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63

        302.
        2004.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갈변과 미생물 증식으로 인해 저하되는 양상추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양상추를 최소처리하여 이들 품질저하요인을 제어하고자 하였다. 갈변억제방법으로는 다양한 침지수에 따른 화학적인 방법을 사용하였고, 미생물 증식억제방법으로는 염소처리법과 전기분해수 그리고 유기산 처리에 의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양상추의 갈변은 색도에 있어서 ascorbic acid 1와 citric acid 1 혼합침지수로 처리하였을 때 초기 L 값이 5 수준에서 유의적으
        303.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erritin light heavy chain (FLHC) gene는 일부 중금속과 결합, 저장 및 운반하여 무독화 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Fe 관련 유전자인 FLHC유전자를 식물 발현용 promoter인 35S promoter와 Tnos를 사용하여 식물 형질전환용 vector를 재조합하였다. 식물세포형질전환용 binary vector는 상기 cassette vector가 조립이 매우 양호하며 border sequence를 가지고 있는 pRD400 binary vector를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가나마이신 내성 유전자 (NPT II gene)와 tadpole ferritin heavy chain gene 및 human ferritin light chain gene를 함유하고 있는 binary vector를 재조합하였다. Binary vector의 아그로박테리움에 도입은 triparental mating 방법에 의하여 수행하여 AB배지 및 가나마이신 함유 배지에서 disarmed Ti-vector를 가지고 있는 Agrobacterium tumefaciens MP90/FLHC을 선발하였다. FLHC 유전자 도입된 식물형질전환용 binary vector를 이용하여 형질전환방법을 변형하여 많은 embryo를 유도하였으며 유도된 embryo들은 GA 10mg/L가 첨가된 배지에 지상부를 유도하였다. 형질전환체식물체의 정상적인 생장을 유도하기 위해 최적의 배양조건을 조사하였던 바, 비교적 1/3 MS배지에서 뿌리의 생장과 지상부의 생장이 균일하게 생장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뿌리와 줄기가 잘 발달된 약 7cm의 유식물체를 대량으로 증식하여, 모래와 흙이 1:1로 혼합된 토양에 옮겼다.
        307.
        2003.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해양 심층수 첨가에 따른 효모 발효력과 심층수 첨가 최적 농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효모균주 9종에 대하여 증식을 조사하였다. 효모균주는 Saccharomyces cerevisiae 10호, 11호, 12호, 901, RCY, Sacch.cerwisiae ktwef DJ97, Saccharomyces cerevisiae YJK, JK99, CMY-28 등이었으며, 해양 심층수는 경도 250, 500, 1000으로 조절하였고 대조군과 함께 증식력을 측
        308.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색칼라 미숙배 배양에 의한 급속 증식체계를 확립 하고자 Southern Light 품종을 자가수분 시켜 배발육단계 및 식물생장조절제 종류와 농도가 다량의식물체 재분화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배 발육단계 별로 MS 기본배지 에 배양한 결과 globular 단계 미숙배는 반응이 없었고 몇 개의 어뢰형 배 및 초기 자업기배는 팽대 및 발아되었는데 어린 자엽기 미숙배가 87.5% 발아율을 보여 가장 효과적이었다. 한편 어린 자엽기 미숙배를 2,4-D, NAA및 BA를 단용 또는 혼용처리한 결과 2,4-D 단용 및 BA와 혼용처리배지에서는 유백색의 점액성 캘러스만이 8개월까지 증식되었고 NAA와 BA혼용처리 배지에서는 담황색의 단단한 배발생적 캘러스가 증식되어 모두 식물체로 재분화되었는데 특히 0.5 mg/L NAA와 1.0 mg/L BA혼용처리 하였을때 한개 자엽기 미숙배로 부터 25-30개의 식물체가 재분화 되었으며 동일배지에 10% coconut water를 첨가하므로 기내 식물의 급속생장이 효과적이었다. 배유래 재분화된 식물체는 vermiculite, perlite 및 모래를 1:1:1로 혼합한 토양에 이식하였으며 100% 정상식물체로 자라고 있다.
        310.
        200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바위솔의 추출물로부터 항산화 활성 및 동물 항암세포를 이용한 생물학적 특성을 조사 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생육지별 DPPH 프리라디칼 소거 및 xanthine/xanthine oxidase 억제 활성비교에서 재배지에서 수확한 시료의 활성이 6.07(IC50:μg/ml)로 가장 높았다 생육시기별 DPPH 프리라디칼 소거 및 xanthine/xanthine oxidase 억제의 활성은 9월 수확물이 가장 활성이 높았다.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항산화물질 분리결과에서 S-4 분획물의 DPPH와 xanthine oxidase 억제활성이 5.02(IC50 : μg/ml)와 6.18(IC50:μg/ml)을 나타냄으로써 높은 분리효율를 보였다. 항산화활성이 가장 높았던 LH-4 분획물의 주요화합물은 GC/MS에 의하여 지방산, 폴리페놀화합물 및 페놀유도체로 동정되었으며 alpha-androsta-7,14-diene과 1,2,3-benzenetriol이 주 물질이었다. POD 및 SOD 활성은 생육지간에 재배지, 산, 바닷가 순으로, 생육시기간에는 시기가 늦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SOD 동위효소의 밴드수는 전 생육지, 전 생육시기에서 공히 2개의 밴드가 나타났으나, 그 세기는 재배지와 9월의 수확물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정제된 LH-4 분획물은 HL-60 세포의 종양증식을 억제시켰으며 종양유발유전자와 IPTG로 콜로니 형성을 유도한 암세포(2-12 cells)에서 분획물 400ppm 처리와 negative control 처리간의 colony형성은 유의차가 없었다.
        311.
        200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single and combined effect of concentrations of garlic juice according to the pH and temperature on the growth of Salmonella enteritidis in brain heart infusion broth, and to develope Response surface model for the effect of concentrations of garlic extract. The results of electric conductibility of Salmonella enteritidis growing in the range of incubation temperature (25~42℃), pH (5.5~9.0) and concentration of garlic juice (0~0.8%) showed that a badge with high temperature had low D.T.value and concentration of garlic extract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D.T.value (p<0.01). Growth of Salmonella enteritidis in the condition of 37℃ and pH 7.0 presented the lowest D.T.value.
        312.
        2002.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enus Monascus(M. pilosus and M purpureus)의 배지(Lin, SP, YM YE, GMIN, SMO, MY, GY, Nishikawa, sucrose, stock culture, Mizutani, modified Lit Toya 및 쌀배지)에 따른 균의 증식도와 색소생성량을 조사하였다. M. pilosus 및 M purpureus의 증식도가 높은 배지는 Mizutani 배지와 Lin 배지 였으며 3에서 10일간 배양
        313.
        200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새우난초의 대량 증식 시스템을 확립하기 위하여 새우난초 종자 무균파종 및 순화 방법에 따른 생육특성 을 조사하였다. 발아율은 MS배지 에서 65% 이상이었고 유묘의 대량증식이 가능하였다. 계대배양한 유묘의 증식은 고체배지 보다는 액체배지에서 생육상태 가 더 양호한 경향을 보였다. 순화실험 결과, 70%차광조건에서 플라스틱 멀칭으로 습도를 80% 이상 유지하였을 때 100% 순화 생존하였다. 기내 육성된 배양묘는 백태로 뿌리를 감싸 심었을 때 발근이 가장 잘 이루어졌으나 순화과정 중에서 백태 대신에 질석과 펄라이트를 1:1 부피비로 이용한 경우에도 88%의 비교적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314.
        200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외래도입 병솔꽃나무(Callistemon citrinus)의 개화결실 습성과 효율적인 증식방법을 구명 하고자 수행하였다. 병솔꽃나무의 삭과는 개화후 4년간 가지에 존속하며, 종자의 수와 크기는 3년생 삭과와 2년생 삭과가 비슷한 반면 1년생 삭과는 크게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삭과로부터 종자를 탈리시키기 위해 건조시킨 결과 삭과의 상대 수분함량이 약 75%일 때 삭과열개율이 100%에 달했다. 발아율은 30℃에서 건조시킨 종자가 가장 높았으며, 그 중 2년생 삭과에서 탈리된 종자의 발아율이 높았다. 반면 50, 70℃에서 건조되어 탈리된 종자의 발아율은 낮았다. 가을철 2차 개화를 유도하기 위하여 봄철 개화 후 삭과가 달린 가지를 전정한 개체에서는 모든 개체에서 가을에 개화하였으며 , 개화량은 평균 14송이였다. 반숙지를 IBA 100mgι-1 에 24시간 침적처리한 결과 86.4%가 발근되었으며, 평균 12.6개의 1차근을 가지며 생장이 가장 양호하였다.
        317.
        2002.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to observe the dominant bacteria and the effect of metals(Cd & Zn) and its nitrate compound on growth of bacteria isolated from the three tributaries and lower reach of the Nakdong River. Mean CFU(log10) level was highest in Kumho River(8.30 CFU), Nam River, Hwang River, and Mulgum followed. Staphylococcus xylosus, Staph. lentus, Pasteurella pneumotropica, Aeromonas hydrophilla were dominant species in each study site. Cadmium powder and Zinc powder showed strong effect to inhibit the growth of Micrococcus spp., Pasteurella pneumotropica, Aeromonas hydrophilla. But, nitrate compounds of Cd and Zn(Cd(NO3)24H2O, Zn(NO3)26H2O) did not clearly show the strong effect to inhibit the growth of dominants.
        318.
        2002.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obtain basic information on the breeding, pure line preservation and propagation of hemp, three varieties, Sunchang local, MS 4-3 and Elitta 5 were investigated for the effect of cutting parts, cutting times, cutting length and storage duration after c
        319.
        2001.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d mold was isolated from meju prepared by traditional mtehod and characterized. The isolated red mold grew well on potato dextrose agar medium, In microscopic observation, it had a septum in mycelium and ellipsoidal spore. Optimal temperature and pH for growth were 30 and 6.0, respectively. Enzyme activities such as protease, a-amylase and glucoamulase in ted mold were lower than those in Aspergillus oryzae. A competitive growth between red mold and Asp. oryzae was greatly affecten by cultivation temperature. The growth of isolated red mold on meju was predominant at below 30 as compared with Asp. oryzae.
        16 17 18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