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28

        303.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농업 생태계의 생물다양성 보전에 있어 서식처 기반의 보전 전략을 수립하는데 있어 기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는 경기도 화성시 팔탄면에 위치한 환경압박이 서로 다른 3개 조사지(농경지와 야산으로 이루어진 조사지 1, 공장이 많이 위치하는 조사지 2, 거주지역이 많이 차지하는 조사지 3에서 4개의 토지이용(야산, 밭둑, 논둑, 하천변)별로 2000년 11월부터 2002년 11월까지 39회의 딱정벌레 군집 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로 서 딱정벌레 군집 조성, 우점종 그리고 군집 패턴이 토지이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유사도는 조사지 2와 3의 논둑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조사지 2의 야산과 조사지 3의 하천변간의 유사도가 가장 낮았다. 또한 도로에 의해 파편화된 서식처간의 유사도가 서로 다른 서식처 및 조사지간의 유사도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생물다양성 보전과 네트워크 측면에서 농경지 토지이용은 각각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국내 농촌경관에서의 서식처별 딱정벌레 군집분석을 통하여 생물다양성 보전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가치를 평가할 수 있다.
        4,000원
        304.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종래 농촌개발전략은 농업 및 농민에게 중점을 두고 도시의 편리성을 지향하는 정책이었다. 그러나 농업에 의한 농촌발전의 한계성이 드러나고 도시를 지향하는 농촌의 정주정책은 농촌경관의 획일화를 초래함에 따라 농촌다움이 상실되는 문제점을야기하여 왔다. 이로인해, 농촌다움의 상실은 농촌 자체 매력의 상실을 가져왔으며, 이는 소비자인 도시민으로부터 외면당하는결과를 초래하였다. 이에 따라 농업과 농촌이 가지고 있는 잠재적인 기능과 다면적인 기능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지고있으며 이의 활용을 통한 농촌의 활성화를 모색하는 대안이 제기되고 있다.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경관 자원으로서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활용가능한 자원으로 인식되고 있는 농업생산경관의심리적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농촌계획에 있어 활용가능한 심리적 인자를 제시하고자 하며, 이후의 농촌계획 및 경관영향평가에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평가기준을 마련하고자 한다.
        4,000원
        307.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인류의 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맺어 온 버섯은 우리나라에 서도 60년의 재배역사를 갖고 있으며, 우리의 식탁에 건강식 품으로서 자리 잡아오고 있다. 버섯의 재배형태 변화는 이러한 우리생활과 관계형성을 바탕으로 발전되었다고 볼수 있 다. 60년대부터 시작된 양송이버섯 볏짚균상재배에서 80년 대 느타리버섯 솜재배, 90년대 병재배 및 봉지재배에서 그 변천과정을 볼수 있다. 그러면 작금의 현실에서 이러한 버섯 재배형태의 변천이 생산자에게 얼마나 많은 변화를 유발 했 는지 생각해 봐야 하며 또한 앞으로 어떠한 버섯재배 방향이 재배농민에게 그리고 국민의 건강과 식탁의 안전을 보장받 을 수 있는가를 생각해 보아야 한다. 본인도 불과 4~5년 전만해도 소비자들의 인식 변화로 균 상재배는 병재배 형태로 바뀌어 없어질 것이라고 생각했었 다. 실제로 균상재배면적은 상당히 많이 줄어든게 사실이다. 그러나 그 이유는 재배형태에서 기인한 것이 아니라 작업의 효율성과 편리성 등에서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연중 재배시설과 공동협업 또는 기계화를 통한 균상재배 형태를 갖추어 가족노동력 규모로 재배하면서 지역농협 및 군부대 그리고 학교급식을 통한 계약재배 형태로 출하함으로써 안 정된 규모의 균상재배로 다시 자리매김이 되고 있다. 가평군의 경우 2007년과 2008년 느타리버섯 농협계통 출하현황을 소개하고자 한다. 출하농가수는 2007년에 47 농가였고 2008년에 34농가로 13농가가 줄었으며, 조수익 은 2007년 687백만원, 2008년 641백만원으로 46백만원이 늘었고, 호당소득은 2007년에 21,898천원이고 2008년에 28,440천원으로 6,542천원이 증가하였으며, 최고 출하액은 2007년에 39,800천원이며 2008년에 31,435천원이었다. 이는 재배농가의 소득이 평준화 되고있음을 알 수 있으며, 호 당 버섯재배 소득은 꾸준히 상승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경쟁시대에 살아남는 방법은 다양하겠지만 옛 것을 살리 고 꾸준한 변화와 함께 단결하고 노력하면 어떠한 경쟁에서 도 의연하게 살아남을 수 있을것이다. 가평군 내에서도 균상 재배 농가가 많이 줄어들어 정리되었다. 지금의 모델이라면 앞으로 10년은 타지역과의 경쟁에서도 흔들리지 않는 농가 소득을 이어갈 수 있으리라 판단한다. 실제로 2007년 가평 은 균상재배를 위한 재배사 40동을 신축하였고, 저온저장고 10동 등 균상재배 면적이 꾸준히 늘고 있으며 2002년 한강 수계 물부담기금으로 재배사 신축시 균상재배사 표준모델에 20,000천원을 투자하여 설계도를 제작하고 지금까지 가평 군 균상재배사 신축 표준설계도로 활용하고 있다. 앞으로 균 상버섯의 균일한 품질과 소비자의 신뢰를 확보하고 농가의 노동력을 절감하기 위하여 공동선별장을 만들어 가평군의 농산물 브랜드화에 앞장서고자 한다.
        308.
        200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proposes development strategies for domestic e-commerce of agricultural products. So far, it grows quantitatively so fast, but because of lack of continuous management, it does not work properly. Previous studies have some outcome for vitalization of e-commerce, but they have limits that they neglect rapid changes of e-commerce circulation structures and practical problems farmers go through when they sell their products. This study deals with these problems more than previous. The first phase of this study analyzes two cases of overseas successful and failure e-commerce sites of agricultural products, for example, Wine.com and Webvan.com. The second phase analyzes As-Is and distribution structure of domestic e-commerce of agricultural products. Finally this study asserts three strategies for domestic e-commerce of agricultural products based on Web 2.0 environment.
        6,100원
        309.
        200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심각한 기후 변화와 증가하는 인구에 따른 전 세계적인 식량 부족 현상으로 농업분야에서의 자동화는 점점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농업 인구의 고령화, 해외 수입 농산품과의 가격 경쟁력 향상과 고 생산성 요구가 거센 환경에서는 농업의 자동화는 다가오는 미래가 아니라 반드시 적용하고 해결해야만 하는 필수 요소가 되었다. 농업은 제한된 공간에서 저 노동력으로 최대의 생산성을 얻기위해서 다양한 최신 학문 영역과의 융합을 시도하고 있다.이 문서에서는 이에 관련하여 농업과 로봇(자동화) 산업의 결합에 중점을 두고 농업용 로봇과 식물공장의 주요 기술을 소개하고 사례를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4,300원
        310.
        200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wide-issue superscalar processors, it is essential to increase the width of instruction fetch and the issue rate. Removal of control hazard has been put forward as a significant new source of instruction-level parallelism for superscalar processors and the conditional branch prediction is an important technique for improving processor performance. Branch mispredictions, however, waste a large number of cycles, inhibit out-of-order execution, and waste electric power on mis-speculated instructions. Hence, the branch predictor with higher accuracy is necessary for good processor performance. In global-history-based predictors like gshare and GAg, many mispredictions come from commit update of the branch history. Some works on this subject have discussed the need for speculative update of the history and recovery mechanisms for branch mispredictions. In this paper, we present a new mechanism for recovering the branch history after a misprediction. The proposed mechanism adds an age_counter to the original predictor and doubles the size of the branch history register. The age_counter counts the number of outstanding branches and uses it to recover the branch history register. Simulation results on the SimpleScalar 3.0/PISA tool set and the SPECINT95 benchmarks show that gshare and GAg with the proposed recovery mechanism improved the average prediction accuracy by 2.14% and 9.21%, respectively and the average IPC by 8.75% and 18.08%, respectively over the original predictor.
        5,200원
        311.
        2009.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312.
        2009.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한국산 잎벌레과(Chrysomelidae)는 총 15아과 370여종이 기록되어 있으며 많은 농업 및 임업해충을 포함하고 있다. 잎벌레과는 분류군에 따라서 유충과 성충의 기주와 섭식부위가 다양하여 농작물에 많은 피해를 줄 수 있으며, 최근에는 국내 주요해충 8아과 40종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성충의 형태분류에 비교하여 유충의 형태분류가 아직 미흡한 국내 실정으로는 주로 문제가 되는 미지의 유충 발생 때 신속한 종 동정을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이번 연구에서는 주요해충 25종을 포함하여 총 57종의 잎벌레과의 DNA 바코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종간 서열 차이는 5.5%~36.4%로 나타났으며, 전체 평균은 23.6%였다. 또한, 동일 속의 종간에도 5.5%~25.5%의 서열 차이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잎벌레과의 유전적 분화율은 비교적 큰 편이며, DNA 분자마커를 이용한 잎벌레해충군의 동정은 비교적 용이할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유충을 비롯한 각 생활사 단계의 형태에 대한 동정에 있어도 DNA 바코드 비교를 통해 손쉽고 빠르게 종을 인식할 수 있게 될 것임을 시사한다. 다만, 이번 연구에서 각 종당 샘플 수가 1~3개체로 다소 적었으며, 주요해충 종의 같은 속내의 근친 종에 대한 분석의 부족 등은 향후 보완되어야 할 점으로 나타났다.
        316.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3D 가상공간상에서 농촌에서 경험할 수 있는 작물재배, 가축사육 등을 가상 체험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주말농장 체험과 유사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기존의 웹 형태의 온라인 농작물재배/축산물 사육 시뮬레이션에서는 각종 텍스트 문서에 정지화상(사진이미지)을 적절히 조합하여 보여주는 형태가 대부분이며, 동영상으로 되어있는 내용들도 고정적인 이미지를 통한 정보습득 및 학습하는 형태로 되어있는데, 사용자들은 이 내용들보다 더욱 상세하고 많은 내용들을 필요로 하는 실정이다. 본 논문은 3D그래픽과 다중접속 네트워크 기술로 현실감 있는 가상의 농장 환경을 제공하여, 작물재배와 같은 기초적인 부분부터, 토지 환경 등을 간단하고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환경을 제공하며 농작물 재배가 실제 환경과 유사하도록 시뮬레이션 엔진을 구성하였다. 본 논문에서 구현된 시스템은 농업 교육이라는 건전한 놀이문화를 제공하고, 지방자치단체에서 시행하는 귀농 정책과 연계하여 시너지 효과를 가지며, 교육기관과 연계하여 작물 재배에 관한 학습 교재로서 기능을 가진다
        4,000원
        319.
        2009.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b2.0 refers to a new service models based by a community oriented philosophy. This creates new opportunities for technology providers and service. The agricultural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 in the base of open source technology provide opportunities for increased distribution and visibility to farmer and general user. We would like to find out vest service models and platform that will find new ways of agriculture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se new agriculture information service strategy in new paradigm of web 2.0. should be revised and adapted to Open API and new applied strategy in agriculture should be developed considering the impact of web 2.0.
        5,500원
        320.
        2009.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using agricultural information and develope desirable strategy to offer agricultural information for leaf vegetables farmers.187 farmers are surveyed to collect data. Many farmers get agricultural information through various channel.They satisfied with agricultural information contents, rightness of time but dissatisfied with the easiness of gain, fitness of information relatively. And the mean score of farmer's information needs on agricultural information were higher than that of theoretical mean. relatively high items were new seed information, technology of cultivation, pesticide purchase and prevention, laborer finding, consumer information, the trend of leaf vegetables price, marketing place, government's agricultural policy and laws etc.To make farmers get information easily, we recommend to gather information at one place and provide them on internet portal site composed with information related for paddy rice farmers. To make desirable information service system, farmers should bring up their internet searching ability, and agricultural extension officers in count/city have to make effort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more often by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visiting farmers, using internet or e-mail service, pamphlet, and so on.
        5,7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