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63

        323.
        2001.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단감의 저장성을 향상시키고자 polythylene 필름 포장방법에 따른 단감의 물성 및 품질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저장방법에 따른 단감의 품질 변화는 농가에서 사용하는 5개씩 포장하여 저온저장시에는 저장 120일가지 저장성을 유지하였고, 1개씩 포장한 경우에는 저장 150일가지 저장이 가능하였고, 품질면에서 아주 우수한 것으로 판정되었다. PE 필름 두께에 따른 품질의 변화는 일반 농가에 사용하고 있는 0.06mm PE 필름으로 포
        324.
        200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ource와 sink의 상대적 크기가 다른 고구마 품종간 이면접목을 통하여 생육에 미치는 고구마의 source와 sink의 상호관계를 분석함으로써, 고구마의 품종육성 및 재배법개선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만장, 괴근수는 접목에 의하여 감소되었으며, 접목조합에 따라서 차이가 있었다. 2. 지상부의 생육은 접수, 지하부의 생육은 대목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3. 주만장과 괴근수에 대한 접목효과, 접수와 대목의 효과와 이들 간의 상호작용은 모두 유의성이 있었다. 4. 상저비율은 보통삽식>자가접목>이면접목 순으로 높았다.
        325.
        200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ource와 Sink의 차이가 있는 고구마 품종간 이면 접목을 통하여 수량에 미치는 source와 sink의 상대적 기여도를 구명함으로서, 고구마의 품종육성 및 재배법개선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율미, 신율미, 건미, 홍미 및 선미의 5품종을 공시하여 저장능력과 생산능력을 분석 하였다. 1.경엽중과 괴근중에 대한 일반접목효과(GGE), 특정접목효과(SGE) 및 정역접 목 효과(RCE)가 모두 고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총 건물중은 접목에 의하여 감소되었으며, 접목조합에 따라서 차이가 있었다. 3. 생산능력은 접수 그리고 저장능력은 대목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4.신율미는 잠재생산능력과 잠재저장능력이 높아, 총 건물중이 많았으며, 홍미와 율미는 잠재생산능력이 낮아 총 건물중이 적었다.
        326.
        2001.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t is important to accelerate rooting and establishment of seedlings after transplanting for higher dry matter production and tuber yield in sweet potato cultivation.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some information about the effects of vine-cutting holding on rooting and plant growth after transplanting. Vines were cut 20-25cm long and stored for 1, 3, 5, 7 or 9 days in a shade room at 20~pm 0.5~circC , RH 68~pm,/TEX>1%. Peroxidase activity in the vine cuttings increased as the holding period increased and the highest catalase activity was detected in the 5-day holding. Length of main vine, number of branches and nodes on main vine also increased in the 5-day holding.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the diameter of main vine among the various holding periods. The data obtained indicate that transplanting of vine cuttings after 5-day holding could promote rooting and vine growth
        327.
        2001.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sweet sorghum [Sorghum bicolor (L.) Moench] cultivar was planted on 9 and 30 June 2000 at plant densities of 4, 6, 8, 10, and 12 plants m-2 to determine the optimum plant density in Jeju reg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planting date x plant density interactions for most traits measured. Delaying planting from 9 to 30 June delayed 21 days in heading date, and significantly decreased plant height, the number of productive stems m-2 /, and lodging. Fresh stem yield tended to be higher at the 9 June planting date than at the 30 June planting date, but total sugar and ethanol yields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planting date. Percentage of soluble solid was higher at the 30 June planting date compared with the 9 June planting date. Fresh stem, total sugar, and ethanol yields quadractically increased from 22.9 to 36.7 t-1 , from 1.66 to 2.54 t-1 , and from 945 to 1440 L-1 , respectively, with increasing plant density. The optimal plant densities for the maximum fresh stem, total sugar, and ethanol were estimated to be 10.7, 9.6, and 9.9 plants m-2 respectively.
        328.
        2001.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during 1993-94 season to determine the pattern of nutrient uptake and productivity of maize/sweet potato intercropping system. Four levels of nitrogen (0, 50, 100 and 150kg N ha-1 ) and four levels of potassium (0, 40, 80 and 120kg K2 O ha-1 ) formed treatment variables. Plants were sampled periodically to determine dry matter and tissue concentrations of N and K in the individual plant components of intercropped maize and sweet potato. Nitrogen and potassium fertilizer did not interact significantly to nutrient uptake by any plant parts of intercropped maize and sweet potato. But application of N fertilizer independently enhanced N uptake in all the plant parts of maize and sweet potato. The uptake of N in leaf, leaf sheath, stem, husk, and cob of maize increased upto 90 days after planting (DAP) but grain continued to accumulate N till its maturity. Sweet potato exhibited a wide variation in N uptake pattern. Sweet potato leaf shared the maximum uptake of N at 50 DAP which rapidly increased at 70 DAP and then declined. Declination of N uptake by petiole and stem were observed after 120 DAP whereas N uptake by tuber increased slowly upto 90 DAP and then rapidly till harvest. Rate of applied K had very little effect on the uptake patterns in different components of intercropped maize. Pattern of K uptake by leaf, petiole and stem of sweet potato showed almost similar trend to N uptake. But uptake of K by tuber increased almost linearly with the K application. Pattern of N and K uptake by grain and tuber paralleled the grain yield of maize and sweet potato respectively. Intercropped productivity of maize and sweet potato found to be better by the application of 100kg N and 120 kg K2 O ha-1
        329.
        2001.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색고구마 색소 농축액의 유동특성을 원뿔형 회전점도계를 사용하여 가용성 고형분의 농도 25-65% 및 온도 20-6의 범위에서 조사하였다. 자색고구마 색소 농축액은 뉴톤성유체의 특성을 나타냈다. 자색고구마 색소 농축액의 점도의 온도에 대한 영향은 Arrhenius 식을 따랐으며, 활성화에너지는 14.23-43.00 kJ/mol로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직선적으로 증가하였다. 자색고구마 색소 농축액의 점도와 온도 및 농도에 대한 관계를 조사한 바,
        330.
        2001.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구마의 품종육성 및 재배법개선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Source와 sink의 차이가 있는 율미, 신율미, 건미, 홍미 및 선미의 고구마 5품종을 공시하여 시비량을 달리하여 재배하고, 괴근중 증가 전기에 경엽을 절제하였을 때의 source와 sink의 상호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각 품종들의 시비량과 경엽 절제비율에 의한 경엽중과 괴근중의 반응이 동일하지 않았다. 2. 경엽중은 다비할수록 많았으며, 품종별로는 신율미〉선미〉홍미 〉건미〉율미 순서였다. 괴근 수량은 질소-인산-가리=60-70-190kg/ha 시비량에서 가장 많았으며, 선미가 가장 많았고, 건미는 가장 적었다. 3 경엽 절제비율이 적을수록 경엽과 괴근수량이 많은 경향이었다. 질소-인산-가리=20-30-90kg/ha 시비량의 50%절제까지는 경엽중이 많을수록 괴근중이 증가되었으며, 경엽 절제비율이 많을 수록 경엽과 괴근 수량의 차이가 적었고, 총건물 수량은 증비 할수록 많았다.
        331.
        2000.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단감의 수확 및 저장 중에 발생한 불량과실을 이용할 목적으로 분말화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본 실험을 행하였다. 일반성분 조성은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의 순으로 열풍건조 처리구는 0.9-1.1%, 15.0-39.0%, 2.3-3.3%이었으며, 동결건조 처리구는 1.3-2.2%, 27.0-49.0%, 2.5%로 나타났다. 무기성분 조성은 열풍과 동결건조 처리구 모두 potassium, magnesium, phosphorus; calcium, so
        332.
        2000.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식용유지에 대한 고구마 추출물의 항산화능을 검토하기 위하여 linoleic acid와 돈지에 70% methanol 고구마 추출물을 가하여 에서 저장하면서 POV를 측정하여 항산화능을 비교하였으며, 고구마 항산화 성분을 추출하여 HPLC를 이용하여 정성, 정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70% methanol 고구마 추출물의 항산화능은 목포18이 율미보다, 껍질부위가 속부위보다 강한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고구마 페놀화합물 3개 분획 중
        333.
        200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은어의 자성발생 2배체를 유도하기 위해 자외선에 의한 정자의 유전적 불활성화 및 수정 난의 제 2감수분열과 제 1난할을 저지하기 위한 조건을 검토했다. 정자에 3,000~14,000 erg의 자외선을 조사하였는데 그 결과 3,000 erg를 조사한 시험구에서 89.3%의 높은 생존율을 보였으나 선량이 증가될수록 생존율이 저하했으며 7,000 erg의 자외선을 조사했을 때 생존율이 다시 회복되었다. 따라서 은어의 자성발생 2배체 유도시 정자를 유전적으로
        334.
        200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초당옥수수의 등숙시기에 따른 종실의 형태적 특성 및 당, 전분, 단백질함량 등 종실 저장양분의 변화를 조사하고 이들이 발아에 미치는 영향들을 분석하여 양질의 종지생산을 위한 적절한 종자 수확시기를 구명하여 초당옥수수의 가장 큰 문제점인 저조한 발아율을 향상시키고 양질의 F1 종자를 생산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초당옥 1호를 공시재료로 시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종실의 생체중과 건물중은 수분후 25일까지 증가하다가 그 이후에는 감소하거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전분함량은 수분 후 25일까지 급격히 증가하며 건물중은 전분함량과 정의 상관을 보이므로 수분후 25일경에는 저장양분의 축적이 거의 완료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2.종실의 수분함량과 종실에서 배유가 차지하고 있는 비율은 수분후 25일부터 급격한 감소추세이고 수분함량은 종실경도, 전분함량, 발아율과 부의 상관을 보였다. 3. 종실의 총당함량은 수분후 39일까지 급격하게 감소하였고 그 이후에는 변화가 없었으며 단백질 함량은 생육후기로 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지만 변화의 정도가 미미하여 발아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사료되었다. 4. 유묘의 길이는 종실경도, 전분함량 및 발아율과 정의 상관을 보였고 종실의 수분함량, 배유비율 및 총당함량 등과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5. 초당옥수수의 흑색층은 종자 수확시기를 판단하는 기준으로는 부정확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6. 수분후 39-46일에 수확된 종실은 70% 이상의 발아율을 나타냈다. 특히 수분후 39일경에 발아율이 94.7%로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이때의 종실의 수분함량은 46.6%, 종실에서의 배유비율은 64.2%, 총당함량은 5.9%이고 전분함량은 24.2%였던 것으로 볼 때 양질의 종자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조숙종의 경우 종실의 수분함량 등을 고려하며 수분후 39일경에 종자수확을 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사료된다.cine, aspartic acid, leucine 및 Iysine으로 57.58%를 차지하였다. 때 정자수는 각각 77.4± 3.2~90.9± 3.4 106m , 78.0± 3.3~105.0± 4.2 106m , 76.2± 2.8 ~84.4± 3.5 106m , 75.4± 3.3~80.2± 3.3 106m 이었다. 4. Dioxin 30 ug/kg을 5일간 연속투여 후 녹차, 홍삼, 구기자, 오메 추출물을 격일로 3주간 투여했을 때 정자활력은 대조군의 119.3± 3.4~120.2± 4.7 106m 와 93.0± 3.5~96.1± 3.5%에 비해 홍삼추출물 투여군에서는 회복이 현저하였고(p<0.05), 녹차는 다음이었으며, 구기자, 오메는 회복이 미미하였다. 5. Dioxin 30 ug/kg을 5일간 연속투여 후 녹차, 홍삼, 구기자, 오메 추출물을 각각 격일로 3주간 투석했을 때 정소중량은 대조군의 0.15± 0.01~0.16
        335.
        200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ermination of sweet and super sweet corn is lower than normal corn due to the higher sugar and lower starch contents of kernels. Sweet corn seeds are easily deteriorated in the field under the unfavorable condition,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identify the optimal harvesting time for seed production. This trial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sponses of germination percentage of shrunken-2(sh2), brittle(bt), sugary(su), and sugary enhancer(se) hybrids in relation to harvesting dates. Eight hybrids of four different gene sweet corns were harvested at 15, 20, 25, 30, 35, 40, 45, and 50 days after silking(DAS). Germination test was performed using paper towel method. Mean germination percentages across eight hybrids showed the highest value at 45 DA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enes and within gene for germination. Shrunken-2 hybrid Mecca was higher than su hybrids for germination, indicating that sh2 would not be poorer than su Late harvesting beyond the optimal harvesting date might not be desirable because of more lodging and ear rots. Theoretical optimal harvesting date estimated from the regression equation was 40.9 DAS, however, practical date for harvesting would be a few days later than the estimated date if seedling vigor might be considered. Kernel dry weight per ear showed similar response to germination. Regression equation showed the highest kernel dry weight at 40.7 DAS.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kernel dry weight and germination were observed, impling that kernel dry matter accumulation would be an important factor for germination.
        336.
        1999.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섬유질이 풍부하고 enthocyanin색소가 풍부한 자색 고구마를 이용하기 위하여 탈지유와 설탕이 들어있는 기본배지에 증자, 박피한 고구마를 첨가한 후 5종(Lactebacillus bulgaricis, Lactobacillus delbruchii sub. sp. lactis, Streptococcus lactis, Bifidobacterium bifidum, Leuconostoc lactis) 의 젖산균주를 배양, 접종하여 호상 요쿠르트를 만들
        337.
        199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구마의 품종육성 및 재배법개선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Source와 sink의 차이가 있는 율미, 신율미, 건미, 홍미 및 선미의 고구마 5품종을 공시하여 재식밀도를 달리하여 재배하고, 괴근중 증가 전기에 경엽을 절제하였을 때의 source와 sink의 상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각 품종들의 재식밀도와 경엽 절제비율에 의한 경엽중과 괴근중의 반응이 동일 하지 않았다. 2. 단위 면적당 경엽중은 밀식할 수록 많았으며, 품종별로는 신율미〉선미〉홍미〉건미〉율미 순서였다. 단위 면적당 괴근 수량은 75×20cm재식밀도에서 가장 많았으며, 선미가 가장 많았고, 건미는 가장 적었다. 3. 경엽 절제비율이 적을 수록 경엽과 괴근수량이 많은 경향이었다. 75×10cm와 75×20cm재식밀도의 50%절제까지는 경엽중이 많을 수록 괴근중이 증가되었으며, 경엽 절제비율이 많을수록 경엽과 괴근 수량의 차이가 적었고, 75×20cm재식밀도에서 괴근과 총건물 수량이 많았다. 4. 75×10cm와 75×20cm재식밀도에서는 source와 sink의 증감은 상보적이었으나, 75×30cm에서는 그 정도가 적었다.
        338.
        199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determine the optimum harvest time of vegetable corns, the changes in sugars, soluble solids, and flavor of kernels of sweet (cv. ‘Golden Cross Bantam 70’), super sweet (cv. ‘Cocktail E-51’), and waxy corns (cv. ‘Chalok 2’) were observed at different ripening stages. Sucrose was a major sugar in the sweet and super sweet corns and the content increased from 15 to 21 and 27 days after silking (DAS), respectively and then decreased. Glucose and fructose contents of sweet and super sweet corns tended to decrease with kernel maturity. Total sugar content of the sweet corn analyzed by the anthrone method increased rapidly from 15 to 21 DAS, while that of the super sweet and the waxy corns increased slowly up to 24 and 26 DAS, respectively and decreased thereafter. The content of soluble solids in sweet corn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super sweet corn. Starch content of the sweet corn increased slowly from 15 to 33 DAS, while that of the super sweet corn increased a little rapidly from 15 to 21 DAS and then leveled off to 33 DAS. Starch content of the waxy corn increased continuously from 21 to 38 DA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um of individual sugars (sucrose, glucose, and fructose) and soluble solids in both sweet and super sweet corns, while the content of soluble solids was not related to the sum of individual sugars or total sugars. The flavor rate of sweet and super sweet corns maintained high between 21 and 27 DAS and that of waxy corn decreased from 24 to 33 DAS. The optimum harvest time for sweet, super sweet, and waxy corns was thought to be 21 to 24 DAS considering sugar and starch contents, flavor, and marketing.
        340.
        1998.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purees from pumpkin and sweet-pumpkin. Soluble solids in pumpkins were increased as heating time increase. The maximum yield of puree from sweet-pumpkin marked 78.2% when in prepared at 121 for 60 minutes heating, but puree from pumpkin was 53.2% at 121 for 40 minutes heating. Soluble solid and yield of pumpkin purees were increased with enzyme treatment. but viscosity was deceased remarkably. Hunter's a and b values of puree from sweet-pumpkin were higher than puree from pumpkin, and it was considered due to higher content of carotenoid. Organoleptic qualities of puree from pumpkin and sweet-pumpkin were investigated by 5-point scale and the most effective heating time was 40 minutes at 121.
        16 17 18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