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60

        283.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긴덜이리응애와 dicofol 저항성 및 감수성 점박이응애에 대한 아바맥틴의 선택독성을 실험실 내에서 엽침지법으로 조사하였다. 아바멕틴은 긴털이리응애에 대해서는 독성이 낮은 반면, 점박이응애에 대해서는 살균효과가 높았다. 0.12 ppm과 0.6 ppm의 농도에서 점박이응애는 두 계통 모두 침지 후 48시간 0]내에 사망하였고, 0.06 ppm과 0.012 ppm의 낮은 농도에서 120시간 이후에는 77% 이상이 사망하였다. 그러나긴털이리응애의 암컷성충은 0.12ppm에서는 생존솔과 활동력이 영향을 받지 않았고, 0.6ppm과 6ppm의 높은 농도에서도 사망솔이 약 20~23%이었다. 아바맨틴은 산란후 l일 이내의 점박이응애의 난에 대해서는 패화솔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산란후 4일된 란에서는 패화솔이 멸소하였다. 반면에0.006-6ppm 용액에 긴털이리응애 난을 침지한경우 난의 패화솔과 그 난에서 부화한 약충의 발육에는 영향이 없었다. 긴털이리응애의 암컷 성충을 0.6 ppm과- 0.12ppm에 침지했을 때 산란수가 줄어들지 않았으나 잠박이응애의 산란수는0.006-0.6 ppm의 농도에서 현저히 감소하였다. 이상과 같이 아바맥틴은 점박이응애와 긴털이리응애에 대한 선택독성이 높은 약제로 점박이응애의 결합방제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점박이응애에 대한 아치사농도(0.012-0.06 ppm)는 긴털이리응애와 점박이응애의 밀도를 조사하는데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285.
        199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침적법에 의해 결정된 IGRs의 {{{{ { LC}_{50 } }}}}수준 (ppm)에 대한 미국흰불나방(Hyphantria cunea Drury) 5령충과 이화명나방 (Chilo suppressalis Walker)3령충의 amylase, invertase, invertase, chitinase 와 estrase의 활성비교 결과, 미국흰불나방은 IGs 처리후 amylase, 와 invertase의 활성은 무처리 보다 낮았고 chlirfluazuron 처리에서 는 가장 낮 은 활서을 보였으며 chitinaes의 활성은 무처와 비교해서 IGRs 처리 후 증가 되었고 esterase patterm 은 2가지{{{{{ Est- alpha }^{ 1}{beta } ^{b} , and { Est- alpha }^{ 2}{beta } ^{b}}}}} 로 분리되었으나 처리간 차이가 없었으며, 이화명나방에서는 amylase, invertase와 chitinase의 활성은 미국흰불나방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나, amylase와 invertase의 활성은 미국흰불나방보다 7~10배 낮았고, chitinase의 활성도 미국흰불나방 보다 3~4배 낮았다. Esterase patterm은 4가지{{{{{ Est- alpha }^{ 1},{ Est-beta } ^{a} ,{ Est- alpha }^{ 2} and { Est- alpha }^{ 3}}}}}로 분리되었고 무처리 대비 pyriprox-yfen은{{{{{ Est- alpha }^{ -1} }}}}에서 chlorfluazuron와 trbufenozide은{{{{ { Est- beta }^{ a} }}}}에 서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diflubenzu-ron은 차이가 없었다.
        4,000원
        286.
        199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미국흰불나방 (Hyphantria cunea Drury)과 이화명나방 (Chilo suppressalis Walker)에 대한 chlorflyazuron, diflubenzuron, pyiproxyfen 과 tebufenozide 와 같은 IGRs의 독성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미국흰불나방에서, 1령충의 {{{{ { LC}_{50 } }}}}치 (ppm)기준 2령충~5령충의 내성비 범위는 chlorflua-zuron, diflubenzur on, pyriproxyfen과 tebufenozide에서 각각 1.07~3.58, 1.13~6.06, 1.02~3.23, 1.05~6.64이었다. 이화명나방에서, 1령충에 대한 3령충의{{{{ { LC}_{50 } }}}}치 (p pm)의 내성비는 chlorflua-zuron, diflubenzuron, pyriproxyfen과 tebufenozide에서 각각 2.86, 2.60, 19.80, 15.30이었다.
        4,000원
        287.
        199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활성슬러지 공정을 이용하여 Kraft 펄프공장에서 배출되는 유출수에 잔류하는 만성독성의 제거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pilot plant를 운전하였다. 독성 이외에도 폐수내의 BOD, SS, resin과 fatty acids, 색도, 그리고 AOX와 같은 오염물질의 제거효과도 측정되었다. Pilot plant는 정상상태에서 약 10주 동안 운전되었으며 운전기간 동안의 평균 F/M 비율은 0.28, 그리고 sludge age는 8.4일로 계산되었다. 평균 MLSS 농도는 4,309mg/l이었으며 이중 휘발성 물질은 57%이었다. 운전기간 동안, BOD 제거계수(k)는 $30^{\circ}C$에서 8.2/일 이었으며 BOD 제거율은 full-scale 운전시보다 3~6% 정도 낮은 84%로 나타났다. 활성슬러지 유출수의 만성독성 시험은 Dinnel 방법과 BML 방법이 활용되었으며, 시험결과 pilot plant 활성슬러지 시스템에서도 효율적인 운전을 통하여 90% 이상의 독성제거가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Pilot plant의 진 공정을 통해서 색도와 AOX의 제거는 매우 미미하였으나 resin과 fatty acids는 뛰어난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4,000원
        294.
        199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바퀴 (Blattella germanica L.) 의 효과적인 방제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바퀴 방제에 사용되어지고 있는 6종의 살충제를 이용하여 생물검정 방법에 따른 살충력의 차이를 실험한 결과, Dry film법에 따른 약제의 살충력은 수컷 바퀴의 반수치사농도(, ppm)가 chlorpyrifos 1.79, fenvalerate 1.87, propoxur 3.04, permethrin 4.37, DDVP 32.72, hydramethylnon 270.81로서 암컷 역시 같은 순위의 살충력을 보였다. 미량국소처리법에 따른 약제의 살충력은 수컷 바퀴의 반수치사약량( , g/g)이 DDVP와 fenvalerate가 2.63, chlorpyrifos 3.79, permethrin 4.51, propoxur 6.73, hydramethylnon 44.99로써 암컷 역시 같은 순위의 살충력을 보였다. 식이법에 따른 약제의 살충력은 수컷 바퀴의 CT(Concentration % )값의 비교에서 유기인계 살충제인 chlorpyrifos가 속효성이였고,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인 hydramethyInon은 지효성이 좋은 살충제로 선발되었다.
        4,000원
        295.
        199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초 록 신규 설충성물질 개발의 전제조건이 되는 용매의 선택을 위하여, 아세톤의 9종의 유기용매를 수종의 곤충에 대한 독성과 식이식물 및 화합물의 용해성에 미치는 영향을 엽침지법과 분무법으로 평가하였다. 각종 용매의 공시충에 대한 치사독성과 용매의 이화학적인 성질과는 뚜렷한 상관관계가 보이지는 않았으나, 분무법 처리시 벼멸구의 경우 밀도가 높을수록, 배추좀나방의 경우에는 증기압이 낮을수록 공시충에 대한 치사독성이 높았으나, 비등점, 쌍극자모멘트, 유전율, 표면장력, 점도와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처리 방법에 있어서는 분무처리가 엽침지법보다 더 높은 치사독성을 나타내었다. 약해와 용매의 이화학적 성상 역시 명확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엽침지법의 경우 수도에 있어서 유전율이 낮을수록 약해가 심하였으며, 분무법 처리시에는 쌍극자 모멘트가 높을수록 약해가 심하였으나 기타의 이화학적 성상과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엽침지처리가 분무처리에 비하여 강한 약해를 유발하였다. 합성 화합물과 식물체 메탄올 추출물은 아세톤에 대한 용해성이 양호하여 생물검정시 5% 아세톤수용액이 다량의 화합물을 검정하는데 적합하였다.
        4,000원
        299.
        199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ffect of water extract in fruit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llion) on liver function in expermental liver injuries induced by CCl4. The levels of GPT, GOT activities in serum were decreased apparently on the dosage of water extract in fruits of Omija correspond to raw Omija 1g compared to control group. The levels of Microsomal protein, glycogen, and pyruvate in liver and of Urea nitrogen, GPT, GOT, LDH in serum showed a trend toward restoration of normalization. No effective of levels of hepatic G6P DH activity and serum free fatty acid by water extract in fruits of Omija.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