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2

        22.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중국 신문읽기 수업을 PBL에 적용한 사례로 기존의 언어교육 중심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중국 지역학과 통상학에서 필요로 하는 기초적인 지식과 중국 사회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중국어 향상을 위한 어학적 측면의 이해와 중국 시장 진출 방안 모색이라는 실제 직무와 관련된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하고, 정보수집능력, 지식습득능력, 자기주도적 학습 능 력과 협동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문제제기, 수업설계, 평가의 과정을 통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중국어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여 학습동기를 향상시키고, 중국신문이라는 기본 텍스트를 바탕으로 중국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의 전반적인 부분을 이해하는데 PBL수업의 긍정적인 효과를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5,100원
        23.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문제중심학습(PBL) 수업을 2018년 2학기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 교과목에 적용한 후,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능력과 전문직 자아개념에 대한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단일군 전⦁후 설계를 활용한 원시실험 연구이다. G도에 소재한 간호대학생 59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문제중심학습(PBL) 수업은 전통식 강의 8주, 문제중심학습(PBL) 수업 4주로 진행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 두군 간에 차이는 평균, 표준편차, Paired t-test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은 문제중심학습(PBL) 수업 전 (3.41±.40)보다 수업 후(3.71±.36)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t=4.39, p<.001). 문제해결능력은 문제중심학습(PBL) 수업 전(3.36±.38)보다 수업 후(3.70±.59)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t=3.97, p<.001). 전문직 자아 개념은 문제중심학습(PBL) 수업 전(2.92±.28)보다 수업 후(3.22±.50)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t=4.84, p<.001). 따라서 문제중심학습(PBL)을 간호교육에 더욱 확대하여 적용한다면 간호대학생이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을 높이는데 효과적일 것이라고 사료된다.
        4,300원
        24.
        201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학생들의 능동적이고 협력적인 학습활동과 이에 따른 학습 성과를 높이기 위한 문제기반학습(PBL)을 ‘실습선 수업’ 에 맞게 재설계하고 운영한 과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그 효과로 학생들의 수업참여, 학업적 자기조절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변화와 수업전반의 만족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첫째, 수업참여에 대한 수업 전·후의 차이에서 학습활동, 수업확장, 수업참여 전체의 평균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업적 자기조절에 대한 수업 전·후의 차이에서 ‘평가’를 제외한 모든 하위요인에서 사후의 평균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학업적 자기효능감에서는 ‘과제 선호도’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의 수업전반에 대한 만족도 역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자 역시 문제기반학습(PBL)을 활용한 실습선 수업을 설계 및 운영하면서 학생 개인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고, 학생과의 상호작용이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문제기반학습 수업의 운영에서 드러난 한계점 및 교육적 함의에 대해 논의하며 덧붙여 실습선 수업의 성공적인 문제기반학습 설계 및 운영에 대하여 제안 하였다.
        4,000원
        25.
        2019.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대학교에서 블렌디드 PBL 수업을 경험한 예비교사들의 수업경험에 대한 의미를 분석하고자 하는데 주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G시에 소재한 K대학교 재학생 12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질적 연구를 위해 성찰일지, 연구자일지, e-class 탑재 자료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학습 자의 주요변인별 블렌디드 PBL 효과는 ‘문제해결 능력’, ‘협동학습 능력’, ‘의사소통 능력’, ‘자기주도학습 능력’, ‘학습동기’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블렌디드 PBL 수업을 통해 ‘학습의 주체자로서의 뿌듯함과 의미 있는 활동’,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성취감’, ‘유연한 사고 및 사고의 확장’, ‘자기이해 및 자신감 향상’ 등 긍정적인 경험이 이루어졌다. 이는 블렌디드 PBL 수업방법이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미래를 주도할 인 재의 역량 제고와 깊은 연관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효율적인 블렌디드 PBL 수업을 위해 온·오프라인의 장 점을 극대화할 수 있는 수업설계, 학습자의 능동적 참여, 그리고 촉진자, 가이드로서의 교수자의 역할 등 이 더욱 요구되어진다. 이를 위해 블렌디드 PBL 수업을 적용하려는 교수자의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형태 의 지원이 충분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6,700원
        30.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요즘에 청소년들이 즐기는 음악과 학교에서 배우는 음악이 서로 분리되어 있으며 사춘기적인 수줍음과 변성기로 인해 음악 수업시간에 잘 참여하지 않으려는 현실에서 흥미와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우쿨렐레라는 악기를 선택하여 PBL모둠별 활동으로 진행하였다. 악기 특성상 1대 1 지도의 해결책으로 모둠별 전문가 이끔이 방식을 적극 활용하였으며 음악 수업시간 에만 한정하지 않고 학급음악회, 교내음악경연대회, 점심시간을 이용한 틈새아르떼 공연, 지역주민과 같이 하는 교외 밖 틈새아르떼 공연 등 다양한 음악활동으로 음악수업에 흥미를 유발하는 계기가 되었고, 모둠원간의 활동으로 소통과 배려하는 마음과 교우관계가 돈독해 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발표할 수 있는 경험이 쌓이면서 자신감 상승으로 자아효능감을 신장시키게 되었다.
        5,700원
        31.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구성주의 PBL 협동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한 영어 감성기반 문제해결능력을 신장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다양하고 복잡한 사회문제와 갈등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미래 사회에서 살아갈 우리 학생들에게 문제해결능력이 요구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은 혼자서는 한계가 있으므로 협력적 문제 발견·해결력이 필요하다. 이것은 문제해결 과정에서 동료와 공감하고 교류하는 공동 전략의 아이디어를 가지고 공동의 학습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동료와 협력하여 감성적 상호 협력적 관계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해야 한다. 따라서 영어과 교육과정과 영어 교과서를 재구성하고 감성기반 문제해결능력 신장 교수 학습 내용을 추출하여 PBL 협동학습 프로그램 모형을 구안하고 감성기반 협동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영어 수업 에서 감성기반 문제해결능력이 향상됨을 보였다.
        6,900원
        32.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sign the evaluation model that centered on the cases as to the study on Empowerment Evaluation for participants developing capacity and continuously improving the evaluation itself when conducting the evaluation for PBL activities. As increasing of the importance to the evaluation in the aspect of securing justification of education and managing the quality, the evaluation model is required to be continuously reviewing for satisfying the participant’ various viewpoints, and achieving the educational goals they have set.
        6,000원
        33.
        201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인간은 연속적으로 문제해결의 과정을 경험한다. 그렇기 때문에 과정 속에서 문제가 정확히 무엇인지, 이를 어떠한 긍정적인 생각으로 해결해 나갈 것인지에 대해 고민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논문은 삶을 생각해보도록 하는 실용적인 교수방법인 문제중심학습에 관한 이론적 기초를 세우고 교육학적 가치를 생각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수업 속에 적용할 수 있는 긍정적인 방향을 생각해 보는 기회를 가질 것이다.
        4,000원
        34.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S-PBL학습방법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교육평가도구를 개발하여 작업치료과 학생들의 교육양상을 살펴보고, 교과목 운영에 있어서 통합교과목과 교과목 부분통합으로 운영하는 학과간의 차이를 비교분석하여, S-PBL학습방법의 효과를 밝히는데 있다.연구 방법 : PBL학습을 기초로 S-PBL학습방법을 경험한 간호·보건계열 학생 966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작업치료과는 2년간 적용한 학년과 학기별 비교와 교과목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학과간의 비교분석으로 학생들의 교육효과를 검증하였다. 결과 : 첫째, 작업치료과 학생들은 1학기보다 2학기에 학업성취도와 학습만족도가 높았으며, 1학년보다 3학년이 모든 항목에서 높았다. 특히, 그룹활동 능력은 모든 학년에서 높았다. 둘째, S-PBL학습방법은 학습자들의 문제해결 능력, 그룹활동능력, 의사소통능력, 현장실무능력에 매우 유익한 학습방법임을 분석결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셋째, 부분통합 교과목 보다는 통합교과목으로 적용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가 문제해결 능력을 제외한 모든 항목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교육환경과 운영방법에 대한 학습 만족도 역시 높았다. 결론 :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S-PBL학습방법은 통합교과목으로 운영되고, 매학기 학 년마다 적용한 학생일수록, 학업성취도와 학습만족도가 높다. 그러므로 작업치료학과에서 학생들의 통합능력과 문제해결능력, 실무능력들을 학교교육에서 갖추고자 한다면, 통합된 교과목으로 S-PBL학습방법을 매 학기와 학년마다 확대 적용할 필요성이있음을 시사해주었다.
        5,500원
        35.
        2009.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가정과 교사들이 쉽게 PBL 문제를 개발할 수 있도록 PBL 문제개발 모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중학교 가정과 PBL 문제개발에 필요한 절차 및 요소를 도출한 후 모형 초안을 개발하였고, 전문가검토 및 수정을 거쳐 모형을 완성하였다. 이를 토대로 중학교 1학년 교과의 한 단원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PBL 문제개발 절차는 가정교과에서 무엇을 학습할 것인가를 파악하는‘교육과정 분석하기’, 학생들의 특성과 요구조사 및 알고 있는 것과 알고 싶은 것을 확인하는 ‘학생관심 및 수준 분석하기’, 관련 자료를 찾는 ‘자료검색 및 수집하기’, 상황설정, 배경, 주인공의역할 및 과제 등을 제시하여 문제를 완성하는 ‘문제 작성하기’, 작성된 문제가 교육과정 및 구성주의 원리에 맞는 좋은 문제인지를 검토하는 ‘타당성 검토하기’의 순으로 이루어진다. 본 모형은가정과 교사들에게 PBL 문제작성에 절차적인 지침을 제공하여 가정과 PBL 문제개발을 용이하게 할 것이다.
        5,200원
        36.
        200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실무중심교육모델인 S-PBL 학습방법을 적용받은 작업치료과 학생들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조사‧분석함으로써 작업치료 관련 교과목의 학습자료 및 학습방법을 지속적으로 개발‧연구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 S-PBL 학습방법을 경험한 작업치료과 학생 10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배부된 설문 102부 중 총 85부를 가지고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설문에 대한 분석결과 첫째, 교수의 수업운영 요인에서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긍정적인 답변을 하였으며, 교수법의 수용성 요인은 2학년과 3학년이 1학년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긍정적인 답변을 하였다. 직전학기 성적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는 요인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S-PBL 학습방법의 만족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교수법의 수용성, 그룹활동의 수용성, 수업준비과정을 통한 문제해결 요인 순으로 나타났으며, 학년별 만족도 요인 중요도는 다르게 나타났다. 셋째, S-PBL 학습방법에서 어려운 점은 그룹 활동 시 모든 조원들의 참여유도가 어렵다는 것이며, 보강시켜야 할 부분은 실습과 강의, 자율학습, 토론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S-PBL 학습방법에 대한 만족도를 높여 수업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새로운 학습방법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도 향상방안, 다양한 학습자의 동기유발 방안, 교수의 촉진자로서의 태도, 교수의 중재 및 평가방식의 다양화 등이 필요하며, 이에 대한 추후연구와 실증검증이 요구된다.
        4,900원
        37.
        2008.0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경제개발과 성장의 기반이 되는 인적자원개발과 교육시스템에 대해 지식과 경험의 공유 및 교류에 대한 요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교육 분야에서 이러한 요구에 적절히 대응하고 우리 교육 · 문화와 e- 러닝 산업의 해외진출 등의 기회로 활용하기 위해 국제교육협력을 위한 휴먼네트워크를 보완하고 강화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요구들을 반영하기 위해 한국과의 교류협력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해외 고위공무원 기업인 등을 대상으로 하는 초청연수 사업이적절한 대안으로서 추진되어 왔다. 그러나 공급자 중심의 사고방식, 민간의 참여부족, 사업성과 측정 미비, 사업추진 주제간 협력 부재 등으로 성과창출이 제한적이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대안을 마련하고자 관련 선행연구를 기초로 본 블랜디드 러닝 기반 문제중심 국제연수과정의 개발과 함께 평가연구를 진행하였다. 평가연구는 크게 반응도 평가, 이해도 평가, 현업적용도 평가로 실시되었다. 그 결과 블랜디드러닝 기반 문제중심 국제연수과정이 교육생들의 이해도 향상은 물론 실제 각자가 가지고 있는 문제해결에 도웅을 주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국제연수과정개발에 있어서 고려점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6,100원
        38.
        202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orking memory is defined as the mechanisms or processes that allow humans to store information in the face of interference such as processing other information during sentence proces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ing memory capacity and PBL task performance with EFL university students. Forty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working memory scores (higher and lower groups). Reading span test has been implemented for working memory task. PBL tasks consist of word, phrase, sentence, and explanation levels. The results show that WM capacity i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PBL task performance. The correlation analysis of WM scores(storage and processing) and PBL task performance showed different tendency in WM higher and lower groups according to the task types.
        39.
        201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예술의 이해> 교과목을 위한 PBL 수업을 개발하여 운영한 후 나타난 학습자들의 학습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를 위해 ‘공공예술’의 본질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문제를 개발하였으며 1개의 PBL 모듈을 적용하였다. 연구대상은 다양한 전공별, 학년별로 구성되었고 총 75명이 참여하였다. 연구에 활용한 자료는 학습자들이 PBL 과정을 거친 후 작성한 성찰저널과 자기평가, 그리고 학습만족이었다. 성찰저널에서는 키워드에 대한 빈도분석을 통해 협동학습 이해, 관련지식 습득과 적용, 실제 경험과 체험, 자아성찰과 변화된 자신, 그리고 문제해결력 향상의 다섯 가지 학습효과가 나타났다. 자기평가에서는 전반적으로 높은 결과가 나타났고, 학습만족에서도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평가 결과가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를 통해 창의 융합 역량을 위한 PBL 예술교육에서 학습자들이 문제의 다각적 분석과 비판적이고 창의적인 의견 제시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이 필요하고, 또한 학습만족을 더욱 증진시키기 위한 개선이 필요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궁극적으로 예술교육에서 학습자들이 자기주도적인 학습을 통해 비판적이고 창의적인 사고 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40.
        201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이론과 실기 교육, 학계와 산업계의 융합 교육을 지향하는 게임 교과목 교육의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학습 방법론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교수자 중심 교육에서 학습자 중심 학습 환경으로 변화하고 있는 시대적 흐름을 반영하여 4PBL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4PBL 모델은 학습 접근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3P 모델과 문제기반학습(Problem based Learning) 방법론을 보강, 발전시킨 모델로 개인지(Personal based Learning), 문제기반학습(Problem based Learning), 프로젝트기반학습(Project based Learning), 실행기반학습(Performance based Learning)으로 구성된다. 본고에서는 구체적인 게임 교과목 교육 사례를 들어 각 단계별 PBL의 개념과 특징을 설명하였다. 이와 같은 시도는 변화하는 교육 패러다임 속에서 게임 기획과 개발에 대한 지식을 주체적으로 구조화할 수 있는 학습 환경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의미한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