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46

        361.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s practical and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the field, focusing on the integrated language and culture classes in the Arabic curriculum of secondary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methods of integrative teaching-learning of the Arabic language and culture to develop learners’ communicative ability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context of culture for Arabic secondary education students. With a high school textbook Arabic I, the current study present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convergence of language and culture. The educational values of secondary language learners in the integrated language and culture class are as follows. First, the target language can be learned from the sociocultural perspective. Second, we can train creative and convergent human resources. Third, discourse ability is improved. Fourth, intercultural competency is improved. This study is of academic value because it has not been previously studied in the field of the Arabic education. Field research can serve as a guide to instructional research.
        4,800원
        362.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교정시설의 목적인 교정교화를 위해 필수불가결한 학습권이 수용 자에게 보장되어온 역사를 판례를 통해 분석하는 것이다. 과거 형무소(刑務所)에서 수 용자는 형벌의 대상이었지만 교육형주의를 표방하는 교도소(矯導所)에서 수용자는 변화의 가능성을 가진 주체로 인식된다. 따라서 교정시설의 목적인 교정교화(矯正敎化) 를 위해서는 수용자의 다양한 권리 가운데 학습권의 보장이 매우 중요하다. 교정교화 와 학습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들 역시 교정시설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의 효과나 운 영 방안 모색 등을 통해 학습권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수용자 학습권에 대한 심화 이해는 교정교화의 원리와 가능성에 대한 탐색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 수용자 학습권 판례는 교육받을 권리, 읽을 수 있는 권리, 쓸 수 있는 권리로 구분 되었다. 각각의 판례에는 쟁점에 기초하여 수용자 학습권을 제한하거나 확대하는 논리를 담고 있었다. 쟁점은 크게 교정시설의 목적, 학습경험에 대한 인식, 그리고 학습자로서 수용자에 대한 인식으로 구분되었다. 수용자 학습권은 시대에 따라 확장되었지만 여전히 제한될 수 밖에 없는 논리는 질서유지라는 관리 목적이 교정시설에 강하게 붙박여 있기 때문이었다. 교정교화가 교정시설의 궁극적인 목적이라면 수용자의 학습권은 체계적으로 가능한 충분히 보장되어야 한다. 수용자 학습권에 대한 이해는 수용자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더불어 수용자의 학습에 중요한 조건에 대한 실천적 탐 색을 필요로 한다.
        6,400원
        363.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learner-directed debriefing based on the clinical judgement model (LDCJM) on nursing student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elfdirected learning, problem-solving ability, and debriefing experience after simulation. Method: This study used a quasi-experimental design with 38 sophomore nursing students from one university. They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n=20) and a control group (n=18).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Chi-square, the Mann-Whitney U-test, and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using the WIN SPSS 22.0 program.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that had participated in the LDCJM indicated significantly higher self-directed learning (U=23.50, p<.001), problem-solving ability (U=94.50 p=.011), and debriefing experience (U=87.00, p=.006)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LDCJM is an effective learning strategy to improve self-directed learning, problem-solving ability, and debriefing experience. Further study is need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various debriefing skills.
        4,600원
        364.
        201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국내 학습장애를 대상으로 한 중재와 그에 따른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을 통해 학습장애 중재에 대한 근거를 마련 하고, 작업치료 분야에서의 학습장애 중재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문헌 검색은 2014년 5월부터 2019년 5월까지 5년간의 연구를 포함하였다. 데이터베이스는 KISS, RISS를 사 용하였고, hand searching을 통해 추가로 문헌을 찾았다. 검색어는 “학습장애” AND “중재 OR 교수 OR 전략 OR 학습 OR 교육”을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7편의 문헌을 선정하였다. 결과 : 총 7편의 문헌에서 적은 수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단일대상연구들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그리고 사용된 중재의 종류는 쓰기 3편, 읽기 2편, 과학 2편으로 쓰기 중재가 가장 많았다. 각각의 중재는 철자의 정확도, 문장의 이해도, 과학 성취도에 효과적이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학습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작업치료의 중재, 대상자, 평가도구 및 효과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고, 임상과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365.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BSC model of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was developed using balanced scorecard suitable for non-profit organization. Firstly, relevant literature surveys and evaluation indicators of various CTL and institution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Next, a draft BSC model was designed through interviews of specialists. Lastly, the BSC model was proposed by verifying the content validity of the evaluation model by conducting two Delphi surveys. The BSC model of CTL has 4 perspectives: resource, customer, internal process, learning and growth, 9 critical success factors: 2 factors in resource, customer and learning and growth perspectives, 3 factors in internal process perspective, and 23 key performance Indicators: 4 indicators in resource and learning and growth, 7 indicators in customer perspective, 8 indicators in internal process perspectiv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through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proposed BSC model showed an evaluation model suitable for a non-profit organization. Second, the BSC model was linked to the organization’s mission and vision. Third, it could contribute to the long-term development of CTL. Lastly, if it could be applied to management, and evaluated, it is expected to play a role of providing basic data for the budget support and spread of the university.
        4,000원
        366.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선진국을 중심으로 소프트웨어(SW)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는 계속 쏟아져 나오고 있다. 단순히 프로그래밍 언어를 습득한다는 개념을 넘어서서 논리적 사고력, 문제 해결력 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한 SW 교육은 SW 교육 플랫폼을 중심으로 다양하게 개발, 연구되어 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를 활용한 SW 학습 플랫폼을 SW 교육을 처음 접하는 학습자들에게 적용하여 SW 교육 플랫폼의 중요성과 효과적인 SW 교육 플랫폼의 요소에 대해 고찰하고 학생들의 동기부여와 참여도를 높이기 위해 게임화 된 학습의 필요성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4,000원
        367.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 출시된 중국어 학습 기능성 게임 및 관련 학술 연구는 많지만 대부분 스마트폰 플랫폼에서 수행되었으며 VR플랫폼 기반 학술 연구와 게임 개발이 많지 않다. 그러나 현재 VR기능성 게임은 가상현실 공간의 몰입적 체험이 학습효과를 확실히 높일 수 있다는 연구가 이미 존재한다. ‘Classroom Simulation’은 가상현실 공간의 시뮬레이션 강의실에서 수업과 게임을 하는 중국어 일상어를 배우는 기능성 게임이다. 이 게임은 중국어 초보자와 중국으로 여행을 가려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이들이 중국어 일상어를 알아듣고 말할 수 있는것을 목적으로 개발하였다. 이러한 단일적 교육 목적으로 본 연구는 맞춤형 게임 시스템 설계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중국어 일상어 교육용 기능성 게임을 구성하기 위하여 시뮬레이션 강의실과 교사를 구현하였으며 3가지 레벨의 게임플레이 설계에 대해서 소개하였다. 이 게임의 교육 효과와 효율성, 오락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12명의 실험자를 선발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이 게임의 교육 효과와 효율성이 입증된 반면 게임 시나리오와 게임플레이 등 오락성 측면에서 미흡하다고 나타났다. 실험과 결과 분석을 바탕으로 개선 방안에 대해 검토했으며 향후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4,000원
        371.
        201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람을 이해하는데 가장 기초가 되는 것은 사람의 뇌이다. 사람의 뇌가 어떻게 진화하고, 작동되는지를 알면 사람의 마음과 행동을 좀 더 정확하게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람의 뇌에서 생각하는 인지사고특성이 학습양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코칭리더십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소재 중학교 학생 27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후 AMOS 22.0을 이용하여 MSEM(다중집단 비교분석)등을 이용 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개인의 인지사고 특성에 따라 학습양식과 코칭 리더십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코칭 리더십 유형에 따라 학습양식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개인의 인지사고특성 중 추상적사고와 학습양식과의 관계에서 코칭 리더십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한다. 첫째, 뇌과학이 강조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신경심리 기반 개인의 인지사고특성을 고려한 학습양식과 코칭 리더십의 연구는 매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둘째, 개인의 인지사고특성에 따라 선호하는 학습양식이 다르고, 코칭 리더십에 유의한 차이를 미치고 있으므로 개인 인지사고특성을 고려한 학습방식과 코칭 리더십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학교현장에서 적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5,500원
        372.
        201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ntemporary University students are considered the Z generation who were born after 1995. They are more tech savvy than millennials. To target the generation, traditional class management platforms have evolved to smart LMS that is more customized and accessible for smart devices. Global level information search and collaboration can also be implemented using such smart LMS. However, switching from one LMS to another LMS requires great effort from teachers and support from staffs. This study measured the learners’ perception of the system when they were exposed to a new smart-LMS. Blackboard Learn Ultra was used for 15 weeks and at the end of the semester,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the students of these classes. Results indicated that experience with previous LMS discouraged students from adopting Blackboard Learn. Result of TAM modeling indicated that perceived usefulness, compared to perceived ease of use and attitude, was an effective aspect to bring positive acceptance of the system. A qualitative approach and network analysis were also conducted based on students’ responses. Both positive and negative responses were detected. Inconvenience due to mechanical aspects was mentioned. Dissatisfaction compared to previous local LMS use was also mentioned. Mobile application and communication effectiveness were positive aspects. Revised course development and promoting how useful the system may help enhance the acceptance of the new system.
        4,300원
        374.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중 수교 이래 경제교류가 날로 늘어남에 따라 비즈니스 중국어 학습에 대한 수요가 대두되기 시작하였으나 이에 대한 연구나 분석이 아직 많지 않은 실정이다. 본고는 한국 내의 비즈니스 중국어 수업현황, 학습현황, 비즈니스 교재현황에 대해 검토하였고, 학습자 수요를 파악하기 위해 수요분석 이론과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학습수요를 물질적 수요, 심리적 수요, 비즈니스 중국어에 대한 수요, 교육과정과 평가에 대한 수요 등 네 가지로 재분류 하였다.이러한 분류에 따라 중국어 학습자 총 302명을 대상으로 3년의 시간간격을 두고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 직업별, 중국어 수준 별 학습자 수요는 상이하게 나타났다. 위와 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효과적인 비즈니스 중국어 교육을 위해 교재편찬, 수업설계, 평가에 대해 간략하게 제언을 하였다.
        5,700원
        375.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using movies in an English reading course at the college level.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constructed; 1) How have reading activities through movies affected Korean college students’ reading achievement?, 2) How have those activities affected the students’ attitudes toward English study?, and 3) How have the students responded this movie-used reading class affectively? Thirty two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and a paired t-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two observations, before- and after- scores on the students’ reading achievement and their attitudes toward English study.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showed tha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pre- and post-reading achievement tests, and those reading activities through movies positively affected students’ interest and confidence in English reading. Also, this quantitative result has been verified by qualitative data such as students’ reflective journal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students, that added credibility to the statistical finding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using movies in the classroom attract students’ attention, and provide language learners with live language. Pedagogical implications are also made on the effective teaching of English reading in Korean classroom settings.
        6,300원
        376.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어 문장에 존재하는 공백은 독자가 문장 혹은 단락을 이해하는 아주 중요한 시각적 단서로, 묵독뿐만 아니라 낭독에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와 반대로 중국어 문장에는 단어 경계를 나타내는 공백이 존재하지 않는다. 본 연구는 단어 간 공백이 낭독 유창성과 정 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영향은 중국어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 고찰하였다. 실험은 2(제시 방식: 공백 무삽입, 공백 삽입) X 3(중국어 수준: 초급·중급 학습자, 모국 어 화자) 이원혼합설계로 진행되었다. 참가자들에게 두 가지 제시 방식의 중국어 문장을 낭독하도록 요청하고, Cool Edit Pro 프로그램을 사용해 그 소리를 녹음하였다. 실험 결과, (1) 단어 간 공백은 참가자들의 낭독 유창성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2) 단어 간 공백은 한국인 학습자들의 단어 경계 인식을 제고시켰다. (3) 글자와 단어 식별이 익숙하지 않은 초 급 학습자일수록 낭독 정확성에 대한 공백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5,200원
        377.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ve effects of input-based versus output-based activities on the learning of English unaccusative constructions. A total of 73 high school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two experimental groups and one control group. Of the two experimental groups, the input-based input enhancement group (IE group) experienced a reading passage with the learning targets visually enhanced. The output-based dictogloss group (DG group) performed the dictogloss task with the identical passage given to IE group. The control group (CG group) did not experience the learning targets at all. Results showed that IE group statistically significantly outperformed CG group both at the immediate and the delayed posttests,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E group and DG group. In terms of the generalizability of the learned knowledge, however, it was DG group that outperformed CG group at the immediate posttest. Again,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IE group and DG group. More detailed findings are provided, along with some implications for English classrooms in Korea.
        5,700원
        378.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여러 분야에서의 AI가 빠르게 성장하였고 게임에서도 큰 발전이 있었다. 게임 AI에 대한 접근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먼저 지도 학습 기반 접근 방법은 게임 플레이 데이터에서 학습하고, 플레이 행동을 흉내 낸다. 그러나, 지도 학습 기반 접근 방법은 입력 자질을 선형 조합하므로, 복잡한 문제에는 성능 향상에 한계가 있다. 선형 조합에 따른 성능 한계를 개선하기 위해, 딥 뉴럴 네트워크 기반 접근방법은 지역적 특성 및 전역적 특성을 개별적으로 각각 표현하기 위해 둘 이상의 뉴럴 네트워크를 사용한다. 그러나 딥 뉴럴 네트워크 기반 접근방법은 충분한 학습 집합이 필요하다. 학습 집합을 준비해야 하는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 강화 학습 기반 접근 방식은 Agent가 먼저 Action을 하고 이에 따른 보상을 분석하여 학습한다. 즉, 이 접근방법은 Agent가 최대 보상을 받도록 학습한다. 본 논문에서는 강화 학습을 통해 여러 게임에서 학습하는 AI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AI 모델은 개별 게임에서 Local Agent가 플레이하고, 여러 Local Agent에서 Global Agent를 학습한다. 실험 결과, 한 게임에서 학습한 Agent는 학습했던 게임에서는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었지만, 새로운 게임에서는 성능이 떨어졌다. 반면에, 두 게임에서 학습한 제안하는 Agent는 학습한 게임과 새로운 게임 모두에서 잘 적응했다.
        4,000원
        379.
        201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개(Canis lupus familiaris)는 인간의 소외 현상을 개선하고, 공동체 생활 의식 향상에 기여하는 반려동물이다. 반려견 품종을 명확히 관리하는 것은 유전병을 감소시키거나, 형질 개량, 종 다양성 유지 등을 위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고밀도 SNP 칩 유전자형 데이터와 기계학습 기술을 이용하여, 유전자형 데이터에 기반한 품종 식별이 가능한지, 가능하다면 최소 몇 개의 유전마커로 품종 식별을 유의하게 수행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반려견 11 품종 226두의 23K SNP 칩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9종의 기계학습 다중범주 분류 알고리즘과 2종의 특징 선택 방법의 성능을 비교하여, 선형 서포트 벡터 머신 분류기와 주성분 분석 특징 기여도를 이용한 특징 선택 방법을 이용했을 때, 11종의 반려견 품종을 90% 이상 정확도로 식별하였으며, 이 때 40개의 유전마커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최종 선발 된 40개의 반려견 품종 식별 유전마커는 타 질병 예측 마커와 결합하여 유전자 검사 키트로 제작될 수 있으며, 반려견 품종 관리 및 질병 관리 기술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380.
        201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실용 학문 전공 Z세대 학습자를 위한 글쓰기 수업 사례를 소개하기 위한 것이다. 이 를 통해서 실용 학문 학습자인 Z세대에게 보다 활용 가능한 글쓰기 수업에 대한 논쟁을 부각시 키고자 한다. 여기서 Z세대란 1995년부터 2005년 사이에 출생하여 청년기를 보내는 연령층으로 한정한다. 또한 실용 학문 전공 학습자란 인문학과 거리가 있는 취업 전략에 맞게 설계된 교육과정에 투입된 학습자를 의미한다. 이 논의는 한국의 젊은이들이 취업을 위해 고등교육을 선택하는 사례가 늘고 있어 시사적이다. 이 논의를 위해서 한국 대학이 놓인 상황 점검이 필수적이다. Z세대가 현재 한국에서 대부분 대학생활을 영위하고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대학이 진리의 상아탑을 지킬 것이냐 아니면 취업을 위한 관문이 될 것이냐 하는 오래된 쟁점을 포함 한다. 교양의 강화 정책, 기대 수명 연장으로 인한 학습자들의 변화를 두루 아우를 것이다. 그런 다음 실용 학문 전공 학습자들을 위한 본격적인 논의에 착수할 수 있다. 글쓰기 교과는 교양이 냐 취업이냐 사이에서 사고 교육과 직무 교육의 길항관계를 모색하는 과정에 있다. 이 논문은 실제 현장을 토대로 하여 글쓰기 수업의 목표와 범위를 기술하고 내용과 방법을 상세히 할 것 이다. 그 과정에서 글쓰기 수업의 전망과 방향을 타진하여 앞으로 대학 교양 과정 글쓰기 수업 설계의 밑그림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 논문은 현대 사회 글쓰기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대학 글쓰기 교육의 확산을 위한 강력한 제언을 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6,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