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2

        23.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short-term aging (SA) protocols of the normal hot-mix asphalt (HMA) mixture, to explore problems, and to suggest proper procedures based on fundamental principles of SA in terms of the SA temperature (T) and length of time (Lt) in existing specifications in several countries including Korea. METHODS : As the SA in our lab is a simulation of field SA, which is an inevitable procedure occurring naturally in the current field practice, major SA guidelines of foreign countries and Korea were reviewed to investigate problems that showed discrepancies with field practice. The aging quantity (Aq) model was introduced as a function of T and Lt, based on the correlation with absolute viscosity (AV) to estimate Aq by T and Lt. The normal SA (NSA) was suggested through an example procedure inducing binder aging level similar to the RTFOtreated binder AV or Aq. Based on the NSA Aq level, lower, proper, or higher SA conditions were discovered from the existing SA guidelines. RESULTS : As Aq has excellent correlation with AV, the proper T and Lt for NSA as an example was suggested based on the AV of RTFOtreated binder to induce an Aq range of 19,000-25,000 min.℃.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everal problems in the existing guidelines in USA and Korea. These included lower T, shorter or longer Lt, and air blowing or stirring the mix during SA, which were not matched with the practical condition of loaded HMA mixtures that were short-term aged under hot temperatures in trucks. CONCLUSIONS : It was concluded that there are several problems in the current SA guidelines, which do not provide proper HMA temperature to mixtures for proper (modal) length of time. Therefore, these guidelines should be reevaluated carefully and revised based on the fundamental field SA principle. The NSA condition should be suggested using proper HMA T and modal Lt for better simulation of field SA practice.
        4,200원
        24.
        2020.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중국 상해 및 심천 증권거래소 A-Share 상장기업 단기자금 조달구조의 결정요인을 실증적으로 분 석한다. 본 연구의 초점은 기업간신용의 차입비중에 금융경색 및 재무제약 요인이 미치는 영향을 추정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자금시장 전반의 금융경색을 지표하는 변수로 대출-예금금리차가 추정에 포함되었다. 개별 기업의 재무제약 변수로 기존연구를 반영하여 자산총계, Whited-Wu Index, Kaplan-Zingales Index 등이 가설검 증 변수로 추정에 포함되었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에서 중국 상해 및 심천 증권거래소 A-Share 상장기업의 단기 자금 조달구조 결정요인으로 금융경색은 기업간신용 차입비중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되어 중국 기 업의 기업간신용 차입비중이 경기순응적, 시장순응적임을 제시한다. 재무제약은 기업간신용 차입비중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기업간신용이 단기자금 조달수단 중에서 “열등한 대체재”로 기능함을 시사하는 것으로 여타 국가들의 기업을 분석한 기존연구를 지지하는 분석결과가 도출되었다. 운전자본관리 측면에서는 만기일치가설을 지지하는 추정결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불완전패널구조를 보이는 중국 기업의 재무데이터를 분석함에 있어서 동적패널모형을 추정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고 일관성 있는 실증결과를 제시한다.
        7,000원
        25.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관찰자의 조망 높이의 감소는 시각장면 내의 사물들 간 중첩의 증가를 초래해 해당 사물들의 정체 파악을 어렵게 만들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가능성에 기초해 조망 높이를 달리한 시야 상에 기억이 요구되는 자극들을 제시하고 해당 자극에 대한 시각단기기억 수행을 조사했다. 실험 1에서는 관찰자의 조망 높이(고, 중, 저) 차이를 반영한 격자무늬 배경과 기억 자극을 구성해 해당 자극들의 위치와 색상을 파지하는 단기기억 과제가 실시되었다. 기억 자극의 개수 증감(3 vs. 6)을 통해 기억부담의 수준을 달리해 가면서 기억 수행을 조사한 결과, 조망 높이가 가장 낮은 경우 기억부담의 증가에 따른 기억수행의 저하가 가장 분명한 것이 관찰되었다. 실험 2에서는 선형조망을 제공하는 격자무늬 배경의 유무에 따른 기억 수행을 관찰한 결과 실험 1과 동일하게 조망 높이가 가장 낮은 경우 수행이 역시 저하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조망 높이의 차이가 시야 상의 사물들 간 중첩 단서량의 변화 를 초래하며 더 나아가 이러한 변화가 초래하는 감각적 간섭이 시각단기기억 수행에 영향을 줄 가능성을 시사한다.
        4,300원
        26.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Neurodynamic mobilization is divided into slider mobilization and tensioner mobilization. However, movement direction in neurodynamic mobilization has been overlooked in neurodynamic exercise program. Objective: To examine the effect of movement direction in neurodynamic mobilization on upper limb mobility and pain. Design: Quasi-experimental study Methods: Twenty-two adults positive for neurodynamic test for the median nerve were recruited for participation in this study. Twenty-two subjects were allocated to the applied neurodynamic mobilization at limited side group (ANTLS, n=7), the applied neurodynamic mobilization at contralateral limited side group (ANTCLS, n=7), and the applied neurodynamic mobilization at bilateral side group (ANTBS, n=8). Before the intervention upper limb limited was measured neurodynamic test for the median nerve, pain was measured using visual analogue scale (VAS), movement direction in neurodynamic mobilization was applied to each group, and then re-measured using neurodynamic test for the median nerve and VAS. Differences the Intra-groups before and between the intergroups after intervention were analyzed. Results: In the ANTLS and ANTBS group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ROM and decrease in VAS score in the population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were indic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VAS and ROM from before to after intervention were found among the ANTLS, ANTCLS, and ANTBS group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 that movement direction in neurodynamic mobilization must be considered within the limits of its selected range of the neurodynamic exercise program.
        4,000원
        27.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지역 기상-해양 접합모델을 이용하여 2018년 8월 28일부터 30일까지 한반도 서울-경기지역에 내린 강수에 대해 대기-해양 상호작용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지역 기상-해양 접합모델에서 기상모델은 WRF (Weather Research Forecasts)가 사용되었으며, 해양모델은 ROMS (Regional Oceanic Modeling System)가 사용되었다. 단일 기상 모델은 WRF모델만 이용되었으며, ECMWF Re-Analysis Interim 의 해수면온도자료가 바닥경계자료로 사용되었다. 관측자료와 비교하여, 대기-해양 상호작용의 효과가 고려된 접합모델은 서울-경기지역의 강수 및 황해 해수면온도에 대해 공간상관계수가 각각 0.6과 0.84로 이는 지역 기상모델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평균편향오차(MBE, Mean Bias Error)은 각각 −2.32와 −0.62로 지역 기상모델 보다 낮은 오차율을 보였다. 상당온위와 해수면온도 및 역학적 수렴장으로 분석한 대기-해양 상호작용의 효과는 황해 해수면온도의 변화를 유도하였고, 그 변화는 하층대기에서 열적 불안정과 운동학적 수렴대의 차이를 발생시켰다. 열적 불안정과 수렴대는 결과적으로 서울-경기 지역에서 상승운동을 유도하였고, 결과적으로 기상-해양 접합모델에서 모의된 강수가 관측과 더 유사한 공간분포를 나타냈다. 그러나 복잡한 관계에 있는 대기-해양 상호작용의 효과를 더 명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사례연구와 장기적인 분석이 필요하지만, 본 연구는 기상-해양 상호작용이 강수 예보에 중요성에 대한 또 다른 증거를 제시한다.
        4,800원
        28.
        201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hort-term aging level on the moisture resistance of a dense-graded asphalt mixture by measuring its deformation strength ratio (SDR). METHODS : Three short-term aging (STA) durations (1, 2, and 4 h) at two different temperatures (160℃ and 180℃) were used for the normal dense-graded hot-mix asphalt (HMA) mixtures prepared using PG 64-22 asphalt and 13mm aggregate with and without hydrated lime (HL). The specimens were prepared using a gyratory compactor, after each STA, to achieve a WC-1 gradation as defined by the Korean guide. The SDR was measured after freezing-and-thawing (F-T) conditioning, and submerging the specimen into water at 60℃ for 72 h.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oisture resistance decreased with the increase in STA duration. After STA at 160℃ and 180℃, the SDR values, measured after F-T treatment, or after submerging into 60℃ water for 72 h, decreased with the increase in STA duration. However, when HL was used in the same asphalt mixtures, the SDR improved, for identical STA conditions. Therefore, the moisture resistance of the asphalt mixture was affected by the short-term aging duration, and decreased with the increase in aging duration. However, HL effectively retarded aging, and the moisture resistance, as indicated by the SDR, improved in the HL-added mixes, which had aged lesser than the normal mixes. CONCLUSIONS : It was concluded that the moisture resistance of the asphalt mixture decreased with the increase in aging level, and hydrated lime was effective in preventing the degradation of the moisture resistance by reducing the age-hardening of the binder. However, since this study used a limited range of materials, further studies using more materials are required to reach a more generalized conclusion.
        4,000원
        29.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heat stress on the status of physiological responses, blood parameter, serum T3 and cortisol, and heat shock proteins (HSP 27, 70, and 90) of Hanwoo cattle. Six Hanwoo steers (242.8 ± 7.2 kg of BW) were housed in the climate-controlled respiration chambers. The experiment consisted of 7 days (control; 0 day) at thermoneutral (air temperature (Ta) of 15oC and relative humidity (RH) of 60%; temperature-humidity index (THI) = 64), and by 3 and 6 days (treatment groups) at heat stress (Ta of 35oC and RH of 60%; THI = 87). Body temperature of each parts (frank, rump, perineum and foot) and rectal temperature elevated in heat stress groups (3 days and 6 days) than the control group (0 day). Respiration rates increased in 3 days and 6 days (88.5 ± 0.96 bpm and 86.3 ± 0.63 bpm, respectively) from 0 days (39.5 ± 0.65 bpm). Feed intake significantly decreased in heat stress groups (3 days and 6 days, 3.7 ± 0.14 kg and 4.0 ± 0.15 kg, respectively) than the control group (0 day, 5.0 ± 0.00 kg). In addition, final BW significantly decreased in heat stress groups (3 days and 6 days, 211.8 ± 4.75 kg and 215.5 ± 3.50 kg, respectively) than the control group (0 day, 240.0 ± 25.00 kg). However, heat stress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blood parameter, serum T3 and cortisol. Nevertheless, heat stress increased HSPs mRNA expression in liver tissue, and serum concentration of HSPs. Despite Hanwoo cattle may have high adaptive ability to heat stress, our results suggested that heat stress directly effect on body temperature and respiration rate as well as serum and tissue HSPs. Therefore, we are recommended that HSPs could be the most appropriate indicators of Hanwoo cattle response to heat stress.
        4,000원
        30.
        201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전국에 분포하고 있는 주요 산채류의 자생지를 대상으로 TWINSPAN에 의해 식생 구조를 파악하고 Ordination DCCA에 의한 군락구조와 환경요인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산채류 재배지 환경조성에 필요한 생태학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2016∼2017년에 수행되었다. 전국 주요 산채류 자생지 91개 조사구에서 각각 초본층에 중요치가 높게 나타난 100분 류군을 대상으로 TWINSPAN을 실시한 결과, 고려엉겅퀴군락과 수리취군락, 곰취군락과 원추리군락, 넓은잔대군락, 도라지 군락과 참취군락, 두릅나무군락과 고사리군락, 참나물군락과 고비군락으로 구분되었다. TWINSPAN에 의해 분류된 11개 군락과 11개의 환경 요인으로 DCCA ordination 결과, 해발고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고려엉겅퀴군락, 수리취군락 및 곰취군락은 해발고는 높고 경사는 완만하며, 양료에 의한 입지환경이 유사한 지역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릅나무군 락 및 고비군락은 해발고, pH, O.M, T-N, Ca2+ 및 C.E.C가 낮은 입지환경에 분포하였다. 원추리군락은 해발고는 낮고 경사는 중간정도이며, 주로 북동, 북서사면에 pH는 낮고 P2O5는 약간 높은 입지에 분포하였고, 넓은잔대군락은 해발고는 약간 높고 경사는 낮은 남동, 남서사면에서 pH는 높고 P2O5는 낮은 입지에 분포하여 원추리군락과 넓은잔대군락은 입지 환경이 상반되는 경향을 보였다. 도라지군락은 해발고는 낮고, 남서사면에 경사가 완만하며, pH, O.M, T-N, P2O5, Ca2+ 및 C.E.C가 낮은 반면 Mg2+는 높은 입지환경에 분포하였다. 고사리군락은 해발고가 낮은 남서사면에 주로 분포하고 O.M, T-N, C.E.C. P2O5, Ca2+ 및 K+가 낮은 곳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취군락 및 참나물군락은 본 조사에서 많은 군락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다양한 입지 환경에 분포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31.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Cervical mobilization has been applied mainly for the improvement of arm and neck movements and pain reduction, and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to improve the executive function. Since this kind of so-called mechanical neck pain is one of most common symptoms, there are controversial issues about this with spine alignment. Posteroanterior (PA) mobilization from the Maitland concept is a process of examination, assessment, and treatment of neuromusculoskeletal disorder by manipulative physical therapy. Objective: To examine the short-term benefits of mobilization for patients with non-specific neck pain. Design: Dual-group Pretest-Posttest Design from the Quasi-Experimental research Methods: Fourteen participants (male 8, female 6; 20’s of their age) with nonspecific neck pains which are distributed all the unilateral or bilateral body side were recruited. Participants were categorized to Neck Pain with Movement Coordination Impairments (NPMCI) and Neck Pain with Mobility Deficits (NPMD) group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physical examination. Professional physical therapist who has over 15-years-of clinical experience applicated manipulative therapy for the neck pain, an occupational therapist only conducted evaluations; K-NDI (Korean version of the Neck Disability Index), VAS (Visual Analog Scale), BDS-K (Korean version of Behavioral Dyscontrol Scale) for decreasing possible adverse effects; there were no person who reported other symptoms followed 4 weeks from the trial. Results: In the NPMCI group, data analysis indicated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PA mobilization interventions in NDI and BDS-K; even though, pain was reduced in VAS, this is not a significantly differ. In the NPMD group, data analysis represented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PA mobilization interventions in NDI, VAS and BDS-K; the scores were represented to be increased or the pain got relief. Conclusions: PA mobilization techniques according to Maitland concept have beneficial effects in patients with neck pain and other clinical positive effects which included neck disability, pain itself and motor function of upper extremity.
        4,000원
        33.
        201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반도 최초의 근대지도 제작이 일제 참모본부 간첩대에 의해 이루어졌음은 이미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바 있다. 대한제국 정부는 1895년 지적과를 설치하였고 1898년 양지아문을 만들어 지도제작을 위한 측량교육을 시도하였으나, 중추원에서는 양지아문의 폐지를 주장하는 논의가 일어나기도 하였다. 우리나라에서 근대지도를 제작하기 위한 지도 및 측량교육은 1909년 보성소학교 내에 설치된 신흥농업강습소가 융흥농림강습소로 개칭된 후 신설되었던 임업속성과가 보성전문학교로 이관되면서 실시한 것이 효시였다. 우리나라에 측량교육이 초미의 관심사가 된 것은 신교육구국운동과 삼림법의 시행에 있었다. 그 이유로 측량학교와 강습소가 서울을 비롯한 전국 각지에 설립되어 측량교육이 활기를 띠게 되었다. 우리나라 역사상 1908~1909년은 측량학교 전성시대였다고 간주되는데, 바로 이와 같은 시기에 보성소학교의 신흥(융흥)농업강습소가 보성전문학교의 임업속성과로 이관되어 측량 교육을 실시했던 것이다. 그러나 4년에 걸친 짧은 측량교육은 재정난과 한일합병으로 단명에 그치고 말았다.
        4,900원
        34.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Learning and memory are essential for animals like honey bee, in which foragers leave their nest to collect food and then successfully learn to navigate back to colony. Chronic environmental exposure of neoniconitiod highly affect pollinators like honey bee.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neonicotinoid, thiacloprid and imidacloprid on learning, memory and mortality of pollen foragers based on their toxicity level. Individual Pollen foragers Apis mellifera were trained using a proboscis extension proboscis. We used three treatments: 50% sugar solution, 50% sugar contaminated thiacloprid and imidacloprid as unconditioned stimulus and 2M 1-nonanol as conditioned stimulus. Our result shows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ntrol and thiacloprid treatment both in learning and mortality of honey bee. But we found difference in memory between subjects exposed to control and thiacloprid contamination. Whereas imidacloprid contamination significantly lowered learning, eradicate memory retention and higher mortality of honey bee. Even thiacloprid and imidacloprid are in the same chemical class of Neonicotinoid insecticides, their toxic level would be different resulting in differential ecological impact to honey bee colony.
        35.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hort-term effects of lumbar rotational mobilization under the single-leg standing (SLS) position. Fifteen healthy individuals were recruited, and randomized to agroup of trunk rotational exercise (TRE) and lumbar rotational mobilization (LRM). Trunk twist rotational exercise was performed to the TRE group, and mobilization was applied to the LRM group on the lumbar spine. Velocity of the center of pressure (VCOP) and center of pressure (COP) for each participant were measured through SLS. COPs were not significantly increased or decreased after treatment in both groups. VCOPs also did not change considerably except on the right side when the eye was clos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Ps and VCOPs in two groups. This study suggests that trunk rotation exercise and lumbar rotation mobilization would have similar effects on balance ability.
        4,000원
        36.
        201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종의 일반토마토 ‘대프니스’, ‘도태랑다이아’, ‘마스카라’를 대목 ‘B블로킹’에 접목하고 접목 활착 후 10일부터 10일 간격으로 40일 까지 육묘용 표준양액(S)의 0.5S, 1,0S, 2,0S 로 시비수준 처리를 하였다. 각 시기별로 묘의 생육 인자들을 조사하였고, 묘소질 지표인 TR율, 충실도, DQI를 계산하였다. 그리고 생육인자들과 묘소질 지표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묘령별로 야간온도를 10, 15, 25℃를 목표로 3수준으로 처리하여 상대생장률(RGR)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토마토 접목묘의 양적인 생육인자들은 모두 시비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고, 다양한 크기 범위의 묘를 생산할 수 있었다. 그리고 묘의 바이오메스 관련 생육인자가 충실도와 DQI에 높은 정의상관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충실도와 DQI의 고도로 유의한 1차 선형회귀식((Y=-0.0256+0.0029*X, Adj R2=0.9480, p<0.0001)이 도출되었다. 정식 후 2주간의 RGR은 묘령이 높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육묘기 시비수준에 따라서는 접목활착 후 30일묘와 40일묘에서 표준 시비수준 1.0S에서 RGR이 높았다. 시비수준별 육묘기 DQI와 정식후 초기 RGR과 유의한 선형회귀식을 도출하였으며, 표준 시비수준 1.0S에서 DQI가 높아짐에 따라 RGR이 높게 유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DQI가 원통형 종이포트 토마토 접목묘의 묘소질의 지표로 이용될 수 있고, DQI와 정식 후 초기 상대생장률과의 관계분석을 통하여 우량묘의 기준 설정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37.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외래해충은 자연생태계 교란과 농업환경의 파괴를 가져와 궁극적으로 우리 사회에 엄청난 사회적 비용과 경제적 손실을 유발한다. 이러한 외래해충의 국내 정착 시 대상 해충에 대한 효과적인 방제법과 천적 등의 부재로 박멸에 어려움이 있기에 검역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최근 붉은불개미와 금지급 과실파리류는 변화하는 기후와 국가 간교역량의 증가에 따라 최근 국내에서 발견되고 있다. 이를 위해 근연관계에 있는 일본열마디개미와 호박꽃과실파리를 대상으로 내한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두 종의 곤충은 저온처리(8℃에서 2시간) 후 체내빙결점의 저하가 나타났다. 또한 저온처리 후 –5℃에서 생존율은 호박꽃과실파리가 일본열마디개미 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38.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후변화로 인한 아고산대 산림식생의 변화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연속적인 기초자료의 축적과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수반되어야 한다. 또한 장기 변화의 추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하층식생에 대한 단기간의 생태적 정보 변화의 모니터링도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단기간에 걸친 구상나무 치수의 동태와 고도별 식생분포 변화를 구명하고자 2015년도와 2017년도에 지리산 구상나무 분포지를 대상으로 총 36개소의 방형구를 설치하여 매목조사 및 식생조사를 실시하 였다. 현장에서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층위별 주요 종에 대한 중요치 및 평균상대우점치, 고도별 주요종의 중요치 및 종다양도, 치수 개체군 변화를 분석하였다. 구상나무 분포지의 식생구조는 교목층 구상나무, 관목층 철쭉, 초본층 실새풀의 중요도가 높았으며, 평균상대우점치는 구상나무, 철쭉, 당단풍나무 순으로 나타났다. 해발고도별 종조성과 종다양도 지수는 1,500 m이하에서 조릿대의 중요도가 높고 종다양도 지수가 낮게 나타났다. 또한 1,700-1,800 m에서 미역줄나무의 중요도와 초본층 종다양도가 높게 나타났다. 전체 조사구에서 구상나무 치수는 2015년도 1,250 본/ha에 서 2017년도 970 본/ha으로 22.4% 감소하였다(p<0.05). 수고급별 감소율은, 10 cm 미만은 22.9%, 10-30 cm 3.4%, 30-50 cm 8.9%, 50-100 cm 39.3%이었으며, 100 cm 이상은 55.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해발고도별로 살펴보면, 1,500 m 이하는 조릿대의 우점, 1,700-1,800 m는 미역줄나무의 우점과 높은 종 다양도로 인하여 치수 발생량이 적었던 것으로 판단되었다. 1,600-1,700 m는 조릿대와 미역줄나무가 출현하지 않은 반면 구상나무 치수발생량은 많았다. 이 고도에서 구상나무 치수의 발생 및 생존이 보다 안정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39.
        201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t is well known fact that the filed asphalt mixture is aged in the truck while hauling and queuing for one to four hours before dumping to the hopper of the paver. This aging, which is called short-term aging (STA), affect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asphalt mixture. For example, the maximum theoretical density of mixture is changed before and after STA. Therefore, when the asphalt mixture specimen is prepared for testing various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in laboratory, the mixture should be STA conditioned by a most-likely STA condition of the field. This is the reason why the STA should be performed properly. This study initiated to investigate STA conditioning protocols, set forth many agencies in the world, and to suggest a proper STA protocol which simulates field HMA condition as most likely as possible. According to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hat the blended loose mix for one specimen poured in a canister should be kept in a drying oven (no forced draft) without cap at 163±2℃ and for 70±15 min for normal HMA mix. This protocol was suggested based on that the absolute viscosity level of the recovered binder after STA should be a similar level of the same binder after a standard RTFO run.
        40.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에서 육성된 중생종 동양배 품종인 ‘창조’는 성숙 기간 중 지속적으로 과실이 비대하여 600g대의 편원형 과실로 발달하였다. 성숙기간 중 경도는 경시적으로 저하되어 만개 후 153일인 9월 13일에 32.58N으로 조사되었고 만개 후 160일에는 26.44N으로 급격히 경도가 저하되었다. 식감과 관련된 품질요인 중 과실의 전분함 량은 만개 후 153일에 0.737, 만개 후 160일에 0.451로 전분함량이 급속히 감소하였고, 과육의 세포벽함량을 조사하였던 결과, 과실비대가 증가하고 과실성숙의 진행과 더불어 알코올불용성물질 함량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과피색차 중 적색도(a*)는 만개 후 139일 이후 양의 값을 보여 외관상의 과피녹색 발현이 소실되었는데 과피의 SPAD 값을 조사한 결과에서도 동일하게 엽록소의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Hue angle 역시 성숙과 연화 기간 중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수확시기의 지 표로 활용 가능하다고 판단되었다. 성숙기간 중 과육 내에 축적되는 당 성분을 분석한 결과, 만개 후 153일에 총량이 최대치를 보였는데 전 생육시기에 걸쳐 전체 당 성분 중 과당이 우점하고 있었고, 과실성숙도가 높아질 수록 자당의 비율이 유의하게 증가하여 만개 후 160일 에 수확한 과실에서는 자당이 과당을 넘어 우점하여 과숙단계로 생각되었다. 따라서, 배 신품종 ‘창조’의 적정 수확시기는 만개 후 153일인 9월 13일 이전으로 평가되었고 수확시기를 놓친 경우에는 경도 등 과실의 품질이 급격하게 하락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대만 지역 수출 을 모의하여 단기수송온도 설정을 위한 수확 후 저온순화 실험을 실시한 결과, 만개 후 146일에 수확한 과실이 만개 후 153일에 수확한 과실에 비하여 25oC 유통 후 높은 경도를 유지하는 경향을 보였고 최종 수송 목표 온도인 5oC로 저하되는 속도가 느릴수록 과육장해의 발 생심도 및 에틸렌발생량이 높은 경향을 보였으므로 ‘창조’ 품종에 있어 동남아 지역 수출 시 생리장해 및 과실 품질 유지를 위해서는 수확시기를 만개 후 146일 이전 에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창조’ 배의 목적별 수확시기 결정 및 과실의 선별 기술에 일조하고 수출 시장에서의 한국산 배의 신인도 확보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