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16

        347.
        2018.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ammalian oocytes are sensitive to psychological stress at each period of follicular development. Especially, thermal stress interfere with reproductive condition by inducing form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oxidative stress (OS). ROS lead to oocyte apoptosis, weakening oocyte quality and lowering the fertilization rate. As a result, the pregnancy rate is lowered, leading to infertility. Thermal stress also seems to influence zygotes through physiological changes in the maternal environment surrounding them. Loss of developmental competence suggests hyperthermia-induced oxidative stress in embryos. Interest in organic Lonicera caerulea berries has increased in recent years. They are abundant in various health-improving materials. Berries that found from natural products can be as free as possible from the bioactive toxicity of the active ingredient without side effects, and it can be a big advantage because it can work. Mammalian oocytes are arrested at the first meiotic prophase stage and get their meiotic competence to produce offspring during the development of follicle. A series of nuclear and cytoplasmic maturations are involved in this process and these vary in temperature sensitivity. Our study demonstrated that L. caerulea can relieve the negative effects of maternal hyperthermia by reducing ROS level at the developmental stage.
        349.
        201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내산 버찌가 수입산인 아로니아와 마키베리의 일반성분과 항산화 활성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함으로써 새로운 식품소재 개발에 도움을 주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버찌는 수분이 6.71%, 조단백질이 4.61% 및 조회분이 5.33%로 나타나 아로니아와 마키베리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조지방 함량의 경우 버찌는 1.46%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다. 또한, 100 g당 철의 함량은 버찌에서 0.96 mg으로 다른 베리류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탈 이온수 추출물의 경우 아로니아와 마키베리에 비해 버찌에 2.07 QE mg/g으로 가장 높았으며, 버찌의 FRAP 환원력(156.50 TEAC μmol/g)은 탈 이온수 추출물의 경우 아로니아(121.72 TEAC μmol/g)에 비해 높은 수치를 보였다. 버찌의 탈 이온수 추출물의 경우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아로니아에 비해 높았다. 또한, ABTS 라디칼 소거활성과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의 EC50 value는 버찌의 에탄올 추출물과 탈 이온수 추출물이 아로니아와 마키베리에 비하여 대단히 높은 ABTS 소거활성과 DPPH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버찌는 우리나라 전역에서 쉽게 채취할 수 있고, 가격이 저렴하며, 항산화 활성과 철 함량이 아로니아나 마키베리에 뒤쳐지지 않는다. 따라서 국내산 버찌를 기능성 식품의 재료로 활용하는 다양한 제품생산의 방안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4,000원
        350.
        201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장어의 과산화 억제를 위해 월계수잎, 총백, 헛개열매, 녹차를 시판 소주(30°)를 용매로 하여 추출한 것을 시료로 사용하였다. 장어 250 g에 5 g의 주정 추출물을 장어 전체에 고루 바른 후 35℃ 15시간 열풍건조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주정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DPPH 소거 활성 실험, 반건조 장어의 산가, 과산화물가, 리놀레산 및 장어유 과산화 지연반응을 통해 확인하였다. DPPH 소거 활성이 가장 높았던 것은 녹차 추출물이었으며, 다음으로 활성이 높았던 것은 월계수잎, 헛개열매 추출물이었다(p<0.05). 21일 동안 냉장보관한 장어의 산가 측정에서 헛개열매 추출물로 처리한 경우, 산가가 가장 낮았으며, 다음으로 녹차 추출물로 처리한 경우의 산가가 낮았다. 유리지방산 생성 억제 효과와 유사하게 헛개열매, 녹차 추출물이 장어의 열풍건조 동안 초기 과산화물 생성을 억제하고, 냉장보관 21일 동안 반건조 장어의 과산화물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종의 주정 추출물들은 반응 20일 동안 리놀레산의 과산화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응 20일 동안 장어유의 과산화를 지연시킨 효과가 높았던 것은 헛개열매와 녹차 추출물이었으며, 다른 추출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장기간 안정적으로 장어유의 과산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장어의 건조 전 전처리에 헛개열매와 녹차 주정(30° 소주)추출물을 적용하는 것은 장어의 건조 및 반건조 장어의 냉장보관 중의 과산화를 지연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351.
        201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예로부터 조리 없이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올벼쌀을 푸딩으로 제조한 후에 항산화 활성과 품질 특성을 평가하여 다양한 가공식품으로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올벼쌀 첨가 푸딩의 수분함량, 탁도, 당도, 염도, pH 등을 측정한 결과는 수분햠량과 pH는 올벼쌀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이 가장 높았고(p<0.001), 탁도와 당도는 올벼쌀 100% 첨가군이 가장 높았으며(p<0.001), 염도는 100% 첨가군이 가장 낮았으나, 올벼쌀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과 올벼쌀 75 % 이하 첨가군 간에 염도 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도에서는 명도인 L값(p<0.001)과 적색도인 a값은 올벼쌀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이 가장 높았고, 황색도인 b값(p<0.001)은 올벼쌀 100% 첨가군이 가장 높았다. 기계적 조직감 측정에서는 올벼쌀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경도(p<0.001), 탄력성(p<0.01), 씹힘성(p<0.001)은 감소하지만, 부착성(p<0.01)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올벼쌀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응집성는 증가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벼쌀 첨가 푸딩의 관능검사 결과에서 외관(p<0.05), 향(p<0.05), 맛(p<0.01), 조직감(p<0.001), 전반적인 기호도(p<0.001)는 올벼쌀의 첨가량 증가에 따라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올벼쌀 100% 첨가군이 모든 관능적 특성에서 가장 좋은 기호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올벼쌀 첨가 푸딩의 항산화 활성에서는 올벼쌀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DPPH 라디칼과 superoxide anion 라디칼 소거활성, 환원력 등의 항산화 활성이 모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 0.001).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에 관능검사 결과에서 가장 기호도가 높고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난 올벼쌀 100% 첨가군으로 푸딩을 제조하는 것이 가장 기호도가 높으면서 품질과 기능성이 우수한 쌀 푸딩을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다만, 본 연구에서는 올벼쌀에 조리 시 호화 특성에 대한 선행연구가 부족하여 수침 시 증가하였던 수분함량이 푸딩으로 제조 시 감소하는 것에 대해서 명확하게 규명하지 못하였으므로 향후 올벼쌀의 다양한 식품 모델 연구를 통해 조리과정에서의 올벼쌀의 변화에 대해서 연구하면 올벼쌀을 가공식품으로 개발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4,200원
        352.
        201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valu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cookies prepared with different amounts (0, 3, 6, 9%) of hibiscus powder. The pH of cookie dough decreased as the amount of hibiscus powder increased. Additionally, the moisture content and spread factor were higher in groups containing hibiscus powder than in the control groups. Furthermore, the L-value decreased with increasing hibiscus powder, while the a-value increased. The incorporation of hibiscus powder into cookies decreased hardness. Additionally, consumer acceptance testing revealed that the addition of up to 6% hibiscus powder was desirable in terms of overall acceptability. The total phenol content of the control groups was 12.32 mg GAE/100 g, while the levels in the groups containing hibiscus powder ranged from 23.32 to 59.86 mg GAE/100 g. Finally,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creased with increasing hibiscus powder level. Taken toge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amending cookies with 6% hibiscus powder can improve antioxidant activities without affecting sensory quality.
        4,000원
        353.
        201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3가지의 배추과 작물의 새싹에서 적색(R)과 원적외선(FR)광에 초점을 맞추어서 glucosinolate(GSL), 총 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비타민 C 함량,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제한된 환경조건에서 5일된 새싹에 3가지의 R/FR비율을 2일동안 24시간 노출시켜 식물화학물질과 항산화활성을 대조군[형광등, R:B(8:2), 암조건]과 비교하였다. 총 GSL 함량은 각 처리 기간 동안 3가지의 작물 중 브로콜리에서 가장 높았으며, 브로콜리 새싹에서 R/FR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총 GSL 함량이 감소하는 반면 배추와 무의 새싹에서는 유의하지 않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배추 및 브로콜리의 주요 GSL인 progointrin은 대조군에 비해 R/FR 비율이 감소함에 따라 최대 38%, 69%까지 감소하였다. 3가지 배추과 새싹에서 페놀, 플라보노이드 및 비타민 C의 함량 모두 암조건에서 가장 낮았다. 총 페놀 및 항산화 활성은 3가지 배추과 새싹에서 R/FR 비율이 감소할수록 증가하는 반면, 총 플라보노이드와 비타민 C 함량은 작물 간 다른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FR의 보광에 따라 배추과 새싹의 기능적 품질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354.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Royal jelly (RJ) is a well-known functional and medicinal food for human health promotion. Major royal jelly proteins (MRJPs), which are the major protein components in RJ, exhibit antimicrobial activities. However, the identities of the MRJPs of RJ responsible for its antioxidant effects have remained unclear. Here, we report that honeybee (Apis cerana) MRJP 2 (AcMRJP2) acts as an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gent in RJ. Using recombinant AcMRJP2, which was produced in baculovirus-infected insect cells, we established the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roles of MRJP 2. AcMRJP2 bound to the surfaces of bacteria, fungi, and yeast, which then induced structural damage in the microbial cell walls and led to a broad spectrum of antimicrobial activities. AcMRJP2 protected mammalian and insect cells via the direct shielding of the cell against oxidative stress, which led to reduced levels of caspase-3 activity and oxidative stress-induced cell apoptosis, followed by increased cell viability. Moreover, AcMRJP2 exhibited DNA protection activity against reactive oxygen species (ROS). Our data indicate that AcMRJP2 could play a crucial role as an antimicrobial agent and antioxidant in RJ, suggesting that MRJP 2 is a component responsible for the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RJ.
        355.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enebrio molitor beetles have been widely used in traditional and folklore medicines to treat various human diseases worldwid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nine compounds that were extracted from T. molitor adults and their 64 related compounds using a 2,2-diphenyl-1-picrylhydrazyl assay.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ree positive controls, ascorbic acid,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and 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Based on IC50 values, linolenic acid (77.65 μM) was the most potent antioxidant and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is compound was higher than that of either ascorbic acid, BHT or EGCG. The antioxidant activity of protocatechuic acid (IC50, 153.68 μM) and ascorbic acid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The antioxidant activity of catechin (IC50, 192.32 μM) was higher than that of either BHT or EGC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compounds was examined using their IC50 values and the values of the physical parameters (molecular weight (MW), log P, and molecular refraction (MR)) for the 41 fatty acids (R2 = 0.729 (P = 0.031)) and 29 flavonoids (R2 = 0.521 (P = 0.054)). Correlation coefficient (r) analysis showed that MW, log P, and MR may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IC50 of the fatty acids (MW, r = 0.743; log P, r = 0.642; and MR, r = 0.815) and IC50 of the flavonoids (MW, r = 0.642; log P, r = 0.495; and MR, r = 0.643). Further studies will warrant possible applications of T. molitor adults as an antioxidant.
        356.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different exercise intensities on biomarkers of oxidant-antioxidant balance, inflammation, and muscle damage. Eighteen healthy and untrained male subjects were enrolled.Subjects were randomly and equally assigned to a moderate-intensityexercise(MIE, 65%VO2max) group(n=9) or a high-intensity exercise(HIE, 85%VO2max) group(n=9).Blood samples were collectedimmediately pre-exercise, post-exercise, and 60min post-exercisetoexamine oxidant-antioxidant balance(d-ROMs; BAP), inflammation(CRP; fibrinogen), muscle damage(CK; LDH), and lactate. Serum d-ROMs and BAP leve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post-exercise compared with pre-exercise levels in HIE group(p<0.05). Lactate leve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post-exercise compared pre-exercise levels in both the MIE and HIE groups(p<0.05). In addition, post-exercise serum d-ROMs and plasma lactate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IE group than in the MIE group(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although relatively high-intensity exercises may increase oxidative stress levels in the body, they do not produce inflammatory response and/or muscle damage.
        4,000원
        357.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70 % 에탄올 추출물에서 추출한 Water Chestnut의 항산화, 항 염증 및 방부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RAW 264.7 세포를 사용하여 조사한 마름열매 추출물의 독성은 세포 생존율의 90 % 이상을 나타내었으며 폴리페놀 추출물의 총 함량은 353.1 ± 5.6 ㎎ / g이었고 플라보노이드 총 함량은 26.2 ± 1.4 ㎎ / g이었다.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한 1, 1-diphenyl-2-picryl-hydrazyl(DPPH) 라디컬 감소는 마름 열매 추출물 농도 1 ~ 1000 (㎍ / ㎖)범위에서 각각 17.0 ± 2.8 % ~ 88.6 ± 0.6 %의 감소효과를 보였고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ABTS) 라디칼의 제거 범위는 각각 2.3 ± 0.8 % ~ 93.9 ± 0.2 %였다. 활성 산소종 (ROS)에서의 효과는 1, 10, 100 (㎍ / ㎖), 100 ㎍ / ㎖ 농도에서 p <.01의 유의 한 감소를 보였다. 1, 10, 100 (㎍ / ㎖) 농도의 Nitric Oxide (NO) 생성량을 측정 한 결과, 유의 한 (p <.001, p <.01)의 감소가 나타났다. 미생물에의 방부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페이퍼 디스크를 사용하는 항 박테리아 기능과 페트리 필름을 사용하는 방부제 특성에 대해서는 유의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4,000원
        358.
        201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과 생산성이 우수한 신품종 으뜸도 라지를 이용하여 알코올 발효액을 제조한 다음 식초로 발 효시켜 품질 특성과 항산화능 및 관능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발효 완료 후 식초의 최종 pH는 2.98~3.03이었으며, 발효 기 간이 증가함에 따라 pH도 서서히 증가하였으나, 도라지 첨가 량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식초의 가용성 고형물 함량 측정 결과, 발효 2일차부터 가용성 고형물 함량이 서서히 감소하여 발효 완료 16일째까지 점차적으로 감 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최종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3.07~3.40 Brix%로 측정되었다. 식초의 잔류 알코올 함량 측 정 결과, 발효가 진행됨에 알코올 함량은 점차 감소하여 최종 발효 후 알코올의 함량은 0.83~0.90%로 측정되었으며, 으뜸 도라지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미미하게 잔류 알코올의 함량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산도 측정 결과, 발효 시작 부터 발효 완료일인 16일차까지 산도는 점차 증가하여, 최종 산도는 6.66~7.21로 측정되었으며, 으뜸도라지 첨가 농도가 증가할수록 산도는 낮게 측정되었다. 최종 발효가 완료된 식 초의 발효 수율을 살펴본 결과, 무첨가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 으며, 그다음으로 1.5% 으뜸도라지의 첨가군의 발효 수율이 높게 측정되었다. 발효가 완료된 으뜸도라지 식초의 총 페놀 함량을 측정한 결과, 으뜸도라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총 페놀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DPPH 자유라디칼 소거능 또 한 으뜸도라지 첨가 비율이 증가할수록 항산화능이 증가하 였다. 으뜸도라지 첨가 농도에 따른 식초의 관능평가 결과, 으뜸도라지 1.5% 첨가군이 전반적인 기호도, 향, 맛에서 가 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으뜸도라지를 첨가 하여 식초를 제조할 경우, 총 폴리페놀 함량 및 항산화능을 증가시켜 기능성을 높임은 물론 도라지 특유의 향취로 인해 관능적 기호도를 높여 식초의 전반적인 기호도를 향상시키 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359.
        201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맥문동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유기용매별에 따른 항산화성 물질을 측정하기 위해 맥문동 열매를 methanol, ethyl acetate, methylene chloride로 추출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 electron donating ability(EDA), super-oxid radical과 hydrogen peroxide 제거능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총 폴리페놀 함량은 70% methanol 추출물에서 7,253.50±335.43 μg GAE/mL로 나타났고, methylene chloride는 1,239.77±9.30 μg GAE/mL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ethyl acetate는 105.44±2.04 μg GAE/mL, methanol은 919.30±50.83 μg GAE/ mL로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 함량 차이는 유기용매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2. DPPH에 대한 전자공여능 측정에서 70% methanol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69.17±12.61%로 나타났고, 극성을 달리한 추출용매에서는 methylene chloride로 분획한 분획물이 33.11±1.7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methanol 추출물 methylene chloride 추출물 20.16±1.04%, ethyl acetate 추출물 5.19±2.59%로 methylene chloride 분획물이 세 용매 중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전체적인 분획물에서의 전자공여능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기용매별 전자공여능은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p<0.05). 분획한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이 분획하기 전보다 높은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는데, 분획에 의한 전자공여능 저해 물질의 분리에 의한 것인지 혹은 전자공여능 물질의 농도 증가에 의한 것인지는 추후 규명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3. Superoxide radical 제거능은 맥문동 추출 원액에서 0.0174±0.0007, methylene chloride 분획물 0.0164±0.0007, ethyl acetate 분획물 0.0172±0.0007, methanol 분획물 0.0171±0.0003, hydrogen peroxide 제거에 관한 실험 결과는 원액에서는 0.0985±0.1021, methylene chloride 분획물 0.0896±0.0893, ethyl acetate 분획물 0.0115±0.0085, methanol 분획물 0.0170±0.0180으로 유기용매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Methylene chloride 분획물에서는 hydrogen peroxide 제거가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에, superoxide anion radical의 생성은 서로 상반된 결과를 보였고, 이에 대한 규명을 위하여 methylene chloride 분획물의 분리와 분리된 물질의 성분 분석, 그리고 각 성분 물질의 superoxide anion radical 제거능과 hydrogen peroxid 제거능 실험 결과에 따른 분석으로 상반된 결과에 대한 규명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360.
        201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고조리서에 나온 용안육 다식의 제조방법을 토대로 현대인의 입맛에 맞게 0%, 25%, 50%, 75%, 100% 비율로 배합비를 변형시켜 다식을 제조한 후에 항산화 활성과 품질 특성을 평가하였다. 용안육 다식의 수분함량과 pH는 용안육을 첨가할수록 감소하였고(p<0.001), 당도는 증가하였다(p<0.001). 색도는 용안육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인 L값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반면에 적색도인 a값과 황색도인 b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01). 기계적 조직감은 용안육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경도, 부착성, 응집성, 탄력성, 씹힘성 등이 모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관능검사에서는 색, 향, 맛, 조직감,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용안육을 50% 첨가하는 것이 가장 기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1). 항산화 활성 결과에서는 총 페놀 함량과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환원력, superoxide anion 라디칼 소거능 모두 용안육 첨가군이 무첨가군보다 항산화 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1).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에 용안육을 50% 첨가하여 다식을 제조하는것이 전반적인 기호도가 가장 높으면서 품질 특성과 항산화 활성이 우수할 것으로 보여진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