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0

        21.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흑염소 사양체계 확립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 고자 방목과 사사형태의 사육이 흑염소의 번식능력과 자축 의 발육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공시축은 흑염 소 36두를 방목구와 사사구로 나누어 처리구당 18두씩 공 시하여 2011년 4월부터 11월까지 8개월간 수행하였다. 단 태의 비율은 방목구가 31.5%, 사사구가 37.0%로 통계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산자수는 방목구와 사사구가 각 각 1.76과 1.69두로 사육형태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 으며, 이유 시의 두수는 방목구가 사사구 보다 높은 경향 으로 나타났다(p=0.11). 사육형태에 따른 생시체중은 방목 구가 2.3 kg, 사사구가 2.29 kg 로 나타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생후 90일 령 이유 시 방목구가 9.97 kg 로 사사 구의 9.45 kg 보다 높은 경향으로 나타났으며(p=0.09), 포 유기간 일당증체량에서도 방목구가 사사구 보다 높은 경향 으로 나타났다(p=0.13).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흑염 소를 방목과 사사형태로 사육하였을 때, 분만형태, 산자수 및 생시체중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이유두수 및 자축의 일 당증체량에서는 방목사육 형태가 우수한 경향으로 나타나, 방목이 흑염소의 생리적 욕구를 충족시켜 건강한 흑염소 생산에 기여 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2.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흑염소 사양체계 확립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방목과 사사형태의 사육이 흑염소의 번식능력과 자축의 발육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공시축은 흑염소 36두를 방목구와 사사구로 나누어 처리구당 18두씩 공시하여 2011년 4월부터 11월까지 8개월간 수행하였다. 단태의 비율은 방목구가 31.5%, 사사구가 37.0%로 통계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산자수는 방목구와 사사구가 각각 1.76과 1.69두로 사육형태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유 시의 두수는 방목구가 사사구 보다 높은 경향으로 나타났다(p=0.11). 사육형태에 따른 생시체중은 방목구가 2.3 kg, 사사구가 2.29 kg 로 나타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생후 90일 령 이유 시 방목구가 9.97 kg 로 사사구의 9.45 kg 보다 높은 경향으로 나타났으며(p=0.09), 포유기간 일당증체량에서도 방목구가 사사구 보다 높은 경향으로 나타났다(p=0.13).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흑염소를 방목과 사사형태로 사육하였을 때, 분만형태, 산자수 및 생시체중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이유두수 및 자축의 일당증체량에서는 방목사육 형태가 우수한 경향으로 나타나, 방목이 흑염소의 생리적 욕구를 충족시켜 건강한 흑염소 생산에 기여 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3.
        2014.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ytokeratin (CK) comprises the intermediate filament cytoskeleton of epithelial cells. Patterns of CK expression can be regarded as a specific marker for epithelial differentiation statu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K expression on tongues of Korean native goats ranging from 60-day-old fetuses to newborns during prenatal development using immunohistochemistry. The tongues of fetuses were removed from 2- to 4-year-old female Korean native goats by caesarean section performed under general anesthesia. Immunohistochemistry was performed to assess CK expression patterns on developing goat tongues using serial paraffin-embedded sections. Light zones signifying CK immunoreactivity in dorsal lingual epithelia were weakly positive in 60-day-old fetuses. In 90-day-old fetuses, deep areas in dorsal lingual epithelia were strongly positive for CK expression and superficial areas were moderately positive. In 120-day-old fetuses, light zones of lingual epithelia in the vallate papilla were strongly positive for CK expression, whereas ducts of von Ebner’s glands were moderately positive. In neonates, taste buds were positive for CK expression, whereas non-taste epithelial cells and von Ebner’s glands were negative.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goat tongues have different patterns of CK expression during development and provide a morphological basis for studies on the biological mechanism of epithelial differentiation.
        4,000원
        24.
        201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흑염소 사양체계 확립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방목과 사사형태의 사육이 흑염소의 발육과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공시축은 흑염소 20두를 방목구와 사사구로 나누어 처리구당 10두씩 공시하여 2012년 5월1일부터 2012년 9월30일까지 153일간 수행하였다. 일당증체량은 방목구와 사사구가 각각 50.6과 52.3 g 으로 차이가 없었고, 도체율에서도 방목구와 사사구간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도체의 지방함량은 사사구가 4.83% 으로 방목구의 3.30%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P=0.01). 흑염소 고기의 조지방 함량은 사사구가 2.05%로 방목구의 1.11%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1). 등심의 지방산 조성은 oleic acid(C18:1) 함량이 49.27∼50.04%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palmitic acid(C16:0) 함량이 23.3∼23.5%, stearic acid(C18:0) 함량이 19.3∼19.5% 순으로 나타났으며 지방산 조성에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전단력은 방목구와 사사구가 각각 3.16과 3.04 ㎏/㎠ 로 방목구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p=0.03), 관능검사 결과 중 연도는 사사구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P=0.08).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흑염소를 방목과 사사형태로 사육하였을 때, 생산성과 도체특성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육질과 물리적 특성에서 사사형태의 사육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고기 생산을 위해서는 사사형태로 사육하는 것이 효율적인 사양관리체계의 확립과 함께 흑염소 생산 농가의 소득 증대에 기여 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5.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버섯폐배지와 맥주박을 이용한 섬유질 발효사료의 급여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흑염소의 생산성과 영양소 이용율을 조사하였다. 증체조사를 위한 사양 시험은 거세흑염소 20두를 이용하여 처리구당 5두씩 30일간 수행하였고, 소화율 시험은 거세흑염소 12두를 공시하여 처리구당 3두씩 라틴방각법으로 실시하여, 처리구는 대조구(배합사료 및 볏짚 급여구)와 3개의 시험구(버섯폐배지, 맥주박 비율이 각각 15와 25%(T1), 10과 30%(T2) 및 5와 35%(T3))로 각각 배치하였다. 일당증체량은 대조구와 T1구가 T3구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1일 두당 건물섭취량과 유기물섭취량은 T1과 T2구가 대조구 보다 유의하게 높은 섭취량을 보였다(p<0.05). 건물소화율과 유기물소화율은 대조구와 T1구가 각각 62.39∼63.39%와 65.02∼65.25%로 T3구의 각각 56.39와 59.01%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질소축적량은 T1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 버섯폐배지와 맥주박을 이용한 섬유질 발효사료는 시판사료를 급여한 대조구와 대등한 생산성과 영양소 이용율을 보였다. 그러나 버섯폐배지의 첨가 비율이 높아질수록 흑염소의 생산성 저하가 우려되므로 버섯폐배지 첨가는 25~30% 수준으로 배합하는 것이 필요하다 판단된다.
        4,000원
        26.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aparoscopic ovum pick-up (LOPU) is a convenient method for collecting oocytes in small ruminants. LOPU has the advantage of being a less invasive means of oocyte collection, thereby allowing for a repeated usage of the oocyte donor animals. A total of 25 Korean black goats were used in the winter season (December to February) and LOPU was applied to the goats which had been treated for superovulation more than two times during the last twelve months. Estrus was synchronized with an intravaginal insert containing 0.3 g progesterone for 10 to 12 days. Ovaries were hyperstimulated with eCG 1,000 IU oneshot, FSH with eCG (50 mg / 1,000 IU; 70 mg / 500 IU; 70 mg / 1,000 IU) oneshot or FSH multiple-shot with eCG oneshot (20 mg × 6 / 300 IU) given intramuscularly 72 h prior to LOPU. For these groups, the number of follicles (mean ± SEM) observed which developed to larger than 2 mm in diameter were 1.6 ± 2.5, 4.3 ± 3.1, 5.5 ± 4.2, 6.6 ± 2.1 and 8.8 ± 7.8, respectively. Oocytes were aspirated by using OPU needles and a vacuum pump. The overall oocyte retrieval rates were 41.4%. Oocytes were matured in TCM-199 supplemented with 10% (w/v) bovine serum albumin + 10 μg/ml FSH + 1 μg/ml 17β-estradiol for 27 h at 39℃ in 5% CO2 in air. Oocytes were parthenogenetically activated by ionomycin combined with 6-diethylaminopurine (6- DMAP). Total oocyte maturation and cleavage rate were 67.3% and 78.8%, respectively. In summary, LOPU is a useful oocyte collection method in Korean black goats that can provide immature oocytes for transgenesis or nuclear transfer.
        4,000원
        27.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mposition and organization of lingual tissues underlying the histo-structural change of developing tongue in Korean native goats by light microscopy (LM). Tongues of the fetuses on days 60, 90, 120 and neonate were examined for the morphological development. In the 60-day-old fetuses, the tongue tissues were differentiated into epithelium, lamina propria and muscle layer. Primordia of filiform, conical, lentiform, fungiform and vallate papillae appeared and rudiments of taste bud were observed in the epithelia of the primordia of the gustatory papillae. The dorsal surface of the lingual epithelia showed a weak PAS positive reaction. Collagenous fibers and small blood vessels were shown in the connective tissues. In the 90-day-old fetuses, Von Ebner’s glands were moderately PAS positive while the muscle fibers and connective tissue were strongly positive for PAS. The collagenous fibers increased and came to have a more complex arrangement in the tongue. The muscle fibers were spread out at various directions and developed in striated muscle bundles. In the 120-day-old fetuses, taste buds were observed in the epithelia of the gustatory papillae, and several well-developed tissues visible such as blood vessels, collagenous fibers, muscle fiber bundles and Von Ebner’s glands. In the neonates, many taste buds were found in a transverse section of the vallate papilla. The muscle layers, Von Ebner’s glands, collagenous fibers and blood vessels were more developed than those of the 120-day old fetuse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goat tongues have a variety of different shapes during prenatal development.
        3,000원
        28.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육성기 흑염소에 있어서 조사료원이 볏짚 위 주일 때, 농후사료 급여 수준이 발육, 사료이용성 및 경제 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육성기 암 컷 흑염소 40두를 공시하여 농후사료 급여수준을 체중의 1.5% (T1), 1.8% (T2), 2.1% (T3) 및 자유채식구(T4)로 나누 어 급여 하였고 조사료원은 볏짚을 자유채식 하도록 하였 다. 그 결과, 일당 증체량은 T1 (1.5%), T2 (1.8%), T3 (2.1%) 및 T4(자유채식)구가 각각 50.23, 60.37, 71.46 및 98.90 g으로 농후사료의 급여 수준이 높아질수록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조사료인 볏짚의 사료 섭취량은 농후사 료 급여수준이 증가 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p<0.05). 경제성 분석에 있어서 육성기 흑염소 경영 비는 농후사료를 1.5%, 1.8%, 2.1% 및 자유 채식하였을 때 각각 46,704원, 49,998원, 54,701원 및 74,613원으로 농후사 료의 급여수준이 증가할수록 경영비는 증가하였다. 이는 증체량에 있어서 T4(자유채식)구가 가장 많이 증가하였지 만 T3 (2.1%)구보다 사료비에 있어서 두당 19,912원 더 많 이 들었다. 이상의 시험 결과를 종합하여 고려할 때, 육성 기 흑염소에 있어서 조사료 원이 볏짚 단용일 경우에는 농 후사료를 2.1% 수준으로 급여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 으로 사료 된다.
        4,000원
        29.
        2013.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orphologi- cal characteristics of developing lentiform papilla (LP) in Korean native goats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AM). Tongues were removed from fetuses on days 90, 120, neonates, and juveniles on days 30, 60, 90, 120, 150, and 180. In prenatal development, the primordia of LP in 90-day-old fetuses were round and spotted on the inner most part of the torus linguae of the tongue. Primordia of LP in 120-day-old fetuses also had a lens-like shape. In neonates, LP displayed similar features as the adult one. In postnatal juveniles on days 30 and 60, LP continually increased in size without much difference in structure compared to that of neonates. By postnatal day 90, detached pieces of keratinized super- ficial epithelia were observed. Microridges and microplicae were well developed on the epithelial surface of LP in 60- to 120-day-old goats. The lengths of LP were 476~514 μm in neonates, 687~962 μm in the weaning period of 60-day- old goats, and 1,068~1,567 μm in the maturing period of 180-day-old goat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goat LP has different sizes and shapes from those of other species during development.
        4,000원
        32.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ssesses of efficiency of oocyte recovery and in vitro development for during the non breeding season in goat. Thirty-four matured goats, maintained in a pen under natural day length and fed hay ad libitum, were pretreated with progestagen implanted CIDR for 10 days. Superovulation treatment of the goats received twice daily intramuscular injections of a total of 70 mg FSH for 3 days from Day 8 of CIDR. All the gonadotropin treated goats were injected with 10 mg PGF2α on Day 8 and 400~600 IU hCG in the afternoon on Day 10. Oocytes were recovered by follicle aspiration or oviduct flushing at 35 to 40 h after hCG injection through mid-ventral incision. The in vivo matured oocytes were activated by ionomycin (5 min) and 6-DMAP (3.5~4 h). The activated oocytes were cultured in mSOF medium containing 0.8% BSA at 38.5℃ in an atmosphere of 5% CO2, 5% O2, 90% N2 for 7~8 day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number of CL and in vivo matured and follicular oocytes recovered. But, quality of I+II grade follicular oocytes was lower (p<0.05) in the prepubertal goat (25.0%) than the adults (52.4%). The same results were also observed in the cleavage and blastocyst rate of activated oocytes. The clavage and blastocyst rate from prepubertal derived oocytes were lower (p<0.05) in the prepubertal goat (54.5%, 23.3%) than the adult goat (86.8%, 46.6%). Considering overall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maturation of donor goats is a major factor affecting recovered oocytes quality and in vitro development of activated goat oocyt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ocyte quality between seasonal treatments.
        4,000원
        33.
        201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rphological development pattern of conical papilla (CP) during prenatal and postnatal periods in native Korean goats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ongues were removed from fetuses on days 90, 120, and neonates and from juveniles on days 30, 50, 60, 75, 90, 120, 150, and 180 after birth. The lengths of CP were 194~240 μm in neonates, 335~485 μm in the weaning period of 60-day-old goats, and 526~662 μm in the maturing period of 180-day-old goats. The primordia of CP in 90-day-old fetuses, shaped like mountain berry, were sprouted. The CP of 120-day-old fetuses was a cylinder shape with an apex whose center was slightly concave and the margin was sticking up like a low fence. The CP of neonates was empty inside and the secondary papillae were irregularly arranged fence-like structures on it. In 60-day-old goats, CP was an obliquely sectioned cylinder shape compacted in inner surface; the shapes of CP varied in 120-day-old goats, and had a smooth surface. A low elevation of CP was observed in 150- and 180-day-old goats. The microridges, microplicae, and micropits were well developed on the epithelial surface of lingual papillae in 60- to 120-day-old goat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CP of goats has a variety of sizes and shapes during development.
        4,000원
        34.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흑염소 비육에 있어서 조사료원이 볏짚 단용인 경우 농후사료 급여수준이 흑염소의 사료섭취량, 체중변화, 도체특성 및 경제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비육 흑염소 40두를 공시하여 농후사료 급여수준을 체중의 1.5% (T1), 2.0% (T2, 농가관행), 2.5% (T3) 및 자유채식구(T4)로 나누어 급여 하였고 조사료는 볏짚을 자유채식 시켰으며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볏짚인 조사료 섭취량은 농후사료 급여수준이 증가 할수록 감소하였으며, 흑염소의 일당증체량은 체중대비 농후사료 급여수준 1.5, 2.0, 2.5% 및 자유채식구가각각 22, 50, 69 및 94 g으로 농후사료 급여수준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 <0.05). 비육 흑염소의 도체율은 농후사료 급여수준을 체중비 1.5, 2.0, 2.5% 및 자유채식 시켰을 때 각각 41.77, 42.78, 46.12 및 49.78%로농후사료 급여 수준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p<0.05), 지방률도 농후사료 급여수준이 증가 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경제성 분석에서는 농후사료 급여수준이 증가할수록 소득은 증가하였으며, 자유채식구가 두당 34,270원으로 가장 소득이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조사료 자원이 볏짚 단용일 경우 비육 흑염소의 농후사료 급여 수준은자유채식 시키는 것이 사료이용성, 발육, 도체율 및 경제성에서 가장 유리할 것으로 사료되며, 흑염소의 비육을 위한 조사료 자원으로서볏짚 단용은 농후사료비의 가중을 가져오므로앞으로는 흑염소 비육을 위한 새로운 조사료자원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4,000원
        35.
        2012.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fungiform papillae in native Korean goats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Tongues were removed from fetuses on days 120 and 150 of gestation and from juveniles on days 30, 60, 90, 120, 150, and 180 after birth. The sizes of fungiform papillae in the newborn were 225.0-250.0 μm, the weaning period of 60-day-old goats was 271-294 μm and the maturing period of 180-day-old goats was 385-398 μm, respectively. The primordia of fungiform papillae had the typical feature of a mushroom shape in a 120-day-old fetus. In a 150-day-old fetus (neonate), fungiform papillae had features similar to those of the adult form and showed a gradual increase in size with slight morphological changes until 150-day-old goats. Microridges, microplicae, and micropits were well developed on the epithelial surface of lingual papillae from 60 to 150-day-old goats.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might provide some basic data on the mechanisms that control the morphogenesis and development of the lingual papillae in ruminants.
        4,000원
        36.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causative agents of disease occurred in Korean black goat. Bovine viral diarrhea (BVD) and infectious bovine rhinotracheitis (IBR) known as main causative agents of diarrhea and abortion in cattle were founded in Korean black goats. Escherichia coli and Clostridium perfringens are the main causes underlying diarrhea in Korean black goats as well as other animals. In addition, the orf virus was found as a causative agent of contagious ecthyma that shows frequent occurrence in Korean black goats. Leptospirosis was found in Korean black goats with low occurrence rate. However, unlike the reports from many other countries, we could not detect the antibodies for Johne’s disease and Neospora caninum in Korean black goats. These results are likely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productivity of raising black goats as a field of livestock farming.
        4,000원
        37.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농산부산물을 이용한 발효사료의 급여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비육 흑염소의 생산성 및 영양소 이용률을 조사하였다. 증체조사를 위한 사양시험은 거세흑염소 24두를 이용하여 처리구당 6두씩 30일 수행하였고, 소화율시험은 거세흑염소 12두를 공시하여 처리구당3두씩 라틴방각법으로 실시하여, 처리구는 대조구(배합사료 및 볏짚 급여구)와 3개의 시험구(발효사료와 볏짚 급여구)로 각각 배치하였다. 일당증체량은 대조구가 가장 높았고, T3구가 가장 낮았다(p<0.05). 1일 두당 건물섭취량 과 유기물섭취량은 시판사료를 급여한 대조구가 각각 718.8과 680.9 g, 농산부산물 첨가구가각각 634.2~699.2와 602.8~660.4 g으로 나타나농산부산물 중 미강 첨가구가 높을수록 섭취량이 낮아지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건물과 유기물 소화율은 대조구가 농산부산물 첨가구보다유의하게 높았고(p<0.05). 시험구간에는 미강을30% 첨가한 T3구가 가장 낮았다(p<0.05). 질소축적률은 대조구와 T1구가 유의하게 높았다.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 농산부산물을 이용한발효사료(T1과 T2구)는 시판사료를 급여한 대조구와 비교 시 증체는 86~90%, 건물소화율은91.7~93.1%의 수준을 보였으며, 질소이용성은대등한 수준을 보였다. 그러나 미강의 첨가 비율이 높아질수록 사료효율 저하가 우려되므로조지방 함량을 5.0% 이하로 배합하는 것이 필요하다 판단된다.
        4,000원
        38.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청보리사일리지 및 옥수수사일리지를 흑염소에 급여하였을 때, 사료섭취량, 일당증체량, 외관상 영양소소화율, 질소 축적율 및 혈액 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흑염소에 대한 청보리사일리지의 사료가치 평가 자료로 활용하는데 목적을 두고 실시하였다. 공시가축은 흑염소 12두(♂)를 3처리구{T1: 옥수수 사일리지 급여구, T2: 청보리사일리지 급여구, T3: 옥수수+청보리사일리지 급여구)로 나누어 처리구당 4두씩 개체별 대사케이지에 라틴방각법으로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일 두당 건물 및 유기물 섭취량은 옥수수사일리지 급여구, 옥수수+청보리사일리지 급여구, 청보리사일리지 급여구 순으로 낮아졌지만 유의한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이러한 경향은 조단백질, 조지방(ether extracts) 및 NFC 섭취량에서도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ADF와 NDF 섭취량은 옥수수+청보리사일리지, 청보리사일리지, 옥수수사일리지 순으로 낮아졌다. 대사체중 당 건물섭취량과 체중에 대한 건물섭취 비율은 옥수수 사일리지 급여구(각각 57.6g과 2.8%), 옥수수+청보리사일리지 급여구(각각 53.8g과 2.7%), 청보리사일리지 급여구(각각 52.7g과 2.6%)의 순으로 낮아졌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p>0.05), 일당 증체량은 옥수수사일리지 급여구가 64.2g으로 다른 처리구의 42.0~46.0g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질소섭취, 분과 뇨를 통한 질소 배출은 옥수수사일리지 급여구, 옥수수+청보리사일리지 급여구, 청보리사일리지 급여구 순으로 낮아졌지만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질소축적량과 질소축적율도 옥수수 사일리지 급여구가 각각 2.6g와 30.0%로 청보리사일리지 급여구(각각 2.0g와 26.0∼26.9)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외관상 건물과 유기물소화율은 옥수수사일리지 급여구가 각각 72.6과 72.8%로 청보리사일리지 급여구(각각 67.5와 69.0%)와 옥수수+청보리사일리지 급여구(각각 66.0과 67.1%)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옥수수사일리지 급여구가 청보리사일리지 급여구보다 흑염소의 사료섭취량, 소화율 및 질소축적율에서 우수하지만 옥수수와 청보리사일리지를 혼합하여 급여하면 옥수수사일리지에 크게 뒤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39.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효율적인 재래 산양의 난포란을 확보하기 위하여 미성숙 산양에 과배란 처리를 실시하여 체내 성숙 난자(배란된 난자) 및 난포란을 회수하여 공란산양의 성숙 여부가 난자의 회수율과 단위 발생란의 체외발달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미성숙 산양의 과배란 처리에 의한 체내 성숙 난자의 회수율에 있어서 과배란 처리 후 두당 황체수는 13.16.5개로서 성숙 산양의 8.82.4개와 차이가 없었다(p<0.05). 산양의 두당 회수율은 마성숙 산양이 9.
        4,000원
        1 2 3 4 5