety-awareness score was relatively high at 4.56/5 for fire safety and 4.32/5 for traffic safety. Safety awareness was higher for girls than boys and also for high school students than middle school students. Safety education by parents at home gives a good impact on high safety practices. Safety awareness was improved by feeling of necessity for safety training. The safety prevention training provided during the class by teacher and home training by parents improved safety practice.
        4,000원
        293.
        2013.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오픈소스 통계프로그램 중 하나인 R 중 “다중분류 변항의 논리 회귀분 석(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을 이용하여 광동어 성조가 어떻게 중고 음을 거치면서 변화하여 왔는가를 살피고자하였다. 우선 열 개항의 중고음 자료 (反切上字, 反切下字, 字母, 清濁, 全次, 攝, 韻, 等, 呼, 洪細, 平水韻目, 四聲, 平仄)와 광동어 성조를 가진 한자 코퍼스 자료를 구축한 후, “다중분류 변항의 논 리 회귀분석(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을 이용하여 통계적으로 어떤 중고음 자료가 현재의 광동어 성조에 유효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예측하고, 이에 따라 중고음에서부터 현재의 광동어까지 이르는 성조의 변화 조건과 규칙을 발견 해 내었다. 분석 결과 1.중고음의 사성은 광동어 성조의 사성의 구별을 결정하였으며, 2.중 고음의 청탁음은 광동어 성조의 음양의 구분을 결정하였고, 3.중고음의 섭(攝)은 광동어의 음입(陰入)과 중입(中入)의 구분을 결정하였고, 4.중고음의 전차(全次)는 광동어 성조의 양상(陽上)과 양거(陽去)의 구분을 결정하였다. 이러한 네 가지 조건의 예측 능력은 도합 0.86, 곧 이 네 항이 고자료에서 유효한 예측을 가지는 것은 86%였다. 개별 한자의 광동어 성조를 살펴았을 때, 이 네가지 항목이 가지 는 예측능력은 四聲 > 清濁 > 攝 > 全次. 순으로 강하였다. 이 연구의 가치는 다음 다섯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전통적인 광동어 성조에 대한 견해 곧 1, 2, 4항에 대해 과학적인 실증 자료를 제공하였다. 2.섭(攝)의 광동어의 음입과 중입의 구분의 조건이 됨을 증명하였다. 3.위의 네가지 항목이 각기 다른 조건에서 서로 다른 영향의 깊이 순서를 가짐을 알아내었고, 4.R프로그램을 이용함으로써 다른 학자들이 반복적으로 응용하여 중 고음과 성조의 관계를 연구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였으며, 5.통계학연구가 어떻 게 중국어 연구에 응용될 수 있는가를 보임으로써, 현대과학의 의의에 맞는 한자 통계학이라는 분야를 구축하는데 한 걸음을 보탰다.
        10,400원
        294.
        2013.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강원지방에 분포한 중세성곽의 현황과 현재까지 고고학적 조사가 진행된 성곽을 중심으로 문헌기록과 연결하여 강원지방 성곽의 특징을 분석하는데 이 글의 목적이있다. 본고에서 다루는 성곽들은 중세에 신축되거나 수·개축된 성곽을 중심으로 하였으며, 정밀지표조사보고서나 발굴조사가 진행되어 보고서 등이 발간된 성곽을 중심으로 그 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강원지방은 태백산맥이라는 자연적 경계로 영동지역과 영서지역으로 나눠 볼 수 있다. 단순비교이나 면적상으로 영동지역이 영서지역보다 작은 편이다. 그러나 성곽의 분포수에 있어서는 거의 비등하다. 다시 말해 이는 고려시대 동계로 편입되었던 영동지역은 군사적 목적이 강하고 그에 따라 성곽의 밀집도가 높은 지역임을 알 수 있다. 영동지역은 현재까지 진행된 발굴조사나『高麗史』등과 같은 기록으로 볼 때 고려시대 초기부터 해안으로부터의 이민족 침입이 자주 일어났다. 그에 따라 해안성들이 축조되고, 해안성이나 주변 성곽을 통제할 수 있는 거점의 역할을 수행하는 읍성들이 축조된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육지를 통해 몽고의 침입이 있었고, 해안을 통해 왜의 침입이 증가함에 따라 험악한 산중에 입보용산성이 축성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것은 전쟁양상과도 관련이 있으며, 점령이 아닌 약탈의 의미가 큰 것으로 생각된다. 영서지역은 문헌이나 고고학적 조사를 통해 아직까지 읍성이나 평지성, 평산성이 조사된 사례가 없다. 현재까지 조사된 것으로 보아 통일신라시대 운영되던 테뫼식산성을 수축하여 사용하고 몽고의 침입과 더불어 영동지역과 마찬가지로 주변에 대규모의 포곡식산성을 축성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상에서 중세 강원지방 성곽의 시기적 변천을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그러나 성곽의 정확한 성격을 파악하기 위해서 발굴조사가 필요하지만 아직까지 발굴조사가 이뤄진 성곽은 많지 않다. 또한 정밀지표조사가 실시되어 70여개소에 달하는 중세성곽에 대한 정확한 현황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앞으로 더 많은 자료가 축적되고 더 많은 연구가 진행된다면 본고는 수정되고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7,000원
        295.
        201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wareness and satisfaction regarding Korean traditional food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a survey of 1,030 students, 55.9% of the total respondents stated that traditional Korean food is 'Korean food that uses unique Korean recipes' (p<0.001). In terms of awareness of traditional food, most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responded that the mass media was the biggest influence, while elementary students said that their parents were the most pervasive influence. In terms of satisfaction with traditional food served in school, 13 menus had the highest popularity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Most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eferred Korean traditional foods compared to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awareness and satisfaction regarding Korean traditional food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4,000원
        296.
        201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에서는 플래시 파노라마 기반 가상야외답사(VFT)를 활용한 야외 지질 답사 활동의 효과를 공간 시각화 능력, 개념 이해와 인식 측면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17명의 강원도 소재 중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Kim and Lee (2011)에 의해 제안된 플래시 파노라마 기반 VFT 활용을 위한 3단계 모형을 적용하여 제주도 일대에서 2박 3일간 실제 지질 답사 활동을 수행하였다. 전실험 연구 설계를 적용하여 단일 집단에 대하여 사전과 사후의 공간 시각화 능력과 화산 개념 이해 변화를 각각 분석하였으며, 사후 설문을 통해 VFT 활용 효과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플래시 파노라마 기반 VFT 활용 모형을 적용하여 야외 답사 활동을 수행한 결과, 공간 시각화 능력에서는 '공간 관계' 능력이, 화산 개념 이해에서는 '지식'과 '이해'에서 유의미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또한, 공간 시각화 능력과 화산 개념 이해에서 대부분의 학생들의 향상 지수가 양(+)으로 산출되었다. 한편, 참가 학생들은 플래시 파노라마 기반 VFT 활용에 대해서 높은 흥미와 만족도를 나타내었으며, 야외 답사 활동에서 플래시 파노라마 기반 VFT의 활용에 대해 매우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플래시 파노라마 기반 VFT 활용이 인지적, 지리적 요소에서 실제 야외 답사 활동에 많은 도움이 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4,200원
        297.
        201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두명의 중학교 과학 교사의 과학 수업이 어떻게 한국의 독특한 교육 상황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이러한 수업 경험이 그들에게 가지는 의미가 무엇인지를 알아보기 위한 현상학적 해석 연구이다. 특히 본 연구는 두 과학 교사가 어떻게 교수 방법을 선정하며 외부적인 상황 즉 교육과정, 학교정책, 환경, 문화, 학생들의 학습동기등이 어떻게 과학 교사들의 교수 방법, 수업 실제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중점을 두었다. 이 연구는 두 달간 대도시의 한 중학교에서 시행되었으며, 각 참여 교사에 대한 수업 관찰과 수업 관찰 후 이루어진 인터뷰가 주요 데이터로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는 현상학적 연구 방법에 의해 분석, 기록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과학 수업에서 다루어야 할 과중한 교과 내용의 양과 제한된 수업 시간등의 외부적 요인들이 중등학교 과학교사들의 수업에 대한 신념이나 경험에 상관없이 수업의 형태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둘째, 사교육을 통해 이루어지는 학생들의 과학교과 선행학습과 학생들이 수업에 참여할때 나타나는 낮은 학습 동기가 각 교사의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며, 궁극적으로 교사들의 교수 방법 선정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4,000원
        299.
        2013.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漢文 敎科 敎育에서 經書의 經文은 많은 교육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경서 교육의 중요성에 비해 이에 관련된 연구는 많이 부족하였다. 필자 는 지금까지 교과서에 수록된 사서의 經文과 관련된 연구를 진행하던 중 몇 가지 큰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우선, 한문 교과서 경문 제시의 문제를 살펴보면, 첫째로 현재 중학교 1학년 교과서의 경서 단원 구성은 체계적이지 못했다. 경서 교육의 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교과서의 단원들이 유기적으로 구성되어야 하고 교육 목표도 더욱 상세하게 진술해 주어야 할 것이다. 둘째, 懸吐․句讀의 제시 방법에 관한 구체적인 기준이 없는 문제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문 독해에서 懸吐․句讀의 제시방법에 대한 객관적 실험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마지막으로 經文을 제시할 때 전체 경문을 제시하기보다는 대부분 斷章으로 제시하 고 있었다. 經文의 斷章이 잘못되었을 경우 經文의 의미를 제대로 파악할 수 없 는 문제가 발생한다. 즉, 효과적인 斷章에 대한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다 음으로 한문 교과서 수록 경문의 난이도 문제이다. 현재 중학교 1학년에 수록된 사서 경문들은 겉으로 보이기는 쉬운 문장처럼 보이나 그 함의는 매우 깊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중학교 교과서의 수록 경문이나 고등학교 수록 경문의 차이는 극명 하게 나타나지는 않는다. 이는 사서 경문의 난이도에 대한 위계화가 이루어지지 못한 것이 가장 큰 이유이다. 따라서 객관적으로 경문의 수준을 위계화 하는 방안 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다 체계적이고 객관적으로 접근하여 경서교육에 적용한다면 더욱 효과적인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7,000원
        300.
        2012.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level-appropriateness of listening tasks in middle-school English activity books, which have been used in Korean secondary schools since 2009 in order to facilitate level-differentiated learning. Five different kinds of middle-school English activity books from grade 1 to grade 3 (i.e., 15 in total) were randomly chosen for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listening task difficulty of activity books as a whole became greater as the proficiency level went up, which implied listening tasks were well sequenced regarding the proficiency level. Some activity books, however, showed a problem with sequencing listening tasks in terms of difficulty because the task difficulty in the higher grade was lower than that in the lower grade. In terms of listening task difficulty, in addition, activity books were not homogeneous even in the same leve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for the level– appropriateness of listening tasks and further research into listening task difficulty are discussed.
        6,1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