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4

        21.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에게 의도적인 다감각환경(스노즐렌)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아동의 눈-손 협응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세 명의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12주간 의도적인 스노즐렌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용한 평가도구는 젭슨 손 기능 평가로 7가지 하위검사의 수행시간을 우세손과 비우세손을 구별하여 뇌성마비 아동의 눈-손 협응 능력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과 : 의도적인 스노즐렌 프로그램 실시 후 3명의 뇌성마비 아동의 젭슨 손 기능 평가 항목의 수행시간이 모두 23.4%이상 감소하였고, 작은 물건집기를 제외한 모든 평가 항목에서 스노즐렌 중재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우세손 뿐만 아니라 비우세손도 중재 후에 카드뒤집기, 작은 물건 집기와 먹기 흉내내기, 장기말 쌓기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의도적인 다감각환경 프로그램이 뇌성마비 아동의 눈-손 협응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증명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토대로 국내에서도 다감각환경(스노즐렌)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 하는 보다 많은 연구가 이어지길 기대한다.
        4,500원
        22.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ordination images seen in comprehensive fashion items and their features. This will be done from the viewpoint of both the creativity as well as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items and images. For the method of study, I explored the idea of "snood" style, analyzing its features of 42 pictures appearing from the 2006 S/S to 2010 F/W collection.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snood" style has the characteristics of both a muffler and turtleneck. With looping design connected at both ends, it can be placed around the neck or head, creating the image of wearing a hood. After having examined the selected data and pictures, one can largely divide the exclusive high-fashion image categories into three types: feminine, avant-garde, and finally, active & functional sportive image. First, the orthodox image is widely accepted by most as it has forever evolved within the original tradition of the practically functional muffler(scarf). Second, since the metamorphic image tends to lend itself to free ideas, you can wear a snood around the shoulders like a collar. Worn together with the same type of clothing, the snood can be seen as an effective suit. Third, the aim of image emphasis is to highlight certain points, or make some features more noticeable, as a means of possibly attracting more interest and attention. The image of snood arises out of the use of shapes, colors, and other accessory parts. As mentioned earlier, snood stands out as an independent item instead of just being an accessory to clothing. Its primary function as a style coordinator is emphasized in order to create more distinctive fashion images. Through this study, I thereby intend to provide fashion style data on the latest trends, and high-fashion codes of snood coordination.
        4,300원
        23.
        201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Realization of Ubiquitous is achieved by magic mirror and it is required more concrete study to realize it's functionality. Especially its function of professional fashion co-ordinator for managing the appearance could be of further u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RFID chip data base to put into a computer for making use of the functionality of the magic mirror aiming at suggesting the available information on the total fashion co-ordination. I sought firstly the code with binary system determining the criteria of accessories to be input in a RFID chip. Secondly, as the image with cloth is an important element for the total fashion co-ordination, desired co-ordination among the emphasis, harmony, character, season and accent can be made selectable classifying into a limit element and a common element to extract the codes. Thirdly, necessary conditions were given to the generated codes using Visual C++ program of Microsoft and the extracted codes as per groups were compared and analyzed.
        5,200원
        24.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동일색조 코디네이션과 1:2:3면적비 변화에 따른 스트라이프 넥타이의 감성이미지와 상호작용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들 단서로 사용된 56개 자극물은 4가지 색조합, 2가지 색조, 7가지 면적비로 구성되었고, 감성이미지는 26개의 형용사쌍에 대해 7단계로 평가되었다. 조사대상자는 경남, 서울, 부산, 대구 등지에 거주하는 대학생 1344명의 피험자로 하였으며, 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동일색조 코디네이션과 1:2:3면적비 변화에 따른 스트라이프 넥타이의 감성이미지를 요인분석한 결과 매력성, 젊음 활동성, 현시성, 능력성, 온유성의 5가지 차원으로 도출되었다. 색조합과 색조는 감성이미지의 모든 요인에서 독립적인 영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색조는 면적비와 상호작용하여 현시성과 능력성 요인에서 두드러진 단서로 작용하였다. 성별과 면적비는 젊음 활동성 요인에서, 성별과 색조는 온유성 요인에서, 색조합과 색조는 현시성과 온유성 요인에서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남성 코디네이션을 위한 효과적인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4,300원
        26.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 advances in mobile computing technologies and platform-independent information systems have enabled to realize a ubiquitous environment. Community computing has been developed as a useful tool for realizing collaborative services in a ubiquitous
        4,000원
        27.
        200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성협응장애 아동에게 과제중심접근 치료가 효과적인지 알아보기 위하여 문헌 분석을 통하여 중재결과를 ICF 모델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대상자는 DSM-Ⅳ 진단 기준에 따라 발달성협응장애에 해당하는 0∼12세 아동으로 과제중심 중재방법인 신경운동 과제훈련과 일상 작업수행의 인지중심 접근 두 가지에 관하여 1995년 1월∼2007년 11월까지 게재된 논문을 Pubmed와 Medline을 통해 체계적 고찰(systematic review)을 하였다. 결과 : 중재 효과는 과제중심 중재결과 자료 중 17개(62.96%)가 중재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중 신경운동과제 훈련 접근법에서 5개(18.52%), 일상작업수행의 인지 중심 접근법에서 12개(44.44%)가 중재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ICF 모델로 제시한 결과 신체 기능 및 구조 영역을 평가한 자료가 14개(51.85%), 활동 및 참여 영역을 평가한 자료가 13개(48.15%)로 나타났다. 그러나 중재효과는 신체 기능 및 구조 영역에서 6개(22.22%)이었던 반면 활동 및 참여 영역에서 11개(40.74%)로 분석되었다. 결론 : 과제중심접근 치료가 발달성협응장애 아동에게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체계적 고찰을 하였다. 고찰 결과 과제중심접근이 ICF model의 활동 및 참여 영역에서 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논문 수가 8개라는 제한점이 있으나, 국내작업치료분야에서 체계적 고찰을 통해 이러한 지식을 활용하고, 임상적 사용에 대한 근거를 제시할 수 있다.
        4,000원
        29.
        2006.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e current experiment was to describe interlimb coordination when swing limb conditions are being manipulated by constraining step length or by adding a 5 or 10 pound weight to the swing limb distally. Subjects were asked to begin walking with the right limb to land on the primary target (normal step length) that is 10 cm in diameter. However, if, during movement, the light was illuminated, then the subject had to step on one of the secondary targets (long and short step length). These three step length conditions were repeated while wearing a 5 pound ankle weight and then when wearing a 10 pound ankle weight. Ground reaction force (GRF) data indicated that there were changes in the forces and slopes of the swing and stance Fx GRFs. Long stepping subjects had to increase the propulsive force required to increase step length. Consequently, swing and stance toe-off greatly increased in the long step length condition. Short step length subjects had to adequately adjust step length, which decreased the speed of gait initiation. Loading the swing limb decreased the force and slope of the swing limb. Swing and stance toe-off was longest for the long step length condition, but there was a small difference of temporal events between no weight and weight condition. It appears that subjects modulated GRFs and temporal events differently to achieve the peak acceleration force of the swing and stance limb in response to different tasks. The findings from the current study provide preliminary data, which can be used to further investigate how we modulate forces during voluntary movement from a quiet stance. This information may be important if we are to use this or a similar task to evaluate gait patterns of the elderly and patient populations.
        4,000원
        32.
        2006.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시야차단 유무가 눈-손 협응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Zebris Medical GmbH사의 Winarm software에 의한 3차원 동작분석을 통해 기능적으로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시각 손상이 없고, 손 기능 장애가 없는 대학생 42명에게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중 데이터 결손값과 수행 횟수에 오류를 나타낸 19명을 제외한 23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3차원 동작 분석 결과에 대한 자료를 기준으로 연구대상자들의 시야차단 유무에 따른 x, y, z 좌표의 수치를 SPSS 10.0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시야차단유무에 따른 평균속도와 총거리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시야차단유무에 따른 오류횟수와 x, y, z 좌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시야차단 유무의 평균차이에 대한 1회와 5회 실시결과 비교시 x 좌표에서 운동감각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를 볼 때 시야 차단 유무가 협응력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시각 손상을 가진 환자에게 치료 적용시 운동감각을 향상시키는 활동을 사용하여 협응력 훈련을 실시하는 것이 시각 손상 환자의 일상생활활동 수행의 향상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33.
        200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compare movement patterns of shoulder joints between the right and left symmetry in stroke patients and control subjects. This study proposes use of the voluntary response index (VRI) calculated from quantitative analysis of surface electromyographic (sEMG) and motion data recorded during voluntary movement as a feeding task. The VRI is comprised of two numeric values, one derived from the total muscle activity recorded for the voluntary motor task (magnitude), and the other from the sEMG distribution across the recorded muscles with the similarity index (SI). Five stroke patients and five age-matched healthy controls were recruited. Feeding motion was performed using the provided spoon five times with rests taken on a chair in between tasks. EMG data were digitized and analyzed on the basis of the root mean square (RMS) envelope of activity. The average amplitude of responses was calculated. Responsiveness and clinically meaningful levels of discrimination between stroke patients and control for EMG magnitude and SI were determined. The similarity index of the results from two successive examinations of both sides apart for stroke patients and control subjects were .86 and .95 in motion analysis and .84 and .99 in electromyographic analysis. The SI of sEMG data and motion data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in stroke patients. The data suggest that SI is a sensitive program for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ymmetry of muscle activity and motion in both sides. This analysis method has a clinical value in grading muscular activity and movement impairment after brain injury.
        4,000원
        36.
        200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상상연습이 성인 뇌졸중 좌측편마비 환자의 시각-운동 협응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상남도내 M시의 S병원에서 뇌졸중으로 인한 좌측편마비 진단을 받고, 재활치료 중인 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방법은 대상자 선정검사를 하고, 대상자 3명에 대해 기초선 검사 기간을 달리하여 다트게임을 실시하였다. 대상자 1이 기초선 단계에서 안정을 보일 때, 중재단계로 들어가 상상연습을 실시한 직후와 1시간 후에 다트게임을 실시하여 화살의 꽂힌 위치에서 과녁판 중심까지의 가장 가까운 거리 측정값의 평균을 구하였다. 대상자 1이 중재단계에서 안정을 보일 때까지 기초선에 있던 대상자 2도 상상연습 실시 직후와 1시간 후에 다트게임을 실시하여 측정값의 평균을 구했으며, 대상자 3도 대상자 2가 중재단계에서 안정을 보일 때까지 기초선에 있다가 상상연습을 실시, 직후와 1시간 후의 측정값의 평균을 구했다. 수집된 자료는 시각적 그래프와 기술통계량인 평균값을 통해 거리 측정값의 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 첫째, 대상자 모두 다트게임(신체적 연습)만 한 기초선 때보다 상상연습 직후에 연구대상자가 던진 화살의 꽂힌 위치에서 과녁판 중심까지의 가장 가까운 거리의 평균값이 감소하여 시각-운동 협응에 있어 향상을 보였다. 둘째, 대상자 모두 다트게임(신체적 연습)만 한 기초선 때보다 상상연습 1시간 후에 연구대상자가 던진 화살의 꽂힌 위치에서 과녁판 중심까지의 가장 가까운 거리의 평균값이 감소하여 시각-운동 협응에 있어 향상을 보였다. 결론 : 상상연습이 성인 뇌졸중 좌측편마비 환자의 시각-운동 협응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위와 같은 결론을 통해 상상연습이 학습과 치료에 앞서 시연(demo)이 왜 필요한지를 밝히는 근거로서 제시될 수 있다는 것과 성인 뇌졸중 환자의 재활치료 방법에 활용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4,600원
        37.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 국제적으로 전산 한자를 표준화하기 위해 한자 문화권의 여러 나라에서는 국제 표준화 기구(ISO)에 위원회(ISO/IEC/JTCI/SC2/WG2/IRG)를 구성하여 활동하고 있다. 정부 기구와 비정부 기구가 포함된 이 위원회에서는 한자 문화권의 사용 한자 코드가 망라되어 통합 정리된 국제 표준 문자 코드(UCS: Universal Multiple-Octet Coded Character Set) ISO 10646-1을 완성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이러한 국제 표준 문자 코드 체계는 수년 안에 Super CJK로 마무리될 전망이다. 이 위원회의 활동은 각국이 제출한 66,000 여자의 한자에서 27,500자의 한자들을 통합하거나 분리하여 코드를 부여하는 작업을 지난 수년간 진행하였으며, 현재는 이들을 포함하여 새로이 70,200자의 한자에 대한 검토를 진행하고 있다. 국제적인 표준 코드를 제정하려는 움직임과 관련하여 북한은 국제 무대에서 모습을 보이지 않다가 최근에 전세계가 인터넷의 보급으로 모든 전산 분야의 국제 표준화가 급속하게 추진되는 상황이 벌어지자, 전산 한자의 국제 표준화를 위해 국제 무대에 모습을 보이기 시작하였다. 본고에서는 최근에 이루어지는 국제한자특별전문위원회의 활동과 북한이 이 위원회에 참석하여 한자의 국제 표준 코드를 제정하기 위해 보였던 주요한 움직임을 살펴보고 남북한 전산 한자 통합의 전망과 과제를 점검해 보았다.
        5,700원
        38.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report the reorganization of motor network resulted from intensive unilateral coordination training and the effect of cross education on the untrained side in patient with traumatic brain injury using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 A 22 year-old male patient who had suffered from diffuse axonal injury for 58 months showed coordination deficit in the left hand at initial examination. Intensive motor training including complex finger movements and coordination activities using a metronome was introduced to the patient 4 hours per day for a week. FMRI was performed on a 3T ISOL Forte scanner. All functional images were analyzed using SPM-99 software. Hand function was improved after training not only in the trained left hand, but also in the untrained right hand. There was no activation in the right primary motor area (M1) during left hand movement before training whereas robust activation of left M1 was demonstrated by the right hand movement. Profuse activation of bilateral prefrontal lobes was seen during both hand movements before training. After training of left hand, right M1 became prominently activated during the left hand motion. The activation of bilateral prefrontal lobes disappeared after training not only for the left hand movement but also for the right, which clearly demonstrated the effect of cross education. This case report demonstrated the learning-dependent reorganization of the M1 and the effect of cross education.
        4,000원
        39.
        200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bjective: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sensory integrative procedures in promoting postural control, bilateral coordination and motor planning outcomes in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 Design: A single-subject ABA research design. Setting: Early Intervention Center of University. Participant: A 7-year-old boy with developmental delay. Interventions: Sensory integrative procedure. The subject was tested four times before, four times during, and three times after intervention. Main Outcome Measure: Part of subtests of DeGangi-Berl Test of Sensory Integration, Bruininks-Oseretsky Motor Proficiency and Sensory Integration and Praxis Test. Result: Postural control and motor planning are effected on sensory integrative procedure. Bilateral coordination did not change by this study. The quality of performance was increased by the therapy.
        4,000원
        40.
        200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effect of program in visual perception on eye-hand coordination in a child with cerebral pals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Eye-hand coordination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doing without pretreatment with the program in visual perception with time-dependent fashion with a cerebral palsy child 2) A most increased part of eye-hand coordination activities was a large heavy objects and a least increased part of those was a writing. From the abov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program in visual perception is a most useful therapy for a child with cerebral palsy having incomplete eye-hand coordination activity functionally.
        4,000원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