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8

        21.
        200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determine the optimal fertilizer level of wanggol in southeren areas of Korea, Gwangsan ealy local, the highest yielding variety was grown under nine different fertilezer levels. Yield components such as stem length, number of tillers, stem diameter were the highest at the treatments of fertilizer levels, N-P2O5-K2O=7-2-3 and 9-2-3 kg/10a plots. Dry cortex and medulla yield were the highest at the treatments of N-P2O5-K2O=7-2-3 and 9-2-3 kg/10a fertilizer levels. Judging from the results, an optimum fertilizer level of wanggol seemed to be N-P2O5-K2O=7-2-3 and 9-2-3 kg/10a.
        22.
        2004.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find out the optimum fertilizer level for high yielding variety, Paldanghomil,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15 compositions of fertilizer levels at the experiment field of forage rye in Sunchon National University from Sep. 1998 to Aug. 1999. The effects of nitrogen fertilizer on plant growth were large significant but increasing rate of application in potassium and phosphate fertilizers above 10kg/10a had negligible effects on plant growth. Raising nitrogen application rate of fertilizers turned out to be 18-10-10kg/l0a of N-P2O5-K2O. Content of crude protein was the highest and that of crude fiber such as NDF, ADF, cellulose and lignin were lowest at this rate. Furthermore, IVDMD was high and dry matter yield were the highest at the optimum rate.e.
        25.
        200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leven near-isogenic lines(NILs) of rice having different resistance gene to BB in IR24 genetic background were evaluated for resistance to BB under the different nitrogen fertilizer levels. Lesion length of compatible NILs to races K1, K2 and K3 of BB un
        26.
        2000.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selects Sunwol local group, Gusang local group and Yongjun local group to examine the appropriate amount of applied fertilizer in cultivating the double crop seed of Alisma plantago by transplantation in the southern area, improve and complements the double cropping techniques and contribute to stable production. While the plant height is 45,47 and 49cm and the number of leaves is 11.7, 12.5 and 14.4 at non-fertilizing plot, the plant height is 67, 72 and 75cm and the number of leaves is 15.8, 17.2 and 19.3 at all fertilizing plot and their growth is active and in the character of plant height and the number of leaves, especially in the groove of N-P2O5-K2O= 30-15-45kg/10a, the mean plant height of Sunwol is 75cm and mean number of its leaves is 19.3, the mean plant height and number of leaves in Gusang are 72cm and 17.2 respectively and those of Yongjun are 67cm and 15.8 respectively. While the number of floral axis is 1,2 in non-fertilizing plot, that of the whole varieties in all fertilizing plot is 3, 4, 5 and the mean floral axis of Sunwol is N-P2O5-K2O = 10-5-15, 20-10-30, 30-15-45 kg/10a and 18-0-18 of complex fertilizer and 21-17-17kg/10a and it is small in all fertilizing plot. The yield of dry root per 10a is high in all fertilizing grooves and especially in the groove of N-P2O5-K2O = 30-15-45 kg/10a, it is 372.6kg, in the groove of 18-0-18kg/10a using complex fertilizer, it is 389.1kg and in that of 21-17-17kg/10a, it is 376.7kg.6.7kg.
        27.
        200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orms and levels of nitrogen fertilizer on plant growth and essential oil production of Agastache rugosa. Calcium nitrate had more influenced on length and width of leaves and lateral branch length than did urea. When nitrogen fertilizer level was increased from 12 kgN/I0a to 24kgN/I0a, plant growth was stimulated and dry matter of leaf and inflorescence were increased. Top dry matter of plant with calcium nitrate treatment (38.4 g) was heavier than that of urea treatment (32.8 g). Interactions among accession and nitrogen form and nitrogen rat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or top dry matter. The forms and rate of nitrogen fertilizer did not affect estragole content. The estragole contents was higher in leaf (91.8%) than that of inflorescence (81.3%). While the essential oil content was not affected by different nitrogen forms, nitrogen level affected the essential oil contents positively by increasing dry matter. Essential oil yield was not affected by accession or nitrogen form, but by nitrogen rate. With increasing N application from 12kgN/I0a to 24 kgN/I0a, essential oil yield was increased by 95.8 %.
        28.
        199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남부지방(南部地方)에서 황금(黃芩)의 맥후작(麥後作) 직파재배시 적정(直播栽培時 適定) 시비량(施肥量)을 구명(究明)하여 재배기술(栽培技術)을 개선(改善), 보완(補完)하고 수량(收量)을 증대(增大)시켜 안정생산(安定生産)에 기여(寄與)하고자 여천(麗川) 재래종(在來種)을 공시(供試)하여 실시(實施)한 시험결과(試驗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무비구(無肥區)(N-P2O5-K2O = 0 - 0 - 0kg/10a)의 개화기(開花期) 7월(月) 20일(日)에 비하여 모든 시비구(施肥區)가 7월(月) 21일(日)~23일(日)로 1~2일(日) 늦게 개화(開花)하였다. 2. 생육형질(生育形質)인 경장(莖長), 경태(莖太), 분지수(分枝數), 주근장(主根長), 주근경(主根徑) 생경엽중(生莖葉重), 건경엽동(乾莖葉重)은 무비구(無肥區)에 비하여 모든 시비구(施肥區) 양호(良好)하였으나 다비구(多肥區)(N-P2O5-K2O = 12-18-12kg/10a) 3. 수량형질(收量形質)인 건근중(乾根重)은 무비구(無肥區)보다 모든 시비구(施肥區)가 양호(良好)하였으나 그 중에서 중비구(中肥區)(N-P2O5-K2O = 9-13.5-9kg/10a)에서 10a당 건근중(乾根重)이 178kg으로 무비구(無肥區)의 126kg에 비(比)하여 41%가 증수(增收)되었고 표준시비구(標準施肥區)(N-P2O5-K2O = 6-9-6kg/10a)의 167kg에 비해서는 7%가 증수(增收)되었다.
        29.
        199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품질(高品質) 택사(澤瀉)의 다수확(多收穫)을 위하여 시비양(施肥量)에 따른 택사(澤瀉)의 생육(生育) 및 유효성분(有效成分)인 alisol-B monoacetate의 함양변북(含量變北)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시비양(施肥量)의 증가(增加)는 지상부(地上部)의 생육증진(生育增進)에 효과적(效果的)이었으며 수양(收量)은 20-10-20 구(區)에서 가장 높은 287kg/10a 정도로 관행(慣行) 시비구(施肥區)보다 약 25% 증수(增收)되어 가장 높았으나30-15-30 구(區)는 20% 증수(增收) 되었다. 시비양(施肥量)에 따른 식물체중(中) 질소(窒素)와 린산(燐酸)함량은 증비(增肥) 할수록 줄기보다 잎의 함량이 높았으나 기타 무기성분(無機成分)은 대차없었다. 유효성분(有效成分)인 근경(根莖)내의 alisol-B monoacetate의 함양(含量)은 증비(增肥)할수록 함량이 증가되는 경향으로 30-5-30 시비구(施肥區)에서 4737.6ppm 으로 관행시비구(慣行施肥區)보다 66% 증가(增加)되었다.
        30.
        199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은 호남영농시험장 수도포장인 미사질토양에서 만금벼를 공시하여 건답직파재배와 어린모기계이앙 재배에서 완효성 비료와 속효성 비료 시용시 재배유형별 적정시비량과 생육특성을 비교 검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완효성 비료시용은 시용 후 토양에 인산과 양이온 함량 및 C.E.O. 함량이 다량 잔존하였다. 2. 재배유형간 간장과 경수는 완효성 비료가 건답직파보다 어린모기계이앙재배에서 초기생육을 더욱 조장시켰고 같은 질소 시비량에 속효성 비료를 기비에 20% 추가 시용한 것이 재배유형 모두 우수하였다. 3. 건물중비율(출수기)은 어린모기계이앙이 건답직파보다 그리고 속효성 시료가 완효성 시료보다 높았으며 속효성 100% 또는 완효성 100% 시용보다는 완효성 80% + 속효성 20% 추가구가 건물 중비율이 높았다. 4. 엽면적지수(출수기)는 속건성 비료에서는 건답직파보다 기계이앙재배가 높았으나 완효성비료에서는 건답직파가 높았으며, 비종별 엽록소함량은 완효성 비료가 속효성 비료보다 높게 함유하였으며 생육시간별로 보면 속효성 비료는 분얼기와 유수형성기에는 큰 차가 없었고 출수기에 가장 많이 함유하였으며 출수이후에 급격한 감소를 보였으나 완효성 비료는 속효성 비료와는 달리 분얼기에도 높았고 유수형성기에서 보다 많이 함유하였으며 출수이후 황열기까지 완만한 감소를 보였던 바 두 재배유형이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5. 출수기는 건답직파가 기계이앙보다 2일 지연되었고 관행(속효성 100%이앙 어린모기계이앙)대비 완효성 비료는 어린모기계이앙에서는 2∼3일, 건답직파에서는 4∼5일이 지연되었고 간장은 속효성 비료에서는 기계이앙이, 완효성 비료에서는 건답직파가 컸다. 6. m 당 수수는 건답직파에서 많았고, 완효성 비료에서 많았으며 등숙율은 기계이앙재배가 건답직파보다, 속효성 비료가 완효성 비료보다 높았다. 7. 수량은 실행(516kg/10a)대비 속효성 비료의 100%와 80% 수준에서는 건답직파가 101%와 100% 그리고 어린모기계이앙은 80% 시비에서 6% 감수되었으며, 완효성 비료에서는 건답직파에서는 2∼4%, 기계이앙에서는 0∼3%의 증수를 보였다. 각 재배유형별 시비량간의 수량 순위는 기계이앙재배에서는 100% =80% + 20% > 100% + 20% > 80% 순이었고, 건답직파에서는 80% + 20% > 100% > 80% =100% + 20% 순으로 완효성 비료를 20% 감비시 속효성 비료 20% 추가구가 수량이 높았다.
        31.
        199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화 재배에 있어서 시비량별 재배밀도에 따른 화뢰의 착생, 개화 및 결삭의 양상과 이들 화뢰 또는 삭의 낙하에 관한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목화는 적채면 수확한계기인 8월 25일(목포지방)까지의 전체 개화수의 67%가 개화하였고 그 후 목채면으로 수확할 수 있는 개화수비율은 약 30%였다. 2. 비료수준은 1.5배비(표준비 4-4-5kg/10a)에서 화뢰, 개화 및 삭수가 가장 많았다. 3. 휴폭 50cm의 협폭하에서는 밀식할수록 양분쟁탈에 의한 생육 부진으로 개체당 화뢰, 개화 및 삭수의 감소가 심하였으나 다비조건의 70cm의 광폭에서는 주간이 좁을수록 그 수가 많은 반면에 소식에서는 과번무의 양상을 볼 수 있었다. 4. 화뢰수에 대한 개화비율은 약 70% 정도이고 개화수에 대한 결삭비율은 48% 내외였으며 개화수가 많으면 결삭비율은 오히려 낮아졌다. 5. 화뢰의 낙하비율은 30% 내외이며 협휴밀식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이었고 낙뢰율이 높을수록 낙삭율은 낮았다.
        32.
        1992.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남부지방의 결명자 재배 체계 확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비닐 피복과 무피복재배 상태에서 시비량 차이에 따른 생육과 수량의 특성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경장, 경직경, 분지수, 1주협수, 협장, 1협립수 등의 모든 형질이 비닐 피복구에서 우수하였으며 이들 생육특성 중에서 경직경, 1주협수, 1협립수 등의 형질은 N-P2 O5-K2 O=8-6-6Kg /10a 구에서 가장 우수하였고 경장, 분권수, 협장은 N-P2 O5-K2 O=8-6-6Kg /10a와 N-P2 O5-K2 O=16-12-12Kg /10a구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2. 천립중과 종실수량 역시 비닐 피복구에서 높았으며 시비량 N-P2 O5-K2 O=8-6-6Kg / 10a구를 기점으로 이보다 감비하거나 증비한 구는 감수하는 경향이었다. 3. 비닐 피복과 무피복 아래에서 시비량 차이에 따른 유용 형질들의 분산분석에서도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33.
        198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에서는 일반숙전과 신개간지 토양에서 비료 증시용이 진주조의 생산성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원 ,청주, 전주, 진주 및 북제주에서 1986∼'88년 시험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질소시용량이 증가함에 따라사 초장, 청예수량, 및 단백질함량이 증가하였다. N30kg/10a까지는 도복이 많이 되었다. 초고가 1m 이상되고 일기가 불순하여 도복이 우려되면 지표면에서부터 20cm 남기고 예취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2. 일반숙전토양에서 N45∼60kg/10a 구에서 평균 청예수량 12.7∼13.4t/10a이 생산되어 가장 증수되었다. 인산, 가리비료의 증시효과도 있었다. 특히 가리사료의 증시효과가 컸다. 3. 신개간지 토양에서도 개양식 배비구(60-60-40-4000kg/10a)에서 청예수량 12.6t/10a이 생산되어 표준비구에 비하여 38% 증수되었다, 진주조 청예수량이 수수류나 옥수수에 비하여 월등히 증수되었다. 4. 청예용 식물체의 조단백질함량도 진주조 1회 예취에서 11.8%, 4회예취 평균 16.1%로 월등히 높았다. 소화율도 57.6∼63.4%로 옥수수 46.3%, 수수/수단그라스 47.3∼57.6%에 비하여 높았다.
        34.
        198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아마 답전작 재배에서 시비량에 따르는 주용 형질의 반응을 구명하고자 시험했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성숙기는 3품종 모두 무비구보다 시비구에서 늦었으며 품종별로는 Wiera, Stoment Goss 품종이 무비구에서 6월 15일 ~ 17일인데 비해 시비구에서는 6월 18일~20일로 3~4일 늦었고 Taijungsun#1은 부비구가 6월 13일이었는데 비해 시비구는 6월 14~15일로 1~2일 늦었다. 2. 경장과 유분함량은 시비구에서 경장이 가장 길었고 유분함량도 가장 많았으며 시비량이 더 많은 N-P2 O5-K2 O =9-7-5kg/10a 시비구에서는 오히려 경장이 짧고 유분함량이 적었다. 3. 원경중과 종실중은 3품종 모두 N-P2 O5-K2 O =8-6-4kg/10a의 증시구에서는 직물체의 과번무와 도복 및 모아마의 발생으로 오히려 수량이 감수되었다. 4. 분산분소에서도 품종간, 시비량간, 품종과 시비량의 교호작용에서도 모두 고도의 유의차를 나타내어서 척박지인 사양토의 답전작 아마재배는 N-P2 O5-K2 O =8-6-4kg/10a의 시비에서 가장 좋은 반응을 보여 주었다.
        35.
        198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율무 시비량에 따른 생태적 형질,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흑석종과 애원종을 공시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초장, 분얼수, 엽수, 경직경의 모든 생육 특성은 혹석종, 애원종 모두 N-P2 O5-K2 O=18-9-9 kg/10a 처리에서 높게 나타났고 이보다 비료량이 더 적거나 않은 처리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2. 백립중, 건경중, 종실중의 수량형질 역시 N-P2 O5-K2 O=18-9-9 kg/10a 처리에서 높게 나타났고 이보다 비료량이 더 적거나 않은 처리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3. 종실수량은 초장, 분얼수, 엽수, 경직경, 백립중 및 건경중과 고도의 정상관을 보였다. 4. 분산분석에서는 품종간, 시비량간, 품종과 시비량의 교호작용에서도 모두 고도의 유의차를 나타냈다.
        36.
        198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도 8개 단간계통을 무비, 소비, 보비, 다비의 시비구에 공시하여 수량구요소의 수량에 대한 경노계수와 D2 , PCA, Q상관에 의한 Dendrogram을 작성하여 시비량간 및 방법간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8개 계통의 형질평균치는 시비량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동일시비내 계통간에는 유의차가 있었다. 2. 형질간 유의성 있는 상관을 보인 경우는 많지 않았으며 시비량이 많은 구에서 유의한 상관을 보인 경우가 적었다. 3. 수량구성요소의 수량에 대한 직접효과는 수당입수가 가장 컸고 다음이 주당수수였으며 이들은 다비에서 더욱 커졌다. 수수의 입수를 통고 간접효과가 부로 컸으며 다비에서 더욱 더 컸다. 4. D2 , Q상관, PCA에 의한 유사도는 시비량 차이에 따라 큰 차이는 없었으며 3가지 방법간에서는 D2 와 Q상관은 완전 일치하였으며 PCA에 의하여서도 이들과 비슷하였다.
        37.
        198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청예사료생산을 목적으로 대맥·호맥을 답리작으로 재배할 때 파종기와 시비량, 그리고 예취시기와 높이, 예취회수가 청예건물 생산성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식물체의 출현율에 있어서 대맥은 10월이 지나게 되면 출현율이 현저히 저하되어 한계파종기는 10월말이었으며, 호맥은 11월초까지 파종하여도 출현율의 차이가 없다. 2. 월동률은 비료수준과는 관계가 없었으며, 파종시기간에는 대맥의 경우, 파종시기가 빠를수록 월동률이 높았으며, 호맥은 파시기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다. 또한 호맥이 대맥보다 월동률이 높았다. 3. 출수기의 청예건물 수량은 파종시기가 빠를수록 그리고 비료수준이 높을수록 많은 경향이었으며, 호맥이 대맥에 비해 청예수량이 높았다. 4. 출수기 때 예취한 식물체의 조성분 중 조단백질·조지방 함량은 비료수준이 높아질수록 증가하였으나, 조회분·조섬유 및 TDN 함량은 시비량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NFE는 비료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TDN yield는 비료수준이 높을수록 증가하였으며, 호맥이 대맥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5. 2회예취처리에서는 1차예취시기가 빠를수록 호맥에서는 수량이 많은 경향이었으나, 대맥의 경우에는 1차예취기간에 차이가 없었다. 6. 예취높이는 12cm를 유지해 줄 때 재생이 좋아서 총수량이 많았다. 1회, 2회, 예취회수에서는 2회예취에서 청예수량 및 TDN yield가 가장 많았다.
        38.
        198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은 맥주맥 품종들의 수량과 맥아품질에 영향하는 질소 시비반응차를 구명할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1979년부터 1980년에 걸쳐 광주시 소재 전남대학교 농과대학 시험 포장에서 실시한 두 맥주맥 품종(Golden Melon과 향맥)의 질소시비(3, 6, 9, 12 및 15kg ai/10a) 반응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1. 질소 시비로 인한 생육촉진 효과는 Golden Melon보다 향맥에서 더욱 뚜렷하였으며, 주효과는 분벽수 증가와 건물중 증가를 용하여 성립되는 경향이었다. 2. 출수현상은 품종 특성에 의하여 주로 결정되는 경향이었고 Golden Melon보다 향맥이 약 1주일정도 빠른 조생성을 보였다. 3. 유효경비율은 품종 특성으로서 질소 반응이 둔하였고 성숙일수는 Golden Melon보다 향맥이 약 1주일정도 길어서 만숙성을 보였으며 양품종 공히 질소 증시로 지연되있다. 4. 대부분의 수량 구성요소들은 그 변이가 품종특성으로 결정되며, 질소 증시의 효과는 혜당입수를 통하여 표현되었다(향맥은 단위면적부 수수 증가도 안정되었다). 5. 수량성은 품종 특성상으로도 향맥이 Golden Melon보다도 높고 시비 질소의 수량화 효율도 향맥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6. 양조 특성의 변이는 주로 질소시비량 차이에 기인되었으며 단백질은 정상관으로, 그리고 탄수화물과 β-Amylase활성은 역상관의 방향으로 변이하였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