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학습자들이 한자 학습을 재미있게 하고, 학습의 과정에서 다양한 역량의 함양을 기대 할 수 있는 자원 학습의 방법을 모색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현장 교사들의 설문조사와 자원학습 강화의 필요성을 탐색하였고, 2015교육과정에 따른 중·고등학교의 한문 교과서에서 자원과 관련한 내용들의 구현 양상을 점검하였다.
효과적인 자원 교수·학습의 방법에는 한자를 그림으로 그리는 방법, 字素를 활용하는 방법, 고문자 자형 쓰기 방법, 동의자 비교 방법, 부수 활용하기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중·고등학교 한문 교과서 30종의 자원 수록 양상을 조사하여 교과서 내용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아보았다. 자원 관련 교과서의 진술의 문제점은 부수 진술의 위계성과 체계성 문제, 표현의 정확성 문제, 자원의 진술 방식 문제 등이 있었고, 이에 대한 나름의 대안을 제시하였다.
자원 학습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표본 자형 구축 및 최신 연구 성과를 반영한 중·고등학교 학습용 자원의 표준화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부수 학습의 체계화, 교사 연수 및 콘텐츠 개발과 보급 등이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자원 학습을 통해 한자를 자기주도적이며 창조적으로 익히고, 학습의 과정에서 사고력과 상상력이 확장되어야 한다. 한자 학습이 일정한 성과를 거두면 한문 학습에 즉각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본고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등학교 한문교과서 한시 관련 단원에 구현된 교수·학습 방법의 여러 양상을 검토하였다. 먼저 소단원 도입의 구현 양상과 장단점을 살펴보고, 도입에 제시 된 활동 방식의 다양성과 효용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교과서마다 도입의 유무와 명칭과 구현 양상은 달랐지만, 도입이 잘 구비된 경우는 학습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이어서 본문과 본문 풀이에 구현된 교수·학습 방법에 대해 검토하며 본문 수록 한시 작품과 본문 풀이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작품 선정과 일부 작품에 대한 풀이와 감상에 의문을 제기하지 않을 수 없었다. 마지막으로 소단원 구성의 연계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특히 소단원을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학습요소들이 가지는 상호 간의 긴밀한 연계성은 교수·학습 방법에 있어 소홀히 해서는 안 되는 중요한 부분임을 강조하였다. 끝으로 ‘심화학습과 활동하기’의 다양성을 살펴보았고, 이것이 본문과 어떤 연계성을 가지는지 논의 하였다.
201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한문 교과서는 면면이 화려하고 충실하다. 그러나 다양성의 상실과 독창성의 결여에 대해서는 유감스럽다. 17종의 중학교 한문 교과서와 13종의 고등학교 한문 교과서의 구성이 마치 약속이라도 한 것처럼 동일하다. 다양한 구성과 내용을 가진 개성 있는 한문 교과서 가 검인정을 받아 등장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야 중등학교 한문교육의 미래도 밝을 것이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고 한문 교과서가 개발되어 교실 수업에 적용되고 있다. 성어는 한문 교육의 주요 학습 영역이다. 한문 독해의 기초 학습이 가능하며, 언어생활 활용도가 높기 때문이다.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의 적용도 가능하다.
이 글은 새로운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에 수록된 성어 관련 교수・학습 방법을 검토하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교과서 성어 수록 양상을 검토한 결과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이 제공되고 있었다. 이전에 비해 새롭고 창의적인 방법도 다수 소개되었다. 학생이 참여하고 활동할 수 있는 방법도 포함되어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교과서에서 성어의 겉 뜻과 속뜻을 자세하게 제공하고 있었다. 학습자가 속뜻을 찾아가는 과정이 구체적으로 제시된 경우는 드물었다.
앞으로의 교과서는 학습 과정이 구체적으로 제시되고, 학습을 통해 도달해야 할 지점이 명확하게 제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성어의 특성과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방법과 자료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학습 발달과정을 탐색을 통해 계절의 변화에 대한 교육과정과 교수 계열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학습 발달과정을 알아보기 위해 Wilson (2005)이 제안한 ‘구인 모델링 방식’의 4가지 단계(구인특화, 평가 문항 개발, 평가 결과 기술, 측정 모델)를 적용하였다. 구인특화 단계에서는 계절의 변화의 하부 구인으로 ‘계절에 따른 그림자의 길이’, ‘계절에 따른 별자리의 위치’, ‘남반구와 북반구의 계절’, ‘계절에 따른 태양의 일주운동’, ‘계절의 원인과 현상‘을 설정하였으며, 선행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각 하부 구인의 하위 정착점인 수준 1에서 상위 정착점인 수준 4까지를 나타낸 구인구성도를 작성하였다. 평가 문항 개발 단계에서는 구인구성도를 토대로 C-E (choose and explain) 형태의 문항 3개, CR (constructed response) 형태의 문항 2개로 구성된 총 5개의 평가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초, 중, 고등학교 학생 383명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평가 결과 기술 단계에서는 평가 문항에 대한 학생 응답 결과를 구인구성도를 토 대로 범주화하는 과정을 거쳤으며, 이 범주들을 학생 능력에 따라 4수준으로 분류하고 1-4점의 점수를 부여하였다. 측정 모델 단계에서는 Rasch 모델의 부분점수 모형을 적용하여 학생들의 응답 결과를 통해 작성한 학습 발달의 경로가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작성한 구인구성도와 일치하는지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구인구성도를 수정함으로써 최종적으로 계절의 변화에 대한 가설적인 학습 발달과정을 작성하였다. 최종적으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계절 변화에 대한 교육 과정 개정 방향과 효과적인 교수 계열을 제안하였다.
이 글의 연구 과제는 ‘漢字의 形・音・義를 어떻게 파악할 수 있는가?’이다. 入門期 한자 학습자가 특정 한자를 처음 접할 때, 그 한자의 모양, 소리, 음 곧, 漢字의 形・音・義를 어떻게, 어떤 경로를 통하여 파악할 수 있는가라는 문제이다. 이 글에서 ‘漢字의 形・音・義 파악하기’로 명명한다. 이 글의 연구 과제인 ‘漢字의 形・音・義 파악하기’를 수행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다음 세 가지 연구 내용을 설정했다. 첫째, 한문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漢字의 形・音・義 파악하기 내용을 분석하는 것이다. 한자의 짜임, 부수, 자전 등이 주목된다. 둘째, 한문 교과서에 제시된 漢字의 形・音・義 파악 하기 관련 교수・학습 방법을 분석하고자 한다. 단원 구성, 한자의 짜임, 부수 등을 강조했다. 셋째, 漢字의 形・音・義를 파악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교육과정 내용 및 교과서 분석을 토대로, 현장에서 실행 가능한 漢字 形・音・義 파악학기 교수・학습 방법을 학습 요소, 기법, 그리고 자료 층위에서 試論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NCS-based cooking practice education method by using the full learning model and to confirm its effect. The study design was a pre-post test of the non-equality control group.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28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7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NCS-based cooking practice training using the complete learning model, and the control group received only cooking practice training based on the full learning model. The data were collected during the second semester of 2016 and analyzed by SPSS WIN 23.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homogeneity test showed that pre - homogeneity such as general characteristics, cooking ability, and knowledge of cooking theory were achieved (p>0.05).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recognized that its cooking ability was high. With respect to the ability to cook food, the ability to cook, and the ability to prepare food ingredients (p<0.01), personal hygiene management, cooking hygiene management, and cooking safety management abilities were not significant. The mean value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 Third, the final theoretical knowledge score was not significant. The average score in the experimental group (69 points) was 5 points higher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64 points). This was about two times higher than the score of 37 points in the first stage preliminary survey. Finally, the final performance score was significant (p<0.05), and the score in the experimental group (89 points) was 5 points higher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84 points). Therefore, the NCS-based cooking education method is confirmed to be an effective method, especially for improvement of the practical ability, improvement of theoretical knowledge, and achievement of perfect learning standards.
Le but de cette étude est de découvrir les méthodes d'enseignement-apprentissage intégré de la langue et de la culture française pour développer la capacité de communication basée sur la compéhension du contexte de la culture pour les étudiants en spécialité de français. Les étapes de recherches suivantes sont : (1) établissement de l'objectif ducours, sélection et organisation des contenus en tenant compte des résultats des études précédentes et (2) suite à la description du contexte culturel, réalisation de la tâche intégrant la langue et la culture française, ainsi que les quatre compétences à savoir expression orale, écoute, lecture, écriture.
Nous prévoyons les résultats suivants grâce à cette étude. (1) Les éléments culturels contribuent à motiver les apprenants dans l'enseignement-apprentissage des langues étrangères; (2) Les documents authentiques aident les apprenants à comprendre la langue et la culture cible mais aussi à acquérir une capacité de communication; et (3) Les apprenants développeront la compétence interculturelle par des procédures comparatives entre la culture de leur pays et la culture cible tout en accomplissant la tâche.
“Action-oriented Approach (AA)” as a new teaching method has taken an important role in teaching and learning of French Education during past 10 years. However, even though the new teaching method is very welcome for educators, now it is the time that we have to consider whether the key principle and fundamental notion of this approach is suitable for our language education environments and is theoretically appropriate for education. For that, it is necessary that we have to carefully examine this “Action-oriented Approach” from two points of views. First of all, from the angle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we need to verify whether this new approach could be appropriately applied in teaching and learning of Korean foreign language education or not. Secondly, from a societal perspective, we need to examine how this method, considering language education as everyday life itself, can handle some critical perspectives in the point of “status in quo” of “AA”. It has been criticized that language education as everyday life itself can make learners in everyday life to unconsciously acquire maintaining the ‘status quo’ during actions such as “educational inequality”. It is expected that this kind of examination will suggest us an improved way of “AA” for more effective and appropriate practice of French Education, and will give us an opportunity to think about the better way of teaching and learning model by “AA” in Korea.
한자는 세계 역사에서 가자 유구한 역사를 지닌 문자 체계이며, 오랜 동안 중국, 대만, 홍콩, 일본, 한국과 싱가폴 등에 동아시아의 여러 국가와 지역에서 대표 문자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각 지역의 표준과 준칙, 체계, 서사 방법, 발음 표시법 등은 각기 다른 현상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중국 대륙의 간화자와 홍콩의 번체자, 일본의 한자와 한국의 한자가 그러한 예에 속하다. 한자는 표의 문자이며, 자의에 따라 구성된다. 중문 독해의 기초는 한자를 아는데서 출발하며, 한자를 앎으 로써 단어를 이해할 수 있다. 식자란 표준 자음과 자형 그리고 자의를 이해하는 심리 과정을 의미한 다. 각 국가와 지역에서는 식자량과 쓰기 한자의 양에 대해서 1006자부터 3500자까지, 825자부터 2600자까지 각기 다른 기준을 정하였다.
부건은 한자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로 각기 조합되면서 한자의 기능을 보여준다. 이는 곧 부건이 한자 학습에 가장 중요한 단위 요소임을 말해주고 있다. 각 국가와 지역의 한자교육은 듣기와 말하기 능력에서 출발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한자의 발음을 판별하게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가, 이후에 식자교육을 실시하여 쓰기와 이해 능력을 발달시킨다. 그러나 각 국가와 지역의 한자 쓰기는 같은 방법이 아니어서 학생들로 하여금 동일한 한자를 다른 자형으로 인식하게 하는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 이는 먼저 번체자를 학습하게 함으로써 해결 할 수 있는 문제이다. 학생들의 듣기 능력을 제고하기 위하여 먼저 한자의 발음을 익숙하게 한 후에 말하기 훈련 능력을 키우고 더 나아가 집중 식자를 실시하고 가장 마지막으로 읽기와 작문 훈련을 시행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mmarize and report on both academic and pedagogical implications of CALL studies published in English Teaching from Vol. 1 (1965) to Vol. 70, n. 2 (2015) by critically reviewing 118 CALL articles in a qualitative meta-analytic approach, and also to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CALL research and practice. The data analysis indicates that English Teaching has m빠 significant achievements in developing technology and language learning research from both quantity and quality standpoints. First, that CALL has been consistently discussed as a major topic. Second, the research has been ground-breaking in topics, technologies, and instructional approaches. Third, the studies have produced meaningful findings, practical suggestions, and positive conclusions for English education in Korea. On the other hand, there are also some neglected aspects: first, the primary concern has been mostly for the effectiveness of new technology by means of quantitative approaches; second, the study scope is limited; third, the research projects are not sustainable or are unsupported by follow-up studies. In the future of CALL, it is hoped that 1) the role and usage of technology will be studied more from the L2 perspective; 2) the target interest will be focused on normal curricula; 3) large-scale research will be better promoted; and 4) more international efforts will be undertaken for theory building.
Le nouveau programme d'enseignement du français de 2015 encourage le développement de la créativité et du caractère des apprenants. Le but de cette étude est d'explorer les moyens de développer la créativité et le caractère des lycéens qui apprennent la langue française comme deuxième langue étrangère en Corée. Nous avons d'abord examiné la situation actuelle et quelques problèmes de l'enseignement du français qui entravent le développement de la créativité et du caractère. Cette analyse nous amène donc à exploiter le travail en petit groupe et l'apprentissage par les tâches. Ensuite, nous avons examiné la notion de tâche actionnelle qui remplace celle de tâche communicative. La tâche actionnelle fournit un contexte, une raison « sociale » pour acquérir une langue. Elle est une série d'activités complexes et authentiques qui aboutit à un produit final, destiné à être présenté oralement et/ou par écrit, et donc adressée à un public réel. Enfin, nous avons proposé une tâche actionnelle sur le thème du logement. L'enseignement du français par les tâches actionnelles permet aux apprenants de développer une pensée créative et la diversité avec plus d'occasion de s'exprimer. Et ils peuvent aussi avoir des responsabilités et de la considération pour les autres en interagissant les uns des autres afin d'atteindre l'objectif commun du groupe.
홍콩에서 시행되는 언어교육 정책에 따라 중문과에서는 보통화와 광동어 중 어 떤 언어도 자유롭게 선택하여 교육 언어로 사용할 수 있다. 본문에서는 문헌 연구 를 통해, 보통화만 사용하는 경우, 광동어만 사용하는 경우와 보통화와 광동어를 혼용하는 경우에 따라 15개의 언어교육형식을 설계하였다. 동일 소학교의 5개 소 그룹으로 나누어 각기 다른 언어 학습 교육법을 적용하여 학생들의 한자습득 능 력 발전에 대한 영향 관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여러 개의 안과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고, 삼각 논증의 방식으로 상호 비교 검증하였다. 질적 연구 방면으로는 교실 수업 분석과 교사와 학생 면담자료 등 다양한 개별 측정의 방법을 사용하여, 수업 언어가 학생들의 교육에 미치는 영 향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양적 연구 방법으로는 실험연구와 두 번의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수업 언어가 학생들의 한자 능력 발전과 학습 흥미와 동기에 미치 는 영향을 이해하도록 하였다.
한자능력에 대한 시험은학교와 가정, 사회의 세 개의 범주로 나누어, 학생들이 특정한 시험 시간에 사용하는 심리적 어휘를 측정하였다. 이상을 통해 우리는 다 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동일하지 않는 교육 언어 형식은 학생들의 한자습득 능 력의 발전 전체에 모두 직접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오로지 동일하지 않은 교육 언어를 사용한 반에서도 반별로 학생들의 한자능력의 발전에서도 각기 다른 표현 이 보였다. 방문면담의 결과를 취합하고 새로 적용한 후 시행한 2차 측정에서 이 미 이 결과를 알고 있는 교사는 서로 다른 교육 언어로 한자교육을 진행하면서 교사의 교육 목표, 교육 전략, 교육 시간의 설정과 배분에 영향을 받고 있었고, 학 생들 또한 한자습득 능력의 발전과 어문 교육의 흥미도에 영향을 받아 이전과는 다른 현상을 보여주었다.
요컨대 본 연구를 기초로 삼아 미래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 뿐 아니라, 본 연구의 성과가 언어 교육의 정책 결정자와 교사들에게 참고가 되어 향후 중문과 교육의 교육 정책을 결정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experience of teaching and learning English grammar and how they perceive English grammar education with regard to its role in learning English and the need and ways of including grammar instruction into the curriculum.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123 teachers and 1513 6th grade students. In addition, written interviews with 20 teachers were done through e-mail. Major findings from the analysis of this survey are three-fold. First, most of the teachers and the students had experiences of teaching and learning English grammar and they perceived that English grammar knowledge plays a positive role in learning English. Second, majority of both the teachers and the students believed that grammar instruction should start in 5th grade, but there is a gap between the teachers and the students with respect to grammar teaching approaches; the teachers prefer the inductive method, while the students prefer the deductive one. Third, many teachers considered that grammar instruction would not have a negative effect on English classes based on the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approach, but they believed that activities for grammar instruction should be well designed in order to keep students interested in learning English. Based on these results, several suggestions for improving English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are made.
The research on washback of a test has little been carried out in Korea while it has been flourishing in language testing researchers overseas. This paper investigates whether the advent of NEAT has affected the perception of test takers and the teaching/learning practices in English classrooms of Korea. In addition, we also want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such as perception of test users, teaching/learning practices, and test scores. We carried out a survey with 601 students who were seated at NEAT administered in April 2013 as well as 3,267 third-year high school students who had no experience on NEAT. The analyses revealed some evidence to support that NEAT has an effect on the perception of the participants. However, the analyses also revealed that NEAT was not effective to appeal for a change in teaching and learning practices in English classrooms in Korea.
Malaysia is currently implementing the use of the Frog Virtual Learning Environment (VLE) in all government schools in the country. This paper outlines the basis for introducing the VLE in leveraging teaching and learning in Malaysian schools. It discusses the state of current literature associated with the use of VLE. In addition, it articulates the need for programme evaluation as a means for decision-makers to plan and take necessary corrective action to better implement VLE among teachers and students in schools. To sustain the implementation of this endeavour, a monitoring and evaluation mechanism must be put in place. This would determine how the VLE is performing and ascertain key success factors with the use of the Frog VLE among teachers and students. For this purpose, a survey research was undertaken using a sample comprising 426 teachers and 223 students from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throughout the country. Reliability computations show Cronbach alpha values greater than .90 for the various constructs in the scaled items of the teachers’ and students’ questionnaires. The key findings of the study show significantly different perceptions (p < .05) in the use of Frog VLE as a learning tool between primary pupils and secondary students with significantly higher perceptions from secondary students on all aspects ranging from ease of use of Frog VLE to using Frog VLE as a collaborative tool for interaction within and outside the classroom. Factor analysis via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method shows 3 critical success factors cited by teachers in the use of Frog VLE. The first factor concerns the functionality of VLE as a pedagogical tool; the second is associated with the user-friendliness of the VLE; and the third concerns the VLE as a tool for collaboration. An analysis of ranks derived from the mean computations of the variables within the first factor shows the VLE provides a platform for teachers to share ideas and opinions being ranked first. This is followed by VLE being used by students to obtain learning materials, which is ranked second. Third, the VLE being used by teachers to source for new teaching materials. Other major findings include issues associated with slow and unstable internet connectivity where secondary schools fared worse compared to primary schools and that rural schools tended to have more problems in connectivity as compared to urban schools. This paper puts forth a proposition that educational technology needs continuous monitoring and evaluation and effective change management is imperative to attain success in its implementation.
본 논문은 2014년 3월 <한국컴퓨터게임논문지>(제27권, 제1호)에 실린 "디지털 영상매체와 게임 콘텐츠를 활용한 상호문화교육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에 대한 이론적 검토"의 후속 연구이다. 상호문화교육을 위해 디지털 영상매체 중의 하나인 영화를 활용하는 것은 단순히 교수-학습 방법의 다양화에 기여하는데 그치지 않는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문화상대성을 이해시키고 다문화 (또는 상호문화) 감수성을 증진시키는 교육에 상업영화를 적용시키는 것은 독창적이고 통합적인 상호문화교육의 장을 열어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는 문자텍스트에 주로 의존했던 전통교육의 한계를 극복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현재 한국사회는 이주노동자, 결혼이민자, 북한이탈주민, 유학생 등과 같은 이질적인 문화구성원들의 유입으로 인해 여러 사회적인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본 논문은 독일과 프랑스의 상업영화를 이용한 대학생용 상호문화교육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활용이 다문화사회로 진입단계에 한국사회를 보다 조화로운 사회로 구성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음을 보이고자 한다. 이런 교수-학습 프로그램은 학습자에게 즐거움을 줄 뿐만 아니라, 배우려는 인간의 본능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다.
이 글의 검토 대상은 ‘한자․한문교육 현장실천 교수-학습 방법’이다. 그간의 연구현황 및 성과를 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의 과제점검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현황을 확인하기 위한 자료는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지『한자한문교육』과 한국한문교육학회지『한문교육연구』이다. 교수-학습 방법에 대해서는 한국한문교육학회 창립 30주년기념 학술대회(2011)와 한국한문교육연구총서『한문과 교수-학습 방법론』(2012)에서 그간의 연구실적을 정리하였다. 연구의 현황과 성과는 ‘한자’, ‘어휘’, ‘한시’, ‘산문’으로 분류하고, 이에 속하지 않는 것은 ‘일반자료’로 모아서 정리 하였다. 또한 ‘매체 활용교육’ 관련 자료도 별도로 언급하였다. 이상을 검토해 본 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과제가 확인되었다.첫째, 한시․산문 관련 교수-학습 방법 연구 성과가 부족하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학회차원에서 기획주제로 다루어 이에 대한 연구의 활성화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둘째, ‘수업모형’이나 ‘교수-학습 방법의 체계화’와 관련한 연구가 활발해져서 연구성과가 교육과정에 더 많이 축적되어야 하겠다. 현장교사들에게 있어 교육과정은 직접적인 수업안내 지침이기 때문이다. 셋째, 교수-학습 방법과 관련하여 이론연구보다 현장실천 연구실적이 상대적으로 빈약하다. 이의 해결을 위해 전공교사들의 학회 참여 유도가 필요하리라 본다. 교사 개인이 지닌 우수 지도방안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This paper is an advanced work for the follow-up study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s of Intercultural Education in Universities Utilizing German and French Commercial Movies'. Before developing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s of intercultural education for undergraduates utilizing movies as one of the most typical digital image media in modern times, we try to review theoretical the utilizability of digital image media and game contents as very efficient tools of intercultural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The breakthrough of digital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he digital revolution leading to a paradigm shift in the history of mankind make the 21th century be called 'knowledge and information age'. The integrated and interactive communication way based on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has a great effect on recognition way, recognition pattern and recognition process of contemporary people. In addition, it is also changing human recognition per se. First of all, digital image media have caused not only the remarkable change of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but also a revolutionary change of educational field. The digital image media are thought of as one of the most efficient communication media which can satisfy optical desires of humankind and realize multilateral and sympathetic interchanges utilizing other sense organs. Therefore, the digital image media are anticipated to be a very efficient tool of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Through this theoretical review we try to emphasize the needs for the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of intercultural education utilizing digital image media and game contents.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value of integrated use of the related literary texts and movies through teachers' awareness toward them, and to develop English teaching-learning method using them. Thirty-four primary school teachers who enrolled a graduate course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teachers read a literary text, Because of Winn-Dixie written by Kate DiCamillo, and watched the movie based on the text.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through a mixed method which used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techniques. The result of the study emerged in two steps. First, experiences of participating teachers were investigated in terms of understanding literary texts and movies, participants' experience as both English learners and teachers, and the understanding of complementary aspects of a literary text and the movie based on the text. Then, teaching-learning method for English learners were developed. For example, the study suggested how to develop four language skills through integrated use of the literary texts and movies, and provided a list of related literary texts and movies applicable in diverse EFL contexts.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suggested teachers to apply methods and techniques to other literary texts and movies in the teaching of English in EFL setting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nglish lecturers’ readiness toward internet use in English teaching and learning at selected universities in Jambi, Sumatra, Indonesia. A questionnaire was used as a research instrument to sixty-five participants who were recruited through a variety of networking sources, but forty-seven participants completed and returned the questionnaires. Data were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and a t-test. The major findings indicated that the English lecturers’ readiness toward Internet use for teaching and learning was at an average level. This study also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lecturers’ background of internet use and the level of lecturers’ readiness toward Internet use.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lecturers’ knowledge readiness and attitude readiness.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readiness between English lecturers at public institutions and private institut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ed light on policy makers and leaders’ understanding of English lecturers’ readiness toward internet use in English teaching and learning in Indonesian higher education. Policy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are also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