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3

        21.
        200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Zum jetzigen Zeitpunkt mag es noch eine wissenschaftliche Fantasievorstellung sein, über die Reform des Strafvollzugs auf dem Gebiet Nordkoreas nach der koreanischen Wiedervereinigung zu sprechen, schliesslich ist die Herstellung der koreanischen Einheit ein politisch sehr komplizierter Prozess. Trotzdem muss man sich bereits jetzt auf die koreanische Einheit und die damit verbundenen rechtlichen Probleme vorbereiten. Diese Notwendigkeit wird besonders deutlich, wenn man die Nachwirkungen der deutschen Wiedervereinigung betrachtet. Ich denke, dass eine Untersuchung zur Reform des Strafvollzugs auf dem Gebiet Nordkoreas bereits heute dringend geboten ist und für die Zukunft des gesamten koreanischen Strafvollzugs von nicht zu unterschätzender Bedeutung. Natürlich unterscheidet sich die koreanische Situation von der deutschen im November des Jahres 1989 in wesentlichen Punkten. Dennoch denke ich, dass auch etliche politische und rechtliche Probleme nach der koreanischen Vereinigung den deutschen ähneln werden. So ist Korea in der glücklichen Lage, dass es bei der Lösung dieser Probleme von den deutschen Erfahrungen lernen kann. In diesem Aufsatz möchte ich zunächst analysieren, wie der Geltungsbereich des Strafvollzugsgesetzes auf das Gebiet der ehemaligen DDR ausgedehnt wurde und welche rechtlichen Probleme damit in der Praxis verbunden waren(II). Im Weiteren möchte ich die Festsetzung einer einheitlichen Bemessungsgrundlage für alle Gefangenen nach der koreanische Wiedervereinigung untersuchen sowie den Orientierungsrahmen zur Reform des Strafvollzugs auf dem Gebiet Nordkoreas diskutieren(III). Abschliessend soll aufgezeigt werden, welche Konsequenzen diese Änderungen für das koreanische Strafvollzugsgesetz haben wird(IV).
        6,600원
        22.
        200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북한에서는 중등과정 기상학 내용을 지리학 분야에서 배운다. 본 연구는 북한 지리교과서에 나오는 기상학분야 용어를 남한의 지구과학 교과서에서 사용하는 용어와 비교하여 같은 의미이면서 다른 용어 40개를 발췌하여 각 용어에 대해 전남지방 고등학생들이 이해하는 정도를 비교하였다. 용어의 이해도 조사는 전남지역 소재 2개 고등학교 8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고등학생들이 남한 용어에 대한 이해 수준은 북한용어의 이해 수준에 비해 평균적으로 30% 정도 높다. 더운전선, 합치기과정, 하루변화, 비탈면 등 9개의 북한 용어는 오히려 남한 용어보다 이해 수준이 높다. 이해 수준이 보다 낮은 3때 용어 가운데 2때 용어는 북한 고유어를 이용하여 최근 만들어진 것들이다. 남한의 용어 대부분은 한자어, 외래어 등에서 유래한 용어로 이루어져 있으며 대체로 북한 고유어로 새로 만들어진 용어보다 더 높게 이해되고 있다.
        4,000원
        25.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study on the traditional houses of North Korea(I) have been published in 1996. This paper is written to supplement the preceding paper. This paper aims at collecting new data of traditional house in North Korea. But still being prohibited for the researchers of South Korea to approach to the field, I had to depend on the memories and experiences of the immigrants from North Korea who are now living in Kangwon and Incheon Province. Through the questionnaire and drawings, they described vivid memory of their old houses. I was able to add new data of 70 cases, which are significant and valuable as much as those of the real field are. Those data, including the exisiting data, are enough for me to analize statstically the regional charateristics, the differnces among economical classes, and the periodical change. It opens the way for verfying the existing theory. Regional charateristics of house in North Korea can be described as followings: a. Hamkyong-do ; Concentrating spaces into one building, Double-fold type plan, Including 'cheongju-kan' space, Weak fences b. Pyongan-do ; Concentrating spaces into two buildings, 二 shape buildings , Single-fold type plan, Strong fence c. Pyongannam-do to Myolak mountains; Concentraing spaces into two buildings, ㄱ, ㄷ shape buildings, Single-fold type plan, Strong fence d. Southern area of Myolak mountains; Concentrating spaces into one building ㅁ shape building, Single-fold type plan with wooden floor space
        4,900원
        26.
        199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rchitectural researches on the traditional houses of Korea have been studied mainly based on the data collected in the field survey. From explosively incresed real mesurements and drawings in the field, plenty of data have been collected. Those have been the basic data for verifing and developing the theories on the traditional house. But after Korean war the researchers in South-Korea were not able to approach to the field in North Korea, so the new data of North Korea were not added any more. The poverty of real data have caused regional unbalance in the researches. This paper aims at collecting new data of traditional house in North Korea. But still being prohibited for the researchers of South Korea to approach to the field, I had to depend on the memories and experiences of the immigrants from North Korea who are now living in Kyon-Nam and Pusan Province. Through the questionnaire and drawings, they described vivid memory of their old houses. I was able to collect the data of 71 cases, which are significant and valuable as much as those of the real field are. The data include the address and site condition, family structure, economic condition, construction period of each house, The drawings by themselves show the building forms and plans, the plans of each building, and the included spaces. Although the quantity of those data is not enough for statistical analysis, it shows general tendency for analizing regional charateristics, the differnces among economical classes, and the periodical change. It opens the way for verfying the existing theory. Analizing the data, I have some conclusions as followings: a. Most of researchers have classified the dominant housing type of Hamkyong-Do as 'the double fold' type. In this study, all cases of Hamkyongbuk-do also show 'the double fold plan with Chongju-kan'. But in Hamkyongnam-do some cases show 'the double fold plan without Chongju-kan, or projecting the stable into the yard, which seem to be different type from 'the double fold plan with Chongju-kan' b. Existing theories classified the dominant housing type of Pyongahn-do as 'two buildings with pararell arrangement'. This classification is verified with the plentiful cases in this study. Futhermore, I found new tendency, that is, getting higher econnomic condition, they construct annex buildings between the main buildings. Finally their houses show 'scattered ㅁ shape'. The houses included in this two types has narrow and closed inner yard, which is different from the houses of the same shape in the south region of Korea. c. Existing theories classified the dominant housing type of Hwanghae-do as 'ㅁ sape with Daechong' type. I found many cases of 'ㅁ shape', but only two cases show 'Daechong'. 'The doble fold' type was also founded. Unfortunately very few cases were sent from Hwanghae-do, it is not enough for finding general tendency.
        4,800원
        27.
        1992.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난 수년동안 북한지역에서의 곤충조사를 통하여 백두산, 묘향산, 용악산, 박연산, 금강산등 주요 5개 지역에 대해 지역별 식물분포와 나비목곤충의 생물지리학적 분포관계를 분석함과 동시에 51종의 한반도 미기록종을 보고한다.
        6,600원
        28.
        198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북한산지역의 삼림군집구조를 분석하기 위하여 식생상관 및 식생층별 nested quadrat method에 의하여 설치된 20개 조사구의 식생조사를 하였다. 교목상층의 우점종에 의한 삼림군집의 유형은 소나무와 신갈나무의 순림 또는 혼효림을 주로 하는 자연식생군집, 자연식생과 인공식생이 혼효하고 있는 반인공식생군집, 인공식생이 순림 또는 혼효림을 이루고 있는 인공식생군집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북한산지역 전체에 대한 면적구성비는 각각 82.64, 7.03, 5.71%이었다. 소나무와 신갈나무의 순림 또는 혼효림은 면적구성비가 전체면적의 70.8%로서 대표적인 식생이었다. 인공식생의 주수종은 아까시나무, 리기다소나무, 물오리나무 등이었으며 주로 토양침식이 비교적 심한 남사면과 도로 등 시가지와의 경계부에 식재되어 있었다. 녹지자연도 8, 7, 6의 면적구성비는 각각 82.6, 0, 12.7%이었다. 임분구조는 국소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소나무, 상수리나무 장령림, 아까시나무림을 제외할 때 대체로 교목상층의 평균흉고직경, 임관고가 각각 20cm, l0m 이하로써 유령림상태이었다. 북한산지역의 대표적인 자연식생군집인 소나무와 신갈나무의 순림 또는 혼효림의 종다양도는 1.085~l.242의 범위를 보였다. 주요 수종의 직경분포에 의한 동태 분석 결과 기존 신갈나무군집과 아까시나무군집은 현재의 천이단계가 지속될것으로 추정되었으며, 타군집의 경우 전반적으로 신갈나무군집으로 천이가 진행되고 있었고, 국소적으로 아까시나무가 침입하고 있는 군집과 갈참나무-상수리나무군집의 경우 각각 아까시나무군집, 갈참나무군집으로 진행되고 있는 경향을 보였다. ordination 방법중 DCA 방법이 본 연구에서는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DCA에 의해 추정된 천이과정은 교목층인 상층은 소나무→졸참나무, 산벚나무, 팔배나무→신갈나무, 들메나무, 물푸레나무의 순이었고, 중층은 산초, 참싸리→개옻나무, 옻나무, 생강나무, 진달래, 철쭉→당단풍, 함박꽃나무, 참빗살나무의 순이었다.
        6,000원
        29.
        201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북한은 수력발전이 전체 발전량의 약 63%를 차지할 만큼 비중이 높고, 지리적으로 수력발전 개발에 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33 개의 북한 댐개발 가능지점에 대해 DEM자료를 이용하여 유역분석 및 저수량을 산정하고, MWSWAT 모델을 이용한 30년간의 장기유출 분석 결과를 적용하여 연간가능발생전력량을 추정하였다. 33개 지점의 연간가능발생전력량은 현재 북한 수력발전량의 약 28%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도별 공업지구 규모를 추정하고, 장래 인구 변동을 전망하여 도별 댐개발 우선순위를 선정하고, 저수량과 연간가능발생전력량을 기초로 도내 댐 개발 우선선위를 선정하였다. 도별 우선순위는 평안남도, 함경남도, 함경북도, 황해북도, 평안북도, 자강도, 량강도, 황해남도, 강원도 순으로 나타 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북한지역의 수력발전댐 개발사업의 진출을 위한 초기 검토 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30.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Ministry of Unification has published the North's social and economic indicators about 'North Main statistical indicators' every years. However, "North Main Statistical Indicators" does not reflect the status and the level of North Korean infrastruc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maintenance status and level of North Korean infrastructure, and to propose a regional assessment results.
        31.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북한의 대규모 자연재난은 홍수와 태풍 그리고 집중호우로 인한 수해피해가 대부분이며 이러한 피해는 1990년대 중반부터 해마다 북한의 경제난을 악화시키고 있다. 특히, 식량난과 에너지난으로 인한 무분별한 국토개발 및 산림훼손으로 1995년부터 집중호우, 태풍 등의 수해피해에 상습적으로 시달리고 있다. 전문가들은 지난 15년간 북한의 홍수를 검토하여 홍수 초래 영향변수로 ‘강우집중도’와 ‘집중호우 지역’으로 판단하고 있으며, 홍수피해 가중 요인을 ‘발생시기’와 ‘피해규모’로 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북한 홍수 모니터링 우선지역 선정을 위해 홍수 초래 영향변수인 ‘강우집중도’와 ‘집중호우 지역’은 우심지에 해당하는 지역의 월평균강우량의 크기와 일최대강우량, 집중호우 발생빈도가 큰 기상관측소 지점으로 선별하였고, 홍수피해 가중 요인인 ‘발생시기’와 ‘기반시설 피해정도’의 경우 집중호우 발생 빈도가 큰 개월과 북한의 주요 홍수피해 당시 피해보도를 기반으로 등급 점수를 부여하여 우선지역을 구분하였다. 홍수 초래 영향변수와 홍수피해 가중 요인으로 북한의 홍수 모니터링 우선지역을 행정구역별로 선정하면 홍수 초래 영향변수에 의한 모니터링 우선순위 지역은 강원도와 개성시이며, 홍수피해 가중 요인에 의한 모니터링 우선지역은 황해도, 평안남도, 강원도, 함경남도가 된다. 하지만, 피해규모의 경우 주요 피해가 발생한 행정구역의 피해를 통합하여 보도한 내용이므로 각 행정구역별 피해규모의 확인은 힘들기 때문에 모니터링 우선지역의 선정에 있어서는 홍수 초래 영향변수로 분석한 우선순위를 고려하고 홍수피해 가중 요인은 참고로 활용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32.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가뭄지수를 이용하여 북한지역의 가뭄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대상지점으로는 평양 등 27개 지점을 선정하였으며, 월 강수량 및 평균기온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가뭄분석을 위한 가뭄지수로는 SC-PDSI를 이용하였으며, 27개 지점별로 1984~2013년(30년)의 월 단위 가뭄지수를 산정하였다. 가뭄지수를 이용하여 과거 가뭄에 대해 검토한 결과, 대부분의 지점에서 2000년대 초반과 중반에 심각한 가뭄이 발생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북한의 과거 가뭄사상에 대한 정량적 평가를 위해 6개 지점(평양, 함흥, 청진, 원산, 해주, 신의주)을 대상으로 지속기간별 최대 가뭄심도 자료계열을 구성하였으며, 빈도분석을 통해 지점별 가뭄심도-지속기간-재현기간(Severity-Duration-Frequency, SDF) 곡선을 유도하였다. 6개 지점의 과거 주요 가뭄사상을 추출한 후 SDF 곡선을 이용하여 각 사상별 재현기간을 추정한 결과, 2000년대 초반과 중반에 발생했던 가뭄은 최대 20~50년의 재현기간을 갖는 가뭄사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