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4

        21.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field study, and in-depth interview on the build order, cooking method, and origin of ‘Donggot-tteok (rice cake)’, which was the ritual food for ‘Chungjae Gwon Beol from the Andong Gwon clan Jongga’ in Bonghwa, Gyeongbuk, who deifies Chungjae Gwon Beol as Bulcheonwi. Donggot-tteok of Chungjae Jong-ga is classified as one kind of Bonpyeon (Janjeolpyeon) and 11 kinds of Utgipyeon, and assumes a unique circle build shap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literature review data in 2004 and 2010 with field study data in 2014, the build order, materials, and cooking method were maintained without large changes. With regard to Utgipyeon with which Donggot-tteok is topped, Cheongjeolpyeon, Milbiji, Songgisongpyeon, Gyeongdan, Ssukdanja, Bupyeon, Japgwapyeon, Jeon, Sansim, Jo-ak, and Kkaeguri were heaped in each layer, and the beauty of obangsaek (five colors) was well harmonized. Besides, with regard to the origin of Donggot-tteok, which was presented without elaborating sundry records, we examined the possibility of being introduced from the royal court through old paper and the Jokbo (family tree) that Jong-ga owns.
        5,100원
        22.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ing process in the Ddeulzip of Jaeryoung Lee's clan family.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clan family of Jaeryoung Lee in Andong Area. The period of Ddeulzip's changing process is divided into largely three parts. The establishment process and changing process for Jaeryoung Lee's family is analyzed during early (15~16C), mid(17∼18C) and late(19∼20C) periods.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periods is that it made a main ancestral building of Ddeulzip form. Those of mid Chosun period is in their strong will to preserve their ancestral house. During the late period, many of the different styles of Ddeulzip were constructed due to the stable environment of both political and economical status. The residential house of Jaeryoung Lee family that were centered in Youngduk and Youngyang area include diverse forms for both high and middle class social status. Jaeryoung Lee family's Ddeulzip is thus considered to bring about the firm foundation as a clan family representing the Andong cultural area through the development of Ddeulzip.
        4,000원
        24.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안동댐과 임하댐의 최상류 유역부터 최하류 유역 구간 총 12개 지점에 대하여 2012년 8월과 10월, 2013년 6월, 총 3회에 걸쳐 육상곤충상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기간 중 채집된 곤충은 총 13목 106과 379종 4,199개체이며, 분류군별 출현 현황을 분석한 결과, 딱정벌레목이 162종(42.7%)로 가장높은 종수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노린재목 86종(22.7%), 파리목 38종(10.0%), 매미목 32종(8.4%), 메뚜기목 19종(5.0%)의 순으로 출현하였며, 국외반출승인대상종은 1종, 특정종 34종, 한국 고유종 16종으로 나타났다. 주요 우점종은, 안동댐 유역에서는 애긴노린재(Nysius plebejus), 벼메뚜기(Oxya japonica), 검정배줄벼룩잎벌레(Psylliodes punctifrons)등이 출현하였으며, 임하댐 유역에서는 섬서구메뚜기(Atractomorpha lata), 애긴노린재 등으로 조사되었다. 출현한 곤충 종을 대상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평균 우점도지수(DI) 0.33, 다양도지수(H') 4.24, 풍부도지수(R1) 7.34, 균등도지수(J') 0.84의 값을 나타냈다. 안동댐 유역의 평균 군집지수는 우점도 0.34, 다양도 4.17, 풍부도 7.03, 균등도 0.84로 나타났으며, 임하댐 유역은 우점도 0.32, 다양도 4.31, 풍부도 7.64, 균등도 0.84로 나타나, 임하댐 유역의 다양도와 풍부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25.
        2013.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wooden buildings covered with tile-roofing and straw-thatched consist of Hahoe village, and so lower fire safety is concerned about.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fire spread simulation result of Haheo village and to analyze the actual situation of the disaster mitigation for protecting this vill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velopment of fire-fighting training and disaster mitigation facilities suitable for the elderly person is necessary. Second, it is important to consider securing of fire-fighting water which is usable in daily life and to popularize fire alarms to perform initial fire extinguishing effectively. Third, fire engines suitable for road width are changed from a conventional pump car, fire-fighting become smoothly. Finally, it is necessary to warn not only inhabitants but also the tourist about the handling of the fire.
        4,000원
        26.
        201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ing process in the Ddeulzip of Jinsung Lee clan family.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clan family of Jinsung Lee in Andong Cultural Area. The period of Chosun Dynasty is divided into largely three parts. The establishment process for Jinsung Lee's family is analyzed during early (15~16C) and mid(17∼18C) periods, and changing process is analyzed during mid(19∼20C) and late periods.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Chosun Ddeulzip is that it made a foundation to construct a Ddeulzip form. Those of mid Chosun period is in their strong will to preserve their ancestral house which is well manifested through the restoration of Taegye's ancestral house. During the late Chosun period, many of the different styles of Ddeulzip were constructed due to the stable environment of both political and economical status. The residential house of Jinsung Lee family that were centered in Yean area include diverse forms for both high and middle class social status. Jinsung Lee family's Ddeulzip is thus considered to bring about the firm foundation as a clan family representing the Andong cultural area through the development of Ddeulzip.
        4,500원
        27.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안동시, 영덕군, 의성군, 청송군 일대 총 17개 지역에서 2010년 5월과 8월 두 차례에 걸쳐 노린재목과 매미목 분포를 쓸어잡기법으로 정량 조사한 결과 노린재목은 16과 82종, 매미목 13과 78종이 채집되었다. 그리고 노린재목에서 소금쟁이과 1종, 쐐기노린재과 3종, 장님노린재과 22종, 침노린재과 3종, 실노린재과 3종, 뽕나무노린재과 1종, 긴노린재과 10종, 허리노린재과 7종, 호리허리노린재과 1종, 잡초노린재과 4종, 알노린재과 2종, 뿔노린재과 5종, 땅노린재과 1종, 광대노린재과 1종, 억세노린재과 1종, 노린재과 17종이 채집되었고 매미목에서는 쥐머리거품벌레과 1종, 거품벌레과 5종, 뿔매미과 4종, 매미충과 45종, 큰날개매미충과 3종, 긴날개멸구과 1종, 줄강충이과 1종, 좀머리멸구과 1종, 꽃매미과 1종, 상투벌레과 1종, 장삼벌레과 4종, 멸구과 8종, 매미과 3종으로 총 160종이 채집되었다. 한반도 전체의 노린재목 687종중 11.9%인 82족과 매미목 501종중 15.6%인 78종이 채집되었다. 이 중 노린재목 1종과 매미목 7종이 한국특산종으로 조사 되었으며 주로 의성군에서 채집되었다.
        29.
        2011.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 론 외래종은 본래 인위적인 국경선에 관계 없이 천연분포지 이외에서 들어온 종을 의미하나, 일반적으로 원산지가 우리 나라가 아닌 다른 나라이면서 현재 우리나라에 식재되었거 나 야생하는 경우를 말하며(임동옥·황인천 2006), 그 중 우 리나라 자연생태계에 정착하지 못한 종은 ‘도입종’ 혹은 ‘비 토착종’이라 하고, 우리나라의 생태계로 유입되어 현지의 기후와 풍토, 기존 집단에 서식하는 미생물등의 자연생태와 조화를 이루어 번식하여 생존할 수 있는 종을 ‘귀화종’이라 한다(류새한 2009). 현재 우리나라에서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된 전통마을 은 사적 1건, 중요민속자료 6건으로 총 7건이 있다. 이 중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에 위치한 하회마을은 1984년 1월 14 일 중요민속자료 제122호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다. 또한 2010년에는 경주양동마을과 함께 한국의 역사마을로 유네 스코(UNESCO) 세계유산에 등재되어 보존가치는 더욱 높 아졌다고 할 수 있다. 특히 하회마을과 같은 전통마을의 보 전은 기존의 단일 건축물 보전은 물론 주변 환경을 포함한 면적을 보존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주민들이 실제로 생활을 영위하고 있는 생활환경을 보존한다는 점에서 다른 문화재 보존과는 다르다고 할 수 있다(김홍기 2008). 한편, 이러한 민속마을에 대한 외래종의 침입은 기존 생 태계의 구조·기능 및 물리적 환경을 변화시켜 자생종의 감 소를 초래하며(Walker·Vitousek 1991), 고유의 경관을 파 괴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특히, 외래식물의 왕성한 번식력은 국가의 생물다양성을 위협하는 중요 요인으로 국 제 교류가 활발한 우리나라에 있어서 고유의 향토 식생경관 이미지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안동 하회마을의 식물상 조사를 통하여 외래식물과 귀화식물의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의 전통문화공간의 보전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재료 및 방법 1. 조사대상지 본 조사는 2011년 5월부터 10월까지 수행하였으며, 대상 지인 안동하회마을(중요민속자료 제 122호)은 경상북도 안 동시 풍천면 하회리 일원에 위치하고 있다. 마을 내에는 현 재 총 127가옥이 있으며 437개동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 중 12개 가옥이 보물 및 중요민속자료로 지정되어있다. 2. 조사방법 식물의 동정은 대부분 현지에서 이루어졌고, 동정이 어 려운 식물은 채집 후 이창복(1980; 2003)의 문헌을 바탕으 로 동정하되 국가표준식물목록(국립수목원·한국식물분류 학회 2007)에 따라 작성하였다. 외래식물은 국립환경과학 원(2004)에 의해 정리하였으며, 귀화식물은 박수현(2009) 에 의해 정리하였다. 또한 Numata·Kotaki(1975)에 의한 귀 화율(Natualized Index; N.I=조사지역 귀화식물 종 수/조사 지역 관속식물 종 수 × 100)과 임양재·전의식(1980)에 의한 도시화지수(Urbanization Index; U.I=조사지역 귀화식물 종 수/국내 전체 귀화식물 종 수 × 100)를 산출하였다. 국내 전체 귀화식물 종 수는 박수현(2009)에 따라 286종으로 보 았다. 결과 및 고찰 1. 관속식물 안동 하회마을의 식물상 조사 결과 98과 232속 244종 3아종 16품종 40변종 총 303분류군을 확인하였다(표 1). 2. 외래식물현황 국립환경과학원의 ‘외래식물 검색시스템’에 따라 분류한 결과 안동 하회마을의 외래식물은 14과 31속 30종 3변종 총 33분류군을 확인하였다(표 1). 이 중 주목할 점은 환경부 지정 생태계교란야생동·식물 16종(야생동·식물보호법 제2조 제4호) 중 하나인 돼지풀 (Ambrosia artemisifolia L.)의 출현이다. 돼지풀은 북미에 서 들어온 국화과 식물로 풀밭과 길가에 발생하여 꽃가루병 을 유발하고, 사료로 이용할 경우 가축이 기피하는 경향이 있으며, 종자가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확산 속도는 다소 느리지만 전국의 생활주변, 강변, 도로변, 철로변 등에 집단 적으로 발생하여 다른 식물들이 자라지 못하게 하여 생물다 양성을 감소시키는 특징을 지닌다(강병화 외 2010). 하회마 을의 경우 현재는 담장 아래나 논, 밭 등지에 일부 개체가 발견되고 있지만 돼지풀의 생육특성 상 추후 개체군 증가를 고려한 대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3. 귀화식물 박수현(2009)에 따라 귀화식물을 분류한 결과 14과 29속 29종 4변종 총 33분류군을 확인하였다(표 1). 안동 하회마을의 관속식물상과 귀화식물을 토대로 귀화 율과 도시화지수를 분석한 결과, 귀화율 10.89%, 도시화지 수 11.54%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 문화재 지정구역의 외래 식물 연구와 비교해볼 때(신현탁 외 2010), 한개마을의 경 우 귀화율 37.12%, 도시화지수 31.37%로 나타났다. 따라서 하회마을은 한 개마을과 비교해 볼 때 비교적 낮은 수치인 것으로 분석되었다(그림 2). 이러한 결과는 하회마을이 오 랜 기간동안 중요민속자료로 지정되어 관리되었기 때문에 주민들에 따른 인위적인 종의 도입이 적은 것으로 판단된 다. 하지만 각 가옥의 정원에서 미국나팔꽃, 기생초, 코스모 스, 원추천인국, 겹삼잎국화, 유카 등의 외래종들이 다수 식 재되어 있어 우리의 전통정원의 모습을 찾아보기 힘들었으며, 유동인구가 많은 입구나 각 길목에 가이즈까향나무나 튤립나무가 식재되어 있어 향토경관을 저해하고 있었다. 4. 외래식물의 관리방안 우리나라의 외래종의 유입속도는 점차 빨라지고 있다. 환 경부 내부자료에 따르면 국내로 유입된 외래식물 종의 숫자 가 1980년에 110여종이었으나, 2002년에 이르러 총 281종 으로 증가하였고, 1996년 이루 5년간 추가로 유입된 외래식 물종은 58종으로 전체 외래식물종의 22%를 차지하는 것으 로 집계되었다(방상원 2004). 하회마을의 경우 국립환경과학원의 ‘외래식물검색시스 템’에 속하는 외래식물 이외에도 영산홍, 지면패랭이꽃, 송 엽국, 가이즈까향나무 등이 조사된 것으로 볼 때, 실제 외래 식물이나 귀화식물의 비중은 더욱 많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외래식물과 귀화식물의 통합적인 관리방안을 세우 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담장아래 공간에 맨드라미 나 소엽 등이 식재되어 있어 이러한 공간에 자생 초본류를 식재하여 과거의 담장길을 재현함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 된다. 또한 하회마을 북서쪽 강변에 위치한 만송정숲(천연 기념물 제473호)에 있어서도 외래식물의 침입을 보호함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결과적으로, 하회마을 내의 외 래·귀화식물의 관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실제 생활 하고 있는 마을주민과 관리자가 외래식물의 위해성을 인지 하고 자생종의 식재를 통해 우리나라 전통의 마을 경관을 만들어 나가는 것이라고 판단된다. 인용문헌 국립수목원·한국식물분류학회, 2007,「국가표준식물목록」, 국립 수목원·한국식물분류학회, pp.534. 박수현, 2009,「한국의 귀화식물」, 일조각, pp.565-567. 이창복, 1980,「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pp. 990. 이창복, 2003,「원색대한식물도감 상·하」, 향문사, 서울, pp.914 임동옥,황인천, 2006,「가야산국립공원의 외래식물 및 관리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3), pp.281-288. 류새한, 2009,「하천변의 외래식물」『숲과문화』, 18(5), pp.60-62. 김홍기, 2008,「문화재지정 이후 전통마을 보존방침의 변천과 경관 변용에 관한 연구」,『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논문집』, pp.119 강병화,홍선희,김건옥,이용호,나채선, 2010,「기후변화와 생태계 교란야생식물로 인한 생물다양성의 붕괴」,『생명자원연구』, pp.71. 신현탁,김용식,이명훈,윤정원, 2010,「성주지역 문화재 지정구역 내 외래식물의 현황」,『문화재』, pp.165 Walker, L. R. and Vitousek, P. M., 1991,「An invader alters germination and growth of native dominant tree in Hawaii」 『Ecology』, 72, pp.1449-1455.
        3,000원
        31.
        201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lanar composition of rectangular formation houses in 8 areas, both cities and counties, in the sphere of Andong and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houses in each region. This study of the rectangular formation of houses and their characteristics will facilitate an understanding of the general trends of housing in Andong cultural area.. In this study, the subject houses are composed of three parts: Bonchae, Anchae, and Sarangchae, and the author classified the planar types of the houses. The differences in the regional planar types were analyzed through visual and statistical methods. The analyzed results reveal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rectangular formation houses in terms of their planar aspects in the Andong region. The distribution showed the greatest preference toward one type out of two types of distribution of Bonchae, Anchae, and Sarangchae. The ratio for the higher distribution was approximately 70%, whereas the ratio for the lower distribution was around 20%. For convenience, the type with a higher distribution rate is referred to as the “major type,” and the type with a lower distribution rate is termed the “minor type.’ The complete-type houses (73%) in Bonchae were a major type there, and the symmetric-type houses (73%) in Anchae were the major type in that location. In addition, the corner-type houses (72%) in Sarangchae were the major type . In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major types and minor types in the 8 regional cities and counties, regional differences were noted. The three regional groups can be divided into A, B, and C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ratio. Andong, Bonghwa, and Yecheon belong to region A. that shows a variety of distribution types and a dispersive trend. Yeongyang and Yeongdeok belong to region C that shows a simplified trend.Yeongju and Cheongsong belong to region B
        5,100원
        33.
        201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사문암 토양의 화학적 성질과 토양미생물량 및 토양효소 등 토양의 생물학적 활성을 대조구의 비사문암 토양과 비교하고, 사문암과 비사문암에서 공통으로 서식하는 새(Arundinella hirta)와 억새(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의 낙엽이 입지가 다른 사문암지역과 비사문암 지역에서 분해될 때 분해율의 차이가 어떻게 유발되는지 9개월 동안 야외에서 교차 실험하였다. 사문암 토양은 비사문암 토양에 비하여 높은 pH, 낮은 dehydrogenase 와 urease활성을 나타내었으며 alkaliphosphatase의 활성은 높았다. 두 토양에서 microbial biomass-C와 N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사문암 토양에서 microbial biomass-N함량이 더 높게 나타나 비사문암 토양에서 보다 낮은 토양의 C/N을 나타내는 원인이 되었다. 사문암지역에서의 낙엽분해실험에서는 사문암지역에서 획득한 새와 억새 낙엽이 각각 39.8%, 38.5%의 중량감소를 보였으며, 비사문암 토양에서 획득한 낙엽은 각각 41.1%, 41.7%의 중량감소를 나타내었다. 비사문암지역에서의 낙엽분해실험에서는 사문암낙엽이 46.8%, 42.2% 그리고 비사문암낙엽은 44.8%, 37.4%의 중량감소를 각각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중금속을 포함하는 토양의 영향보다는 낙엽의 질적 차이가 분해율에 더 큰 영향을 미쳤음을 나타내준다. 일반적으로 낮은 C/N을 갖는 낙엽이 더 빨리 분해된다는 결과와는 달리 낮은 C/N을 갖는 사문암낙엽의 분해가 느린 것은 낙엽에 포함된 중금속의 저해가 낙엽의 C/N이나 lignin/N과 같은 낙엽의 질적 차이에서 유발되는 낙엽분해의 저해보다 큰 영양을 미친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낙엽분해가 진행되는 동안 낙엽내의 Cr, Ni과 Mg, Fe의 농도는 점차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경향은 사문암지역에서 현저하였다.
        4,000원
        34.
        200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09년 5월 2일 규모 4.0의 안동 지진이 발생한 시기에 기상청 청양 지자기 관측소에 기록된 자료를 이용하여 지자기 변동성을 분석하였다. 먼저 지자기 관측자료의 주성분을 이용하여 지자기 예측을 수행하고, 지진이 발생한 전후로 예측한 지자기장과 실제 관측된 지자기장 사이에 유의미한 변화량이 있는지 분석하였다. 두 번째로, 지진 발생일과 다른 날의 지자기장을 웨이블릿 셈블런스 기법을 통해 상호 비교하였다. 이 결과에서는 자기장의 수직성분에서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마지막으로 3성분 자료에 대한 고유값 분석을 통해 지진 발생 시기 부근에 고유값의 변화가 발생하였는지 분석하였다. 청양 관측소의 위치가 지진 발생지점과 매우 많이 떨어져 있고 규모가 작아서 명확한 전조 현상을 발견할 수는 없었으나, 지진과 상관성이 높은 지자기 변동성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다양한 지자기 신호처리 기술은 향후 전조현상 탐지를 위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한다.
        4,000원
        35.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36.
        200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loor plan shown in the three drafts, there were a great deal of differences in composing the space of the inner main hall. The inner room facing to the east with the arrangement crossing the inner floor at right angles in the 'Baekdangguje Draft' faces to the south in the east or west in front of the main house thereafter. This represents that it reflects the intent of the owner of the architecture emphasizing the size increase and ceremonies of the main house in the 'ㅁ shape', which has changed to the directions of easily accommodating the Confucian ceremonial activities in the floor plan of the inner house as the size of the main house was gradually increasing from 24 sections to 30 or 38 sections. The expansion in the size of main house further divided the functions of floor into one for daily life and the other for ceremonies as well. In other words, the 30 Sections in Yijeong Draft as being the first planned draft for reconstruction had a hall for memorial services in the main hall of the inner house, whereas the 'Draft with 38 Sections' as being the second planned draft for reconstruction was planning a room with a floor (two sections of Bangdang) for memorial purpose in the back of the inner main hall. The variations in the guest house (or space for men) shown in the drafts confirms the establishment of space for men as the size of the main house increases. We can see the change that a large guest house is placed over the south and in the south and east of the main house as the number of main house increases by 30 sections or 38 sections. Especially, a guest house with a wide space in a 'ㄴ shape' is arranged from the south of main house to the east wing in the Draft with 38 Sections. In addition, the backward sections are advanced in the front and back of guest house in the drafts with 30 and 38 sections, while a back floor or a back floor connecting to the back room or sleeping room or inner house is installed in the backward sections.
        5,200원
        37.
        200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re are a few hundreds of Jaesil architectures in Andong area, Kyungbook Province. Among them, about 25 of them have elevated pavilion, while all the rest do not have. This paper focus on these jaesils with elevated pavilion, and tried to identify the different types among them, the background of the beginning of these jaesils, as well as eleveted pavilion. Five different types could be clarified, and they could be reinterpreted according to the background cause of the construction of these types. Three major background reasons for the construction of jaesils with elevated pavilion, seems to be: 1) necessity of such pavilion to be able to clomplete the system of Jaesil, 2) borrowing of temple structure where there is not large wooden floor, and 3) eclectic combination of pavilion and main hall (Gangdand 講堂). Such study helps us understand not only the jaesils with eleveted pavilion, but also the general jaesils without eleveted pavilion. The inclusion of eleveted pavilion has a lot to do with the symbolic expression of the family, use of large space for the family gathering, as well as the popular trends of pavilion architecture of the time.
        5,500원
        39.
        200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roposing a method of developing experience program for organizing continuous 'Recreating Cultural and Traditional Village'. Therefore, with having purpose of developing experience program which is deeply related with residents organization and architecture in the village, the researcher has participated in '2005 An-dong Gunjamaul Recreating Cultural and Traditional Village', accomplished developing experience program which can continuously manageable by residents and space and facilities which are accompanied with program.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he developing process of experience program has four phases, selecting program, planning program, growing and changing program, and practicing and firmly establishing program. Moreover, the relationships between space planning and setting up a resident's organization and the experience program need to be considered. The things that experts have to consider are come up with three subjects. First, planning experience program with citizen participation. Second, designing experience program with spaces which will contain the programs. Third, developing programs which are accompanied with rediscover village's resources through continuous feedback.
        4,9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