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35

        281.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소다-라임-실리카 유리(soda-lime-silica glass,SG) 기판위에 Ti, Ba-naphthenates를 출발원료로 사용하고 졸겔법으로 나노 결정질 TiO2, BaTiO3 박막을 제조하였다. 박막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X-선 회절 분석, 전자현미경, UV스펙트럼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방법 : 코팅용액을 soda-lime-silica glass 기판 위에 스핀코팅하고 공기분위기에서 500℃에서 열분해시켜 박막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TiO2, BaTiO3 박막의 결정화도는 고분해능 X-선 회절분석법으로 그리고 표면미세구조와 거칠기는 전계 방출 현미경과 원자간력 현미경으로 또 자외선(200〜380 nm), 가시광선(380〜750 nm), 적외선(750〜900 nm) 영역의 투과율은 UV-Visible-NIR 분광광도계로 측정되었다. 결과 : TiO2박막은 아나타제 상이 존재하였으며, BaTiO3 박막은 최고 피크가 확인되지 않았다. 열처리한 TiO2, BaTiO3 박막의 가시광선 투과율은 80% 이상의 투과율을 나타냈으며, BaTiO3 박막은 TiO2 박막보다 자외선 및 청광 차단율이 높았다. 결론 : BaTiO3 박막은 TiO2 보다 자외선 및 청광에 대해 더 높은 차단율이 나타냈으며, 가시광선 투과율은 제조된 모든 박막에서 80% 이상의 투과율이 측정되었다.
        4,000원
        282.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가죽 스킨층에 코팅용으로 사용할 수용성 폴리우레탄의 합성을 위해 polyrupopylene mono methyl ether (PM)를 기반으로 폴리 에테르 폴리올인 폴리 프로필렌 글리콜과 이소포론 디 이소시아네이트 (isophorone diisocyanate, IPDI)를 합성 하였다. 예비 중합체의 합성 후, 점도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40 ℃에서 1M, 2M, 3M 및 4M으로 PM을 첨가하고 중화 반응 및 사슬 연장 반응을 수행하여 폴리 우레탄 시료를 준비 하였다. 준비된 시료의 인장강도와 연신율, 접착강도를 측정한 결과로 인장강도는 PM 이 1M 일 때2.109 kgf/mm2, 4M 에서 1.721kgf/mm2, 연신율은 PM이 1M일 때 496%, 4M 에서 522%, 접착력은 PM 이 1M 일 때 1.114 kgf/cm, 4M 에서 0.99 kgf/cm 로 확인 되었다.
        4,000원
        283.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양친성 PCZ-r-PEG 랜덤 공중합체를 기반으로 한 수열합성법을 통해 자가조립된 메조기공 이산화티타늄 마이크로 스피어를 합성하였다. 중합된 PCZ-r-PEG는 푸리에 변환 적외분광법(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핵자기 공명(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젤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그리고 투과전자 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을 통해 그 특성이 분석되었다. 다공성 이산화티타늄 입자는 PCZ-r-PEG, 글루코스(glucose), 물을 테트라히드로푸란(tetrahydrofuran, THF) 용액에 분산시킨 뒤 150°C, 1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다공성 이산화티타늄 입자의 구조와 결정성 분석을 위해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과 엑스선 회절(X-ray diffraction, XRD)이 사용되었다.
        4,000원
        284.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폴리에테르설폰(PES)과 폴리페닐렌설파이드설폰(PPSS)을 블렌딩한 고분자를 이용하여 음이온교환막을 제작하였다. EDXS와 FT-IR 분석으로부터 제작한 음이온교환막이 음이온교환기인 -N-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1 mol/L의 황산 용액에서 이온전도도를 측정하였다. 제작한 음이온교환막은 0.015~0.083 S/cm의 이온전도도를 가졌으며, 시판의 음이온교환막인 AFN과 APS의 값과 비교하여 동등 이상의 값을 가졌다. 제작한 음이온교환막의 바나듐 레독스 흐름 전지용 격막으로 사용한지를 평가하기 위해 각 바나듐 이온의 투과를 측정하였다. 제작한 음이온교환막의 각 바나듐 이온의 투과도는 시판의 양이온교환막인 Nafion 117과 시판의 음이온교환막인 AFN과 비교하여 낮은 값을 가졌다.
        4,000원
        285.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다공성 Polyacrylonitrile (PAN) 중공사막을 지지체막으로 하여 Poly styrene sulfonic acid (PSSA) 와 polyethyleneimine (PEI)을 이용하여 layer-by-layer법으로 선택층을 형성시켰다. 코팅용액에 Mg염을 첨가하여 염석법(salting out method)을 이용하였다. 코팅용액의 이온세기, 고분자 농도, 코팅시간 등을 달리하여 나노여과막을 제조하였으며 NaCl, MgCl2, CaSO4 100 mg/L를 공급액으로 하여 2 atm의 구동 압력에서 투과도와 염 배제율을 평가하였다. PSSA 20,000 ppm, 코팅시간 3분, 이온세기 1.0, PEI 30,000 ppm, 코팅시간 1분, 이온세기 0.1의 조건으로 코팅한 막이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여 주었다. 100 ppm의 NaCl, MgCl2, CaSO4 공급액에서 각각 20.4, 19.4, 18.7 LMH의 투과도와 67, 90, 66.6%의 염 배제율을 나타내었다.
        4,000원
        286.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유아기 진로준비 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진행 과정으로 측정도구를 구성하는 요인을 확인하고 구성요인별 특성을 추출하여 문항을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첫째, 유아기 진로준비에 관한 선행연구 및 문헌조사를 실시하고, 둘째, 현장에서 유아를 지도하고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유치원 교사, 어린이집 교사를 대상으로 3차 동안 진행 한 포커스그룹 인터뷰에서 얻은 결과를 종합하여 구성요인과 구성요인별 특성을 추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추출된 구성요인과 구성요인별 특성에 대한 적절성과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유아교육기관 원감, 원장, 유아지도 교사, 유아교육과 교수, 유아담당 장학사로 이루어진 유아교육 전문가 30명을 대상으로 3차례의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유아교육 전문 가들의 델파이 조사에서 합의된 의견에 따라 구성요인의 개념과 특성, 문항을 수정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기 진로준비 측정도구의 구성요인으로 자기이해, 대인관계이해, 일과 직업 세계의 이해, 의사결정력, 진로탐색 5개 구성요인이 선정되었다. 선정 된 구성요인의 개념에 따라 1차 118문항, 2차 90문항, 3차 78문항으로 측정도구 문항을 선정하였다.
        6,900원
        297.
        201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다기능성 마스크 팩의 제조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팩 제조 및 평가에 대한 것이다. 여기서 다 기능성이란 폴리인산에 의한 원적외선 효과, 포접화합물에 의한 기미치료 효과 및 필링효과, 라벤다 추출물에 의한 피부진정 효과를 의미한다. 제조한 다기능성 마스크 팩의 용제에 대한 유해물질의 측정결과 0.001mg/Kg 이하로 검출되었으며, 점도는 280 cP, pH=6.92 이었다. 마스크 시트에 다기능성 용제를 침지시켜 제조한 다기능성 마스크 팩의 원적외선 방사율은 0.882 μm이고 원적외선 방사에너지는 3.40x102 W/mᆞ, 37℃이었다. 다기능성 마스크 팩의 착용 후, 5일간 사용 후의 보습율은 사용전보다 14.5% ~ 35.5% 우수하였으며, 피부 온도는 24 ~ 26℃ 나타내었으며, 30명의 볼란티어 피부접촉 자극성 평가에서도 매우 안정적이었다.
        4,000원
        298.
        2019.04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내시경역행담췌관조영술은 적지 않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는 고난이도의 필수 시술로서, 환자에게 보다 안전한 시술을 제공하며 의료의 질을 높게 유지하기 위해서 췌담도인증의 제도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현재 한국의 세부·분과전문의 제도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우리의 현실을 고려하여 학회 내에 췌담도인증의 준비위원회를 설립하여 대한췌장담도학회 회원뿐만 아니라 관련된 모든 학회의 여러 의견들을 모아 명확한 목적과 목표를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3,000원
        300.
        201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growing demand for nano-structured composite materials and sustainable processes for next generation CO2 capture technologies has necessitated the need to develop novel and cost-effective synthetic routes for solid CO2 adsorbents based on hypercross-linked polymers (HCPs) and reduced graphene oxide (RGO) microporous sorbent materials with improved physico-chemical properties. The most important selection is modification of the synthesized microporous sorbent materials by the incorporation of RGO, giving rise to composite materials that combine the properties of both. These hybrid materials will be of great potential for carbon capture and storage (CCS) applications, especially for post-combustion CO2 capture, owing to the increase in CO2 capturing efficiency and selectivity to CO2 compared to other flue gases. Herein, we report a facile and effective approach for fabrication of HCPs-supported reduced graphene oxide composites. The microporous HCPs was synthesized using 4,4′-bis(chloromethyl)-1,1′-biphenyl monomer by Friedel–Crafts alkylation. The RGO was prepared by modified Hammers method. The as-synthesized composites were characterized by TEM, SEM, FTIR, TGA and N2 adsorption–desorption isotherm. The HCP/RGO composite showed maximum CO2 adsorption of 5.1 wt% than the HCPs alone at 40 °C and 1 atm.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